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712A - 통신장치와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장치와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712A
KR20160026712A KR1020150118541A KR20150118541A KR20160026712A KR 20160026712 A KR20160026712 A KR 20160026712A KR 1020150118541 A KR1020150118541 A KR 1020150118541A KR 20150118541 A KR20150118541 A KR 20150118541A KR 20160026712 A KR20160026712 A KR 20160026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function
relay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736B1 (ko
Inventor
료스케 사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통신장치는, 제2의 다른 장치에 접속 가능한 제1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와, 통신부를 사용해서 제1의 다른 장치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통신부를 사용해서 중계 기능의 개시를 제1의 다른 장치에게 요구하도록 구성된 요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와 통신장치의 제어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통신장치와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며, 무선 LAN 기능을 갖고 다른 무선 LAN 기기와 통신을 행하는 휴대장치가 많이 존재한다. 또한, 장치 자신이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AP)로서 동작함으로써 다른 통신장치에 대한 모뎀으로서 동작하는, 테더링으로 불리는 중계 기능도 보급되어 왔다. 스마트폰이 외부 중계장치로서 역할을 하도록 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클라우드 서비스의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11-39793호 공보 참조).
또한, 무선 LAN이나 버전 3.0 이전과 비교해서 작은 소비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한 Bluetooth(등록상표) Low Energy(이하 BLE라고 부른다)가 Bluetooth 4.0 사양의 일부로서 규격화되었다(Bluetooth SIG, 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SYSTEM(ver 4.0) 참조). 최근, BLE 통신기능을 서포트하는 스마트폰도 보급되어 왔고, BLE을 사용해서 중계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장치(예를 들면, 손목 시계)도 존재한다.
단, 이러한 스마트폰이 항상 중계 기능(예를 들면, 테더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중계 기능을 구현하지 않는 스마트폰이나, 또는 중계 기능을 구현하고 있지만 네트워크 캐리어의 설정에 의해 중계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스마트폰도 존재한다. 스마트폰이 무선 LAN의 클라이언트로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해서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동시에 중계 기능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관련기술에서는, 통신장치가 중계 기능의 개시를 요구할 때, 외부 중계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폰이 중계 기능을 실시할 수 있는지 아닌지는 고려되지 않고 있었다. 그 때문에, 중계 기능을 실시할 수 없는 스마트폰에 대해 중계 기능의 개시를 통신장치가 요구하여,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부 중계장치의 중계 기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가, 적절한 외부 중계장치에 대해 중계 기능의 개시를 요구해서, 통신장치를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을 저감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제2의 다른 장치에 접속 가능한 제1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중계 기능의 개시를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게 요구하도록 구성된 요구부를 구비한 통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통신장치로서, 제1 통신 규격에 근거한 무선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 규격과는 다른 제2 통신 규격에 근거한 무선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무선통신의 소비 전력이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한 무선통신의 소비 전력보다 크고, 상기 통신장치는, 제1의 다른 장치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1의 다른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기 통신장치와 제2의 다른 장치 사이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 것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와 접속하고,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제2의 다른 장치 사이의 중계 기능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와 접속하지 않도록 구성된 접속부와, 상기 제1의 다른 장치가 상기 접속부에 의해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게 상기 제2의 다른 장치와의 중계를 요구하도록 구성된 요구부를 더 구비한 통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제2의 다른 장치에 접속 가능한 제1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중계 기능의 개시를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게 요구하는 요구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의 기능 블록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중계장치(스마트폰)의 테더링 실시 가능 상황을 관리하는 디바이스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와 중계장치(스마트폰) 사이의 통신 시퀀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배치, 수식 및 수치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1. 통신 시스템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장치(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가, 중계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중계 기능(예를 들면, 테더링 기능)의 실행 유효/무효 정보(실행 가능, 실행중, 실행 불가능 등)를 통신부(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Low Energy(BLE))를 거쳐 취득하고, 중계 기능을 실행 가능한 중계장치에 대해 중계 기능의 개시를 요구하는 예를 설명한다. 통신장치는 해당 중계장치를 거쳐 외부 서버와 접속해서, 화상 업로드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실행 유효/무효 정보는 중계장치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정보이다.
우선,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900)의 구성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1)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이며, 스마트폰(910)과 BLE 통신(950) 및 무선 LAN 통신(951)을 거쳐 접속가능하다. 여기에서, 무선 LAN 통신이란,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통신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무선 LAN 통신(951)보다도 BLE 통신(950)에서, 무선통신에 관련되는 소비 전력이 낮다. 환언하면, BLE 통신(950)보다도 무선 LAN 통신(951)에서 무선통신에 관련되는 소비 전력이 높다.
스마트폰(910)은 공중망 통신(960)을 거쳐 공중망 안테나(920)와 접속하고, 인터넷(930)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폰(910)은 무선 LAN 통신(951)과 공중망 통신(960)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테더링 기능을 갖는다. 디지털 카메라(1)는 해당 테더링 기능을 이용해서 인터넷(930) 상의 외부 서버(940)와 통신을 행하고, 디지털 카메라(1)에 기억된 화상/영상 데이터를 외부 서버(940)에 업로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는 BLE 통신(950) 또는 무선 LAN 통신(951)을 거쳐, 테더링 기능을 갖지 않는 스마트폰(910) 이외의 스마트폰(미도시)과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2. 통신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디지털 카메라(1)는, Host부(10)와, BLE 콘트롤러부(11), Wi-Fi 콘트롤러부(12)를 구비하고 있다.
Host부(10)는, 표시부(100)와, 조작부(101)와, 기억부(102)와, 전원부(103)와, BLE 콘트롤러 I/F(104)와, 촬상부(105)와, 제어부(106)와, ROM(107)과, RAM(108)과, Wi-Fi 콘트롤러 I/F(109)를 구비한다.
