KR20160028804A -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804A
KR20160028804A KR1020140117826A KR20140117826A KR20160028804A KR 20160028804 A KR20160028804 A KR 20160028804A KR 1020140117826 A KR1020140117826 A KR 1020140117826A KR 20140117826 A KR20140117826 A KR 20140117826A KR 20160028804 A KR20160028804 A KR 20160028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dust
housing
light
d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현
이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804A/ko
Priority to US14/845,928 priority patent/US9599922B2/en
Priority to EP15183836.4A priority patent/EP2993511B1/en
Priority to CN201510564827.XA priority patent/CN105404112B/zh
Publication of KR2016002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ight-emitting diode [LED] or laser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18Image composition, e.g. adding or superposing informations on the original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21Machines other than electrographic copiers, e.g. electrophotographic cameras, electrostatic typewri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04N1/0025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with a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i.e. a photocop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주사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모듈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에서 출사하는 광빔을 편향시키기는 광편향기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결상광학계와,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제한시키는 유동제한부와,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Light scan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본 개시는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광빔을 편향 주사시키는 광주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피주사면상에 화상정보를 기록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프린터나 디지털 복사기, MFP(다기능 프린터) 등과 같은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광주사 장치를 통해 감광체에 광을 주사(scanning)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하며, 형성된 정전잠상은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화상으로 현상되고, 현상화상은 인쇄매체 상에 전사되는 구조를 지닌다.
광주사 장치는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빔(광속)을 고속 회전하는 다각형 미러(Polygon Mirror)와 같은 광편향기에 의하여 반사 편향하게 하고, fθ특성을 갖는 결상광학계를 이용하여 피주사면상에 광주사함으로써 피주사면상에 화상 정보를 기록하게 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속도는 광주사 장치의 광편향기의 주사 속도(예를 들어, 다각형 미러의 경우 회전 속도)에 비례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고속화는 광편향기의 회전 소음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고속화와 함께 고수명을 위해서는 광편향기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 광주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방지가 필요하다.
종래의 광주사 장치는 광주사 장치의 하우징과 별도로, 광편향기에 광편향기용 커버를 덮음으로써 광편향기의 회전 소음이나 오염을 방지한다. 광편향기는 광빔을 편향 주사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광편향기용 커버에는 광빔이 입출입할 수 있는 창(즉, 창유리)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광편향기용 커버를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 부품수 추가에 따른 생산 공정이 복잡해지며, 또한 광주사 장치의 재료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구성요소 추가없이, 광편향기의 고속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구성요소 추가없이, 광편향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는 광주사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에서 출사하는 광빔을 편향시키기는 광편향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결상광학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제한시키는 유동제한부; 및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 중 광원모듈 쪽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차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차단격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차단격벽들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제1 유동차단격벽과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유동차단격벽과 엇갈리게 위치하는 제2 유동차단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차단격벽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동차단격벽은 상기 커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차단격벽들에서 상기 광원모듈에서 출사되어 상기 광편향기로 향하는 광빔의 경로를 포함하는 영역은 개방되거나 혹은 투명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광편향기에서 주사되는 광빔의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출센서를 구비한 동기검출광학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검출센서는 상기 광원모듈이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쪽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차단부는 상기 동기검출센서와 상기 광편향기 사이의 공간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한 입사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차단부의 일부는 상기 입사광학계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유동차단부와 함께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라 유동하는 먼지에 의한 오염을 억제하는 더스트 트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유동차단부와 별개로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라 유동하는 먼지에 의한 오염을 억제하는 더스트 트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결상광학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광편향기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곡선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직선 가이드판, 곡선 가이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와 함께 먼지를 가두는 더스트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저장부의 입구는 상기 유동 가이드의 일단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광주사 장치.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와 별개로 먼지를 가두는 더스트 저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더스트 저장부는 상기 결상광학계가 설치되는 공간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편향기는 회전하는 다면경을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저장부는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결상광학계 사이를 기준으로 상기 다면경의 회전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격벽과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서 돌출된 격벽이 맞물려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저장부의 내부에는 하나 혹은 복수의 내부격벽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내부격벽들은 상기 더스트 저장부를 둘러싸는 격벽들 중 하나의 격벽에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내부격벽들은 상기 더스트 저장부를 둘러싸는 격벽들 중 대향되는 2개 격벽들에 각각 형성되어 교번하면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저장부의 바닥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높이차가 있으며, 상기 더스트 저장부의 입구에는 상기 높이차를 보상하는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원모듈은 제1 및 제2 광빔을 출사하는 제1 및 제2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모듈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 광빔은 상기 광편향기의 서로 다른 반사면에 입사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향주사되며, 상기 결상광학계는 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향주사되는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제1 및 제2 결상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은 상기 하우징의 동일한 측벽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제1 및 제2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은 상기 하우징의 서로 대향되는 측벽들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 및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여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라 유동하는 먼지에 의한 오염을 억제하는 더스트 트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제1 결상광학계 사이 및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제2 결상광학계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먼지를 가두는 더스트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저장부는 상기 제1 결상광학계가 설치되는 공간의 일측과 상기 제2 결상광학계가 설치되는 공간의 일측 중 적어도 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화상형성장치는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피주사면에 광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 장치; 및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주사 장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에서 출사하는 광빔을 편향시키기는 광편향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결상광학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제한시키는 유동제한부; 및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는 별도의 구성요소 추가없이, 광편향기의 고속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는 별도의 구성요소 추가없이, 광편향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의한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의 고속화 및 장치의 고수명을 함께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주사 장치의 커버의 하부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광주사 장치의 유동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다.
도 4는 도 3에서 유동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동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광주사 장치에서 더스트 트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서 더스트 저장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더스트 저장부의 입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다.
