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128A -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128A
KR20160028128A KR1020140116740A KR20140116740A KR20160028128A KR 20160028128 A KR20160028128 A KR 20160028128A KR 1020140116740 A KR1020140116740 A KR 1020140116740A KR 20140116740 A KR20140116740 A KR 20140116740A KR 20160028128 A KR20160028128 A KR 20160028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signal
received
processing unit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8128A/ko
Priority to US14/823,440 priority patent/US20160065879A1/en
Priority to EP15182189.9A priority patent/EP2993815A3/en
Publication of KR2016002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9Monitoring of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bandwidth variations of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synchronous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 H04H60/43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space, i.e. broadcast channels, broadcast stations or broadcast areas for identifying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신호 중에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송신호수신장치는, 서로 상이한 속성을 가지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채널의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채널선국부와;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 및 제2신호처리부와; 상기 수신되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로 각각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방송신호 중에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이 아날로그 방송신호인지 디지털 방송신호인지 파악하여 디지털 방송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신호 모두를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방송신호와 더불어 아날로그방송신호가 포함될 수 있는 방송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신호수신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영상처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로 처리된 방송신호를 전송한다. 방송신호가 디지털방송신호로 제공되면서 고속 디지털 튜너는 상대적으로 일정한 입력 신호의 크기를 갖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으로 개발되어, 고속 디지털 튜너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처리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대부분은 디지털 방송신호이지만, 방송신호 중에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방송신호수신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본 발명과 관련된 방송신호수신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송신호 중에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방송신호수신장치는, 서로 상이한 속성을 가지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채널의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채널선국부와;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 및 제2신호처리부와; 상기 수신되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로 각각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신호 중에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디지털 방송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신호 모두를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신호의 속성은, 상기 방송신호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를, 예컨대,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경우, 방송신호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간이한 수단으로 방송신호의 속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소정구간 내의 레벨변화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신호의 소정구간 내의 레벨 변화를 판단하는 수단만으로, 소정구간에서 일정한 레벨을 갖는 디지털 방송신호와, 소정구간에서 일정하지 않은 레벨을 갖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균일도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방송신호의 분포를 파악하여 그 분포가 균일한지 아닌 지를 판단함으로써, 분포의 균일도가 조밀한 디지털 방송신호와, 분포의 균일도가 조밀하지 않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를 복조하는 제1복조부 및 상기 수신되는 제2방송신호를 복조하는 제2복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방송신호와 디지털 방송신호를 각각 복조할 수 있도록 각각 복조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복조부에 의해 처리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은 상기 제1신호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복조부에 의해 처리된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또는 소스 입력 포맷(source input format)의 방송신호는 상기 제1신호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각 방송신호의 속성에 따라 복조된 방송신호를 각 신호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은, 서로 상이한 속성을 가지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채널의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로 각각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신호의 속성은, 상기 방송신호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소정구간 내의 레벨변화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균일도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ADC(analog-digital converter)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방송신호가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은 상기 제1신호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방송신호가 복조된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또는 소스 입력 포맷(source input format)의 방송신호는 상기 제1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신호 중에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제1신호처리부 및 제2신호처리부로 각각 전달되도록 하여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6은 도 5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와 제2방송신호를 판단하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7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와 제2방송신호를 판단하는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1)는 셋탑박스, 디스플레이장치(10), 사용자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1)는 채널선국부(110), 스위칭부(120), 제1신호처리부(130), 제2신호처리부(14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선국부(110)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선택, 분류하는 튜닝을 할 수 있다. 