표시부(100) 및 조작부(101)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거나 조작을 접수한다. 기억부(102)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정보, 데이터 송수신 정보 및 화상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관리한다. 전원부(103)는, 예를 들면, 배터리로서, Host부(10) 및 Wi-Fi 콘트롤러부(12)에 전력을 공급한다. BLE 콘트롤러 I/F(104)는, BLE 콘트롤러부(11)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촬상부(105)는 사진이나 동화상의 촬영을 행한다. 제어부(106)는 예를 들면, CPU이며, 디지털 카메라(1)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107)은, 제어 명령, 즉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RAM(108)은, 데이터를 일시 보존하는데 사용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워크 메모리로서 역할을 한다. Wi-Fi 콘트롤러 I/F(109)는 Wi-Fi 콘트롤러부(12)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BLE 콘트롤러부(11)는, Host I/F(110)와, 전원부(111)와, ROM(112)과, RAM(113)과, 제어부(114)와, BLE 안테나 제어부(115)와, BLE 안테나(116)를 구비한다.
Host I/F(110)는, Host부(10)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전원부(111)는 예를 들면 배터리이며, BLE 콘트롤러부(11)에 전력을 공급한다. ROM(112)은 제어 명령, 즉 프로그램. 특히 통신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RAM(113)은 데이터를 일시 보존하는데 사용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워크 메모리로서 역할을 한다. 제어부(114)는 예를 들면 CPU이며, BLE 콘트롤러부(11)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BLE 안테나 제어부(115)는, BLE 안테나(116)를 제어하여, BLE 통신을 행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BLE 콘트롤러부(11)는, Host부(10) 및 Wi-Fi 콘트롤러부(12)와 독립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BLE 콘트롤러부(11)는, 전원부 103이 Host부(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정지하더라도, 전원부 111로부터의 전원공급에 의해 기동하여, 외부의 통신장치와 BLE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Wi-Fi 콘트롤러부(12)는, Host I/F(120)와, Wi-Fi 안테나 제어부(121)와, Wi-Fi 안테나(122)를 구비한다. Host I/F(120)는, Host부(10)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Wi-Fi 안테나 제어부(121)는, Wi-Fi 안테나(122)를 제어하여, 무선 LAN 통신을 행한다.
<3. 통신장치의 기능 구성>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1))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하에서 나타낸 각 기능 블록의 기능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실시된다. 그러나,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하드웨어로 구현되어도 된다.
디지털 카메라(1)는, Wi-Fi 통신 제어부(210)와, BLE 통신 제어부(220)와, 전원 제어부(230)와, 업로드 처리부(240)와,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와, 중계장치 제어부(260)와,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를 구비한다.
Wi-Fi 통신 제어부(210)는, Wi-Fi 안테나 제어부(121)를 거쳐 무선 LAN 통신을 제어한다. Wi-Fi 통신 제어부(210)의 처리 내용은 프로그램으로서 ROM 107에 기억되고, 제어부(106)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Wi-Fi 통신 제어부(210)의 기능이 실행된다.
BLE 통신 제어부(220)는, BLE 안테나 제어부(115)를 거쳐 BLE 통신을 제어한다. BLE 통신 제어부(220)의 처리 내용은 프로그램으로서 ROM 112에 기억되고, 제어부(114)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BLE 통신 제어부(220)의 기능이 실시된다.
전원 제어부(230)는, 전원부 103 및 111에 의해 전원공급을 on/off 제어한다. 전원 제어부(230)의 처리 내용은, ROM 107 및 112의 각각에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되고, 제어부 106 및 114가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할 때 전원 제어부(230)의 기능이 실시된다. 전원 제어부(230)의 처리를 실시하는 프로그램은, 제어부 106에서 동작해서 전원부 111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 제어부 114에서 동작해서 전원부 103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업로드 처리부(240)는, 기억부(102)에 기억된 화상/영상 데이터를, Wi-Fi 안테나 제어부(121)를 거쳐 외부 서버(940)에 전송한다. 업로드 처리부(240)의 처리 내용은 프로그램으로서 ROM 107에 기억되고, 제어부 106부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업로드 처리부(240)의 기능이 실시된다.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BLE 통신 제어부(220)를 거쳐 접속한 중계장치의 정보를 관리한다.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의 처리 내용은, RAM 108에 기억되는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후술한다)을 조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ROM 107에 기억되고, 제어부 106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의 기능이 실시된다.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BLE 통신 제어부(220)를 거쳐 접속한 중계장치에 대해, 해당 중계장치의 무선 LAN 기능의 제어 요구 및 정보 취득을 행한다. 중계장치 제어부(260)의 처리 내용은, ROM 107 및 112 각각에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되고, 제어부 106 및 114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중계장치 제어부(260)의 기능이 실시된다.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는, RAM(113)에 기억되는 외부 통신장치의 식별자 리스트(화이트 리스트)를 관리한다.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의 처리 내용은 프로그램으로서 ROM 112에 기억되고, 제어부(114)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의 기능이 실시된다.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는, 화이트 리스트에 외부 통신장치의 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BLE 통신 패킷만을 처리하고, 그 이외의 BLE 통신 패킷을 파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는,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BLE 통신의 접속 요구 패킷을 파기하고, 상기 외부 통신장치와의 BLE 통신에 의한 접속을 거부한다.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는, 화이트 리스트에 외부 통신장치의 식별자가 전혀 기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외부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는 BLE 통신 패킷을 처리한다.
여기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가 관리하는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에 대해 설명한다.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은, 중계장치마다 레코드를 갖는 관리 테이블이다. 각 레코드는 디바이스 식별자(810), STA 기능(820), AP 기능(830), 테더링 기능(840), AP 실행 상태(850) 및 테더링 실행 상태(860)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디바이스 식별자(810)는, 중계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이며, 예를 들면, 중계장치의 Bluetooth 어드레스나 MAC 어드레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디바이스 식별자(810)는,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의 레코드를 고유하게 특정하는 값이다.
STA 기능(820)은, 디바이스 식별자(810)에 의해 특정되는 중계장치가 무선 LAN의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BLE 통신에 의한 요구에 따라 외부에서 해당 스테이션 기능을 개시/정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AP 기능(830)은, 디바이스 식별자(810)에 의해 특정되는 중계장치가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BLE 통신에 의한 요구에 따라 외부에서 해당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개시/정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테더링 기능(840)은, 디바이스 식별자(810)에 의해 특정되는 중계장치가 무선 LAN 통신을 거쳐 테더링 기능을 갖고, 또한 BLE 통신에 의한 요구에 따라 외부에서 해당 테더링 기능을 개시/정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STA 기능(820), AP 기능(830) 및 테더링 기능(840)은 각각 "유" 및 "무"의 2개의 값으로 표시된다.
