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415B1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8415B1 KR101308415B1 KR1020120060621A KR20120060621A KR101308415B1 KR 101308415 B1 KR101308415 B1 KR 101308415B1 KR 1020120060621 A KR1020120060621 A KR 1020120060621A KR 20120060621 A KR20120060621 A KR 20120060621A KR 101308415 B1 KR101308415 B1 KR 1013084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mage display
- display unit
- output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영상표시장치는: 제1영상을 보여주는 제1영상표시부와, 제1영상표시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영상을 보여주는 제2영상표시부 및 제1영상은 반사시키고, 제2영상은 투과시키는 멀티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표시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인 주시거리(Convergence Distance)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입체투영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및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과 같은 무안경 3차원 영상방식에서는 인체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구분되는 3차원 영상이미지가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체적인 3차원 영상을 감상할 수 있었다. 즉, 배리어에 의해 좌안에는 우안 영상이미지가 가려지고, 우안에는 좌안 영상이미지가 가려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이미지의 깊이감을 느끼도록 하여 사용자가 3D 안경 없이도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사되는 각각의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느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무안경 3차원 영상방식에서는, 3차원 영상장치 별로 좌안 영상이미지 및 우안 영상이미지의 단위 길이 또는 스크린과 배리어 간의 간격 및, 각 배리어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3차원 영상이미지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시점(View Point)이 정해져 있고, 상기 시점과 3차원 영상장치 간의 이격거리인 주시거리가 미리 정해져 있으며, 스크린의 크기에 비례하여 주시거리가 증가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0756호(공개일:2011.06.08.)에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3차원 영상장치의 화면이 대형화되는 추세이므로 스크린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주시거리 즉, 3차원 영상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가 길이지게 되면서, 3차원 영상출력 장치의 주시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장소에만 설치가 가능하므로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대형 화면을 갖는 3차원 영상장치의 설치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롯머신 등의 게임 화면창을 3차원 영상장치로 구현할 경우, 사용자는 손으로 슬롯머신을 컨트롤할 수 있는 근접거리에 위치하여야 하나, 화면의 크기와 주시거리가 비례하는 특성으로 인해 게임 화면창의 화면 크기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영상표시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인 주시거리(Convergence Distance)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출력되는 3차원 입체영상과 다양한 실물영상 및 디스플레이 화면 영상이 조합된 형상의 멀티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제1영상을 보여주는 제1영상표시부와, 상기 제1영상표시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영상을 보여주는 제2영상표시부 및 상기 제1영상은 반사시키고, 상기 제2영상은 투과시키는 멀티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영상표시부는 상기 제1영상을 상기 멀티영상표시부 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영상표시부는 상기 멀티영상표시부에서 반사되는 상기 제1영상의 반사방향과 상기 멀티영상표시부에서 투과되는 투과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멀티영상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멀티영상표시부는 상기 제1영상표시부 및 상기 제2영상표시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영상표시부는 반사되는 상기 제1영상과 투과되는 상기 제2영상이 중첩되어 멀티영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영상표시부 및 상기 제2영상표시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영상표시부는 소정의 주시거리를 갖는 상기 제1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멀티영상표시부는 반사되는 상기 제1영상과 투과되는 상기 제2영상이 중첩된 멀티영상(M)을 출력하고, 상기 제1영상표시부의 화면창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영상이 상기 멀티영상표시부의 멀티반사면에 반사되어 영상출력 기준선(L)에 도달하기까지의 거리(d)만큼 상기 소정의 주시거리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영상표시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영상의 반사방향에는 상기 멀티영상이 투과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미러반사면과 상기 멀티영상이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미러투과면을 갖는 하프미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프미러부는 상기 멀티영상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미러반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고, 일정 휘도 이상의 상기 멀티영상이 출력되면 상기 미러투과면을 통해 상기 멀티영상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감지범위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가 감지범위 내로 접근하면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멀티영상이 출력되도록 상기 멀티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멀티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단계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메인화면의 실행여부를 판단하는 메인화면실행판단단계와, 상기 메인화면이 실행되지 않으면, 설정된 메인화면을 실행하는 메인화면실행단계와, 상기 메인화면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입력여부판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사용자 이벤트루틴을 실행하는 이벤트루틴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제1영상표시부와 일정각도(θ)가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 