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263A -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263A
KR20210027263A KR1020207035888A KR20207035888A KR20210027263A KR 20210027263 A KR20210027263 A KR 20210027263A KR 1020207035888 A KR1020207035888 A KR 1020207035888A KR 20207035888 A KR20207035888 A KR 20207035888A KR 20210027263 A KR20210027263 A KR 2021002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ransparent screen
scre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 리우
송 쳉
질롱 장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by projecting aerial or floating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6Image reproducers using prisms or semi-transparent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4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giving the observer of a single two-dimensional [2D] image a perception of dep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6Pseudo-stereoscopic systems, i.e. systems wherein a stereoscopic effect is obtained without sending different images to the viewer's eyes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케이스, 투명 스크린 및 광원을 포함하며, 케이스는 챔버를 포함하며, 챔버의 일 측은 전면 패널이고, 전면 패널은 투명 형태를 나타내며, 투명 스크린은 챔버에 수용되며, 투명 스크린은 전면 패널을 정면으로 향하며, 광원은 챔버에 설치되고, 투명 스크린을 향해 발광하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투명 스크린 또는 챔버 하부에 위치하는 도립상을 형성한다. 케이스 및 투명 스크린 및 광원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광원은 광을 제공하고, 투명 스크린은 입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도립상을 형성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다.

Description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2019년 8월 28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하고, 출원 번호가 201921418888.5이며, 발명의 명칭이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 및 2019년 12월 11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하고, 출원 번호가 201922219552.2이며, 발명의 명칭이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상기 출원들의 내용은 본 출원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 차원(3 Dimensions, 3D) 디스플레이 기술은 슬릿 그레이트 방식 및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등을 포함한다. 슬릿 그레이트 방식의 원리는 투광 스트립 및 차광 스트립의 너비를 설계하고, 2D 액정 스크린과 슬릿 그레트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육안 3D 디스플레이 기기와 시청 포인트의 간격 등 파라미터의 제어를 구현하고, 시청자가 입체 시차 이미지를 정확하게 시청하려는 수요를 충족시킨다.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원리는 슬릿 그레이트 방식과 유사하고, 모두 2D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상이한 각도의 시차 이미지를 코딩하는 것을 통해 입체를 구현하며, 렌티큘러 렌즈는 구조가 동일한 다양한 실린더리컬 렌즈가 평행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종래의 3D 디스플레이 기초는 통상적으로 방안 설계가 복잡하고, 입체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투명 스크린 및 광원을 포함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의 일 측면은 전면 패널이며, 상기 전면 패널은 투명 형태를 나타내며, 상기 투명 스크린은 상기 챔버에 수용되며, 상기 투명 스크린은 상기 전면 패널을 정면으로 향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스크린을 향해 발광하며,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투명 스크린 또는 상기 챔버 하부에 위치하는 도립상을 형성한다. 케이스 및 투명 스크린 및 광원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광원은 광을 제공하고, 투명 스크린은 입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도립상을 형성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대향되는 하부 패널 및 상부 패널, 서로 대향되는 상기 전면 패널 및 배면 패널, 및 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패널, 상기 상부 패널, 상기 전면 패널, 상기 배면 패널 및 상기 측면 패널이 공동으로 둘러싸여 상기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투명 스크린은 서로 대향되는 하단 및 상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은 상기 하부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은 상기 상부 패널 또는 상기 측면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투명 스크린 또는 상기 하부 패널에 위치하는 도립상을 형성하며, 케이스의 형태가 규칙적이고, 제조하기 용이하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투명 부분 및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투명 부분의 주위에 둘러싸이며,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상부 패널, 상기 하부 패널 및 두 개의 상기 측면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투명 부분은 상기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면 패널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어, 깊이감을 향상시키고, 시각 효과가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의 상단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 패널의 거리가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 패널의 거리보다 작지 않으므로, 상기 투명 스크린과 상기 하부 패널이 수직되거나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이로써 조립이 용이해지거나 화면이 깊이감을 구비하도록 하여, 입체감을 증강시킨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은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한 경사각은 0°-30°이다. 경사각이 0°일 경우, 조립하기 용이하고, 경사각이 다른 각도일 경우, 투명 스크린의 화면의 각 영역과 사람의 두 눈 사이는 상이한 거리가 존재하므로, 관찰된 화면이 깊이감을 구비하고, 입체감을 증강되도록 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상부 패널, 상기 배면 패널 및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상기 측면 패널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에 설치된다. 광원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투명 스크린에게 백라이트를 제공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 상기 배면 패널 및 두 개의 상기 측면 패널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에는 또한 방열홀이 설치되어 있고, 방열홀을 통해 방열을 하여, 장치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품은 상기 하부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상기 반사 부품에 위치하는 도립상을 형성한다. 반사 부품을 설치하면 도립상이 더욱 선명해지고, 입체 효과가 더욱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은 상기 하부 패널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 부품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 패널과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 사이의 상기 하부 패널에 설치된다. 