AP 실행 상태(850)는, AP 기능(830)이 "유"인 중계장치의 액세스 포인트 기능의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값이다. AP 실행 상태(850)는 "실행 가능", "실행중" 및 "실행 불가"의 3개의 값으로 표시된다. "실행 가능"은, 중계장치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비실행이고 또한 BLE 통신에 의한 요구에 따라 외부에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실행중"은, 중계장치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실행중인 것을 표시한다. "실행 불가"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비실행이고 또한 BLE 통신에 의한 요구에 따라 외부에서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일시적으로 개시할 수 없는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중계장치가 무선 LAN의 스테이션으로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고, 중계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AP 기능(830)이 "무"인 중계장치에 있어서는, AP 실행 상태(850)의 값은 무효이다.
테더링 실행 상태(860)는, 테더링 기능(840)이 "유"인 중계장치의 테더링 기능의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값이다. 테더링 실행 상태(860)는 "실행 가능", "실행중" 및 "실행 불가"의 3개의 값으로 표시된다. "실행 가능"은, 중계장치에 있어서 테더링 기능이 비실행이고 또한 BLE 통신에 의한 요구에 따라 외부에서 테더링 기능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실행중"은, 중계장치에 있어서 테더링 기능이 실행중인 것을 표시한다. "실행 불가"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테더링 기능이 비실행이고 또한 BLE 통신에 의한 요구에 따라 외부에서 테더링 기능을 일시적으로 개시할 수 없는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중계장치에 있어서 공중망 통신의 링크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나, 중계장치가 "실행 불가" 상태에 대응하는 무선 LAN의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테더링 기능(840)이 "무"인 중계장치에 있어서는, 테더링 실행 상태(860)의 값은 무효이다.
<4. 통신장치의 처리>
다음에, 도 3 내지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중계장치의 검색 처리]
도 3의 흐름도는, 테더링 가능한 중계장치(스마트폰)를 검색할 때의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다. 본 처리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의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조작부(101)를 조작해서 선택할 때 개시된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른 타이밍에 이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 on시에 이 처리가 실행되어도 된다.
본 처리가 개시하면, 우선,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가, RAM(113)에 기억되어 있는 화이트 리스트의 데이터를 클리어한다(스텝 S301).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중계장치의 검색 페이즈로 이행하여(스텝 S302), 중계장치 제어부(260)가 BLE 통신에 의한 중계장치의 검색 처리를 실시한다(스텝 S303 내지 S310).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계장치의 검색 페이즈는,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유저에 의한 조작부(101)의 조작에 의해 처리가 정지하거나, 또는 BLE 통신에 의한 기기 검색에 의해 더 이상 중계장치를 발견할 수 없게 될 때까지(스텝 S304에서 NO) 실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계장치의 검색 페이즈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BLE 통신 제어부(220)에 의한 BLE 통신을 사용하여, BLE 통신가능한 주변기기를 검색한다(스텝 S303). 주변기기를 발견하면(스텝 S304에서 YES), BLE 통신 제어부(220)는 발견한 주변기기에 BLE 통신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접속한다(스텝 S305). 이때, 여기에서의 접속이란 Bluetooth SIG, 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SYSTEM(ver 4.0)에서 규정되는 Bluetooth Low Energy의 Link Layer Level에서의 접속을 의미한다. 이어서, BLE 통신 제어부(220)에 의한 BLE 통신을 사용해서,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주변기기가 서포트하는 무선 LAN 기능의 정보(능력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06). 여기에서 취득하는 무선 LAN 기능의 정보란,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 있어서, STA 기능(820), AP 기능(830) 및 테더링 기능(840)으로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스텝 S306에서 취득한 해당 무선 LAN 기능의 정보를 해당 중계장치의 식별자와 관련하여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 보존한다(스텝 S307). 스텝 S306에서 취득한 무선 LAN 기능에 근거하여 해당 중계장치가 테더링 기능을 서포트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스텝 S308에서 YES),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해당 중계장치로부터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의 실행 가능/실행 불가능의 상태를 취득한다(스텝 S309). 여기에서 취득하는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의 실행 가능/실행 불가능의 상태란,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서 AP 실행 상태(850) 및 테더링 실행 상태(860)로서 관리되는 정보이다. 스텝 S309에서 취득한 해당 정보는,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에 의해 스텝 S307에서 보존된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의 레코드에 보존한다(스텝 S310).
중계장치의 검색 페이즈를 마치면(스텝 S302에서 YES 또는 스텝 S304에서 NO), 디지털 카메라(1)는 해당 검색 페이즈에 있어서 테더링 기능을 서포트하는 중계장치를 발견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311). 테더링 기능을 서포트하는 중계장치가 발견된 경우(스텝 S311에서 YES), 디지털 카메라(1)는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에게해 해당 중계장치를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하게 한다(스텝 S312). 더구나, 디지털 카메라(1)는, BLE 통신 제어부(220)에게 발견한 테더링 기능을 서포트하는 중계장치 중에서 1대와 BLE 통신에 의한 접속을 행하게 한다(스텝 S313).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텝 S313에서 접속하는 중계장치는, 유저가 조작부(101)를 조작하여 소위 Bluetooth(등록상표)의 페어링 조작을 행해서 선택한 중계장치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최초에 발견한 중계장치나, BLE 통신을 사용해서 가장 가깝게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중계장치에 접속해도 되고, 또는 복수의 조건을 조합해서 최적의 중계장치를 판정해서 접속해도 된다. 스텝 S312에서 등록된 중계장치로서, 상기한 것과 같이 스텝 S313에서 접속하는 것으로 판단한 중계장치만을 등록해도 되고, 또는 유저가 조작부(101)를 조작해서 선택한 1대 또는 복수의 중계장치를 등록해도 된다. 중계장치의 검색 페이즈에 있어서 테더링 기능을 서포트하는 중계장치를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311에서 NO), 화이트 리스트의 등록(스텝 S312) 및 중계장치와의 접속(스텝 S313)은 행하지 않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도 3의 일련의 처리가 종료한다.