도 9는 도 1의 광주사 장치에서 광편향기의 구동시 먼지의 유동 경로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저장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은 비교예의 광주사 장치에서의 광편향기 구동시의 유동 분포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의 광주사 장치에서의 광편향기 구동시의 유동 분포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 장치(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광주사 장치(100)의 커버(190)의 하부면(191)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을 덮는 커버(19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제1 내지 제4 측벽들(111, 112, 113, 114)과, 제1 내지 제4 측벽들(111, 112, 113, 114)에 둘러싸인 바닥면(1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바닥면(115)에는 광주사 장치(100)의 각종 광학부품들(예를 들어, 입사광학계(130), 광편향기(140), 결상광학계(150), 및 동기검출광학계(160))이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1)에는 광원모듈(120)이 장착된다. 나아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동차단부(170)나 더스트 트랩부(180)가 마련된다.
커버(190)는 하우징(110)의 상부를 덮어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광학부품들을 외부의 오염물로부터 오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10) 및 커버(19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몰드 구조물일 수 있다. 커버(190)의 하부면(19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동차단부(170)나 더스트 트랩부(180)의 일부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10)과 커버(190)는 요철구조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거나, 하우징(110)과 커버(190) 사이에 탄성부래를 위치시킴으로써 밀폐성을 높일 수도 있다.
광원모듈(120)은 광원(미도시)을 고정하는 광원홀더(122)와, 광원홀더(122)가 장착된 회로기판(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으로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채용될 수 있다. 광원은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되는 광빔(도 3의 L)을 출사한다.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1)의 외측에는 광원 장착용 마운트(미도시)가 마련되며, 광원모듈(120)은 상기 제1 측벽(111) 외측의 광원 장착용 마운트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광원모듈(120)이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1)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115)에는 광편향기(140)가 설치된다. 광편향기(14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반사면을 가지는 다면경(141)과, 다면경(14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143)를 포함할 수 있다. 광편향기(140)의 다면경(141)과 구동모터는 회로기판(143)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110)의 바닥면(115)에 설치될 수 있다. 광편향기(140)는 다른 예로 멤스(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방식으로 제작된 진동 미러일 수도 있다. 광원모듈(120)에서 출사된 광빔(L)은 광편향기(140)에 의해 편향되어 주사된다.
광원모듈(120)과 광편향기(140)의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입사광학계(130)가 마련될 수 있다. 입사광학계(130)는 콜리메이터 렌즈(미도시)와 실린드리컬 렌즈(132)를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빔(L)을 평행광 혹은 수렴광으로 만들어 주는 집광 렌즈이다. 콜리메이터 렌즈는 렌즈 홀더(122)의 출사단측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콜리메이터 렌즈는 광원모듈(120)의 출사단에 인접하여, 별도의 렌즈홀더에 의해 하우징(110)의 바닥면(115)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실린드리컬 렌즈(132)는 광빔(L)을 부주사방향(달리 말하면, 광편향기(140)의 회전축 방향)으로 집속시킴으로써, 광편향기(140)의 반사면에 광빔(L)을 거의 선형으로 결상시키는 아나모픽 렌즈(anamorphic lens)이다. 실린드리컬 렌즈(132)는 콜리메이터 렌즈와 광편향기(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모듈(120)과 광편향기(140)의 사이의 광경로 상에는 광빔(L)의 광속 단면(즉, 직경과 형상)을 정형하는 광속제한소자(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광편향기(140)에서 반사되는 광빔의 광경로 상에는 결상광학계(150)가 마련될 수 있다.
결상광학계(150)는 광편향기(140)의 다면경(141)이 회전함에 따라 편향 주사되는 광빔(L)을 피주사면(예를 들어, 후술하는 화상형성장치(도 14의 300)의 감광드럼(도 14의 320)의 외주면)상에 결상시킨다. 결상광학계(150)는 광편향기(140)와 하우징(110)의 제3 측벽(1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결상광학계(150)를 통과한 광빔(L)은 하우징(110)의 제3 측벽(113) 쪽에 마련된 커버글래스(119)를 통해 피주사면으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결상광학계(150)는 제1 및 제2 주사렌즈(151,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주사렌즈(151, 152)의 입사면 및 출사면은 광편향기(140)에 의해 주사되는 광빔(L)의 주사 영역을 커버하기 위하여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주사렌즈(151, 152)는 편향 주사되는 광빔이 피주사면에 등속 주사되도록 보정하는 f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주사렌즈(151)는 부주사 방향의 굴절력을 매우 작게 하거나 실질적으로 영으로 설계하고, 제2 주사렌즈(152)가 부주사 방향의 굴절력을 실질적으로 담당하다고 설계할 수 있다.