반사 부품을 투명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면의 일 측에 설치하여, 케이스 전면 패널을 통해 선명한 도립상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증강시킨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산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 부품은 상기 투명 스크린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 패널에 등지는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확산 부품이 상기 투명 스크린을 등지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확산 부품을 향해 발광하며, 상기 확산 부품은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투명 스크린에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확산 부품의 설치는, 투명 스크린에게 균일한 광을 제공할 수 있어, 투명 스크린의 각 위치에서의 휘도가 동일하도록 하므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휘도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아진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은 상기 하부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면 패널에는 조절 부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부품은 상기 투명 스크린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 부품은 상기 투명 스크린의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 패널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연동하여, 상기 경사각의 크기를 조절한다. 투명 스크린이 상이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조절 부품은 투명 스크린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더욱 좋은 입체 디스플레이 효과를 달성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에는 슬라이딩 홈이 개통 설치되고, 상기 조절 부품은 상기 슬라이딩 홈을 통과하여 상기 투명 스크린의 상단에 연결된다. 슬라이딩 홈을 설치하면, 케이스 외부에서 투명 스크린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해진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의 개구부는 상기 상부 패널을 향하며,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의 면에는 돌출된 호형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형 돌기부는 상기 홈에 수용된다. 호형 돌기부와 홈의 배합을 통해 투명 스크린의 하단과 하부 패널의 회전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하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또한 메인 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투명 스크린에 전기적 연결된다. 메인 보드는 투명 스크린에 플레이 소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에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인간-머신 인터랙션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또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환경의 상기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구조에 기반하여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또한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 중, 상기 스피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매칭되는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오디오와 화면이 동기화되도록 하고, 인간-머신 인터랙션 효과가 좋아진다.
아래에 실시형태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첨부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아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다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일 뿐이고,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창조적 작업없이도, 이러한 첨부 도면에 따라 다른 첨부 도면을 획득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단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단면 구조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A 위치의 부분 확대 구조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B 위치의 부분 확대 구조 예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입체 구조 예시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 설명된 실시형태가 다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일 뿐이고, 전부의 실시형태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실시형태에 기반하여,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가 창의적 작업없이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모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스(10)를 포함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케이스(10)의 전체 구조는 직육면체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는 서로 대향되는 하부 패널(도 4의 도면 표기 103을 참조) 및 상부 패널(120), 서로 대향되는 전면 패널(150) 및 배면 패널(도 6의 도면 표기 102를 참조), 및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측면 패널(110)을 포함한다. 하부 패널, 상부 패널(120), 전면 패널(150), 배면 패널 및 두 개의 측면 패널(110)이 공동으로 둘러싸여 챔버(도 6의 도면 표기 101을 참조)가 형성된다. 이의 변화 예에 있어서, 측면 패널(110)의 개수는 두 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측면 패널(110)의 개수는 4 개, 6 개, 8 개 등 복수 개이며, 복수 개의 측면 패널(110)에 의해 형성된 전체 형태는 접힌 패널 형태를 나타내며, 전면 패널(150) 일 측의 측면 패널(110) 개수는 각각 2 개, 3 개, 4 개이며, 물론, 측면 패널(110)의 개수는 또한 다른 조합이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케이스(10)가 규칙적인 직육면체를 나타내므로, 제조하기 용이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0)의 전체 형태는 직육면체 이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케이스(10)는 구형, 타원체, 절두체 등 형태를 나타낸다.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은 투명하고, 상부 패널(120), 하부 패널, 배면 패널 및 측면 패널(110)의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상부 패널(120), 하부 패널, 배면 패널 및 측면 패널(110)은 하나의 일체형 패널이며, 전면 패널(150)과 원활하게 과도되어, 완전하고 통일된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챔버(101)의 형태는 케이스(10)에 대응된다. 상기 실시예의 케이스(10)에 있어서, 구조의 변화가 다양하고, 강한 개성을 구비하고, 풍부한 전시 효과를 구비한다.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은 투명 부분(15) 및 프레임 부분(19)을 포함하고, 프레임 부분(19)은 투명 부분(15)의 주위에 둘러싸이며, 투명 부분(15)은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 등 투명 재질의 재료이다. 투명 부분(15)의 형태는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상기 직사각형의 사이즈는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의 사이즈보다 조금 작다. 투명 부분(15)의 직사각형의 길이와 너비의 비례는 흔히 보는 비디오 사이즈와 대응될 수 있고, 예를 들어 4:3, 16:9, 16:10 등이다. 투명 부분(15)을 통해 케이스(10) 내부의 구조를 볼 수 있다. 이의 변화 예에 있어서, 투명 부분(15)을 설치하지 않고,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 전체를 투명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즉 투명 부분(15) 및 프레임 부분(19)이 전부 투명하여, 이들은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10) 내부에 독특한 구조를 설치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은 입체 디스플레이 방안을 구현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메카넘 휠(12)이 설치될 수 있고, 메카넘 휠(12)은 케이스(10)를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메카넘 휠(12)은 일반적인 단방향 휠로 변형 설계될 수도 있다.
