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879A -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879A
KR20160026879A KR1020157035558A KR20157035558A KR20160026879A KR 20160026879 A KR20160026879 A KR 20160026879A KR 1020157035558 A KR1020157035558 A KR 1020157035558A KR 20157035558 A KR20157035558 A KR 20157035558A KR 20160026879 A KR20160026879 A KR 20160026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boundary
image surface
beze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랑 울프
Original Assignee
롤랑 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랑 울프 filed Critical 롤랑 울프
Publication of KR2016002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8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enlarging, the entrance or exit pupil
    • G02B27/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06F1/1609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to support filters or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2Modifying the appearance of television pictures by optical filters or diffusing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D 이미지 표면(18, 18')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38)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방법 및 기기(10)에 관한 것이다. 본 기기는 개구(14)를 구비한 뷰잉 베젤(1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기에서 상기 뷰잉 베젤(12)은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16)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개구(14)는 상기 뷰잉 시역(15)을 형성한다. 더욱이, 본 기기는 뷰잉 베젤(12) 뒤에서 거리(20)로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18, 18')을 구비한다. 본 기기(10)의 적당한 사용에 의해,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뷰잉 베젤(12)은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외부 경계부(22)와, 적당하다면, 상기 외부 경계부(22)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 부재(28, 28', 28")를 숨긴다. 본 발명에 따라,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12)의 경계부(16)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18, 18') 사이의 거리(20)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하다. 본 발명에 따라,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12)의 경계부(16)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18, 18') 사이의 거리(20)가 최대 정도(36), 특히 2D 이미지 표면(18, 18')의 대각선(36')의 대략적으로 4% 내지 대략적으로 20%이다.

Description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patial depth effect of image information present in a 2D image area}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 및 청구항 10에 따라 각각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WO 2012/042111 A1은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방법 및 기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2D 이미지 표면용 뷰잉 베젤(viewing bezel)은 2D 이미지 표면의 대각선의 1%와 3% 사이의 거리로 배치된다. 3% 이상의 거리가 추천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최적의 효과를 위하여, 상기 거리가 2D 이미지 표면의 대각선의 1.5% 내지 2.5%로 이와 같이 더욱 한정될 것이다.
문헌 GB 2 467 847 A은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기기에서 뷰잉 베젤은 TV 기기의 디스플레이로부터 50 mm의 일정한 거리로,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TV 기기상에 제거되게 체결된다. 50 mm의 거리는 모든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대해 동일한 효과를 야기한다고 하며, 50 mm보다 더 크거나 작은 거리에 대해서는 이러한 효과는 제공되지 않는다.
특허문헌 JP S54 68113 A은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기기에서 뷰잉 베젤이 디스플레이로부터 1 cm와 5 cm 사이의 거리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독립적으로 배치된다.
특허문헌 WO 2010/094269 A2은 디스플레이 장치용 디스플레이 뷰잉 기기를 개시하고 있다. 뷰잉 기기는 프레임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뷰잉 개구를 구비한 전방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벽부는 체결 장치를 사용해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제거되게 체결될 수 있다. 뷰잉 위치를 위해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공간 이미지 인식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방향 경계부가 전방 벽부의 프레임-형상의 구역에 의해 반드시 숨겨져야 하고, 그리고 뷰잉 기기의 전방 벽부는 또한 평탄한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오목하거나 또는 볼록하게 반드시 만곡되어야 한다.
평탄한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전방 벽부의 오목하고 볼록한 곡률은 뷰잉 위치로부터 보여질 경우에, 전방 벽부의 곡률과 또한 만곡된 전방 벽부 뒤에 배치된 평탄한 이미지 표면이 인식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공간 이미지 인식에 대응하는 입체영상을 야기한다.
입체영상의 경우에, 뇌는 학습 효과와 관련된 두 개의 상이한 이미지를 반드시 처리하여, 공간 이미지 인식을 승인할 수 있게 한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뷰잉 기기의 사용자에게 피로 징후를 초래하여 두통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WO 2010/094269 A2에 따른 디스플레이 뷰잉 기기는, 휴지 위치에서의 전방 벽부가 평탄한 디스플레이에 대해 직접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운송을 위해 또는 입체영상을 스위치 오프하기 위해, 뷰잉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특허문헌 DE 10 2005 056 873 A1 및 WO 2008/052527 A2 각각은 뷰잉 기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뷰잉 기기에서 뷰잉 개구를 구비한 전방 벽부가 평탄하거나 약간 만곡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공간 이미지 인식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벽부 뒤에 배치된 이미지 표면은 뷰어로부터 멀리,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반드시 구성되어야 한다.