선국된 채널은 IF(Intermediate Frequency)로 출력될 수 있다. 채널선국부(110)는 서로 상이한 속성을 가지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스위칭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1신호처리부(130) 및 제2신호처리부(140)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칭부(120)는 제1방송신호는 제1신호처리부(130)로, 제2방송신호는 제2신호처리부(14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을 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130) 및 제2신호처리부(14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소정 신호를 각 특성별 신호로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코딩된 소스영상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여 소스 영상을 디코딩하는 디코더 및 디코딩된 소스영상을 프레임단위로 저장하는 프레임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130) 및 제2신호처리부(14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되어 방송신호수신장치(1)에 내장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130) 및 제2신호처리부(140)는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및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소스영상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제1신호처리부(130) 및 제2신호처리부(140)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에 처리된 소스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130)는 스위칭부(120)에 의해 전달된 제1방송신호를 상기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제2신호처리부(140)는 스위칭부(120)에 의해 전달된 제2방송신호를 상기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방송신호수신장치(1) 내의 디바이스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제1신호처리부(130) 및 제2신호처리부(140)로 각각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1)는 도 1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ADC(analog-digital converter), 제1복조부(160) 및 제2복조부(170), LNA(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C(150)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블록으로 '신호변환부'일 수 있다. 아날로그신호는 디지털신호와는 달리 그 속성에서 진폭이 일정하지 않으며,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ADC(150, 신호변환부)는 이를 연산하기 쉽도록 디지털신호와 유사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제1복조부(160)는 제1방송신호인 디지털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할 수 있다. 선국된 채널의 IF신호를 변환하여 복조한 TS(Transport Stream)을 제1신호처리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2복조부(170)는 제2방송신호인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한 선국된 채널의 IF신호를 변환하여 복조한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또는 소스 입력 포맷(source input format)의 방송신호를 제2신호처리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LNA(증폭부, 20)는 수신될 수 있는 방송신호(RF)를 입력받아 증폭시킬 수 있다. LNA(증폭부, 20)는 증폭된 방송신호를 ADC(150, 신호변환부)로 전송할 수 있다. LNA(증폭부, 20)는 방송신호수신장치(1)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방송신호의 속성은 방송신호의 크기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방송신호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방송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송신호(디지털 방송신호)와, 제2방송신호(아날로그 방송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 각각은, 그 속성, 예컨대, 크기(진폭, 레벨), 주기 등을 서로 달리 할 수 있다.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는, 그 속성이 정형적인지 여부로 구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방송신호의 크기 등은 정형적인 반면, 제2방송신호의 크기 등은 정형적이지 않을 수 있다.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 각각은,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하면 X축은 주파수의 크기를 나타내며, Y축은 주파수의 크기에 대한 주파수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다.
제어부(100)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의 속성이 정형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컨대, 수신된 방송신호의 소정구간 내의 레벨변화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송신호는 디지털신호로서 그 형태가 일정하여 정형적인 반면, 제2방송신호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정형적이지 않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방송신호는, X축의 E지점, C지점 및 D지점에 이르는 구간에서, 그 크기(진폭, 레벨)가 A로 일정하여 레벨변화가 소정값 이하가 된다. 반면, 아날로그 방송신호는, 동일한 X축의 해당 구간에서, 그 크기(진폭, 레벨)가 0, A 및 B로 다양하게 변화하므로, 레벨변화가 소정값 이상이 된다. 이를 테면, 수신된 방송신호의 레벨변화에 대한 소정값이 3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도 5에 도시된 바같이, 제2방송신호는 그 레벨변화인 (A-B) 값이 5로 소정값 이상이므로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의 속성이 정형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컨대, 수신된 방송신호의 균일도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신된 방송신호의 분포를 파악하여 그 분포가 균일한지 아닌 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00)는 균일도가 소정값 이상이면 디지털 방송신호로 판단하며, 균일도가 소정값 이하이면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디지털 방송신호(제1방송신호)는, 그 폭(듀티; a1~a5)의 (최대값(MAX.)-최소값(MIN.))의 값이 변화없이 일정하여 소정값 이하가 된다. 반면, 아날로그 방송신호(제2방송신호)는, 그 폭(듀티; D1~D5)의 (MAX. - MIN.)의 값이 다양하게 변화하여 소정값 이상이 된다. 이를 테면, 수신된 방송신호의 균일도에 대한 소정값이 3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제2방송신호의 (MAX. - MIN.)의 값이 7로 소정값 이상이므로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방송신호의 균일도 판단에 있어서, 방송신호의 폭(듀티)이 이용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예컨대, 주기와 같이 방송신호의 다른 속성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서로 상이한 속성을 가지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S11).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에 기초하여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제1신호처리부(130) 및 제2신호처리부(140)로 각각 전달한다(S12).