결상광학계(150)를 이루는 주사렌즈의 개수는 광학적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상광학계(150)는 1개의 주사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광편향기(140)에서 편향 주사되는 광빔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출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동기검출부(160)는 광편향기(140)의 다면경이 회전함에 따라 편향 주사되는 광빔의 일부를 수광하는 동기검출센서(161)와, 광빔을 동기검출센서(161)에 집속시키는 동기검출렌즈(165)를 포함할 수 있다. 광편향기(140)의 다면경(141)이 일 회전하는 동안, 다면경(141)의 반사면들의 개수만큼 광빔의 주사 라인을 피주사면에 형성할 수 있는바, 동기검출부(160)는 각 주사 라인의 시작단을 검출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서 다면경(14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각 주사 라인의 시작단은 광원모듈(120)에 인접한 쪽이 된다. 따라서, 제1 측벽(111)의 외측에는 센서 장착용 마운트(미도시)가 마련되고, 동기검출센서(161)는 제1 측벽(111)의 센서 장착용 마운트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동기검출센서(161)는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1)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는 광원모듈(120)과 동기검출센서(161)가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2)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면경(141)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거나 혹은 반사 미러를 이용하여 광경로를 변경함으로써, 동기검출센서(161)는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1)에 대향되는 제2 측벽(1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유동차단부(170)가 마련된다. 유동차단부(170)는 광편향기(14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부의 일예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100)의 유동차단부(17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유동차단부(17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유동차단부(170)는 광원모듈(120)과 광편향기(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유동차단부(170)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2개의 제1 유동차단격벽(171)과 커버(190)에 마련되는 제2 유동차단격벽(172)을 포함한다. 2개의 제1 유동차단격벽(171)과 제2 유동차단격벽(172)은 엇갈리면서 병렬로 배치된다. 즉, 2개의 제1 유동차단격벽(171)은 대향되게 이격되어 있으며, 제2 유동차단격벽(172)은 2개의 제1 유동차단격벽(17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동차단격벽(171)과 제2 유동차단격벽(172)은 서로 이격된 상태 혹은 밀착된 상태로 맞물려 요철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171, 172)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꺽인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171, 172)은 광편향기(140)의 다면경(141)의 외주 보다 큰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커버(190)는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몰드 구조물일 수 있는 바, 제1 유동차단격벽(171)은 하우징(110)의 바닥면(115)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제2 유동차단격벽(172)은 커버(190)의 하부면(19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171, 172)가 하우징(110) 및 커버(190)와 일체로 형성된 구조는, 기구 금형구조 측면에서 단순하여 기존의 하우징(110) 및 커버(190)의 구성을 크게 변형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171, 172)은 별도로 제작되어 하우징(110) 및 커버(19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171, 172)은 광원모듈(120)에서 출사되어 광편향기(140)로 향하는 광빔(L)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바,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171, 172)에서 광빔(L)이 통과하는 부위는 개방된다. 가령,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듯이, 제1 유동차단격벽(171)에서 광빔(L)이 통과하는 부위는 제거되어 광통로(173)가 형성되고, 제2 유동차단격벽(172)의 하단은 광빔(L)이 통과하는 지점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유동차단격벽(171)에서 광빔(L)이 통과하는 광토로(173)는 투명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171, 17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음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하우징(11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광원모듈(120)과 동기검출센서(161)는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2)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171, 172)은 동기검출센서(161)와 광편향기(140) 사이의 공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편향기(140)에서 반사되어 동기검출부(160)로 향하는 동기검출용 광빔(L)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171, 172)에서 동기검출용 광빔(L)이 통과하는 부위 역시 개방된다. 또한, 하우징(110)에 마련된 제1 유동차단격벽(171)은 입사광학계(130)의 광학부재(예를 들어, 실린드리컬 렌즈(13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32a)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100)에서 유동차단부(17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광주사 장치(100)의 동작시, 광편향기(140)의 다면경(141)은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한다. 일 예로, 광편향기(140)의 구동모터 및 다면경(141)은 3만rpm 이상의 회전속도를 가지고 구동하는데, 이는 소음의 원인이 된다. 광주사 장치(100)가 채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다면경(141)의 회전속도를 높일 것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고속화에 따라 소음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주로 공기의 진동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커버(190)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나, 광주사 장치(100)의 조립시 공차나 유격 등의 이유로 인한 틈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을 통해 소음이 방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모듈(120)은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1)의 외측에 부착되는데, 광원모듈(120)이 하우징(110)에 장착되는 부위에는 공차나 유격 등의 이유로 인한 틈이 발생될 수 있는바, 광원모듈(120)이 장착된 부위가 소음이 방출되는 통로 중 하나일 수 있다. 유동차단부(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모듈(120)과 광편향기(140) 사이에 위치하여 광편향기(140)의 구동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 중 광원모듈(120) 쪽으로의 유동을 차단함으로써, 광편향기(14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광원모듈(120)이 장착된 부위를 통해 광주사 장치(100)의 외부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동기검출센서(161) 역시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1)의 외측에 부착되므로, 유동차단부(170)가 동기검출센서(161)와 광편향기(140) 사이의 공간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소음이 동기검출센서(161)가 장착된 부위를 통해 광주사 장치(100)의 외부로 퍼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광편향기(14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차단부(170)는 커버(190)의 하부면(191)에 마련되는 제2 유동차단격벽(172)이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 마련된 2개의 제1 유동차단격벽(171) 사이에 위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동차단부(17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바닥면(111)에는 복수의 제1 유동차단격벽(171')이 마련되고, 커버(190)의 하부면(191)에도 복수의 제2 유동차단격벽(172')이 마련되어, 복수의 제1 유동차단격벽(171')과 복수의 제2 유동차단격벽(172')이 엇갈리면서 교번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유동차단부(17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유동차단격벽(171)과 유동차단격벽(172)은 모두 하우징(110)의 바닥면(115)에 마련되거나 혹은 커버(190)의 하부면(191)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유동차단부(17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유동차단격벽(171)과 유동차단격벽(172)이 하나씩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유동차단부(17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유동차단격벽(171)과 유동차단격벽(172) 중 어느 하나만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광편향기(140)의 구동에 따라 유동하는 먼지를 가두는 더스트 트랩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더스트 트랩부(180)은 광편향기(14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부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100)에서 더스트 트랩부(180)를 도시한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더스트 트랩부(180)는 유동 가이드(181)와 더스트 저장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181)는 광편향기(140)와 결상광학계(150) 사이에 위치한다. 유동 가이드(181)는 광편향기(14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방사를 차단하고, 공기의 흐름을 한 방향(즉, 더스트 저장부(182)쪽)으로 가이드한다. 유동 가이드(181)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편향기(140)와 결상광학계(150) 사이를 가로지르는 직선 가이드판(181a)과, 광편향기(140)의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는 곡선 가이드판(181b)의 복합된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곡선 가이드판(181b)은 광편향기(140)의 둘레의 일부만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곡선 가이드판(181b)은 광편향기(140)의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유동 가이드(181)는 직선 가이드판(181a) 혹은 곡선 가이드판(181b)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유동 가이드(181)의 직선 가이드판(181a) 및 곡선 가이드판(181b)은 광편향기(140)에서 편향주사되는 광빔(L)의 진행방향을 가로 막지 않도록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181)는 커버(190)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190)는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 몰드 구조물일 수 있는 바, 유동 가이드(181)는 커버(190)의 하부면(19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181)의 일체형 구조는, 기구 금형구조 측면에서 단순하여 기존의 커버(190)의 구성을 크게 변형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유동 가이드(181)는 별도로 제작되어 커버(190)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유동 가이드(181)가 커버(190)의 하부면(191)에 마련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유동 가이드(181)는 하우징(110)의 바닥면(115)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유동 가이드(181)는 커버(190)와 하우징(110)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다.