멀티영상표시부의 반사면을 통해 출력된 제1영상이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영상표시장치와 사용자 간의 이격거리인 주시거리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시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영상표시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적인 제약이 해소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일정각도(θ)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제1영상인 3차원 입체영상에 깊이감이 생성되며, 제1영상과 제2영상인 실물이미지 및 영상이 조합된 형태의 멀티영상을 함께 출력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3차원 입체영상 장치와 비교하여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영상을 제공하고, 표현이 폭넓어 진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영상이 출력되는 영상표시장치의 출력단에 하프미러부가 구비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거울과 같이 주변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다가,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에 근접하거나 별도의 제어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하프미러부를 통해 멀티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표출되는 멀티영상을 각인되도록 하여 광고 및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주시거리가 감소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멀티영상이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하프미러 및 사용자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2영상표시부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멀티영상의 출력이 제어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블록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구비한 슬롯머신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멀티영상표시부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9의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주시거리가 감소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멀티영상이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하프미러 및 사용자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2영상표시부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멀티영상의 출력이 제어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블록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구비한 슬롯머신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멀티영상표시부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9의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주시거리가 감소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멀티영상이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하프미러 및 사용자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2영상표시부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멀티영상의 출력이 제어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구비한 슬롯머신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영상(A)을 보여주는 제1영상표시부(110)와, 제1영상표시부(11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영상(B)을 보여주는 제2영상표시부(120) 및 제1영상(A)은 반사되고, 제2영상(B)을 투과시키는 멀티영상표시부(130)를 포함한다.
제1영상표시부(110)는 소정의 주시거리를 갖는 제1영상(A)을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영상(A)은 무안경 3차원 영상방식에 의해 출력되는 3차원 영상을 말하며, 제1영상표시부(110)는 화면창을 통해 제1영상(A)을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제1영상표시부(11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로 제1영상(A)를 출력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멀티영상표시부(130) 및 영상출력방향(E)의 지정된 방향 및 설치된 위치에 따라 제1영상(A)을 상부방향 또는 대각선방향 등으로 출력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의 제어신호가 영상제어부(112)에 전달되면, 영상제어부(112)는 제1영상표시부(110)에 인가되는 화소전압을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제1영상(A)이 화면창을 통해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제2영상표시부(120)는 제1영상표시부(11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영상(B)을 보여준다. 제2영상표시부(12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후측에 구비되는 실물,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진, 이미지일 수도 있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일 수도 있다.
멀티영상표시부(130)는 제1영상(A)은 반사되고, 제2영상(B)을 투과시키는 것으로서, 제1영상표시부(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영상(A)을 영상출력방향(E)으로 반사시키며, 후방의 제2영상표시부(120)의 영상은 투과시켜 입체적인 형상의 멀티영상(M)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멀티영상표시부(130)는 제1영상표시부(110)의 일측에서 일정각도(θ: 도 1 참조)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제1영상표시부(110)의 화면창으로부터 출력된 제1영상(A)가 반사면에 반사되어 영상출력 기준선(L:도 3 참조)에 도달하기까지의 거리(d)만큼 소정의 주시거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멀티영상표시부(130)의 일단은 제1영상표시부(110)의 일단부 상측에 설치되며, 타단은 제1영상표시부(110)를 기준으로 일정각도(θ)로 벌어진 상태로 설치되며, 제1영상(A)를 영상출력방향(E)으로 반사시킴과 동시에 제2영상표시부(120)의 제2영상(B)이 영상출력방향(E)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제1영상표시부(110)와 대향하는 경사진 면에는 반사면(132)이 배치되며, 타측면에는 투과면(134)이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멀티영상표시부(130)는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시키며 나머지 일부는 투과시키는 광학 투광판으로서, 양 측면 모두 빛의 일부는 반사되며 나머지 일부는 투과되도록 구성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멀티영상표시부(130)가 발휘하는 기능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해 양 측면을 반사면(132)과 투과면(134)으로 구분하여 명칭하기로 한다.
