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8096A -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8096A
KR20160028096A KR1020140116559A KR20140116559A KR20160028096A KR 20160028096 A KR20160028096 A KR 20160028096A KR 1020140116559 A KR1020140116559 A KR 1020140116559A KR 20140116559 A KR20140116559 A KR 20140116559A KR 20160028096 A KR20160028096 A KR 20160028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honeycomb
housing
honeycomb blin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147B1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
Priority to KR102014011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1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6Devices or accessories for making or mounting lamellar blind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양측에 창문틀의 경사에 따른 좌우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좌우유동 가이드줄홈(20)이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양측 창문틀이 경사진 창에 하니콤 블라인드의 전개와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니콤 블라인드에 있어서, 창문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단고정대(160)를 구비하고,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110)과 하단고정대(160) 사이에 양측으로 창문틀의 경사에 따라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전개 및 절첩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줄(11)이 구비되며,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양측에 창문틀의 경사에 따른 좌우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좌우유동 가이드줄홈(20)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양측에 좌우유동 가이드줄홈(20)을 형성함으로써 창문틀이 경사지게 형성된 창문에서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전개 및 절첩의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Honeycomb Blinds}
본 발명은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니콤 블라인드에 있어서, 창문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단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과 하단고정대 사이에 양측으로 창문틀의 경사에 따라 하니콤 블라인드막의 전개 및 절첩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줄이 구비되며,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의 양측에 창문틀의 경사에 따른 좌우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좌우유동 가이드줄홈이 형성되게 구성하여서, 양측 창문틀이 경사진 창에 하니콤 블라인드의 전개와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니콤 블라인드는 하니콤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형상의 블라인드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은 하니콤 블라인드는 설치장소에 고정되는 블라인드하우징과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에 상단이 구속되며 하니콤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하니콤 블라인드막, 상기 블라인드막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바 및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에 구비된 권취장치에 의하여 권취 및 권해되어 블라인드막을 승강시키는 견인줄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하니콤 블라인드는 권취장치에 의하여 견인줄이 권취 및 권해되면서 블라인드가 절첩 및 전개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의 발달에 따라 건축물이 고층화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상층으로 갈수록 건물의 외형이 작아지게 설계됨으로 인하여 창문의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창문의 폭이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설계 시공되고 있다.
위와 같이 건축물의 고층화에 따라 창문의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창문에 하니콤 블라인드를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하니콤 블라인드막의 전개 및 절첩과정에 하니콤 블라인드막이 좌우 경사를 흡수하지 못하여 뒤틀려서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4-0051516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하니콤 블라인드를 건축물의 고층화로 인하여 양측 창문틀이 경사진 창문에 적용시 하니콤 블라인드막의 전개 및 절첩과정에 하니콤 블라인드막이 좌우 경사를 흡수하지 못하여 뒤틀려서 변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니콤 블라인드에 있어서, 창문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단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과 하단고정대 사이에 양측으로 창문틀의 경사에 따라 하니콤 블라인드막의 전개 및 절첩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줄이 구비되며,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의 양측에 창문틀의 경사에 따른 좌우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좌우유동 가이드줄홈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니콤 블라인드막의 양측에 좌우유동 가이드줄홈을 형성함으로써 창문틀이 경사지게 형성된 창문에서 하니콤 블라인드막의 전개 및 절첩의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전개 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전개 상태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부분 절첩 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하단 고정대의 부분 상세 정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을 양측에 경사지 창문틀의 창문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전개 상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을 양측에 경사지 창문틀의 창문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부분 