문헌 DE 203 17 862 U1은 이와 같이 뷰잉 기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뷰잉 기기에서 뷰잉 개구를 구비한 전방 벽부 뒤에 배치된 이미지 표면이 뷰어로부터 멀리,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문헌은, 공간 이미지 인식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방 벽부가 뷰어 쪽으로 오목하도록 반드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언급된 문헌들은, 전방 벽부 및/또는 상기 전방 벽부 뒤에 배치된 이미지 표면이 만곡된 구성을 가져서, 입체영상의 원리에 따른 요구되는 효과를 달성할 때에만, 그러나 대응하는 사용으로써 상기 언급된 단점을 갖는 뷰잉 기기의 뷰어의 위험을 무릅쓰고, 공간 이미지 인식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이나 기기의 적당한 사용 동안에, 사용자를 물리적으로 저해(impair)하지 않으면서,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 청구항 1 및 청구항 10에 따른 기기 및 방법에 의해 각각 달성된다.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들기 위한 특허 청구항 1에 따른 기기가 개구를 갖는 뷰잉 베젤을 구비하고, 상기 기기에서 상기 뷰잉 베젤은 뷰잉 시역(viewing field)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개구는 상기 뷰잉 시역을 형성한다. 더욱이, 본 기기는 2D 이미지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2D 이미지 표면은 뷰잉 베젤 뒤에서 어느 한 거리로 배치되고 그리고 외부 경계부에 의한 주변부에서 경계가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2D 이미지 표면은 상기 뷰잉 베젤의 개구보다 더 크다. 적당한 사용으로, 뷰잉 베젤은 뷰잉 위치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2D 이미지 표면의 외부 경계부와, 적당하다면, 외부 경계부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 부재를 커버한다.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하다.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 사이의 대략적으로 일정한 거리 때문에, 뷰잉 위치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2D 이미지 표면의 정확한 위치를 포착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이에 따라, 2D 이미지 표면의 방향에서 뷰잉 베젤의 전방 이탈된(detached) 공간으로 알려진 것이 형성되면서, 상기 2D 이미지 표면으로부터 이미지 정보 항목을 요인으로 포함하고(factor), 이 결과 공간 깊이 효과는 뷰잉 위치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뷰어에게 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 및 방법의 효과는, 핀홀 카메라를 아래에 배치하는 원리와 반대로, 2D 이미지 표면의 방향에서 뷰잉 베젤 전방의 뷰잉 위치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은 공간 깊이 효과는, 상기 2D 이미지 표면과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할 때, 만들어진다는 사실로써 설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2D 이미지 표면이 뷰어에 의해 인지되지 않기 때문에, 평탄한 디스플레이와 관련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만곡된 전방 벽부를 구비한, 종래 기술에 따른 본 뷰잉 기기를 구비한 경우로서, 뷰어의 뇌가 이중 이미지를 처리할 필요가 없도록, 뷰잉 위치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2D 이미지 표면의 방향에서 뷰잉 베젤 전방에 만들어진 이탈된 공간이 입체영상의 원리에 따른 이미지 인식과 비교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신에, 요구되는 효과는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가 2D 이미지 표면으로부터 정의된 거리로 위치되자마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나 기기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단 하나만 기능하는 눈(애꾸눈)을 가진 뷰어와 이에 따라 단지 한쪽 눈의(monoscopic) 뷰잉이 가능한 사람들이 이와 같이 2D 이미지 표면의 방향에서의 뷰잉 베젤 전방의 상기 이탈된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항목은 바람직하게는 2D 이미지 표면의 외측 경계부에 이르기까지 전체 2D 이미지 표면상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가 2D 이미지 표면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로 위치되자마자 공간 깊이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또한 예를 들면, 3D 영화를 보기 위한, 3D 사용을 위한 종래의 뷰잉 기기에서처럼, 특별한 쌍의 안경(spectacle)의 형태로 또는 전자기구 형태로 보조 기구가 완전하게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장점은, 공간 깊이 효과가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분해능(resolution)에 대응하는데, 이는 즉 분해능이나 또는 색채 표현에서의 손실이 없다는 사실에 있다.