더스트 저장부(182)는 광편향기(140)의 구동시 발생되는 먼지를 가두는 공간이다. 더스트 저장부(182)는 광편향기(140)의 다면경(141)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더스트 저장부(182)는 광편향기(140)와 결상광학계(150) 사이를 기준으로 다면경(141)의 회전방향의 하류 쪽에 위치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경(14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광편향기(140)와 결상광학계(150) 사이의 공간에서의 공기의 흐름(도 9의 F 참조)은, 광원모듈(120)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광편향기(140)와 결상광학계(150) 사이를 기준으로 다면경(141)의 회전방향의 하류는 제2 측벽(112) 쪽이다. 따라서, 더스트 저장부(182)의 입구(183)는 유동 가이드(181)와 하우징(110)의 제2 측벽(112) 사이의 코너에 위치하고, 더스트 저장부(182)는 결상광학계(150)와 제2 측벽(112)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면경(141)의 회전방향이 반시계 방향이면, 광편향기(140)와 결상광학계(150)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은, 광원모듈(1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더스트 저장부(182)는 결상광학계(150)와 제1 측벽(111)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더스트 저장부(182)의 입구(183)는 더스트 저장부(182)의 내부 공간에 비하여 그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더스트 저장부(182)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더스트 저장부(182)의 입구(183)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더스트 저장부(182)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격벽(116, 117) 사이의 공간일 수 있으며, 하우징(110)에 마련된 격벽(116, 117)은 커버(190)에 마련된 격벽(193, 194)과 맞물려, 입구(183)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더스트 저장부(182)의 외곽쪽 격벽(116)은 제2 격벽(112)의 일부로 이해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 마련된 격벽(116, 117)과 커버(190)에 마련된 격벽(193, 194)은 각각 하우징(110) 및 커버(19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더스트 저장부(182)의 격벽(116, 117, 193, 194)의 일체형 구조는, 기구 금형구조 측면에서 단순하여 기존의 하우징(110) 및 커버(190)의 구성을 크게 변형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더스트 저장부(182)에 유입된 먼지가 다시 더스트 저장부(182)의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더스트 저장부(182)에는 2개의 내부 격벽(185)이 마련될 수 있다. 2개의 내부 격벽(185)은 하우징(110)에 마련된 한 쪽 격벽(117)에서 더스트 저장부(182)의 내부 공간 중간 부근까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2개의 내부 격벽(185)은 다른 쪽 격벽(116)에서 더스트 저장부(182)의 내부 공간 중간 부근까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2개의 내부 격벽(185)에 의해 내부 구획되는 공간들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2개의 내부 격벽(185)의 끝단과 다른 쪽 격벽(116) 사이는 이격되어 통로(18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더스트 저장부(182)의 바닥면(187)과 광편향기(140)가 설치된 하우징(110)의 바닥면(115)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스트 저장부(182)의 입구(183)에는 기류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바닥이 완만하게 경사진 경사부(188)가 마련될 수 있다. 경사부(188)는 별도로 마련되어 하우징(110)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경사부(188)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더스트 저장부(182)의 바닥면(187)이 입구(183) 근방에서 경사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더스트 저장부(182)의 바닥면(187)의 경사 구조 자체가 경사부(188)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더스트 저장부(182)의 바닥면(187)은 하우징(110)의 바닥면(115)과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100)에서 더스트 트랩부(180)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광편향기(140)의 구동에 따른 먼지의 유동 경로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광편향기(140)의 다면경(141)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며 하우징(110) 내부의 먼지가 비산하게 된다. 비산되는 먼지가 유동 가이드(181)에 의해 가이드되어, 코너쪽에 위치한 더스트 저장부(182)의 입구(183)쪽으로 향하게 되며, 더스트 저장부(182)에 모여들게 된다. 더스트 저장부(182)의 입구(183)는 더스트 저장부(182)의 내부 공간에 비하여 그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먼지는 더스트 저장부(182) 내에 모이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의 오염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더스트 저장부(182)에 마련된 내부 격벽(185)은 더스트 저장부(182)에 유입된 먼지가 다시 더스트 저장부(182)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제한하여, 더스트 저장부(182)가 먼지를 붙잡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커버(190)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나, 광주사 장치(100)의 조립시 공차나 유격 등의 이유로 인한 틈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을 통해 광주사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이물질, 즉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있는 먼지는 외부에서 유입된 먼지뿐만 아니라, 광주사 장치(100)의 조립시 잔존한 먼지 혹은 광주사 장치(100) 내에서 기계적 마모등으로 발생되는 먼지나 오염물질일 수 있다. 광주사 장치(100)가 고속화 및 고수명을 가지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먼지들에 광주사 장치(100) 내부의 광학부품들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더스트 트랩부(180)는 하우징(100) 내부의 먼지를 더스트 저장부(182)에 가두어 둠으로써, 광주사 장치(100) 내부의 광학부품들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광주사 장치(100)의 고속화 및 고수명화를 달성토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개의 내부 격벽(185)이 한쪽 격벽(117)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저장부(182')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쪽 격벽(117)에 마련된 제1 내부 격벽(185a)과 다른 쪽 격벽(116)에 마련된 제2 내부 격벽(185b)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격벽(185a, 185b)이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내부 격벽(185a, 185b)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185a, 186b)는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더스트 저장부(182')에 유입된 먼지가 더스트 저장부(182')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스트 저장부(182')에 유입된 먼지를 붙잡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내부 격벽(185)은 생략되거나, 하나만 마련되거나, 혹은 3개 이상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비교예의 광주사 장치에서 광편향기의 구동시의 유동 분포를 컴퓨터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하며, 