[중계장치로부터 AP 상태 변경 통지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의 처리]
도 4의 흐름도는,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1))의 BLE 통신 제어부(220)가 중계장치로부터 송신된 AP 상태 변경 통지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다. AP 상태 변경 통지 메시지는, 중계장치(스마트폰)의 전술한 AP 실행 상태 또는 테더링 실행 상태의 변화를 중계장치가 BLE 통신을 거쳐 통지하는 메시지다. 예를 들면, 중계장치가 무선 LAN의 스테이션으로서 동작하고 있는 무선 LAN 통신 처리가 완료되거나, 공중망 통신이 절단될 때, 중계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송신된다.
디지털 카메라(1)는, BLE 통신 제어부(220)가 AP 상태 변경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화이트 리스트 관리부(270)에게 해당 메시지의 송신원 디바이스가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401). 해당 송신원 디바이스가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혹은 화이트 리스트에 디바이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스텝 S401에서 YES), 제어부(114)에서 동작하는 전원 제어부(230)는 Host부(10)의 전원이 on인지 off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402). Host부(10)의 전원이 off인 경우(스텝 S402에서 NO), 전원 제어부(230)는 전원부(103)를 제어해서 Host부(10)의 전원을 on으로 한다(스텝 S403). 이어서,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가, 메시지 송신원의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 판정한다(스텝 S404). 해당 디바이스가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스텝 S404에서 YES),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수신한 AP 상태 변경 통지 메시지에 포함되는 AP 실행 상태 혹은 테더링 실행 상태를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의 해당 레코드에 기억한다(스텝 S405).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의 검색/수정(갱신)(스텝 S404 및 S405)이 완료한 후, 스텝 S4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그후, 전원 제어부(203)는 스텝 S403에서 Host부(10)의 전원이 on인지 확인한다(스텝 S406). 전원이 on이면, 전원 제어부(230)는 전원부(103)를 제어해서 Host부(10)의 전원을 off로 한다(스텝 S407).
AP 상태 변경 통지 메시지의 송신원 디바이스가 화이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1에서 NO), BLE 통신 제어부(220)는 해당 메시지를 파기하고, 스텝 S402 내지 S407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통신장치에 의한 데이터의 업로드 처리]
도 5a 및 도 5b의 흐름도는, 통신장치(디지털 카메라(1))가 기억부(102)에 기억된 화상/영상 데이터를 외부 서버(940)에 업로드할 때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다. 본 처리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의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섬네일 화상을 조작부(101)를 조작해서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조작부(101)를 조작해서 선택한 화상을 업로드하는 조작을 실행할 때 개시된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른 타이밍에 이 처리를 실시해대 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촬상부(105)를 조작해서 촬영 동작을 행할 때 이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와 달리, 도 4의 처리의 결과로써 중계장치의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가능"으로 천이할 때 이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본 처리를 개시하면, 디지털 카메라(1)는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에게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의 레코드를 순차적으로 검색하여(스텝 S501), 1개 이상의 중계장치 중에서, 테더링 가능한 중계장치의 검색과 테더링 기능의 개시 요구 처리를 행하게 한다(S502 내지 S513).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 미검색의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스텝 S502에서 YES),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해당 레코드의 중계장치가 테더링 기능을 갖는지 아닌지 판정한다(스텝 S503). 여기에서,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의 테더링 기능(840)의 값에 의해 테더링 기능의 유무를 판정한다. 해당 중계장치가 테더링 기능을 갖지 않은 경우(스텝 S503에서 NO), 해당 중계장치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스텝 S502로 처리를 되돌려,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다음의 레코드를 검색한다(스텝 S502). 한편, 해당 중계장치가 테더링 기능을 갖는 경우(스텝 S503에서 YES),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디지털 카메라가 BLE 통신 제어부(220)를 거쳐 해당 중계장치와 BLE 통신에 의해 접속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504). 이때, 여기에서의 접속이란, Bluetooth SIG, 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SYSTEM(ver 4.0)에서 규정되는 Bluetooth Low Energy의 Link Layer Level에서의 접속을 의미한다. BLE 통신에 의해 접속된 경우(스텝 S504에서 YES), 디지털 카메라(1)는 다음에 스텝 S508 이후의 처리를 실시한다. BLE 통신에 의해 미접속인 경우(스텝 S504에서 NO), BLE 통신 제어부(220)는 해당 중계장치에 BLE 통신에 의한 접속을 시도한다(스텝 S505). 접속에 성공한 경우(스텝 S506에서 YES),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접속한 BLE의 링크를 거쳐, 중계장치의 AP 실행 상태 및 테더링 실행 상태를 중계장치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507). 해당 중계장치와의 접속에 실패한 경우에는(스텝 S506에서 NO), 해당 중계장치는 대상으로부터 제외되고,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다음의 레코드를 검색한다(스텝 S502).
이어서,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해당 중계장치가 테더링 기능을 실행 가능한지 아닌지 판정한다(스텝 S508). 여기에서,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의 테더링 실행 상태(860)의 값에 의해 테더링 기능의 실행 가능/실행 불가능을 판정한다. 해당 중계장치의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중"이면(스텝 S508에서 "실행중"),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511 이후의 처리를 실시한다. 해당 중계장치의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가능"이면(스텝 S508에서 "실행 가능"),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BLE 통신 제어부(220)에 의한 BLE 통신을 거쳐 해당 중계장치에게 테더링 기능의 개시를 요구한다. 테더링 기능의 개시에 성공한 경우(스텝 S510에서 YES),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511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해당 중계장치의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불가"인 경우(스텝 S508에서 "실행 불가능"), 또는 스텝 S509의 테더링 기능의 개시 요구에 실패한 경우(스텝 S510에서 NO), 해당 중계장치는 대상으로부터 제외되고,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다음의 레코드를 검색한다(스텝 S502). 중계장치에서 테더링 기능이 개시되면,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BLE 통신 제어부(220)에 의한 BLE 통신을 거쳐 해당 중계장치로부터 무선 LAN 통신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511). 여기에서의 무선 LAN 통신의 파라미터 정보는, 중계장치의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생성된 무선 LAN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 파라미터 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암호화 종별, 암호키, 인증 종별, 무선 채널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LAN 통신의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하면, Wi-Fi 통신 제어부(210)는 Wi-Fi 콘트롤러부(12)를 기동하여, 파라미터 취득에 의해 얻어진 파라미터로 식별되는 무선 LAN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한다(스텝 S512). 무선 LAN 네트워크에의 접속에 실패하고(스텝 S513에서 NO), 스텝 S509에서 해당 중계장치에 대한 테더링 실행 요구를 행한 경우(스텝 S525에서 YES),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BLE 통신 제어부(220)에 의한 BLE 통신을 거쳐 해당 중계장치에게 테더링 기능의 정지를 요구한다(스텝 S526). 해당 중계장치는 대상으로부터 제외되고,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다음의 레코드를 검색한다(스텝 S502).