더욱이 이 때, 뷰잉 베젤이 불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더욱 알 수 있을 것이다. 뷰잉 위치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는 2D 이미지 표면의 방향에서의 개구에 의해 형성된 뷰잉 시역을 만든다. 단지 뷰잉 베젤의 통과해 보이는 부분이, 달리 말하자면, 상기 뷰잉 베젤에서의 개구는 이미지 정보 항목으로 저장된 2D 이미지 표면상에 이미지 부분의 뷰(view)를 가능하게 한다. 뷰잉 베젤의 불투명한 외부 경계부는, 대비하면, 2D 이미지 표면의 외부 경계부와, 적당하다면, 상기 외부 경계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을 커버한다.
본 발명에 따라,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 사이의 거리는 최대 정도의, 특히 2D 이미지 표면의 대각선의 대략적으로 4% 내지 대략적으로 20%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거리는 2D 이미지 표면의 최대 정도의 대략적으로 8% 내지 대략적으로 15%이다.
바람직하게는, 거리는 2D 이미지 표면의 최대 정도의 대략적으로 10%이다.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 사이의 대략적으로 일정한 거리 때문에, 뷰잉 위치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별개의 이중 이미지의 인식이,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도입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방지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2D 이미지 표면은 평탄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를 사용할 때, 별개의 이중 이미지의 인식을 방지한다.
2D 이미지 표면과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되고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가 뷰잉 위치와 마주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 특히 2D 이미지 표면의 외측 경계부와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의 개구는 그 형상에 있어 비슷하다. 이와 관련하여 비슷하다라는 표현은 수학적 의미로 사용되고 그리고 개구의, 특히 뷰잉 시역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의 경계부의 기하학적 형상이 축척에 의해 2D 이미지 표면의 외부 경계부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변환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뷰잉 베젤의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재료로써 커버된다. 투명한 재료를 사용하면, 외부 영향에 대해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이 보호될 수 있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한 재료는 유리 패널(pane)이다. 유리 패널은 본 경우에 뷰잉 베젤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뷰잉 베젤 자체일 수 있다.
뷰잉 베젤 자체가 유리 패널인 경우에, 상기 유리 패널의 부분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시역에는, 2D 이미지 표면의 외부 경계부 상의 뷰와, 적당하다면, 외부 경계부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 부재가 방지되도록, 불투명한 재료, 특히 커버링 니스(covering varnish)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
유리 패널은 특별한 선택물으로서 주위환경이나 2D 이미지 표면으로부터의 상기 유리 패널 상에서의 반사를 피하기 위하여, 양 측 상에 반사방지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특히, 햇빛 및 인공 광이 비춰진 밝은 공간에서 특별하게 사용될 때, 윈도우로부터의 거리로 전형적인 뷰의 감지(sense)로 "깊이 환영(illusion)"에 특히 잘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기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작은 제품으로부터 큰 제품에 이르기까지 사용되고, 그리고 예를 들면, 휴대폰, 휴대용 태블릿, TV 기기, 극장, 및 대형 홀처럼 작은 시스템으로부터 매우 큰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나 기기의 또 다른 특성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 설명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분해도로서, 상기 기기는 외부 경계부에 의해 주변부에서 경계가 형성되고 뷰잉 베젤 뒤에서 한 거리로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과, 개구를 갖는 뷰잉 베젤을 구비하고 있다.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들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기기(10)는 본 경우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개구(14)를 갖는 프레임-타입 뷰잉 베젤(12)을 구비한다. 뷰잉 베젤(12)은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16)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개구(14)는 뷰잉 시역(15)를 형성한다.
이때 뷰잉 베젤(12)에서의 개구(14)의 형상이 특히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12)의 경계부(16)의 형상이도록, 그리고 예를 들면, 원형이나 또는 타원형과 같은 임의의 다른 형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프레임-타입의 뷰잉 베젤(12)은 불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하여, 도 1에서의 뷰잉 베젤(12)은 본 발명의 원리를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해 단지 개략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한 거리(20)로, 2D 이미지 표면(18)이 뷰잉 베젤(12) 뒤에 배치된다. 2D 이미지 표면(18)은 외부 경계부(22)에 의해 주변부에서 경계가 형성된다. 더욱이, 2D 이미지 표면(18)은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12)의 경계부(16)보다 더 크다.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뷰잉 베젤(12)은 2D 이미지 표면(18)의 외부 경계부(22) 및 적당하다면, 상기 외부 경계부(22)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 부재(28)를 커버한다.
