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072A -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072A
KR20130060072A KR1020110126367A KR20110126367A KR20130060072A KR 20130060072 A KR20130060072 A KR 20130060072A KR 1020110126367 A KR1020110126367 A KR 1020110126367A KR 20110126367 A KR20110126367 A KR 20110126367A KR 20130060072 A KR20130060072 A KR 20130060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ing
terminal
function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894B1 (ko
Inventor
유상경
류석
백선엽
이상한
윤장홍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8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근거리 통신 가능한 송수신 단말과의 연결 및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송수신 단말 중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테더링 연결 단말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 의해 인증된 테더링 연결 단말과의 연결 또는 해제를 관리하는 테더링 제어부, 및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하여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한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테더링 설정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tether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tethering)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테더링 서비스(Tethering Service)는 '국내공개특허 제2011-0042133호' 등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이 스스로 중계기 역할을 하여 주변의 테더링을 사용하는 단말이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즉, 별도의 무선 모뎀 없이도 테더링 제공 단말에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더링은 방식에 따라 블루투스, USB 케이블 연결, 무선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 예로서, 이용자들은 스마트 단말기에 노트북 PC 등을 연결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때, 테더링 제공 단말은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해야 다른 단말들이 테더링 제공 단말을 통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테더링 제공 단말의 경우 휴대 단말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휴대 단말은 배터리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테더링 제공 단말 입장에서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시점을 파악할 수 없어 실질적으로 테더링 기능이 이용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쓸데없는 전력 소모가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원격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 시점을 인지하고, 이를 통해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필요 없는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로 인해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는, 근거리 통신 가능한 송수신 단말과의 연결 및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송수신 단말 중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테더링 연결 단말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 의해 인증된 테더링 연결 단말과의 연결 또는 해제를 관리하는 테더링 제어부, 및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하여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한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테더링 설정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다른 단말은, 다른 테더링 연결 단말, 다른 테더링 단말, 및 해당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은 가능하나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송수신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는,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하여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기 이전에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은,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기 등록된 테더링 연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하는 단계,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에 근거하여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과 상기 인터넷 간 송수신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하여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한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다른 단말은, 다른 테더링 연결 단말, 다른 테더링 단말, 및 해당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은 가능하나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가능한 송수신 단말 중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테더링 연결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이전에,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테더링 연결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원격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 시점을 인지하고, 이를 통해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필요 없는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로 인해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연결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제공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이하, '테더링 단말'이라 칭한다)(20)는 송수신 단말(10)로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여, 송수신 단말(10)이 테더링 단말(20)과의 연결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테더링 단말(20)과 송수신 단말(10)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다. 일 예로서, 테더링 단말(20)과 송수신 단말(10)은 블루투스, Wi-Fi, 및 USB 케이블 연결 등을 통해 연결 가능하다. 그 외에도, 테더링 단말(20)과 송수신 단말(10)이 연결되는 방법은 기존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테더링 단말(20)은 송수신 단말(10) 중 사전에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거나 별도의 인증 절차를 통해 인증 완료된 송수신 단말(10)에 대해 테더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테더링 설정 메시지 등을 통한 요청에 따라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송수신 단말(10) 및 테더링 단말(20)에 대한 구성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상세하게는, 송수신 단말 중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도록 등록된 테더링 연결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된 송수신 단말(이하, '테더링 연결 단말'이라 칭한다.)(10)은 제어부(11), 입력부(12), 출력부(13), 저장부(14), 통신부(15), 테더링 단말 관리부(16), 테더링 연결 관리부(17), 및 테더링 연결 설정부(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테더링 연결 단말(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부(12)는 키 조작에 따른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 키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상의 소프트 키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출력부(13)는 테더링 연결 단말(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테더링 연결 단말(10)의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송수신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는 사전에 등록된 테더링 단말의 리스트 및 테더링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15)는 테더링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 예로서, 통신부(15)는 블루투스, 무선랜, 및 직렬버스(USB)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테더링 단말 관리부(16)는 테더링 연결 단말(10)이 등록된 테더링 단말을 등록하고, 해당 테더링 단말의 등록 정보 및 리스트를 관리한다.
테더링 연결 관리부(17)는 테더링 단말 관리부(16)에 의해 등록된 테더링 단말의 정보를 호출하여, 해당 테더링 단말로의 송신하기 위한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생성한다. 일 예로서, 테더링 연결 관리부(17)는 사용자로부터의 수동 입력 또는 연결된 다른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테더링이 요구되는 경우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생성한다.
한편, 테더링 연결 관리부(17)는 테더링 연결 단말(10)이 테더링 연결된 상태에서 인터넷 연결을 해제한 경우, 테더링 단말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생성한다.