한편, 무선 LAN 네트워크에의 접속에 성공하면(스텝 S513에서 YES), Wi-Fi 통신 제어부(210)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을 사용해서 자신의 장치의 IP 어드레스, 게이트웨이의 IP 어드레스 및 DNS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스텝 S514). IP 어드레스의 취득이 완료하면, 업로드 처리부(240)는 접속한 무선 LAN 네트워크를 거쳐 외부 서버(940)에 화상/영상 데이터를 업로드한다(스텝 S515). 업로드는, 예를 들면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나 FTP(File Transfer Protocol)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실시된다. 업로드 처리가 완료한 후, 디지털 카메라(1)는 중계장치에 있어서의 테더링 기능의 정지를 시도한다(스텝 S516 내지 스텝 S519). 스텝 S509에서 해당 중계장치에 대한 테더링 실행 요구를 행한 경우(스텝 S516에서 YES),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BLE 통신 제어부(220)에 의한 BLE 통신을 거쳐 해당 중계장치에게 테더링 기능의 정지를 요구한다(스텝 S517). BLE 통신에 의한 테더링 기능의 정지 요구에 실패한 경우에는(스텝 S518에서 NO), 중계장치 제어부(260)는 Wi-Fi 통신 제어부(210)에 의한 무선 LAN 통신을 거쳐 해당 중계장치에게 테더링 기능의 정지를 더 요구한다(스텝 S519). 스텝 S509에서 해당 중계장치에 대한 테더링 실행 요구를 행하지 않은 경우(스텝 S516에서 NO), 디지털 카메라(1)는 해당 중계장치에게 테더링 기능의 정지를 요구하지 않는다(즉, 스텝 S517 내지 S519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최후에, Wi-Fi 통신 제어부(210)는, 무선 LAN 네트워크로부터의 절단을 행하고, Wi-Fi 콘트롤러부(12)를 정지시켜 본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520).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의 레코드를 모두 처리해도 업로드 처리가 완료하지 않은 경우(스텝 S502에서 NO),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불가"인 레코드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521). "실행 불가"의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521에서 NO), 디지털 카메라(1)는 표시부(100)에 화상 업로드 처리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에러를 표시하고(스텝 S524),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불가"인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스텝 S521에서 YES), 디지털 카메라(1)는 해당 레코드의 테더링 실행 상태의 천이를 대기한다(스텝 S522).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당 레코드가 나타내는 중계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가능" 또는 "실행중"으로 천이한 것을 표시하는 AP 상태 변경 통지 메시지의 수신을 대기한다.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가능" 또는 "실행중"으로 천이한 경우(스텝 S523에서 YES), 디지털 카메라(1)는 스텝 S508 이후의 처리를 행하고, 해당 중계장치에의 접속을 시도한다. 한편, 대기 기간 동안에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가능" 또는 "실행중"으로 천이하지 않은 경우(스텝 S523에서 NO), 디지털 카메라(1)는 표시부(100)에 화상 업로드 처리가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에러를 표시하고(스텝 S524), 본 처리를 종료한다.
[통신장치의 전원 온 조작/오프 조작시의 처리]
이어서, 도 6 및 도 7은, 각각 디지털 카메라(1)에 있어서 전원 on/off의 조작을 행했을 때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저가 조작부(101)를 조작해서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 on 조작을 행하면, 디지털 카메라(1)는 전원부(103)에게 Host부(10)에 대한 전원공급을 개시하게 한다(스텝 S601). 이어서,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가 디지털 카메라가 BLE 통신 제어부(220)를 거쳐 테더링 기능을 갖는 중계장치와 BLE에 의해 접속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602). 디지털 카메라가 중계장치와 접속된 경우(스텝 S602에서 YES), BLE 통신 제어부(220)는 해당 중계장치에 대해 BLE의 커넥션 이벤트 간격을 짧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603).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유저가 조작부(101)를 조작해서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 off 조작을 행하면, 중계장치 정보 관리부(250)는 디지털 카메라가 BLE 통신 제어부(220)를 거쳐 테더링 기능을 갖는 중계장치와 BLE에 의해 접속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701). 디지털 카메라가 중계장치와 접속된 경우(스텝 S701에서 YES), BLE 통신 제어부(220)는 해당 중계장치에 대해 BLE의 커넥션 이벤트 간격을 길게 하는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702). 최후에, 디지털 카메라(1)는 전원부(103)에게 Host부(10)에의 전원공급을 정지하도록 하여(스텝 S703), 전원 off 상태로 변경된다. 전원 off 상태에 있어서도, 디지털 카메라(1)에서는 BLE 콘트롤러부(11)의 전원부(111)로부터의 전원공급은 계속된다. 따라서, 유저가 전원 off 조작을 실시한 후에, 디지털 카메라(1)는 BLE에 의한 통신을 계속 할 수 있다. BLE 통신의 결과, BLE 콘트롤러부(11)에서 동작하는 전원 제어부(230)에 의해 Host부(10)의 전원을 on으로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커넥션 이벤트 간격이란, 통신 패킷의 송신 간격이며, 구체적으로는, Bluetooth SIG, SPECIFICATION OF THE BLUETOOTH SYSTEM(ver 4.0)에서 규정되는 "Link Layer Specification"에 의해 규정되는 Connection Interval이다. 커넥션 이벤트란 BLE 커넥션 상에서 통신 패킷의 송신을 개시할 수 있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Connection Interval은 BLE에 의해 직접 통신을 행하는 기기들 사이에서 정해지는 시간 간격으로, 7.5msec 내지 4sec의 범위 내에서 지정되는 값이다. BLE 통신을 행하는 기기는, 각 커넥션 이벤트의 타이밍마다 통신을 행하는 주파수 채널을 변경(호핑)해서 통신을 행한다.