이 때 외부 프레임 부재(28)가 외부 영향에 대해 보호되고 2D 이미지 표면을 나타내도록 사용되는, 예를 들면, 휴대폰, 휴대용 TV나 DVD 제품, PC 디스플레이 모니터, 또는 고정식 TV 기기와 같은 제품(도시 생략)의 하우징(28')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또한 외부 프레임 부재(28)가, 단지 프레임이라고 여겨질 수 있으며, 특히, 2D 이미지 표면의 이미지 프레임(28")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더욱이, 또한 2D 이미지 표면(18)이 프레임 부재(28)를 구비하지 않지만, 그러나 개별 포트(18')를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경우에, 뷰잉 베젤(12)은 2D 이미지 표면(18)의 외부 경계부(22)를 단지 커버할 수 있다.
도 1에서의 본 발명을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해,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은 뷰잉 시역(15)은 개구(14)에 의해 형성되고 그리고 뷰어가 2D 이미지 표면(18) 상의 이미지 부분(38')에서의 뷰를 볼 수 있게 하며, 이 경우 뷰잉 베젤(12)은 상기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외부 경계부(34)에 의해, 외부 프레임 부재(28) 상의 뷰를 숨긴다.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12)의 경계부(16)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18) 사이의 거리(20)는 2D 이미지 표면(18)의 최대 정도(36)의 대략적으로 2% 내지 대략적으로 30%이다. 도 1에 따른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뷰잉 베젤(12)과 2D 이미지 표면(18) 사이의 실제 관계가 나타나 있지 않다.
최대 정도(36)는 2D 이미지 표면(18) 상의 두 개의 지점 사이에서 최대인, 2D 이미지 표면(18)에서의 거리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D 이미지 표면(18)의 직사각형 형상 때문에,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최대 정도(36)는 이에 따라 대각선(36')이다.
뷰잉 위치(24)는 예를 들면, 개구(14)를 통한, 특히 뷰잉 베젤(12)의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16)를 통한 2D 이미지 표면상의 뷰가 만들어지는 실내나 또는 보다 큰 홀에서의 장소(seat)이다. 2D 이미지 표면(18) 상의 이미지 부분(38')의 감지로 단지 제한된 이미지 정보 항목(38)이,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12)의 경계부(16)를 통해서 보여질 때, 상기 2D 이미지 표면(18)의 외부 경계부(22)나 또는, 적당하다면, 상기 외부 경계부(22)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 부재(28)를 동시에 보지 않으면서, 인지된다면 유리하다.
이러한 구성은, 본 기기(10)의 적당한 사용에 의해,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2D 이미지 표면(18)의 방향에서의 뷰잉 베젤(12)의 전방에서의 이탈된 공간이 만들어지며, 이는 공간 깊이 효과에 대응한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뷰잉 기기와 다르게, 2D 이미지 표면(18)의 방향에서 뷰잉 베젤(12) 전방의,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2D 이미지 표면(18)의 정확한 위치가 인식되지 않는다. 이 결과, 뷰어가 처리해야만 할 수 있는 이중 이미지는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게 인식될 수 없다. 대신에,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뷰잉 베젤(12)의 경계부(16)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18) 사이의 거리(20)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하다면, 이탈된 공간이 만들어진다.
외부 영향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뷰잉 베젤(12)의 개구(14)는 투명한 재료(40)로써 커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 패널(40')이 사용될 수 있다. 유리 패널(40')은 바람직하게는, 주위환경이나 또는 2D 이미지 표면(18)으로부터 상기 유리 패널(40')에서의 반사를 피하기 위하여, 양 측에 반사방지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리 패널(40')을 사용하여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기의 설치 상태에서의 2D 이미지 표면(18)이 주위환경과 이에 따라 보호된 웰(well)과 관련하여 폐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패널(40')은 또한 강성의 특성을 갖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위환경과 마주한 유리 패널(40')의 외측은 어려움 없이 세정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들기 위한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기는,
- 개구(14)를 구비하고,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16)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개구(14)가 상기 뷰잉 시역(15)을 형성하는, 뷰잉 베젤(12); 및
- 상기 뷰잉 베젤(12) 뒤에서 거리(20)로 배치되고 주변부에서 외부 경계부(2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며,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개구(14)보다 더 큰 2D 이미지 표면(18, 18');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 적당한 사용으로써,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뷰잉 베젤(12)은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상기 외부 경계부(22)와, 적당하다면, 상기 외부 경계부(22)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 부재(28, 28', 28")를 숨기고,
여기서,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 사이의 거리(20)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하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기를 구비하여,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뷰잉 시역(15)을 형성하는 개구(14)를 구비하고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16)를 구비하는 뷰잉 베젤(12)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개구(14)보다 더 크고, 상기 뷰잉 베젤(12) 뒤에서 거리(20)로, 외측 경계부(22)에 의해 주변부에서 경계가 형성된 2D 이미지 표면(18, 18')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기의 적당한 사용으로써,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뷰잉 베젤(12)은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외부 경계부(22) 및, 적당하다면, 상기 외부 경계부(22)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 부재(28, 28', 28")를 숨기고, 그리고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경계부(16)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 사이의 거리(20)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하다.