도 12는 본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100)에서 광편향기(140)의 구동시의 유동 분포를 컴퓨터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광주사 장치는 광편향기(140)가 구동됨에 따라, 기류가 하우징(110)의 내부 전체에 퍼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가 하우징(110)의 내부 전체에 퍼지게 되면, 광편향기(140)에서 발생된 소음이 외부로 방출될 가능성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하우징(110)의 내부에 비산되는 먼지에 의해 광학부품들(예를 들어, 입사광학계의 렌즈들, 결상광학계의 렌즈들, 동기검출광학계의 렌즈, 센서등)이 오염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100)에서 하우징(110)의 내부의 광편향기(140)의 근방에서의 기류는 광원모듈(120) 쪽의 유동차단부(170)와, 유동 가이드(181)에 의해 제한되고 있으며, 일부 기류가 더스트 저장부(182) 쪽으로 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편향기(140)의 구동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제한됨에 따라,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비산되는 먼지가 더스트 저장부(182)에 붙잡힘에 따라, 광주사 장치(100)의 내부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200)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을 덮는 커버(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제1 내지 제4 측벽들(211, 212, 213, 214)과, 제1 내지 제4 측벽들(211, 212, 213, 214)에 둘러싸인 바닥면(2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바닥면(215)에는 광주사 장치(200)의 각종 광학부품들(예를 들어, 입사광학계(230), 광편향기(240), 결상광학계(250), 및 동기검출광학계(260))이 설치된다. 하우징(210)의 제1 측벽(211)에는 광원모듈(220)이 장착된다. 또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유동차단부(270)나 더스트 트랩부(280)와 같은 유동제한부가 마련된다.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은 커버에 의해 밀폐된다.
광원모듈(220)은 제1 및 제2 광원(221a, 221b)과, 제1 및 제2 광원(221a, 221b)을 고정하는 광원홀더(222)와, 제1 및 제2 광원(221a, 221b)을 구동하는 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원(221a, 221b)으로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채용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215)에는 광편향기(240)가 설치된다. 광편향기(240)는 회전하는 다면경(241)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광편향기(240)는 MEMS 방식으로 제작된 양면 미러일 수도 있다. 광원모듈(120)의 제1 및 제2 광원(221a, 221b)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 광빔(L1, L2)은 광편향기(140)의 서로 다른 반사면에 입사되며, 광편향기(140)가 구동함에 따라 광편향기(140)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주사된다.
광원모듈(220)과 광편향기(240)의 사이의 제1 및 제2 광빔(L1, L2) 각각의 광경로 상에는 입사광학계(230)가 마련될 수 있다. 입사광학계(130)는 광속제한소자(미도시), 콜리메이터 렌즈(231), 및 실린드리컬 렌즈(232)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이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편향기(240)에서 반사되는 제1 및 제2 광빔(L1, L2) 각각의 광경로 상에는 결상광학계(2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빔(L1, L2)은 광편향기(140)가 구동함에 따라 광편향기(140)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주사되므로, 결상광학계(250)는 제1 광빔(L1)에 주사되는 쪽에 위치하는 제1 결상광학계(250a)와, 제2 광빔(L2)이 주사되는 쪽에 마련된 제2 결상광학계(250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결상광학계(250a, 250b) 각각은 제1 주사렌즈(251a, 252a)와 제2 주사렌즈(251b, 2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상광학계(250a, 250b)를 이루는 주사렌즈의 개수는 광학적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결상광학계(250a, 250b) 각각은 1개의 주사렌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3은 제1 및 제2 광빔(L1, L2)이 각각 하우징(210)의 제3 및 제4 측벽(213, 214) 쪽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결상광학계(250) 내에 반사미러(미도시)를 개재시킴으로써, 하우징(210)의 바닥면(215)에 수직한 방향으로 광경로가 변경되어 하우징(210)의 외부로 출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사미러의 위치에 따라, 결상광학계(250)의 렌즈들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광편향기(240)에서 편향 주사되는 제1 및 제2 광빔(L1, L2)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출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동기검출부(260)는 제1 광빔(L1)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제1 동기검출부(260a)와 제2 광빔(L2)의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제2 동기검출부(2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동기검출부(260a, 260b) 각각은 제1 및 제2 동기검출센서(261a, 261b)와 제1 및 제2 동기검출렌즈(265a, 266b)를 포함할 수 있다. 광편향기(240)의 다면경(24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및 제2 광빔(L1, L2)의 주사 라인의 시작단은 광편향기(240)를 기준으로 대각방향에 위치하므로, 제1 동기검출부(260a)와 제2 동기검출부(260b)는 광편향기(240)를 기준으로 대각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편향기(240)에 의해 주사되는 제1 광빔(L1)의 일 주사 라인의 시작단은 광원모듈(220)에서 먼 쪽, 즉 제2 측벽(212) 쪽에 위치하므로, 제1 동기검출센서(261a)는 제2 측벽(212) 쪽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광편향기(240)에 의해 주사되는 제2 광빔(L2)의 일 주사 라인의 시작단은 광원모듈(220)에서 가까운 쪽, 즉 제1 측벽(211) 쪽에 위치하므로, 제2 동기검출센서(261b)는 제1 측벽(212)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및 제2 동기검출부(260a, 260b) 내에 반사미러(미도시)를 개재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동기검출부(260a, 260b)의 위치는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동기검출부(260a) 내에 반사미러를 개재시켜 제1 광빔(L1)의 광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제1 동기검출센서(261a) 역시 제1 측벽(211)쪽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는 유동차단부(270)가 마련된다. 유동차단부(270)는 광편향기(24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부의 일예이다. 유동차단부(270)는 광원모듈(220)과 광편향기(2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유동차단부(270)는 하우징(210)에 마련된 2개의 제1 유동차단격벽(271)과 커버(미도시)에 마련되는 제2 유동차단격벽(272)을 포함한다. 2개의 제1 유동차단격벽(271)은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2 유동차단격벽(272)은 2개의 제1 유동차단격벽(271)의 사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제1 유동차단격벽(271)과 복수의 제2 유동차단격벽(272)이 교번하여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271, 272)은 광원모듈(220)에서 출사되어 광편향기(240)로 향하는 제1 및 제2 광빔(L1, L2)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바,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271, 272)에서 제1 및 제2 광빔(L1, L2)이 통과하는 부위는 개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동기검출센서(261b)가 제1 측벽(212) 쪽에 위치하므로, 유동차단부(270)는 광편향기(240)와 제2 동기검출센서(261b) 사이의 공간까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유동차단격벽(271, 27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음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하우징(21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광편향기(240)의 구동에 따라 유동하는 먼지를 가두는 더스트 트랩부(2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더스트 트랩부(280)은 광편향기(24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유동을 제한하는 유동제한부의 다른 예이다.