커넥션 이벤트 간격을 단축함으로써, 어떤 이벤트에 따라 BLE 통신을 개시할 때의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점으로서,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 on 조작을 행할 때 커넥션 이벤트 간격을 단주기로 변경하도록 변경 요구를 행하고, 전원 off 조작에 따라 이 간격을 장주기로 변경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를 조작해서 중계장치의 테더링 기능 제어를 행하는 상태(예를 들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업로드 처리 상태)에서는, 응답 성능이 향상된다.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션 이벤트 간격을 변경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또한, 전원 on/off 조작 이외의 타이밍에서 커넥션 이벤트 간격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의 조작부(101)를 조작해서 화상 업로드 처리를 행하기 위한 메뉴 조작을 한 타이밍에서 접속 이벤트 간격을 단주기로 변경해도 된다. 이와 달리, 전술한 AP 상태 변경 통지 메시지에 의해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가능"으로 변경될 때 접속 이벤트 간격을 단주기로 변경하고,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불가"로 변경될 때 접속 이벤트 간격을 장주기로 변경해도 된다.
[통신장치와 중계장치 사이의 통신 시퀀스]
다음에,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통신장치인 디지털 카메라(1)와 중계장치인 스마트폰(910) 사이의 통신 시퀀스의 일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 on 조작을 행한다(스텝 S1001). 그후,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를 조작해서 테더링 기기의 검색 처리를 개시하는 조작을 실행하면(스텝 S1002), 디지털 카메라(1)는 BLE 통신에 의해 주변기기를 검색해서 스마트폰(910)을 발견하고, BLE에 의해 접속을 행한다(스텝 S1003). BLE의 커넥션 상에서, 디지털 카메라(1)는 스마트폰(910)에 대해 무선 LAN의 능력 정보(무선 LAN 기능의 정보)를 요구한다(스텝 S1004). 요구를 수신시에, 스마트폰(910)은 자신의 무선 LAN의 능력 정보를 디지털 카메라(1)에게 되돌린다(스텝 S1005). 스텝 S1005에서, 스마트폰(910)은 자신이 AP 기능과 테더링 기능을 갖는 것을 표시하는 응답을 되돌린다. 스텝 S1005의 응답의 수신시에, 디지털 카메라(1)는, 스마트폰(910)이 AP 기능과 테더링 기능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스마트폰(910)의 식별자와 연계하여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 기억한다(스텝 S1006).
이어서, 디지털 카메라(1)는 스마트폰(910)에게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의 실행 상태의 취득하도록 요구한다(스텝 S1007). 이 요구를 수신하면, 스마트폰(910)은 자신의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의 실행 가능/실행 불가능 정보를 디지털 카메라(1)에게 되돌린다(스텝 S1008). 여기에서는, 스마트폰(910)이 공중망 통신(960)이 권외인 것으로 가정하고, AP 기능이 실행 가능하고 테더링 기능이 실행 불가능d라는 것을 표시하는 응답을 되돌린다. 스텝 S1008의 응답을 수신하면, 디지털 카메라(1)는 스마트폰(910)의 AP 실행 상태 및 테더링 실행 상태를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 기억한다(스텝 S1009). 그후,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의 전원 off 조작을 행하면(스텝 S1010), 디지털 카메라(1)는 BLE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에 BLE 통신의 커넥션 이벤트의 간격을 장주기로 변경하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1011). 스마트폰(910)은 BLE 통신의 커넥션 이벤트의 간격을 장주기로 변경하고, 응답 메시지를 디지털 카메라(1)에 송신한다(스텝 S1012). 이 시점에서, 디지털 카메라(1)와 스마트폰(910) 사이의 BLE 통신은 여전히 접속이 유지되고, 디지털 카메라(1)의 BLE 콘트롤러부(11)는 전원부(111)로부터의 전원공급에 의해 동작을 계속하고 있다.
공중망 통신의 권내로 이동하면(스텝 S1013), 스마트폰(910)은 BLE 통신에 의해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이 실행 가능인 것을 표시하는 AP 상태 변경 통지 메시지를 디지털 카메라(1)에 송신한다(스텝 S1014). 디지털 카메라(1)는, 스마트폰(910)의 테더링 실행 상태가 "실행 가능"으로 변경된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800)에 기억한다(스텝 S1015).
그후, 유저가 다시 전원 on 조작을 행하면(스텝 S1016), 디지털 카메라(1)는 BLE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910)에 BLE 통신의 커넥션 이벤트의 간격을 단주기로 변경하는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스텝 S1017). 스마트폰(910)은 BLE 통신의 커넥션 이벤트의 간격을 단주기로 변경하고, 응답 메시지를 디지털 카메라(1)에 송신한다(스텝 S1018).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에서 화상을 선택해서 화상 업로드 조작을 실행하면(스텝 S1019), 디지털 카메라(1)는 BLE 통신에 의해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을 실행하도록 요구하는 메시지를 스마트폰(910)에 송신한다(스텝 S1020). 스텝 S1020의 요구를 수신하면, 스마트폰(910)은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을 실행하고(스텝 S1021), 실행 결과를 포함한 메시지를 디지털 카메라(1)에 송신한다(스텝 S1022). 여기에서는,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의 실행에 성공한 것으로 가정한다. 스텝 S1022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디지털 카메라(1)는 스마트폰(910)이 생성한 무선 LAN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BLE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910)에 송신한다(스텝 S1023). 스마트폰(910)은 AP 기능의 실행 상태, 테더링 기능의 실행 상태, SSID, BSSID, 암호 종별, 인증 종별, 암호 키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디지털 카메라(1)에 송신한다(스텝 S1024). 디지털 카메라(1)는 무선 LAN 기능을 기동하고(스텝 S1025), 스텝 S1024에서 취득한 무선 LAN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스마트폰(910)과 무선 LAN으로 접속한다(스텝 S1026).