케이스(10)에는 또한 카메라(16)가 설치될 수 있고, 카메라(16)는 화면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며, 케이스(10) 내부의 구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카메라(16)는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에서, 투명 부분(15) 상부에 위치하는 프레임 부분(19)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6)는 예를 들어 가시광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이다. 카메라(16)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카메라(16)는 외부 연결 기기로서, 단독으로 설치되고,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스(10)에는 또한 스피커(17)가 설치될 수 있고, 스피커(17)는 오디오를 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스피커(17)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스피커(17)의 설치 위치는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 또는 측면 패널(110)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에는 또한 마이크 또는 마이크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케이스(10) 주위의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거나, 마이크 인터페이스와 외부 연결되는 마이크를 통해 케이스(10) 주위의 오디오 정보를 수신한다. 마이크 또는 마이크 인터페이스의 설치 위치는 스피커(17)의 설치 위치와 인접하여 전체를 형성할 수 있고,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0) 내부에는 케이스 바닥면(11), 메인 보드(60) 및 하부 패널(103)이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 바닥면(11)은 케이스(10)의 구조 베이스이며, 메카넘 휠(12)은 케이스 바닥면(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 패널(103)은 케이스 바닥면(11)이 메카넘 휠(12)에 등지는 일 측에 설치된다. 케이스 바닥면(11)과 하부 패널(103) 사이에는 수납 공간이 구비되고, 메인 보드(60)는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 설치된다. 메인 보드(60)는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고, PCB에는 칩이 설치되어 있다. 메인 보드(60)는 투명 스크린(20)에 플레이 소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4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케이스(10) 내부에는 또한 투명 스크린(20)이 설치되어 있고, 투명 스크린(20)은 전면 패널(150)에 정면으로 향하며, 즉 투명 스크린(20)의 디스플레이면은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을 향하며, 투명 스크린(20)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메인 보드(60)는 투명 스크린(20)에 전기적 연결되고, 메인 보드(60)에서의 칩은 투명 스크린(2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투명 스크린(20)은 예를 들어 백라이트 모듈이 제거된 액정 스크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0)는 직육면체를 나타내고, 직육면체인 챔버(101)를 구비하며, 투명 스크린(20)은 챔버(101)에 수용된다. 투명 스크린(20)은 서로 대향되는 하단(21) 및 상단(22)을 포함하고, 하단(21)은 케이스(10)의 하부 패널(103)에 설치되며, 상단(22)은 케이스(10)의 상부 패널(120) 또는 측면 패널(110)에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0)가 다른 형태를 나타낼 경우, 예를 들어 상부 패널(120) 및 하부 패널(103)이 설치되지 않고, 상부 패널(120), 하부 패널(103), 배면 패널(102) 및 측면 패널(110)이 하나의 일체형 패널일 경우, 챔버(101)는 케이스(10)에 대응되는 형태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 투명 스크린(20)의 하단(21)은 챔버(10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단(22)은 챔버(101)의 상부에 설치되며, 투명 스크린(20)의 형태는 챔버(101)의 형태에 대응되며, 에지는 일정한 호도를 구비할 수 있다.