Claims (13)

  1.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로서,
    뷰잉 시역(15)를 형성하는 개구(14)를 구비하고,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16)를 구비한 뷰잉 베젤(12); 및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개구(14) 보다 더 크고, 주변부에서 외측 경계부(22)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고 상기 뷰잉 베젤(12) 뒤에서 거리(20)로 배치된 2D 이미지 표면(18, 18');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적당한 사용에 의해,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뷰잉 베젤(12)은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외부 경계부(22), 및 적당하다면, 상기 외부 경계부(22)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 부재(28, 28', 28")을 숨기고,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 사이의 거리(20)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하고,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 사이의 상기 거리(20)가 최대 정도(36), 특히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대각선(36')의 대략적으로 4% 내지 대략적으로 20%인,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상기 최대 정도(36)의 대략적으로 8% 내지 대략적으로 15%인,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상기 최대 정도(36)의 대략적으로 10%인,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는 하나의 평면 상에 위치되는,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은 평탄한 구성을 갖는,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 및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4), 특히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상기 외부 경계부(22) 및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경계부(16)는 그 형상이 유사한,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개구(14)는 투명한 재료(40)로써 커버되는,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재료(40)는 유리 패널(40'), 특히 양 측에서 반사방지 코팅을 구비한 유리 패널(40')인,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기를 구비하여,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뷰잉 시역(15)를 형성하는 개구(14)를 구비하고,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16)를 구비한 뷰잉 베젤(12)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개구(14)보다 더 크고, 상기 뷰잉 베젤(12) 뒤에서 거리(20)로, 외부 경계부(22)에 의해 주변부에서 경계가 형성된 2D 이미지 표면(18, 18')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기의 적당한 사용에 의해, 뷰잉 위치(24)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뷰잉 베젤(12)은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상기 외부 경계부(22)와, 적당하다면, 상기 외부 경계부(22)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결된 프레임 부재(28, 28', 28")를 숨기고, 그리고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와, 상기 뷰잉 베젤 뒤에 배치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 사이의 거리(20)가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정하고,
    최대 정도(36)의, 특히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대각선(36')의 대략적으로 4% 내지 대략적으로 20%의 거리(20)로, 상기 뷰잉 베젤(12) 뒤에 배치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과 관련하여,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가 배치되는,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최대 정도(36)의 대략적으로 8% 내지 대략적으로 15%의 거리(20)로, 상기 뷰잉 베젤(12) 뒤에 배치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과 관련하여,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가 배치되는,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방법 .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의 상기 최대 정도(36)의 대략적으로 10%의 거리(20)로, 상기 뷰잉 베젤(12) 뒤에 배치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과 관련하여,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가 배치되는,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방법.
  13. 청구항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D 이미지 표면(18, 18')과 관련하여 평행하도록, 상기 뷰잉 시역(15)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뷰잉 베젤(12)의 상기 경계부(16)가 배치되는,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방법.