절첩상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니콤 블라인드막이 창문틀의 경사에 대하여 자유로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하우징(110)에 상단이 구속되며 하니콤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하니콤 블라인드막(120)과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바(130) 및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110)에 구비된 권취장치(140)에 의하여 권취 및 권해되어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을 승강시키는 견인줄(150)로 구성된 하니콤 블라인드에 있어서, 창문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단고정대(160)를 구비하고,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110)과 하단고정대(160) 사이에 양측으로 창문틀의 경사에 따라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전개 및 절첩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줄(11)이 구비되며,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양측에 창문틀의 경사에 따른 좌우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좌우유동 가이드줄홈(20)이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양측 가이드줄(11)은 하단고정대(160)에서 장력유지스프링(12)에 의하여 결속되게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상단에는 블라인드 하우징(110)의 하우징에 구비된 하우징 결속돌기(51)에 원터치 결속되는 블라인드고정바(30)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 결속돌기(51)는 양측에 내측에서 외측면 까지 돌출된 돌기형상으로 상단 내측에서 돌출단부로 하향경사진 하향 결합경사면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블라인드고정바(30)와 하단바(130) 및 하단고정대(160)는 상하 양측 면 중 일면으로 원터치결속부(52)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는 수용결속부(53)가 형성되며, 상기 원터치결속부(52)와 수용결속부(53) 사이에는 상기 수용결속부(53)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원터치결속부(52) 측으로는 마감이 이루어지게 편심되어 형성된 마감격벽(54)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원터치결속부(52)는 양측에서 돌출되는 원터치결속돌기(52a)를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원터치결속돌기(52a)는 하면이 뿌리부 측에서 돌출 단부로 상향 경사진 상향 결합경사면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수용결속부(53)는 하니콤 블라이드막(120)의 하단을 수용하거나 블라인드 하우징(110)의 하단을 수용 결속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서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하단지지판(121) 또는 수용결속부(53)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판(161) 및 블라인드 하우징(110)의 하단에 형성된 하우징 결속돌기(51)가 구속되는 구속편(53a)이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니콤 블라인드에 있어서, 창문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단고정대(160)를 구비하고,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110)과 하단고정대(160) 사이에 양측으로 창문틀의 경사에 따라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전개 및 절첩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줄(11)이 구비되며,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양측에 창문틀의 경사에 따른 좌우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좌우유동 가이드줄홈(20)이 형성된 본 발명을 도 5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이 경사지게 형성된 창문에 적용하여 실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창문틀의 상단에 블라인드 하우징(110)을 고정하고, 창문틀의 하단에 하단고정대(160)를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블라인드 하우징(110)과 하단고정대(160)를 창문의 상 하부에 각기 고정설치하게 되면, 상기 창문에는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승강 전개 및 절첩을 가이드할 수 있게 한 가이드줄(11)이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설치한 상태에서 별도 구비되는 리모콘 또는 조작장치를 조작하여 권취장치(140)를 동작시키게 되면,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이 좌우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에 형성된 장공의 좌우유동 가이드줄홈(20)에 의하여 흡수되어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이 휨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가지런히 절첩 및 전개 승강 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측 가이드줄(11)은 하단고정대(160)에서 장력유지스프링(12)에 의하여 결속되게 실시하면 가이드줄(11)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고 하단바(130)의 불균형 승강에 따라 좌우 유동에 의하여 이를 흡수하여 안정적이 하단바(130)의 승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110)의 하단에 하우징 결속돌기(51)를 형성하여 실시하고,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상단에 블라인드고정바(3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을 용이하게 원터치 장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고정바(30)와 하단바(130) 및 하단고정대(160)는 상하 양측 면 중 일면으로 원터치결속부(52)가 형성되게 실시하면, 다른 구성품과의 결합에 의하여 원터치 결합에 의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고정바(30)와 하단바(130) 및 하단고정대(160)는 상하 양측 면 중 다른 일면에는 수용결속부(53)가 형성되게 실시하면, 하니콤 블라인드막(120)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고 블라인드 하우징(110)의 하우징 결속돌기(51)와의 원터치 결속에 의하여 용이하게 장탈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터치결속부(52)와 수용결속부(53) 사이에는 상기 수용결속부(53)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원터치결속부(52) 측으로는 마감이 이루어지게 편심되어 형성된 마감격벽(54)이 형성되게 실시하면, 상기 수용결속부(53)를 다른 구성품과 원터치 결속시 다른 일면이 별도의 마감작업 없이 마감의 이루어져 미관 미려하고 마감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1 : 가이드줄 12 : 장력유지스프링