투명 스크린(20)과 전면 패널(150) 사이에는 간격 거리가 구비될 수 있고, 투명 스크린(20)과 전면 패널(150) 사이의 간격은 화면의 깊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명 스크린(20)과 전면 패널(150)은 긴밀하게 설치될 수도 있어, 시야 각도가 더욱 크다. 투명 스크린(20)은 관찰하는 시야 창을 제공하고, 한편으로 투명 스크린(20)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10) 내부에는 또한 광원이 설치될 수 있고, 광원은 투명 스크린(20)을 향해 발광한다. 광원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4에서 제1 광원(41), 제2 광원(42) 및 제3 광원(43)을 도시하며, 제1 광원(41) 및 제2 광원(42)은 케이스(10)의 두 개의 측면 패널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제3 광원(43)은 하부 패널(103)에 대향되는 상부 패널(110)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 광원(41), 제2 광원(42) 및 제3 광원(43)은 하나 또는 두 개만 설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배면 패널(102)에는 광원이 설치될 수도 있고, 배면 패널(102)에 설치된 광원은 전술한 제1 광원(41), 제2 광원(42) 및 제3 광원(43)과 유사하며, 또한, 광원의 전체 개수는 1 개, 2 개, 3 개 및 4 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광원은 구체적으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다. 광원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투명 스크린(20)에 백라이트를 제공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를 구현한다. 상기 광원의 설치 형태는 면 광원의 형태를 사용하여, 챔버(101) 내부가 균일한 광 환경을 나타내도록 한다.
선택 가능한 광원 설치 방안에 있어서, 배면 패널(102)이 투명 스크린을 정면으로 향하므로, 배면 패널(102)은 메인 광원으로 설치되고, 배면 패널(102)의 메인 광원은 투명 스크린(20)에 주요한 광을 제공하며, 제1 광원(41), 제2 광원(42) 및 제3 광원(42)은 보조 광원이며, 투명 스크린(20)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체 디스플레이 원리에 있어서, 육안으로 물체가 입체적인지 여부에 대한 감각은 일반적으로 물체 자체의 외형 및 물체의 빛 그림자 효과이고, 상기 빛 그림자 효과는 예를 들어 물체의 상이한 영역에서의 밝은 빛 및 어두운 빛, 광이 물체에 비춘 후 땅에서의 투영(즉 도립상)이다. 상기 원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광원은 투명 스크린(20)에 광을 제공하고, 투명 스크린(20)은 메인 보드(60)에 의해 전송된 입체 비디오 또는 사진의 신호를 수신한 후, 투명 스크린(20)은 상기 입체 비디오 또는 사진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도립상을 형성하며,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의 투명 부분(15)을 통해 투명 스크린(20)의 화면 및 화면의 도립상을 볼 수 있음으로써, 사람이 눈으로 입체 화면을 관찰하도록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립상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제어를 통해 투명 스크린(20)에 형성되고, 즉 투명 스크린(20)은 입체 비디오 또는 사진의 화면 및 상기 화면의 도립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람이 눈으로 입체 화면을 관찰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립상은 하부 패널(103)에 형성되고, 즉 챔버(101)의 하부의 벽면에 형성된다. 케이스(10)의 챔버(101) 내부에 설치된 투명 스크린(20)이 투명 형태를 나타내므로, 투명 스크린(20)에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화면은 불 투명한 형태이며, 광원의 광이 투명 스크린(20)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비춘 후, 하부 패널(103)에서 도립상을 형성함으로써, 사람이 눈으로 입체 화면을 관찰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스(10) 및 투명 스크린(20) 및 광원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광원은 광을 제공하고, 투명 스크린(20)은 입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도립상을 형성하므로, 입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아진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일부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20)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예를 들어 가상 인물의 애니메이션이고, 사람이 케이스(10) 앞에서 동작을 할 경우, 투명 스크린(20)에서의 가상 인물은 대응하는 동작을 하므로, 인간-머신 인터랙션을 구현한다. 그 구현 방법에 있어서, 메인 보드(60)에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가 설치되어 있고,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는 칩과 통합될 수 있으며,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칩이고, 송수신기는 독립적인 소재이다. 프로세서는 송수신기를 통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조정하며, 예를 들어 가상 인물의 애니메이션 정보이다.
송수신기가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케이스(10)에서의 카메라(16)를 통해 획득할 수 있고, 서버 또는 다른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송수신기가 사운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케이스(10)에서의 마이크 또는 외부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획득할 수 있고, 서버 또는 다른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사운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조정하는 방법은 로컬의 기설정된 책략에 기반하여 조정할 수 있고, 송수신기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서버의 조정을 통해, 서버에 의해 피드백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16)는 프로세서에 전기적 연결되고; 카메라(16)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환경의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프로세서에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는 이미지 정보에 응답하여, 투명 스크린(20)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가상 인물의 애니메이션 정보이다. 카메라(16)를 통해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구조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고, 조작이 편리하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또한 투명 스크린(20)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어 가상 인물의 애니메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중, 스피커(17)를 통해 화면에 매칭되는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하여, 오디오와 화면이 동기화되도록 하고, 인간-머신 인터랙션 효과가 좋아지도록 한다.