KR1020157035558A 2013-07-01 2014-05-28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및 방법 KR201600268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003326.9A EP2821986A1 (de) 2013-07-01 2013-07-01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räumlichen Tiefenwirkung einer in einer 2D Bildfläche vorliegenden Bildinformation
EP13003326.9 2013-07-01
PCT/EP2014/001430 WO2015000539A1 (de) 2013-07-01 2014-05-28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räumlichen tiefenwirkung einer in einer 2d bildfläche vorliegenden bild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879A true KR20160026879A (ko) 2016-03-09

Family

ID=4883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558A KR20160026879A (ko) 2013-07-01 2014-05-28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60131916A1 (ko)
EP (1) EP2821986A1 (ko)
JP (1) JP2016532888A (ko)
KR (1) KR20160026879A (ko)
CN (1) CN105359205A (ko)
AU (1) AU2014286606A1 (ko)
CA (1) CA2917214A1 (ko)
HK (1) HK1215750A1 (ko)
MX (1) MX2015016242A (ko)
PH (1) PH12016500023A1 (ko)
RU (1) RU2016103055A (ko)
SG (1) SG11201510805YA (ko)
TW (1) TW201506866A (ko)
WO (1) WO2015000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911A1 (en) * 2016-06-14 2017-12-21 Rolling Optics Ab Synthetic im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8113A (en) * 1977-11-10 1979-06-01 Sony Corp Television display unit
CN2032352U (zh) * 1988-05-12 1989-02-08 朱永焕 立体显示装置
US6252707B1 (en) * 1996-01-22 2001-06-26 3Ality, Inc. Systems for three-dimensional viewing and projection
CN1218197A (zh) * 1997-11-22 1999-06-02 威廉·J·奥奈尔 在二维图象上增强深度视觉
GB0128983D0 (en) * 2001-12-04 2002-01-2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rectional image dislay
DE20317862U1 (de) 2003-11-19 2004-04-15 Heine, Oliver Betrachtungsvorrichtung und Kartonzuschnitt zu ihrer Herstellung
US7073908B1 (en) * 2005-01-11 2006-07-11 Anthony Italo Provitola Enhancement of depth perception
DE102005056873A1 (de) 2005-11-28 2007-05-31 Oliver Heine Betrachtungsvorrichtung und buchartige Anordnung mehrerer miteinander verbundener Betrachtungsvorrichtungen
CN201044012Y (zh) * 2006-08-23 2008-04-02 浦比俊引特艾克堤夫科技公司 具有塑胶镜的空中显示器系统
DE202006016885U1 (de) * 2006-11-04 2007-02-22 Heine, Oliver Betrachtungsvorrichtung
DE102007046414B4 (de) * 2007-09-25 2010-11-18 Visumotion Gmbh Verfahren und Anordnungen zur räumlichen Darstellung
EP2228678A1 (en) * 2009-01-22 2010-09-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with displaced frame perception
GB0902384D0 (en) * 2009-02-13 2009-04-01 Tridico Frank D S I Frame Deep screen Imager for TV
DE202009002362U1 (de) 2009-02-19 2009-06-25 Heine, Oliver Bildschirm-Betrachtungsvorrichtung für ein Bildschirmgerät
FI123438B (fi) * 2010-09-28 2013-04-30 Inbliss Oy Kehys visuaalista näyttölaitetta var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03055A (ru) 2017-08-07
AU2014286606A1 (en) 2015-12-24
MX2015016242A (es) 2016-08-03
WO2015000539A1 (de) 2015-01-08
SG11201510805YA (en) 2016-02-26
US20160131916A1 (en) 2016-05-12
PH12016500023A1 (en) 2016-03-28
CN105359205A (zh) 2016-02-24
HK1215750A1 (zh) 2016-09-09
TW201506866A (zh) 2015-02-16
EP2821986A1 (de) 2015-01-07
JP2016532888A (ja) 2016-10-20
CA2917214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845B1 (ko) 표시 장치, 포장 박스 및 포장 장치
TW201346470A (zh) 顯示裝置(二)
US9753293B2 (en) Three-dimensional (3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a two-dimensional (2D) display terminal, light-splitting device, and transflective device
WO2013161498A1 (ja) 表示入力装置
EP3557308A1 (en) Virtual reality head-mounted apparatus
JP5555750B2 (ja) 娯楽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対話型立体表示方法
TW201346471A (zh) 顯示裝置
WO2013031819A1 (ja) 画像投影装置
KR20160026879A (ko)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및 방법
CN105632457B (zh) 模式自动切换的显示器
CN109947384B (zh) 一种电子设备及处理方法
KR20210027263A (ko)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JP6860191B2 (ja) 立体的2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立体的2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
CN215340710U (zh) 全息成像系统
JP5817407B2 (ja) 表示装置
KR20160080229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308415B1 (ko) 영상표시장치
EP3399363A1 (en) Head mounted display
JP2011039470A (ja) 立体画像鑑賞装置
KR101228928B1 (ko) 쓰리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상품전시용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JP3197950U (ja) 画像観察フレーム
TWM545255U (zh) 頭戴式顯示設備
KR20140123418A (ko) 거울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JP2015046848A (ja) 画像表示装置
TWI679555B (zh) 擴增實境系統以及提供擴增實境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