더스트 트랩부(280)는 유동 가이드(281)와 더스트 저장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281)는 광편향기(240)와 제2 결상광학계(25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유동 가이드(281)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편향기(240)와 결상광학계(250) 사이를 가로지르는 직선 가이드판과, 광편향기(140)의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는 곡선 가이드판의 복합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유동 가이드(281)는 직선 가이드판 혹은 곡선 가이드판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유동 가이드(281)는 광편향기(240)에서 편향주사되는 제2 광빔(L2)의 진행방향을 가로 막지 않도록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281)는 커버의 하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유동 가이드(281)는 하우징(210)의 바닥면(215)에 마련되거나, 커버와 하우징(210)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다.
더스트 저장부(282)는 광편향기(240)와 결상광학계(250) 사이를 광편향기(240)의 다면경(241)의 회전방향의 하류 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편향기(240)의 다면경(24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광편향기(240)와 제2 결상광학계(250b) 사이의 공간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광원모듈(220)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즉, 광편향기(240)와 제2 결상광학계(250b) 사이를 기준으로 다면경(241)의 회전방향의 하류는 제2 측벽(212) 쪽이다. 따라서, 더스트 저장부(282)의 입구(283)는 유동 가이드(281)와 하우징(210)의 제2 측벽(212) 사이에 위치하고, 더스트 저장부(282)는 제2 결상광학계(250a)와 제2 측벽(212)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더스트 저장부(282)의 입구(283)는 더스트 저장부(282)의 내부 공간에 비하여 그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더스트 저장부(282)에 유입된 먼지가 다시 더스트 저장부(282)의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더스트 저장부(282)에는 하나 혹은 복수의 내부 격벽(285)이 마련될 수 있다. 더스트 저장부(282)의 바닥면과 하우징(210)의 바닥면(215)에 높이차가 있는 경우, 더스트 저장부(282)의 입구(283)에는 기류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경사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유동 가이드(281)가 광편향기(240)와 제2 결상광학계(250b)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동 가이드(281)는 광편향기(240)와 제1 결상광학계(250a) 사이나, 광편향기(240)와 제2 측벽(211) 사이에도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는, 더스트 저장부(282)가 제2 결상광학계(250b)와 제2 측벽(212) 사이의 공간에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스트 저장부(282)는 제1 결상광학계(250a)와 제1 측벽(211)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다면경(241)의 회전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더스트 저장부(282)는 제2 결상광학계(250b)와 제1 측벽(211) 사이의 공간이나 제1 결상광학계(250a)와 제2 측벽(212)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광원(221a, 221b)이 하우징(210)의 제1 측벽(211)에 함께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및 제2 광원(221a, 221b)은 하우징(210)의 제1 및 제2 측벽(211,212)에 각각 대향되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유동차단부(270)는 광편향기(240)의 양측(즉, 제1 측벽(211)쪽과 제2 측벽(212)쪽)에 모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광원모듈(220)이 2개의 광원, 즉 제1 및 제2 광원(221a, 221b)을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광원모듈(220)은 4개의 광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4개의 광원에서 방출된 광빔은 광편향기(240)에 2개씩 서로 다른 반사면에 입사될 수 있도록, 4개의 광원은 하우징(210)의 제1 측벽(211) 상에 2행 2열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입사광학계(230)와, 결상광학계(250)의 광학부품들은 4개의 광원에 대응되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광원모듈(220)이 4개의 광원을 구비한 경우에도, 광주사 장치(200)를 상부에서 보았을 때, 광학부품들의 배치구조는 크게 변경되지 아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동차단부(170, 270)와 더스트 트랩부(180, 280)와 같은 유동제한부는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광주사 장치(도 1의 100, 도 13의 200)는 더스트 트랩부(180, 280)로서 유동 가이드(181, 281)와 더스트 저장부(182, 282)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더스트 트랩부(180, 280)는 유동 가이드(181, 281)와 더스트 저장부(182, 28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가령, 더스트 트랩부(180, 280)가 유동 가이드(181, 281)만을 구비한 경우라면, 비산되는 먼지가 광학부품쪽에 쌓이지 않도록 기체를 흐름을 가이드함으로써, 비산되는 먼지에 의한 오염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더스트 트랩부(180, 280)가 더스트 저장부(182, 282)만을 구비한 경우라면, 유동하는 먼지 중 일부는 유동 가이드(181, 281)이 없더라도 더스트 저장부(182, 282)쪽으로 향하게 되며, 더스트 저장부(182, 282)에 유입된 먼지는 더스트 저장부(182, 282)에 갖히게 되므로, 비산되는 먼지를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광주사 장치(100, 200)는 유동제한부로서, 유동차단부(170, 270)와 더스트 트랩부(180, 280)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서, 광주사 장치(100, 200)는 유동차단부(170, 270)와 더스트 트랩부(180, 280) 중 어느 한 구조만을 채용할 수도 있다. 가령, 광주사 장치(100, 200)가 유동차단부(170, 270)만을 채용한 경우라면, 광편향기(140, 24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광주사 장치(100, 20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광주사 장치(100, 200)가 더스트 트랩부(180, 280)만을 채용한 경우라면, 광편향기(140, 24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에 따른 먼지의 비산과 이에 따른 광학부품들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300)는 광주사 장치(310), 감광드럼(320), 현상 장치(340)를 포함한다.