도 4,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챔버(101) 내부에는 반사 부품(50)이 설치되어 있고, 반사 부품(50)은 하부 패널(103)에 설치되며, 투명 스크린(20)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반사 부품(50)에 위치하는 도립상을 형성한다. 반사 부품(50)은 예를 들어 반사막이다. 반사 부품(50)은 상기 도립상을 반사할 수 있고,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을 통해 투명 스크린(20)의 화면 및 반사 부품(50)의 도립상을 볼 수 있으므로, 입체 디스플레이를 구현한다. 하부 패널(103)에서 형성된 도립상에 비해, 반사 부품(50)을 설치하면 도립상이 더욱 선명하고, 입체 효과가 더욱 좋아지도록 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을 참조하면, 챔버(101) 내부에는 또한 확산 부품(30)이 설치되어 있고, 확산 부품(30)은 투명 스크린(20)이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을 등지는 일 측에 설치된다. 확산 부품(30)은 예를 들어 확산 필름이고, 확산 필름은 투명 스크린(20)에 평행될 수 있으며, 확산 필름은 굴곡 형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광원은 확산 부품(30)이 투명 스크린(20)을 등지는 일 측으로부터 확산 부품(30)을 향해 발광한다. 확산 부품(30)은 광원의 광을 수신하고 투명 스크린(2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확산 부품(30)의 설치는, 투명 스크린(20)에 균일한 광을 제공할 수 있어, 투명 스크린(20)의 각 위치에서의 휘도가 동일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휘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며, 디스플레이 효과가 좋아지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 스크린(20)은 백라이트 모듈이 제거된 액정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어, 투명 스크린(20)이 투명 형태를 나타내도록 하고, 투명 스크린(20)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이 불 투명하도록 함으로써, 하부 패널(103) 또는 반사 부품(50)에서 화면의 투영(도립상)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 스크린(20)은 백라이트 소스가 부족함으로써, 확산 부품(30)을 설치하고, 외부에 설치된 광원을 통해 확산 부품(30)에 광을 발사하며, 확산 부품(30)은 광원이 균일해진 후 투명 스크린(20)에 발사하여, 투명 스크린(20)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백라이트 모듈이 존재하지 않는 액정 스크린은 백라이트 모듈의 완성된 액정 스크린을 제거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패널 업체에서 백라이트 모듈을 조립하지 않은 액정 스크린을 구매할 수도 있다. 액정 스크린은 공지된 제품이고, 스크린 자체의 구조를 개진해야만 입체 디스플레이를 구현 가능한 기존의 3D 디스플레이 방안에 비해, 더욱 편리하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투명 부분(15)) 및 투명 스크린(20)은 평면 패널 구조이고,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은 하부 패널(103)에 수직되며, 케이스(10)의 측면 패널의 정면 투영 중, 투명 스크린(20)은 제1 직선을 나타내며,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은 제2 직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설치하면, 복잡한 화면, 호면 등 설계에 비해, 구조를 추가로 간략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은 평면 패널 구조일 수 있고, 투명 스크린(20)은 굴곡면 또는 호면 스크린일 수 있어, 개성이 있는 입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독특한 입체 효과를 구비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전면 패널(150)은 비 평면 패널 구조이고, 즉, 투명 부분(15)은 프레임 부분(19)으로부터 배면 패널(102)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다.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관찰하면, 전면 패널(150)은 중부가 함몰된 구조를 나타낸다. 프레임 부분(19)은 제1 프레임(191) 및 제2 프레임(192)을 포함하고, 제1 프레임(191)은 하부 패널 및 투명 부분(15)을 연결하며, 제2 프레임(192)은 “ㄷ” 형태를 나타내며, 투명 부분(15)의 나머지 3 개의 측 변에 연결되며, 투명 부분(15)의 대응되는 측면 패널 에지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1 프레임(191)의 너비는 제2 프레임(192)의 너비보다 크므로, 투명 부분(15)으로부터 하부 패널까지의 거리가 더욱 멀도록 하며, 투명 부분(15)이 높은 높이를 구비하므로, 투명 부분(15)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를 관찰하기 용이하다. 투명 부분(15)의 함몰된 구조로 인해, 또한 깊이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 좋은 시각적 효과를 획득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투명 스크린(20)의 하단(21)은 하부 패널(103)의 중부에 설치되고, 반사 부품(50)은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또는 투명 부분(15))과 투명 스크린(20)의 하단(21) 사이의 하부 패널(103)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반사 부품(50)은 투명 스크린(20)의 디스플레이면의 일 측에 설치된다. 투명 스크린(20)의 디스플레이면이 케이스(10)의 전면 패널(150)을 향하고, 반사 부품(50)을 투명 스크린(20)의 디스플레이면의 일 측에 설치하므로, 케이스(10)의 전면 패널을 통해 선명한 도립상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입체감을 증강시킨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투명 스크린(20)의 상단(22)과 케이스(10)의 전면 패널의 거리가 하단(21)과 케이스(10)의 전면 패널의 거리보다 작지 않으므로, 투명 스크린(20)이 하부 패널(103)에 수직되거나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전술한 한 가지 실시예에서의 케이스(10)의 전면 패널 및 투명 스크린(20)이 평면 패널 구조일 경우, 측면 패널의 투영에서, 제1 직선과 제2 직선 사이는 제1 협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협각은 투명 스크린(10)이 하부 패널(103)에 대한 경사각이며, 제1 협각은 0°-30° 중 어느 하나이다. 