한편, 일정각도(θ)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1영상표시부(110)의 제1영상(A)가 영상출력방향(E)을 향해 90도 반사되도록 45도의 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영상표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제1영상(A)를 길이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증감하여 영상의 형태를 변형시켜 출력함으로써, 90도 미만의 범위 내에서 30도, 40도, 50도, 60도, 70도 및 80도 등 다양하게 설정된 상태에서도 45도 상태에서 출력되는 제1영상(A)의 형태와 동일한 출력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영상표시부(120)의 제2영상(B)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영상표시부(110)의 제1영상(A)와 함께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고자 후방에 배치되는 실물 대상에 대한 이미지 또는 실물, 즉 멀티영상표시부(130)의 후방이 개구되어 멀티영상표시부(130)를 통해 전방에서 관측되는 주변 사물에 대한 이미지 일 수도 있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영상표시부(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로 이루어지는 제2영상표시부(120)은 멀티영상표시부(130)을 사이에 두고, 제1영상표시부(110)와 직각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멀티영상표시부(130)를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반사면(132)으로 입사되는 제1영상표시부(110)의 제1영상(A)는 90도 반사시켜 영상출력방향(E)을 향하게 되며, 투과면(134)을 통해 후방으로부터 투과되는 제2영상표시부(120)의 제2영상(B)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상호 중첩되어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형태의 멀티영상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제1영상(A)의 허상의 경우에는 멀티영상표시부(130)의 반사면(132)에 의해 반사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깊이감이 느껴지게 되어 영상표시장치(100)의 제1영상(A)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착시되어 입체적인 형상으로 느끼게 된다. 즉, 영상표시장치(100)의 후방에 위치한 제2영상표시부(120)의 제2영상(B)가 보여지는 가운데, 제1영상(A)이 공중에 떠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제1영상표시부(110)와 멀티영상표시부(130)의 사이에는 제1영상표시부(110)와 멀티영상표시부(130)의 설정된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멀티영상표시부(130)의 구성에 의해 제1영상표시부(110)의 제1영상(A)가 갖는 주시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A1,A2,A3,A4)는 제1영상표시부(110)의 화면창의 임의의 화소에서 출력된 제1영상(A)이 멀티영상표시부(130)의 반사면(132)에 반사된 후 영상출력 기준선(L)에 도달하기까지의 입사되는 경로를 의미하며, 영상출력 기준선(L)은 영상표시장치(100)의 출력단 즉, 장치의 최측단을 나타내는 가상선으로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제1영상(A)이 영상출력 기준선(L)에서부터 출력되는 것처럼 보여진다.
또한, 화면창에서 출력된 제1영상(A)은 화면창의 범위 내에서 출력되는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멀티영상표시부(130)의 반사면(132)에 의해 반사되는 시점(時點)은 물론, 반사되기까지의 거리 및 반사된 후 영상출력 기준선(L)까지 도달하는 거리가 각각 상이하나, 각 화소에서 출력된 제1영상(A)의 모든 경로(A1,A2,A3,A4)가 갖는 반사면(132)에 반사되기까지의 거리와 반사된 후 영상출력 기준선(L)까지 도달하는 거리의 합은 동일하게 된다. 즉, 제1영상표시부(100)의 화면창이 갖는 길이(d)와 동일하기 때문에 같은 시점(時點)에 출력된 제1영상(A)의 각 화소는 같은 시점(時點)에 영상출력 기준선(L)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영상표시부(110)로부터 출력된 제1영상(A)은 일정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 멀티영상표시부(130)에 의해 반사되어 영상출력 기준선(L)에 도달하기까지의 거리(d)가 감소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주시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종래와 비교하여 볼때, 사용자가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영상표시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적인 제약이 해소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상(A)의 반사방향에는 멀티영상(M)이 투과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미러반사면(152)과 멀티영상(M)이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미러투과면(154)을 갖는 하프미러부(150)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멀티영상(M)이 투과되는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하프미러부(150)의 우측을 의미하고, 멀티영상(M)이 입사되는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하프미러부(150)의 좌측을 의미한다.