테더링 연결 관리부(17)에 의해 생성된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통신부(15)를 통해 테더링 단말로 전송된다.
테더링 연결 설정부(18)는 테더링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 설정하거나, 테더링 단말과의 테더링 연결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테더링 연결 설정부(18)는 테더링 단말 관리부(16)에 의해 생성된 테더링 설정 메시지에 의해 테더링 단말의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테더링 단말과의 테더링을 설정한다. 한편, 테더링 연결 설정부(18)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에 의해 테더링 단말의 테더링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테더링 단말과의 테더링 설정을 해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제공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단말(20)은, 제어부(21), 입력부(22), 출력부(23), 저장부(24), 통신부(25),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26), 테더링 설정 관리부(27), 및 테더링 제어부(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1)는 테더링 단말(2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부(22)는 키 조작에 따른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 키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상의 소프트 키 등이 해당 될 수 있다. 출력부(23)는 테더링 단말(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른 처리 결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24)는 테더링 단말(20)의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송수신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는 사전에 등록된 테더링 연결 단말의 리스트 및 테더링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25)는 근거리 통신 가능한 송수신 단말과의 연결 및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인터넷 연결을 위한 제1 통신모듈(25a) 및 송수신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 통신모듈(25b)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테더링 단말(20)은 제1 통신모듈(25a)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면, 제2 통신모듈(25b)을 통해 연결된 송수신 단말이 테더링 단말(20)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게 된다.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26)는 제2 통신모듈(25b)을 통해 연결되는 송수신 단말 중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테더링 연결 단말을 등록한다. 등록된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24)에 저장된다. 또한,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26)는 기 등록된 테더링 연결 단말을 인증하고, 테더링 연결 단말의 정보 및 인증 정보 등을 관리한다.
테더링 설정 관리부(27)는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설정한다. 다시 말해, 테더링 설정부(27)는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한다. 물론, 테더링 설정부(27)는 입력부(22)를 통해 수동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때, 테더링 설정 관리부(27)는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면,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26)에 의해 등록된 테더링 연결 단말들 전체에 대하여 테더링을 허용할 수 있으나, 설정에 따라서는 일부 단말에 한해 테더링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설정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테더링 설정 관리부(27)는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하여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통신부(25)를 통해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한다. 물론, 테더링 설정 관리부(27)는 입력부(22)를 통해 수동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때, 테더링 설정 관리부(27)는 테더링 연결 단말들 전체에 대하여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설정에 따라서는 요청된 단말에 한해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설정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테더링 연결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른 단말을 통해 수신된 것일 수 있고, 근거리 통신 가능한 송수신 단말 중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송수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테더링 제어부(28)는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설정에 따라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26) 의해 인증된 테더링 연결 단말과의 연결 또는 해제를 관리한다.
이로써, 테더링 단말(20)은 테더링 연결 단말이 인터넷에 연결 해제된 경우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테더링 단말(20)은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고, 테더링 연결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의 시간당 전력 소모량은 Pa이고,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되었지만 테더링 연결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시간당 전력 소모량은 Pb, 테더링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의 시간당 전력 소모량은 Pc라고 가정한다면, 각 경우의 전력 소모량은 'Pa > Pb > Pc'와 같은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단말(20)의 경우 테더링 연결 단말이 인터넷 접속을 해제하는 때에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 한다면, 시간당 ㅿP(여기서, ㅿP = Pb - Pc) 만큼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4는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된 송수신 단말이 직접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은 (a)와 같이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한다. 이때, 테더링 단말(20)은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고, (b)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로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로써, 테더링 연결 단말(10)은 (c)와 같이 테더링 단말(20)과의 테더링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다.
한편, 도 5는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된 송수신 단말이 직접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은 (a)와 같이 테더링 단말(20)과의 테더링을 통한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면 테더링 단말(20)의 테더링은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b)와 같이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한다.
따라서, 테더링 단말(20)은 테더링 연결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활성화된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c)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6은 근거리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이 간접적으로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은 (a)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을 대신하여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단말(20)로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물론, 근거리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은 다른 테더링 연결 단말일 수 있고, 다른 테더링 단말일 수 있으며, 또한 테더링 단말과 근거리 통신은 가능하나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테더링 단말(20)은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고, (b)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로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테더링 연결 단말(10)은 테더링 단말(20)과 테더링 연결하고, 이로써 테더링 연결 단말(10)은 (c)와 같이 테더링 단말(20)과의 테더링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다.