예를 들어, 제1 협각은 0°, 2°, 4°, 5°, 7°, 15°, 25°, 27° 등일 수 있고, 또한 상기 각 인접한 두 개의 각도 중 임의의 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협각은 4.5°, 7.8°, 12.1° 등이며, 더이상 예를 들지 않는다. 제1 협각이 0°일 경우, 투명 스크린(20)은 하부 패널(103)에 수직되고, 케이스(10)의 전면 패널에 평행되므로, 조립하기 용이하다. 제1 협각이 0° 이외의 다른 각도일 경우, 투명 스크린(20)은 하부 패널(103)에 비해 경사지고, 투명 스크린(20)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투명 스크린(20)의 화면의 각 영역과 두 눈 사이에 상이한 거리가 구비되므로, 관찰된 화면이 깊이감을 구비하고, 입체감을 증강시키도록 한다. 투명 스크린(20)이 굴곡면 또는 호면 스크린일 경우, 상기 경사각은 투명 스크린(20)의 하단(21)과 상단(22)의 연결선과 케이스(10)의 전면 패널의 협각이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투명 스크린(20)의 하단(21)은 하부 패널(1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측면 패널에는 조절 부품(18)이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절 부품(18)은 투명 스크린(20)의 상단(22)에 연결되고, 조절 부품(18)은 투명 스크린(20)의 상단(22)이 케이스(10)의 전면 패널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하여, 제1 협각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의 투명 스크린(20)의 경사 각도는 조절될 수 있다. 투명 스크린(20)이 상이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조절 부품(18)은 투명 스크린(20)의 경사 각도 디스플레이하여, 더욱 좋은 입체 디스플레이 효과를 달성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투명 스크린(20)은 고정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없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측면 패널에는 슬라이딩 홈(105)이 개통 설치되어 있고, 조절 부품(18)은 슬라이딩 홈(105)을 통해 투명 스크린(20)의 상단(22)에 연결된다. 조절 부품(18)은 볼트, 기어, 레버 등 구조일 수 있다. 슬라이딩 홈(105)을 설치하여, 케이스(10) 외부에서 투명 스크린(2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다.
구체적인 조절 방식은 조절 부품(18)이 볼트인 것을 예로 설명하고, 볼트의 스크류는 슬라이딩 홈(105)을 통해 투명 스크린(20)의 상단(22)에 볼트 연결되며, 볼트의 너트는 케이스(10)의 측면 패널에 위치한다. 투명 스크린(20)의 경사 각도를 조정해야 할 경우, 너트를 회전시키고, 너트는 스크류를 연동하여 회전하여, 투명 스크린(20)이 느슨해지도록 하며, 너트를 이동하여 슬라이딩 홈(105)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며, 투명 스크린(20)의 상단(22)은 따라서 이동되며, 하단(21)은 회전하지만 이동되지 않으며, 위치에 도착한 후 너트 및 스크류를 조여, 투명 스크린(20)의 경사 각도 조정을 구현할 수 있다. 조절 부품(18)은 케이스(10)의 일 측의 측면 패널에 설치될 수 있거나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측면 패널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측의 측면 패널에 설치될 경우, 조절 부품(18)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조절 부품(18)의 개수가 복수 개일 경우,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패널(103)에는 홈(109)이 설치되어 있고, 홈(109)의 개구부는 상부 패널을 향하며, 투명 스크린(20)의 하단(21)의 면에는 돌출된 호형 돌기부(211)가 설치되어 있으며, 호형 돌기부(211)는 홈(109)에 수용된다. 하부 패널(103)의 두께가 충분할 경우, 홈(109)은 하부 패널(103)에서 홈을 파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하부 패널(103)의 두께가 부족할 경우, 하부 패널(103)의 일부 위치에서 하나의 굴곡부(104)를 펀칭할 수 있고, 상기 굴곡부(104)가 둘러싸여 상기 홈(109)을 형성한다. 호형 돌기부(211)와 홈(109)의 배합을 통해 투명 스크린(20)의 하단(21)과 하부 패널(103)의 회전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 및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투명 스크린(20)의 프레임은 상기 홈(109)에 수용되어, 투명 스크린(20)의 프레임을 숨길 수도 있어, 케이스(10) 외부에서 투명 스크린(20)의 프레임을 볼 수 없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패널(103)에는 홈을 설치하지 않고, 돌출된 샤프트 등 구조를 설치할 수 있어, 투명 스크린(20)과의 회전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면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배면 패널(102)에는 또한 방열홀(1021)이 설치되어 있고, 방열홀(1021)의 개수, 형태, 배열 방식 등은 다양한 변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방열홀(1021)을 설치하여 케이스(10) 내부에서 방열할 수 있고,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패널(120), 측면 패널(110)에도 방열홀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 개시된 것은 다만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일 뿐이고, 물론 이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못하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상기 실시형태의 전부 또는 일부 플로우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따른 동일한 변화가, 본 발명이 포함하는 범위에 여전히 속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투명 스크린 및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의 일 측면은 전면 패널이며, 상기 전면 패널은 투명 형태를 나타내며, 상기 투명 스크린은 상기 챔버에 수용되며, 상기 투명 스크린은 상기 전면 패널에 정면으로 향하며, 상기 광원은 상기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스크린을 향해 