하프미러부(150)는 멀티영상이 출력되지 않으면, 미러반사면(152)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고, 일정 휘도 이상의 멀티영상(M)이 출력되면 미러투과면(154)을 통해 멀티영상(M)을 투과시킨다. 즉, 미러반사면(152)은 영상출력방향(E)으로 배치되며 미러투과면(154)은 멀티영상(M)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수직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일정 휘도 이상의 멀티영상(M)이 출력되지 않으면 미러반사면(152)을 통해 전방(도 4의 우측)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거울 효과를 발휘하고, 일정 휘도 이상의 멀티영상(M)이 출력되면 투과되어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또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상표시부(110), 제2영상표시부(120) 및 멀티영상표시부(130)는 일측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토퍼박스(16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토퍼박스(160)의 개구된 일측면에 하프미러부(150)가 고정되며,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멀티영상(M)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의 조명이 지나치게 밝거나 제1영상표시부(110) 및 제2영상표시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휘도가 크지 않을 경우에도 토퍼박스(160)의 벽면에 의해 주변조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출력되는 멀티영상(M)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신비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일정 감지범위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170) 및 사용자 감지부(170)의 감지신호에 연동되어 사용자가 감지범위 내로 접근하면 설정된 사항에 따라 멀티영상(M)이 출력되도록 멀티영상(M)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더 구비한다.
사용자 감지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방을 향해 일정 감지범위(R)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적외선 센서, 근접센서, 열센서 등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체온 등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에 근접함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하는 센싱장치이다.
여기서, 사용자 감지부(17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와 연결된 신호라인을 통해 제어부(190)로 전달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감지부(170)의 감지신호를 기초하여 멀티영상(M)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가 접근하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멀티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부(190)에는 전달된 사용자 감지부(170)의 감지신호에 대하여 제1영상표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영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미리 데이터화하여 저장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90)의 일측에는 제1영상표시부(110)의 제1영상(A)의 영상데이터 소스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구비되며, 제어신호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저장된 저장공간에서 독출하여 영상제어부(112)로 전달하여 제1영상표시부(110)에서 해당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출력단에 하프미러부(150)가 구비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거울과 같이 주변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다가,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에 근접하거나 별도의 제어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하프미러부(150)를 통해 멀티영상(M)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표출되는 멀티영상이 각인되도록 하여 광고 및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180은 사용자 입력부로써, 사용자의 터치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외부압력(터치동작)에 의해 가압되면서 접점되어 특정 전기적 신호를 생성시키는 푸쉬버튼의 형태로 이루어진 전기입력 버튼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창을 가압하거나 신체의 일부로 터치할 때 발생하는 전압을 감지하여 특정 전기적 신호를 생성시키는 화면터치버튼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밖에 OSD(On Screen Display), 리모트컨트롤러 및, Serial 및 I2C 등 통신입력 방식을 사용자 입력부(180)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80)를 터치함으로써, 제1영상표시부(110)를 포함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전반적인 구동방식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머신(3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머신(300)은 하우징(310)과 게임표시부(320), 게임버튼부(330) 및 음향출력부(335)를 포함한다. 