감광드럼(320)은 상담지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담지체로서 벨트 형태의 감광 벨트가 채용될 수도 있다. 감광드럼(320)의 외주면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피주사면이 된다.
감광드럼(320)의 외주면에서 광주사 장치(310)에 의해 노광되는 위치의 상류측에는 대전 롤러(330)가 마련된다. 대전 롤러(330)는 감광드럼(320)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 롤러(330)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 롤러(330)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광주사 장치(300)는 제어부(305)에 의해 제어되며,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드럼(320)의 피주사면에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L)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광주사 장치(300)는 전술한 실시예의 광주사 장치(도 1의 100)일 수 있다.
현상유닛(340)은 현상롤러(342)와 토너수용부(344)를 포함한다. 토너수용부(344)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롤러(342)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320)과 현상롤러(342)가 대면된 현상닙으로 이동되며, 현상롤러(342)에 인가된 현상 바이어스에 의하여 감광드럼(32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부착된다. 즉, 현상 장치(340)는 토너를 감광드럼(310)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시킨다. 공급되는 토너의 색상에 따라 인쇄매체에 전사될 토너화상의 색상이 결정된다.
감광드럼(320)과 대면되게 위치한 전사롤러(350)에는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급지롤러(360)는 전사롤러(350)와 감광드럼(320)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기록매체인 용지(P)를 이송한다. 전사롤러(350)에 인가된 전사바이어스의 정전 인력에 의하여 감광드럼(320)에 부착된 토너화상이 기록매체인 용지(P)로 전사된다. 용지(P)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롤러(370) 및 가압롤러(38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P)에 정착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용지는 배출롤러(390)에 의하여 배출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칼라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광주사 장치(310), 감광드럼(320) 및 현상 장치(340)는 각 칼라별로 마련될 수 있다. 각 칼라별로 마련된 광주사 장치(310)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광주사 장치(100)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주사 장치(200)는 제1 및 제2 광빔(L1, L2)을 주사하는 바, 하나의 광주사 장치(200)는 2개의 감광드럼 및 2개의 현상장치에 공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광주사 장치는 4개의 광빔을 주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광주사 장치는 4개의 감광드럼 및 4개의 현상장치에 공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인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 광주사 장치 110, 210 : 하우징
111, 112, 113, 114 ,211, 212, 213, 214 : 측벽
115, 215 : 바닥면 120, 220 : 광원모듈
130, 230 : 입사광학계 140, 240 : 광편향기
141 : 다면경 150, 250 : 결상광학계
160, 260 : 동기검출광학계 170, 170', 270 : 유동차단부
171,172, 171', 172', 271, 272 : 유동차단격벽
173 : 광통로 180, 180', 280 : 더스트 트랩부
181, 281 : 유동 가이드 182, 282 : 더스트 저장부
183, 283 : 입구 185, 185a, 185b : 내부격벽
186, 186a, 186b : 통로 188 : 경사부재
190 : 커버 300 : 화상형성장치
305 : 제어부 320 : 감광드럼
330 : 대전롤러 340 : 현상유닛
350 : 전사롤러 360 : 급지롤러
370 : 정착롤러 380 : 가압롤러
390 : 배출롤러 L, L1, L2 : 광빔
P : 용지

Claims (35)

  1.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광빔을 출사하는 광원모듈;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에서 출사하는 광빔을 편향시키기는 광편향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광편향기에서 편향된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결상광학계;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제한시키는 유동제한부; 및
    상기 하우징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 중 광원모듈 쪽으로의 유동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차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차단격벽들을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차단격벽들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제1 유동차단격벽과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유동차단격벽과 엇갈리게 위치하는 제2 유동차단격벽을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차단격벽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동차단격벽은 상기 커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광주사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동차단격벽들에서 상기 광원모듈에서 출사되어 상기 광편향기로 향하는 광빔의 경로를 포함하는 영역은 개방되거나 혹은 투명부재로 대체된 광주사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편향기에서 주사되는 광빔의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출센서를 구비한 동기검출광학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기검출센서는 상기 광원모듈이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일측쪽에 설치되며, 상기 유동차단부는 상기 동기검출센서와 상기 광편향기 사이의 공간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광주사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한 입사광학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차단부의 일부는 상기 입사광학계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광주사 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라 유동하는 먼지에 의한 오염을 억제하는 더스트 트랩부를 더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먼지를 가두는 더스트 저장부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라 유동하는 먼지에 의한 오염을 억제하는 더스트 트랩부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결상광학계 사이에 위치하는 광학 주사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광편향기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곡선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광학 주사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직선 가이드판, 곡선 가이드판, 또는 이들의 조합인 광주사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광주사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는 광주사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먼지를 가두는 더스트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저장부의 입구는 상기 유동 가이드의 일단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광주사 장치.