발광하며,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상기 투명 스크린 또는 상기 챔버 하부에 위치하는 도립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대향되는 하부 패널 및 상부 패널, 서로 대향되는 상기 전면 패널 및 배면 패널, 및 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패널, 상기 상부 패널, 상기 전면 패널, 상기 배면 패널 및 상기 측면 패널이 공동으로 둘러싸여 상기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 스크린은 서로 대향되는 하단 및 상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은 상기 하부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은 상기 상부 패널 또는 상기 측면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상기 투명 스크린 또는 상기 하부 패널에 위치하는 도립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투명 부분 및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투명 부분의 주위에 둘러싸이며,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상부 패널, 상기 하부 패널 및 두 개의 상기 측면 패널에 연결되며, 상기 투명 부분은 상기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상기 배면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의 상단과 상기 전면 패널의 거리가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과 상기 전면 패널의 거리보다 작지 않으므로, 상기 투명 스크린이 상기 하부 패널에 수직되거나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이 상기 하부 패널에 대한 경사각의 각도는 0°-30°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상부 패널, 상기 배면 패널 및 두 개의 상기 측면 패널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 상기 배면 패널 및 두 개의 상기 측면 패널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에는 또한 방열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품은 상기 하부 패널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은 상기 반사 부품에 위치하는 도립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은 상기 하부 패널의 중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 부품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 사이의 상기 하부 패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확산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 부품은 상기 투명 스크린이 상기 전면 패널을 등지는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확산 부품이 상기 투명 스크린을 등지는 일 측으로부터 상기 확산 부품을 향해 발광하며, 상기 확산 부품은 상기 광원의 광을 상기 투명 스크린에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은 상기 하부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면 패널에는 조절 부품이 설치되며, 상기 조절 부품은 상기 투명 스크린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조절 부품은 상기 투명 스크린의 상단이 상기 전면 패널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하여, 상기 경사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에는 슬라이딩 홈이 개통 설치되고, 상기 조절 부품은 상기 슬라이딩 홈을 통해 상기 투명 스크린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널에는 홈이 설치되고, 상기 홈의 개구부는 상기 상부 패널을 향하며, 상기 투명 스크린의 하단의 면에는 돌출된 호형 돌기부가 설치되며, 상기 호형 돌기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또한 메인 보드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투명 스크린에 전기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에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가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 및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또한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환경의 상기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또한 스피커가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투명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 중, 상기 스피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매칭되는 오디오 정보를 플레이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7035888A 2019-08-28 2020-05-08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272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418888.5 2019-08-28
CN201921418888 2019-08-28
CN201922219552.2U CN211506059U (zh) 2019-08-28 2019-12-11 立体显示装置
CN201922219552.2 2019-12-11
PCT/CN2020/089236 WO2021036333A1 (zh) 2019-08-28 2020-05-08 立体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263A true KR20210027263A (ko) 2021-03-10

Family

ID=7241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888A KR20210027263A (ko) 2019-08-28 2020-05-08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25362B2 (ko)
JP (1) JP2022501850A (ko)
KR (1) KR20210027263A (ko)
CN (1) CN211506059U (ko)
SG (1) SG11202013055XA (ko)
TW (1) TWM604891U (ko)