이처럼 슬롯머신(300)의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10)가 구비됨에 따라 슬롯머신(300)의 게임표시부(3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게임화면에서 제공되는 본 게임과는 별도로 진행되는 제2게임이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100)에서는 게임과 관련된 영상을 출력하되, 게임의 명칭, 진행방법, 대표영상, 게임 장식영상, 승리 표시, 잭팟 표시 및 제2게임에 대한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멀티영상표시부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평면도, 이고, 도 12는 도 9의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멀티영상표시부(230)는 제1영상표시부(210)의 일위치점(P)를 꼭지점으로 하는 역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분할된 각 측면(230a)으로 입사되는 제1영상(A)을 반사시키며 고정프레임(240)에 의해 지지되어 제1영상표시부(2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영상표시부(210)는, 멀티영상표시부(230)의 복수 개로 분할된 각 측면(230a) 별로 구분되는 각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멀티영상표시부(230)가 4개의 일측면(230a)을 갖는 역사각뿔 형태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3개의 일측면을 갖는 역삼각뿔, 5개의 일측면을 갖는 역오각뿔 등 다수의 일측면을 갖는 역다각뿔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영상표시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제1영상(A)은 측면의 수량에 따라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분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상표시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제1영상(A)은 멀티영상표시부(230)의 각 측면(230a)으로 반사되기 위한 각각의 영상으로 출력되며, 멀티영상표시부(230)의 각 측면(230a)은 제1영상(A)을 90도 정반사시킴으로써, 각 측면(230a)의 전방을 향해 제1영상(A)이 출력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영상(A)은 각각 개별적인 물체 즉,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물체가 독립적으로 출력되는 영상일 수 있으며, 하나의 물체(예를 들면 주화)를 측면(230a)이 형성된 위치에서 바라보는 영상 형태로 출력될 수 있는데, 이때 출력되는 각 영상은 상호 동기화되어 하나의 물체가 멀티영상표시부(23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처럼 디스플레이되어 입체감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제1영상표시부(2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면창으로 구비되어 멀티영상표시부(230)의 복수 개로 분할된 각 측면별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거나, 측면(230a)과 동일한 수량의 화면창으로 구비되어 각 화면창 별로 멀티영상표시부(230)의 복수 개로 분할된 각 측면(230a)과 각각 대응되는 영상(A1,A2,A3,A4)을 독립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크게, 사용자 감지단계(S100) 및 출력단계(S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감지단계(S100)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측에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감지부(170)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러한 사용자 감지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되는 적외선센서, 근접센서, 열센서 등 사용자의 위치, 움직임 및 체온 등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근접함에 따른 물리적 변위를 감지함으로써, 가능하다.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사항에 따라 멀티영상(M)을 출력하는 출력단계(S200)를 수행한다.
출력단계(S200)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메인화면의 실행여부를 판단한다(S210). 메인화면이 실행되지 않으면, 설정된 메인화면을 실행한다(S212). 설정된 메인화면은 게임의 명칭, 진행방법, 대표이미지 등의 영상이 제1영상표시부(110)를 통해 제1영상(A)으로 구현되면 멀티영상표시부(130)를 통해 반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동시에 제2영상표시부(120)의 제2영상(B)도 제1영상(A)과 겹쳐지게 디스플레이되므로 메인화면인 멀티영상(M)이 깊이감 있게 디스플레이된다.
메인화면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S214).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사용자 이벤트루틴을 실행한다(S216).