제1신호처리부(130)로 제1방송신호를, 제2신호처리부(140)로 제2방송신호를 각각 처리한다(S1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1)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21).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S22).
수신된 방송신호의 소정구간 내의 레벨변화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3).
S23단계에서 레벨변화가 소정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수신된 방송신호의 균일도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4).
S24단계에서 균일도가 소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1방송신호를 제1복조부(16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한다(S25).
제1복조부(160)에 의해 복조된 방송신호를 제1신호처리부(130)로 전달한다(S26).
제1방송신호를 제1신호처리부(13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한다(S27).
제1신호처리부(130)에 의해 처리된 제1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로 전송한다(S28).
S23단계에서 레벨변화가 소정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또한 S24단계에서 균일도가 소정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수신된 방송신호가 아날로그 방송신호라고 판단하여 제2방송신호를 제2복조부(17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한다(S29).
제2복조부(170)에 의해 복조된 방송신호를 제2신호처리부(140)로 전달한다(S30).
제2방송신호를 제2신호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한다(S31).
제2신호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제2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로 전송한다(S31).
도6은 도 5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와 제2방송신호를 판단하는 제어흐름도이다.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와 제2방송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한다(S31).
방송신호의 크기(세로)가 동일한 X축의 C지점(E지점에서 1.25Mhz 우축지점)에서 Y축의 A값(방송신호의 주파수 성분의 크기)을 확인한다(S32).
제1방송신호의 소정구간의 X축의 D지점에서 Y축의 B값을 확인한다(S33).
S32단계와S33단계에서 확인된 Y축의 값 A(10), B(5)의 차이인 (A-B)값이 소정값인 3이상이므로,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하여 제어부(100)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된 제2방송신호가 제2복조부(17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한다.
S32단계와S33단계에서 확인된 Y축의 값 A(10), B(10)의 차이인 (A-B)값이 소정값인 3이상이 아니므로, 디지털 방송신호로 판단하여 제어부(100)는 디지털 방송신호로 판단된 제1방송신호가 제1복조부(16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한다(S34).
그리하여, 제1방송신호와 제2방송신호가 각각 복조되고, 영상처리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1)에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의 속성이 정형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디지털 방송신호와 아날로그 방송신호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한 그래프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폭의 크기(진폭, 레벨)와 폭(듀티, 가로)를 달리 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신호는, 그 폭(듀티)이 a1~a5(1)의 (MAX. - MIN.)의 값이 변화 없이 일정하여 크기변화가 소정값 이하가 된다. 반면, 아날로그 방송신호는, 그 폭(듀티)이 D1~D5(10, 3, 4, 5, 4)의 (MAX. - MIN.)의 값이 다양하게 변화하므로, 크기변화가 소정값 이상이 된다. 이를 테면, 수신된 방송신호의 균일도에 대한 소정값이 3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제2방송신호의 (MAX. - MIN.)의 값이 7로 소정값 이상이므로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와 제2방송신호를 판단하는 제어흐름도이다.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와 제2방송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한다(S41).
고속 푸리에 변환의 그래프에서 방송신호의 폭(듀티) 중 가장 큰 폭(듀티)을 확인한다(S42).
고속 푸리에 변환의 그래프에서 방송신호의 폭(듀티) 중 가장 작은 폭(듀티)을 확인한다(S43).
S42단계와S43단계에서 확인된 MAX.값(10)과 MIN.값(3)의 차이가 소정값인 3이상이므로,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하여 제어부(100)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된 제2방송신호가 제2복조부(17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한다(S44).
S42단계와S43단계에서 확인된 MAX.값(1)과 MIN.값(1)의 차이가 소정값인 3이상이므로,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하여 제어부(100)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로 판단된 제1방송신호가 제1복조부(17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한다(S44).
그리하여, 제1방송신호와 제2방송신호가 각각 복조되고, 영상처리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표시된다.