WO (1) WO2021036333A1 (k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2507A (ja) * 1993-02-17 1994-09-02 Canon Inc 画像投影装置
JPH07234645A (ja) * 1994-02-24 1995-09-05 Hitachi Ltd 画像表示装置の回動装置
US5639151A (en) * 1996-02-16 1997-06-17 Mcnelley; Steve H. Pass-through reflective projection display
JP3950221B2 (ja) * 1998-02-19 2007-07-2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255876A (ja) * 2002-03-05 2003-09-10 Seiko Epson Corp 映像表示装置付き自走車両
TWI248017B (en) * 2003-03-27 2006-01-21 Benq Corp A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s
US20060120034A1 (en) * 2004-12-03 2006-06-08 Ching-Hsien Huang LCD structure with excellent heat dissipation efficiency
JP2010160272A (ja) * 2009-01-07 2010-07-22 Canon Inc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692738B2 (en) * 2011-06-10 2014-04-08 Disney Enterprises, Inc. Advanced Pepper's ghost projection system with a multiview and multiplanar display
KR101396860B1 (ko) * 2013-04-25 2014-05-20 주식회사 토비스 입체영상장치
CN104238632A (zh) * 2013-06-14 2014-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JP6090460B2 (ja) * 2013-09-13 2017-03-08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50061574A (ko) * 2013-11-27 2015-06-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테두리
CN103888755B (zh) * 2014-03-20 2015-04-08 深圳创锐思科技有限公司 电子显示设备的显示方法
KR20160073721A (ko) *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토비스 절곡된 곡면형태의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곡면형 디스플레이장치
US10180596B2 (en) * 2015-02-03 2019-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20160266543A1 (en) 2015-03-09 2016-09-15 Ventana 3D, Llc Three-dimensional image source for enhanced pepper's ghost illusion
JP6824922B2 (ja) * 2015-07-15 2021-02-03 Gatebox株式会社 表示装置
CN204964982U (zh) * 2015-09-18 2016-01-13 摩拓为(北京)科技有限公司 幻影成像系统
JP2018042155A (ja) * 2016-09-09 2018-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197844A (ja) 2017-05-23 2018-12-13 ヘ−ヨン・チョイ 空間分離映像装置
US10437328B2 (en) * 2017-09-27 2019-10-08 Igt Gaze detection using secondary input
KR102005482B1 (ko) * 2017-10-20 2019-10-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홀로그램 영상 표시 장치
CN208969353U (zh) * 2018-10-30 2019-06-11 安徽工程大学 一种基于透明oled的3d显示装置
CN209231658U (zh) * 2018-12-29 2019-08-09 朱俊舟 一种裸眼立体广告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604891U (zh) 2020-12-01
CN211506059U (zh) 2020-09-15
JP2022501850A (ja) 2022-01-06
SG11202013055XA (en) 2021-04-29
WO2021036333A1 (zh) 2021-03-04
US11425362B2 (en) 2022-08-23
US20210120226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1625A (en) Optical apparatus for producing a natural, viewable and optically interactive image in free space
TWI557491B (zh) 組合式可見光及非可見光投影系統
US980440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rame
US20070164975A1 (en) Display device
JP6143161B2 (ja) 表示装置
WO2010007787A1 (ja) 裸眼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裸眼立体映像表示装置、遊技ゲーム機、パララックスバリアシート
WO2013146191A1 (ja) 表示装置
WO2013161498A1 (ja) 表示入力装置
US20120081524A1 (en) Two dimensional media combiner for creating three dimensional displays
JP2009098326A (ja) 三次元画像形成装置
JP2007041218A (ja) 画像表示装置
JP3853297B2 (ja) 画像表示装置
US5993005A (en) Video wall
CN102841446B (zh) 立体图像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210027263A (ko)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0229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JP2014130309A (ja) 表示装置
US9762892B2 (en) Auto-multiscopic 3D display and camera system
KR20080112832A (ko) 입체영상 표시시스템
JP2018105902A (ja) 両面投影システム、及び両面投影方法
KR101600239B1 (ko) 직접 투과 홀로그램 편광 스크린을 구비하는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205924A1 (en)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isplay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thereof
KR20100097934A (ko) 준-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CN103076684A (zh) 一种用于背投成像系统的可呈现裸眼立体效果的新型光栅
JP2001021833A (ja) 透明球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