즉, 메인화면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메인화면을 보고 게임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고, 게임을 원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신호를 부여하면, 사용자 이벤트루틴이 실행되어 메인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때, 메인화면에는 슬롯머신(300)의 게임표시부(320)에서 진행되는 게임과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게임의 승리여부, 금액 등 게임표시부(320)의 영상과 연통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다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
출력단계(S200)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대기화면이 실행중인지 판단한다(S220). 대기화면은 게임의 명칭, 대표이미지, 승리표시, 잭팟표시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대기화면에 의해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대기화면은 상기 메인화면과 마찬가지로, 제1영상표시부(110)와 제2영상표시부(120)에서 출력되는 제1,2영상(A,B)을 멀티영상표시부(130)를 통해 멀티영상(M)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대기화면이 실행중이지 않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대기화면의 출력신호가 있는지 판단한다(S222). 이는 사용자가 게임자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대기화면 출력신호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OSD(On Screen Display), 리모트컨트롤러 및 Serial 및 I2C 등의 토신입력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대기화면 출력신호가 없을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랙(Black)화면을 출력한다(S224). 즉, 제1,2영상(A,B)이 블랙화면으로 출력됨에 따라 하프미러부(150)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는 거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대기화면 출력신호가 있을 경우, 설정된 대기화면을 출력한다(S22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1영상표시부와 일정각도(θ)가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 멀티영상표시부의 반사면을 통해 제1영상이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영상표시장치와 사용자간의 이격거리인 주시거리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시거리가 감소됨에 따라 영상표시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적인 제약사항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상(A)이 멀티영상표시부를 통해 일정각도(θ)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므로 제1영상(A)에 대한 깊이감이 생성되며, 제1영상(A)의 후방에 제2영상표시부의 제2영상(B)이 조합된 멀티영상(M)을 함께 출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표현 방식이 폭넓어진다.
또한, 사용자 감지부에서 사용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없을 경우, 블랙화면을 출력하여 하프미러부를 이용한 거울을 제공할 수도 있고, 설정된 대기화면을 출력하여 지나가는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게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게임과 연동되는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200 : 영상표시장치 110, 210 : 제1영상표시부
112 : 영상제어부 120 : 제2영상표시부
130, 230 : 멀티영상표시부 132 : 반사면
134 : 투과면 140 : 고정부
150 : 하프미러부 152 : 미러반사면
154 : 미러투과면 160 : 토퍼박스
170 : 사용자 감지부 180 : 사용자 입력부
190 : 제어부 240 : 고정프레임
300 : 슬롯머신 310 : 하우징
320 : 게임표시부 330 : 게임버튼부
335 : 음향출력부
112 : 영상제어부 120 : 제2영상표시부
130, 230 : 멀티영상표시부 132 : 반사면
134 : 투과면 140 : 고정부
150 : 하프미러부 152 : 미러반사면
154 : 미러투과면 160 : 토퍼박스
170 : 사용자 감지부 180 : 사용자 입력부
190 : 제어부 240 : 고정프레임
300 : 슬롯머신 310 : 하우징
320 : 게임표시부 330 : 게임버튼부
335 : 음향출력부
Claims (8)
- 제1영상을 보여주는 제1영상표시부;
상기 제1영상표시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2영상을 보여주는 제2영상표시부; 및
상기 제1영상은 반사시키고, 상기 제2영상은 투과시키는 멀티영상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영상표시부는 소정의 주시거리를 갖는 상기 제1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멀티영상표시부는 반사되는 상기 제1영상과 투과되는 상기 제2영상이 중첩된 멀티영상(M)을 출력하고, 상기 제1영상표시부의 화면창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영상이 상기 멀티영상표시부의 멀티반사면에 반사되어 영상출력 기준선(L)에 도달하기까지의 거리(d)만큼 상기 소정의 주시거리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영상표시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표시부는 상기 제1영상을 상기 멀티영상표시부 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영상표시부는 상기 멀티영상표시부에서 반사되는 상기 제1영상의 반사방향과 상기 멀티영상표시부에서 투과되는 투과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멀티영상표시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멀티영상표시부는 상기 제1영상표시부 및 상기 제2영상표시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영상표시부는 