20 : 좌우유동 가이드줄홈
30 : 블라인드고정바
51 : 하우징 결속돌기
52 : 원터치결속부 52a: 원터치결속돌기
53 : 수용결속부 53a: 구속편
54 : 마감격벽
110 : 블라인드 하우징
120 : 하니콤 블라인드막 121 : 하단지지판
130 : 하단바
140 : 권취장치
150 : 견인줄
160 : 하단고정대 161 : 밀폐판

Claims (4)

  1. 블라인드 하우징(110)에 상단이 구속되며 하니콤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하니콤 블라인드막(120)과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바(130) 및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110)에 구비된 권취장치(140)에 의하여 권취 및 권해되어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을 승강시키는 견인줄(150)로 구성된 하니콤 블라인드에 있어서;
    창문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단고정대(160)를 구비하고, 상기 블라인드 하우징(110)과 하단고정대(160) 사이에 양측으로 창문틀의 경사에 따라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전개 및 절첩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줄(11)이 구비되며,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양측에 창문틀의 경사에 따른 좌우 변위를 흡수할 수 있게 좌우유동 가이드줄홈(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가이드줄(11)은 하단고정대(160)에서 장력유지스프링(12)에 의하여 결속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상단에는 블라인드 하우징(110)의 하우징에 구비된 하우징 결속돌기(51)에 원터치 결속되는 블라인드고정바(30)가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 결속돌기(51)는 양측에 내측에서 외측면 까지 돌출된 돌기형상으로 상단 내측에서 돌출단부로 하향경사진 하향 결합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고정바(30)와 하단바(130) 및 하단고정대(160)는 상하 양측 면 중 일면으로 원터치결속부(52)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는 수용결속부(53)가 형성되며, 상기 원터치결속부(52)와 수용결속부(53) 사이에는 상기 수용결속부(53)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원터치결속부(52) 측으로는 마감이 이루어지게 편심되어 형성된 마감격벽(54)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원터치결속부(52)는 양측에서 돌출되는 원터치결속돌기(52a)를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원터치결속돌기(52a)는 하면이 뿌리부 측에서 돌출 단부로 상향 경사진 상향 결합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결속부(53)는 하니콤 블라이드막(120)의 하단을 수용하거나 블라인드 하우징(110)의 하단을 수용 결속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서 하니콤 블라인드막(120)의 하단지지판(121) 또는 수용결속부(53)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판(161) 및 블라인드 하우징(110)의 하단에 형성된 하우징 결속돌기(51)가 구속되는 구속편(53a)이 수평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KR1020140116559A 2014-09-03 2014-09-03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KR101608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559A KR101608147B1 (ko) 2014-09-03 2014-09-03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559A KR101608147B1 (ko) 2014-09-03 2014-09-03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096A true KR20160028096A (ko) 2016-03-11
KR101608147B1 KR101608147B1 (ko) 2016-03-31

Family

ID=5558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559A KR101608147B1 (ko) 2014-09-03 2014-09-03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1046A (zh) * 2017-05-23 2017-08-25 绍兴市泰嵛纺织品有限公司 一种折叠帘以及带有该折叠帘的双层折叠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516A (ko) 2012-10-23 2014-05-02 주식회사 코인 블라인드시트 슬립 틸팅형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516A (ko) 2012-10-23 2014-05-02 주식회사 코인 블라인드시트 슬립 틸팅형 블라인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1046A (zh) * 2017-05-23 2017-08-25 绍兴市泰嵛纺织品有限公司 一种折叠帘以及带有该折叠帘的双层折叠帘
CN107091046B (zh) * 2017-05-23 2019-02-15 绍兴市泰嵛纺织品有限公司 一种双层折叠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147B1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9503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5358126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5602995B2 (ja) スクリーン装置
US20130255891A1 (en) Window Blind without Using a Lift Cord
AU2007280240A1 (en) Blinds and components thereof
KR101541726B1 (ko) 루프랙 거치용 차양막
JP5188485B2 (ja) 位置決め部品および建具
EP2481877B1 (en) Fly screen for a tiltable window
KR101608147B1 (ko)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니콤 블라인드
KR20130000118U (ko)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101608150B1 (ko)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허니콤 블라인드
KR101590266B1 (ko) 좌우 유동기능을 갖는 하단 고정형 하니콤 블라인드
JP2017179843A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ITUB20159493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per tende
JP6262465B2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JP2014221972A (ja) シャッター装置のシャッターケース及びその施工方法
JP4522491B1 (ja) 折畳式簡易建物
JP6244224B2 (ja) 中間ブラケット及びスクリーン装置
JP6408430B2 (ja) バリアフリー型横引き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及びその組立製造・設置方法
KR101473225B1 (ko) 수직 이동형 블라인드
JP6914864B2 (ja) スクリーンユニット
KR200494228Y1 (ko) 원터치형태의 롤 블라인드 고정장치
JP2009114816A (ja) 折畳戸のロック装置
JP6983564B2 (ja) スクリーンの固定構造および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