무선 LAN 접속에 성공하면, 디지털 카메라(1)는 접속한 무선 LAN 통신을 사용해서 스마트폰(910)에 대한 자신의 IP 어드레스, 게이트웨이의 IP 어드레스 및 DNS 서버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스텝 S1027). 그후, 디지털 카메라(1)는 취득한 IP 어드레스를 사용해서 스마트폰(910)을 거쳐 외부 서버(940)에 접속하고, 유저가 스텝 S1019에서 선택한 화상 데이터를 외부 서버(940)에 업로드한다(스텝 S1028).
화상 업로드 처리가 완료하면(스텝 S1029), 디지털 카메라(1)는 BLE 통신에 의해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을 정지하도록 요구하는 메시지를 스마트폰(910)에 송신한다(스텝 S1030). 스텝 S1030의 요구를 수신하면, 스마트폰(910)은 AP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을 정지하고(스텝 S1031), 실행 결과를 포함한 메시지를 디지털 카메라(1)에 송신한다(스텝 S1032). 여기에서는, 기능 및 테더링 기능의 정지에 성공한 것으로 가정. 스텝 S1032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디지털 카메라(1)는 무선 LAN의 절단 처리를 실행하여(스텝 S1033), 자신의 무선 LAN 기능을 정지한다(스텝 S1034).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명세서 및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1)가 BLE 통신을 거쳐 스마트폰(910)이 생성하는 무선 LAN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무선 LAN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예를 설명하였다(예를 들면, 도 5b의 스텝 S511 및 S512).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카메라(1)가 스마트폰(910)에 대해 BLE 통신을 거쳐 무선 LAN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지정하고, 해당 무선 LAN 네트워크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스마트폰(910)은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통지된 무선 LAN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해서 액세스 포인트 기능에 의해 무선 LAN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해당 네트워크와 공중망 통신 사이의 테더링 기능을 실행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BLE을 예에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이외의 통신부를 사용해서 통신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Zigbee(등록상표)), RF4CE(Radio Frequency for Consumer Electronics), Wireless USB 등의 통신 규격을 따르는 통신을 행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1개의 통신부로서 공중망 통신을 예로 들고, 1개의 통신부로서 무선 LAN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통신부를 사용해서 통신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공중망 통신 대신에 무선 LAN을 사용하고, 무선 LAN 대신에 Bluetooth(등록상표) 3.0을 이용해도 된다. 즉, 1개의 통신부에 의해 외부 서버에 접속가능하고, 또한 중계장치가 해당 1개의 통신부와 다른 통신부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BLE 통신에 있어서의 전파 출력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상기한 각 처리에 연동해서 BLE 통신의 전파 출력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근접한 중계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도 3의 검색 처리를 행할 때에는, BLE 통신의 전파 출력을 낮추어도 된다. 또는, 화상 업로드 처리를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BLE 통신시에는 전파 출력을 상승시켜도 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커넥션 이벤트의 간격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디지털 카메라(1)가 스마트폰(910)에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나, 이 이외의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스마트폰(910)에 대한 일방향 통지 메시지에 의해 간격을 변경해도 된다. 이와 달리, 유저가 스마트폰(910)을 조작함으로써 스마트폰이 디지털 카메라(1)에 커넥션 이벤트 간격 변경의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디지털 카메라(1)가 이 요구를 따라도 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통신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 이외의 통신장치가 본 발명을 구현해도 된다. 예를 들면, 외부 중계장치와 통신하는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해당 중계장치를 거쳐 외부 서버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장치가 중계장치와 무선 LAN에 의해 접속한 경우에는, BLE를 절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무선 LAN이 절단되는 경우에는, 재차 BLE을 접속한다. 이에 따라, 통신장치의 소비 전력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1)로부터 BLE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910)의 테더링 기능을 기동하고, 해당 스마트폰(910)을 거쳐 외부 서버(940)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스마트폰(910)의 테더링 기능의 실행 가능/실행 불가능을 판정함으로써, 테더링 기능을 실행할 수 없는 스마트폰(910)과 BLE 통신이나 무선 LAN 통신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가 접속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 및 스마트폰(91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유저 조작으로부터 외부 서버(940)와의 접속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하여, 유저빌리티(usability)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외부 중계장치의 중계 기능을 이용하는 통신장치가 적절한 외부 중계장치에 대해 중계 기능의 개시를 요구해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불필요한 통신 트래픽을 저감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1)

  1. 제2의 다른 장치에 접속 가능한 제1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중계 기능의 개시를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게 요구하도록 구성된 요구부를 구비한 통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부는,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1개 또는 복수의 제1의 다른 장치 중에서 상기 중계 기능을 실행가능한 제1의 다른 장치에게 상기 중계 기능의 개시를 요구하는 통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부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 의해 생성된 네트워크에 접속된 접속부를 더 구비한 통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 의해 생성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취득하도록 구성된 파라미터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통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1의 다른 장치가 상기 중계 기능을 갖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기능 정보를 더 취득하고,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제1의 다른 장치가 상기 중계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의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신 패킷을 파기하도록 구성된 파기부를 더 구비한 통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제1의 다른 장치가 상기 중계 기능을 갖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에 대한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제1의 다른 장치 사이에서의 통신 패킷의 송신 간격의 변경을,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 요구하도록 구성된 변경 요구부를 더 구비한 통신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요구부는,
    상기 유저 조작이 상기 통신장치의 전원 온 조작인 경우, 상기 송신 간격을 더 짧게 하도록 요구하고,
    상기 유저 조작이 상기 통신장치의 전원 오프 조작인 경우, 상기 송신 간격을 더 길게 하도록 요구하는 통신장치.
  9. 통신장치로서,
    제1 통신 규격에 근거한 무선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부와,
    상기 제1 통신 규격과는 다른 제2 통신 규격에 근거한 무선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무선통신의 소비 전력이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한 무선통신의 소비 전력보다 크고,
    상기 통신장치는,
    제1의 다른 장치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1의 다른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부와,
    상기 통신장치와 제2의 다른 장치 사이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 것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와 접속하고, 상기 통신장치와 상기 제2의 다른 장치 사이의 중계 기능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상기 상태 정보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부를 거쳐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와 접속하지 않도록 구성된 접속부와,
    상기 제1의 다른 장치가 상기 접속부에 의해 접속된 경우,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게 상기 제2의 다른 장치와의 중계를 요구하도록 구성된 요구부를 더 구비한 통신장치.