상기한 방송신호수신장치(1)로 인하여, 방송신호 중에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이 아날로그 방송신호인지 디지털 방송신호인지 파악한다. 디지털 방송신호인 제1방송신호는 제1복조부(160) 및 제1신호처리부(130)로 전달되도록 하고, 아날로그 방송신호인 제2방송신호는 제2복조부(170) 및 제2신호처리부(140)로 전달되도록 하여 디지털 방송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신호 모두를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 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 방송신호수신장치 10 : 디스플레이장치
20 : LNA(진폭부) 100 : 제어부
110 : 채널선국부 120 : 스위칭부
130 : 제1신호처리부 140 : 제2신호처리부
150 : ADC(신호변환부) 160 : 제1복조부
170 : 제2복조부

Claims (14)

  1.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속성을 가지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채널의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채널선국부와;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 및 제2신호처리부와;
    상기 수신되는 복수의 채널의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 중 어느 하나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로 각각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의 속성은, 상기 방송신호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소정구간 내의 크기 변화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균일도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를 복조하는 제1복조부 및 상기 수신되는 제2방송신호를 복조하는 제2복조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복조부에 의해 처리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은 상기 제1신호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복조부에 의해 처리된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또는 소스 입력 포맷(source input format)의 방송신호는 상기 제2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8.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속성을 가지는 제1방송신호 및 제2방송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의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채널의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상기 제1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신호처리부로 각각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의 속성은, 상기 방송신호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소정구간 내의 크기 변화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균일도가 소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ADC(analog-digital converter)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제1방송신호 및 상기 제2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송신호가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은 상기 제1신호처리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2방송신호가 복조된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또는 소스 입력 포맷(source input format)의 방송신호는 상기 제2신호처리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16740A 2014-09-03 2014-09-03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8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740A KR20160028128A (ko) 2014-09-03 2014-09-03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823,440 US20160065879A1 (en) 2014-09-03 2015-08-11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15182189.9A EP2993815A3 (en) 2014-09-03 2015-08-24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740A KR20160028128A (ko) 2014-09-03 2014-09-03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28A true KR20160028128A (ko) 2016-03-11

Family

ID=5401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740A KR20160028128A (ko) 2014-09-03 2014-09-03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65879A1 (ko)
EP (1) EP2993815A3 (ko)
KR (1) KR20160028128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0367B2 (ja) * 2003-01-10 2008-08-06 三菱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
JP2005159682A (ja) * 2003-11-25 2005-06-16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共用復調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共用復調処理方法および共用復調器
JP4271121B2 (ja) * 2004-10-14 2009-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ATE486459T1 (de) * 2004-12-09 2010-11-1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Mobiler hochfrequenzempfänger mit qualitätsabhängiger eingangssteu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3815A3 (en) 2016-03-23
EP2993815A2 (en) 2016-03-09
US20160065879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9469B2 (en) Input control system for high frequency receiver
US20080075200A1 (en) Detecting circuit, modulation scheme identifying circuit, integrated circuit, tuning device, and common multi-scheme receiving device
JP200417992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受信回路
US7477325B2 (en) Audio/video separator
KR100480646B1 (ko) 잡음이 많은 다중 경로 채널에 적응하여 신호를안정적으로 포착 추적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 이를 구비한디지털 텔레비전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8218092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both analog and digital TV signals
JP2005136790A (ja) アナログ/デジタル共用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
KR20160028128A (ko)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9010A (ko) 신호수신장치, 방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호처리방법
KR10187270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방송수신방법
US8373803B2 (en) Multistandard receiver circuit for analogue and digital broadcasting
JP2008136216A (ja) デジタル受信装置
KR101070044B1 (ko) Agc 스위칭기능을 갖는 디지털 튜너
KR20150092558A (ko) 하이브리드 tv 튜너
US20120162534A1 (en) Receiving circuit,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television tuner, and television receiver
JP2010206312A (ja)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受信方法
KR100568316B1 (ko) Oob 튜너를 갖는 통합형 수신 시스템
KR100716864B1 (ko) 차량용 텔레비전 자동 선국 장치 및 방법
JP2007082053A (ja) 受信装置
JP5039829B2 (ja) 画像表示装置
JP201025199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8193518A (ja) 中継装置
JP201111478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60028190A (ko) 방송 신호 수신기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060070819A (ko) 디지털 티브이의 수신 성능 향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