반사되는 상기 제1영상과 투과되는 상기 제2영상이 중첩되어 멀티영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영상표시부 및 상기 제2영상표시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의 반사방향에는 상기 멀티영상이 투과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미러반사면과 상기 멀티영상이 입사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미러투과면을 갖는 하프미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부는 상기 멀티영상이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미러반사면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고, 일정 휘도 이상의 상기 멀티영상이 출력되면 상기 미러투과면을 통해 상기 멀티영상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제 3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일정 감지범위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가 감지범위 내로 접근하면 설정된 사항에 따라 상기 멀티영상이 출력되도록 상기 멀티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1123 | 2011-08-16 | ||
KR20110081123 | 2011-08-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9338A KR20130019338A (ko) | 2013-02-26 |
KR101308415B1 true KR101308415B1 (ko) | 2013-09-13 |
Family
ID=4789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0621A KR101308415B1 (ko) | 2011-08-16 | 2012-06-05 | 영상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841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5500A (ko) * | 2015-02-03 | 2016-08-11 | 주식회사 쓰리디팩토리 | 무안경 3d 영상을 이용한 3d 홀로그램 구현 시스템 |
KR102648411B1 (ko) * | 2016-06-16 | 2024-03-1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투명 표시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8938A (ja) | 1999-10-05 | 2001-04-20 | Samii Kk | 立体画像表示遊技機 |
JP2001174749A (ja) * | 1999-12-17 | 2001-06-29 | Samii Kk | 立体画像表示ゲーム機 |
KR20090105749A (ko) * | 2008-04-03 | 2009-10-0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허상과 실상 결합형 집적 영상 시스템 |
JP2011085830A (ja) * | 2009-10-19 | 2011-04-28 | Nikon Corp | 映像表示システム |
-
2012
- 2012-06-05 KR KR1020120060621A patent/KR1013084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8938A (ja) | 1999-10-05 | 2001-04-20 | Samii Kk | 立体画像表示遊技機 |
JP2001174749A (ja) * | 1999-12-17 | 2001-06-29 | Samii Kk | 立体画像表示ゲーム機 |
KR20090105749A (ko) * | 2008-04-03 | 2009-10-07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허상과 실상 결합형 집적 영상 시스템 |
JP2011085830A (ja) * | 2009-10-19 | 2011-04-28 | Nikon Corp | 映像表示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9338A (ko) | 2013-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09255B1 (en) | Image display device | |
US7956819B2 (en) | Stereoscopic two-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 |
US8416268B2 (en) | Image display device | |
JP5879353B2 (ja) | 頭の位置及び向きのトラッキング | |
TW200813479A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 |
JP2008219772A (ja) |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 | |
JP5049723B2 (ja) | 画像表示装置 | |
US20100134410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JP6697751B2 (ja) | 車両用表示システム、電子ミラーシステム及び移動体 | |
KR101308415B1 (ko) | 영상표시장치 | |
JP2010277019A (ja) | 画像表示装置 | |
US20080273083A1 (en) | Stereoscopic Two-Dimensional Display Device | |
KR20130123526A (ko) |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 |
JP4284158B2 (ja) | 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 |
KR101430907B1 (ko) | 상호작용 가능한 3차원 영상 장치 | |
JP2010253264A (ja) | ゲーム装置、立体視画像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 |
JPH0628452A (ja) | 3次元画像処理装置 | |
KR20110136326A (ko) | 삼차원 입체안경의 수평각 정보를 반영한 삼차원 스테레오스코픽 렌더링 시스템 | |
KR101926819B1 (ko) | 3차원 가상 버튼을 이용한 포인팅 장치 | |
KR200466901Y1 (ko) | 관찰위치 표시가 가능한 입체영상 키오스크 | |
KR100417784B1 (ko) |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 |
TWI679555B (zh) | 擴增實境系統以及提供擴增實境之方法 | |
US20240184133A1 (en) | Air floating video display apparatus | |
WO2023162690A1 (ja) | 空中浮遊映像表示装置 | |
JP2002290991A (ja) | 仮想空間提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