  21.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먼지를 가두는 더스트 저장부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저장부는 상기 결상광학계가 설치되는 공간의 일측에 마련되는 광주사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편향기는 회전하는 다면경을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저장부는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결상광학계 사이를 기준으로 상기 다면경의 회전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광주사 장치.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격벽과 상기 커버의 하부면에서 돌출된 격벽이 맞물려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이 밀폐된 광주사 장치.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저장부의 내부에는 하나 혹은 복수의 내부격벽들이 마련된 광주사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격벽들은 상기 더스트 저장부를 둘러싸는 격벽들 중 하나의 격벽에 병렬로 배열되는 내부 광주사 장치.
  27.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격벽들은 상기 더스트 저장부를 둘러싸는 격벽들 중 대향되는 2개 격벽들에 각각 형성되어 교번하면서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광주사 장치.
  28.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저장부의 바닥면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높이차가 있으며, 상기 더스트 저장부의 입구에는 상기 높이차를 보상하는 경사부가 마련된 광주사 장치.
  2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제1 및 제2 광빔을 출사하는 제1 및 제2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모듈에서 출사된 제1 및 제2 광빔은 상기 광편향기의 서로 다른 반사면에 입사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향주사되며,
    상기 결상광학계는 상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향주사되는 광빔을 피주사면에 결상시키는 제1 및 제2 결상광학계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은 상기 하우징의 동일한 측벽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제1 및 제2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31.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은 상기 하우징의 서로 대향되는 측벽들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 및 상기 제2 광원과 상기 광편향기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여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유동차단부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32.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한부는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라 유동하는 먼지에 의한 오염을 억제하는 더스트 트랩부를 포함하는 광주사 장치.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상기 광편향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제1 결상광학계 사이 및 상기 광편향기와 상기 제2 결상광학계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는 광학 주사 장치.
  34.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트랩부는 먼지를 가두는 더스트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더스트 저장부는 상기 제1 결상광학계가 설치되는 공간의 일측과 상기 제2 결상광학계가 설치되는 공간의 일측 중 적어도 한 곳에 마련되는 광주사 장치.
  35.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피주사면에 광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 항 내지 제3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주사 장치; 및
    상기 상담지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
KR1020140117826A 2014-09-04 2014-09-04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 KR20160028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26A KR20160028804A (ko) 2014-09-04 2014-09-04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
US14/845,928 US9599922B2 (en) 2014-09-04 2015-09-04 Light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15183836.4A EP2993511B1 (en) 2014-09-04 2015-09-04 Light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201510564827.XA CN105404112B (zh) 2014-09-04 2015-09-07 光扫描装置以及采用该光扫描装置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826A KR20160028804A (ko) 2014-09-04 2014-09-04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804A true KR20160028804A (ko) 2016-03-14

Family

ID=5410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26A KR20160028804A (ko) 2014-09-04 2014-09-04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99922B2 (ko)
EP (1) EP2993511B1 (ko)
KR (1) KR20160028804A (ko)
CN (1) CN1054041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804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
JP2019132867A (ja) * 2016-05-27 2019-08-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274858B2 (en) * 2016-10-21 2019-04-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7175681B2 (ja) * 2018-09-03 202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2771437B (zh) * 2018-09-28 2023-11-17 奇跃公司 带有准直扫描镜的投影系统
JP7151443B2 (ja) * 2018-12-10 2022-10-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及び該光走査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516978B2 (ja) * 2020-08-24 2024-07-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495A (ja) 1991-09-17 1993-03-26 Hitachi Ltd レーザービームプリンタ
JPH0830062A (ja) * 1994-05-11 1996-02-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565074B1 (ko) * 2004-07-20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장치용 광차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주사장치
JP4769526B2 (ja) * 2005-09-13 2011-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ビーム走査装置
JP5332669B2 (ja) * 2008-09-03 2013-11-06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47371B2 (ja) * 2008-11-19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走査光学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101593997B1 (ko) * 2009-09-28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 장치
JP5049359B2 (ja) * 2010-01-28 2012-10-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走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60028804A (ko)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04112B (zh) 2020-03-24
EP2993511A1 (en) 2016-03-09
US9599922B2 (en) 2017-03-21
CN105404112A (zh) 2016-03-16
US20160070196A1 (en) 2016-03-10
EP2993511B1 (en)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8804A (ko) 광주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
JP5013652B2 (ja) 走査式光学装置
US7538924B2 (en)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light shielding device disposed between light beams that fall on the deflecting unit and light beams that are deflected from the deflecting unit
JP6211019B2 (ja) レンズミラーアレイ、光学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8289600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light screening material, method for screening flare light,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US10473922B2 (en) Casing of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optical scanning apparatus
CN108427191B (zh) 光学扫描设备和成像设备
JP6324912B2 (ja) レンズミラーアレイ、光学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877803B2 (ja) 結像素子ア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07189B1 (ko) 광 편향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초래되는 화상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장치
CN107976885B (zh) 成像设备
US9130335B2 (en) Light beam emission apparatus, optical scanning apparatus including the light beam emiss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optical scanning apparatus
JP5089792B2 (ja) 走査式光学装置
JP5061178B2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08990B2 (ja) 光走査装置及び該光走査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07869B2 (ja) 光書き込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1385457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having rotating polygon mirr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40302767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ed with it
JP6036110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962896B2 (en) Light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558431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JP2006071668A (ja) 偏向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光学走査装置
JP2009210715A (ja) 光源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6099465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197647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