  10. 제2의 다른 장치에 접속 가능한 제1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중계 기능의 개시를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게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1. 제2의 다른 장치에 접속 가능한 제1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를 구비한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의 중계 기능이 유효한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부를 사용해서 상기 중계 기능의 개시를 상기 제1의 다른 장치에게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50118541A 2014-09-01 2015-08-24 통신장치와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KR101944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7431A JP6385205B2 (ja) 2014-09-01 2014-09-01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4-177431 2014-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712A true KR20160026712A (ko) 2016-03-09
KR101944736B1 KR101944736B1 (ko) 2019-02-01

Family

ID=5401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541A KR101944736B1 (ko) 2014-09-01 2015-08-24 통신장치와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4371B2 (ko)
EP (1) EP2991435B1 (ko)
JP (1) JP6385205B2 (ko)
KR (1) KR101944736B1 (ko)
CN (1) CN1053914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957A (ko) * 2018-11-28 2021-10-06 브로드피크 오디오-비주얼 라이브 콘텐츠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27097A1 (en) * 2015-02-04 2016-08-04 Casio Computer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that execute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linking with other apparatus
JP6308199B2 (ja) * 2015-11-13 2018-04-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94212B2 (ja) 2016-01-15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
US10075831B2 (en) * 2016-04-11 2018-09-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esh network using Bluetooth
CA3067011A1 (en) 2016-06-17 2017-12-21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ing event data
JP2018042204A (ja) * 2016-09-09 2018-03-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KR102607647B1 (ko) * 2017-01-24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JP6918628B2 (ja) * 2017-08-10 2021-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通信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9193069A (ja) * 2018-04-24 2019-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6984948B2 (ja) * 2019-01-18 2021-12-22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通信中継機器、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086923A (zh) * 2021-03-12 2022-09-20 阿里巴巴新加坡控股有限公司 蓝牙网络及其通信方法、设备和存储介质
WO2023218867A1 (ja) * 2022-05-10 2023-11-16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24203463A1 (ja) * 2023-03-29 2024-10-03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テザリング処理方法、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072A (ko) * 2011-11-29 2013-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30331028A1 (en) * 2012-06-11 2013-12-12 Microsoft Corporation Connection Tethering and Service Remoting
EP2757837A1 (en) * 2013-01-22 2014-07-2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ower save control for tethering conn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5472B2 (ja) * 2006-02-27 2010-01-27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とそのサーバ装置及び端末装置
JP5482353B2 (ja) * 2009-07-06 2014-05-07 株式会社リコー 中継機器、中継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73471B2 (ja) 2009-08-11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10040900A1 (en) 2009-08-13 2011-02-17 Yepez Roberto Gabriel Host/peripheral local interconnect that is compatible with self-configurable peripheral device
JP5698475B2 (ja) 2010-07-29 2015-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中継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中継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74869B2 (ja) 2010-07-29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中継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の制御方法、中継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687035A1 (en) * 2011-03-18 2014-01-22 Smith Micro Software, Inc. Managing tethered data traffic over a hotspot network
JP2012227610A (ja) * 2011-04-15 2012-11-15 Ntt Docomo Inc 携帯端末、テザリング端末、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JP2013126046A (ja) * 2011-12-13 2013-06-24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無線通信装置、テザリング制御方法及びテザリング制御プログラム
US8971849B2 (en) * 2011-12-29 2015-03-03 United States Cellul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assisted control and monetization of tethering to mobile wireless devices
JP5980027B2 (ja) 2012-07-18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932543B2 (ja) * 2012-07-26 2016-06-0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テザリング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通信システム
CN102843434B (zh) 2012-09-05 2015-10-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间共享内容的方法、装置及系统
US9634726B2 (en) 2012-11-02 2017-04-25 Google Inc. Seamless tethering setup between phone and laptop using peer-to-peer mechanisms
JP2014160319A (ja) 2013-02-19 2014-09-04 Canon Inc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3428283B (zh) 2013-08-06 2017-04-05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车载终端共享智能移动终端网络的方法
US20150188991A1 (en) * 2013-12-31 2015-07-02 Google Inc. Simulated tethering of computing devices
US9414338B2 (en) * 2014-08-07 2016-08-09 Alcatel Lucent Notification of relay capabilities for UE-to-network relay func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072A (ko) * 2011-11-29 2013-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30331028A1 (en) * 2012-06-11 2013-12-12 Microsoft Corporation Connection Tethering and Service Remoting
EP2757837A1 (en) * 2013-01-22 2014-07-2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ower save control for tethering connec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luetooth SIG Confidential, "Personal Area Networking Profile", http://www.lcis.com.tw/mipaper/PAN_Profile-20147133138711.html, (2003.02.1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957A (ko) * 2018-11-28 2021-10-06 브로드피크 오디오-비주얼 라이브 콘텐츠 전달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1435B1 (en) 2018-08-22
EP2991435A1 (en) 2016-03-02
US10194371B2 (en) 2019-01-29
CN105391483A (zh) 2016-03-09
US20160066248A1 (en) 2016-03-03
CN105391483B (zh) 2019-09-27
JP6385205B2 (ja) 2018-09-05
KR101944736B1 (ko) 2019-02-01
JP2016052059A (ja)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736B1 (ko) 통신장치와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US92588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US972355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982602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02298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JP6277758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設定方法
WO2018107593A1 (zh) 一种在不同终端间共享文件的方法及设备
CN103944870B (zh) 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30017777A1 (en) Wireless Network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and Wireless Network Relay Device
US20130159491A1 (en)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storage, and server device
US2015009276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20150020069A (ko)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5146561A (ja) ネットワー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66688A1 (en)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storage, server
EP3172891B1 (en) Reliable transfer of data from an image capturing device to a remote data storage
JP2013026704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探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6772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960268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apparatus using generated session and changed session, and program therefor
JP6489804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770758B2 (ja) 通信機器、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器の制御方法
JP2019117548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78460A (ja) 通信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