도 7은 근거리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이 간접적으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링 단말(20)과 테더링 연결된 테더링 연결 단말(10)이 (a)와 같이 테더링 단말(20)과의 테더링을 통한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면, 테더링 단말(20)의 테더링은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때, 근거리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은 (b)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을 대신하여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단말(10)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물론, 근거리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은 도 6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른 테더링 연결 단말일 수 있고, 다른 테더링 단말일 수 있으며, 또한 테더링 단말과 근거리 통신은 가능하나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테더링 단말(20)은 근거리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의 요청에 따라 활성화된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c)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8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이 간접적으로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10b)은 (a)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a)을 대신하여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10b)은 다른 테더링 연결 단말일 수 있고, 다른 테더링 단말일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 연결은 가능하나 테더링 단말에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단말일 수 있다.
이때, 테더링 단말(20)은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고, (b)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a)로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로써, 테더링 연결 단말(10a)은 (c)와 같이 테더링 단말(20)과의 테더링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다.
도 9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이 간접적으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더링 단말(20)과 테더링 연결된 테더링 연결 단말(10a)이 (a)와 같이 테더링 단말(20)과의 테더링을 통한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면, 테더링 단말(20)의 테더링은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때,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10b)은 (b)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a)을 대신하여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단말(20)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10b)은 도 8과 마찬가지로, 다른 테더링 연결 단말일 수 있고, 다른 테더링 단말일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 연결은 가능하나 테더링 단말에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테더링 단말(20)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10b)의 요청에 따라 활성화된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c)와 같이 테더링 연결 단말(10a)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더링 단말(20)은 송수신 단말(10)로부터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S100), 송수신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고(S110), 송수신 단말(10)로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120).
따라서, 테더링 단말(20)은 근거리 통신 연결된 송수신 단말로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고, 송수신 단말(10)은 테더링 단말(20)과의 테더링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다(S130). 이때, 송수신 단말(10)은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단말과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송수신 단말(10)은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S200),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테더링 단말(20)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210). 따라서, 테더링 단말(20)은 테더링 설정 메시지에 근거하여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한다(S220). 이후, 테더링 단말(20)은 테더링 기능이 비활성화됨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230).
이로써, 테더링 단말(20)은 송수신 단말(10)이 인터넷에 연결 해제된 경우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쓸데없는 전력 소비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10의 실시예는 송수신 단말(10)이 테더링 단말(20)로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통신 연결된 다른 단말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단말을 통해서도 테더링 설정 메시지를 전송 가능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10: 송수신 단말 16: 테더링 단말 관리부
17: 테더링 연결 관리부 18: 테더링 연결 설정부
20: 테더링 단말 11, 21: 제어부
12, 22: 입력부 13, 23: 출력부
14, 24: 저장부 15, 25: 통신부
26: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 27: 테더링 설정 관리부
28: 테더링 제어부

Claims (12)

  1. 근거리 통신 가능한 송수신 단말과의 연결 및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송수신 단말 중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테더링 연결 단말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 의해 인증된 테더링 연결 단말과의 연결 또는 해제를 관리하는 테더링 제어부; 및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하여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한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테더링 설정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다른 단말은, 다른 테더링 연결 단말, 다른 테더링 단말, 및 해당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은 가능하나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인터넷 연결을 위한 제1 통신모듈; 및
    상기 송수신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 관리부는,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하여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기 이전에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7.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기 등록된 테더링 연결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과 근거리 통신 연결하는 단계;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에 근거하여 해당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한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과 상기 인터넷 간 송수신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하여 테더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테더링 기능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테더링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에 대한 테더링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테더링 연결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설정 메시지는,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된 것이고,
    상기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다른 단말은, 다른 테더링 연결 단말, 다른 테더링 단말, 및 해당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은 가능하나 테더링 연결 단말로 등록되지 않은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 가능한 송수신 단말 중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는 테더링 연결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이전에, 테더링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테더링 연결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10126367A 2011-11-29 2011-11-29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380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367A KR101380894B1 (ko) 2011-11-29 2011-11-29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367A KR101380894B1 (ko) 2011-11-29 2011-11-29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072A true KR20130060072A (ko) 2013-06-07
KR101380894B1 KR101380894B1 (ko) 2014-04-02

Family

ID=4885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367A KR101380894B1 (ko) 2011-11-29 2011-11-29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8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712A (ko) * 2014-09-01 2016-03-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장치와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KR20160084693A (ko) * 2015-01-06 201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211203A1 (ko) * 2021-03-29 2022-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286308A1 (ja) * 2021-07-13 2023-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
US11595346B2 (en) 2021-03-29 202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4063309A1 (ko) * 2022-09-21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0900A1 (en) * 2009-08-13 2011-02-17 Yepez Roberto Gabriel Host/peripheral local interconnect that is compatible with self-configurable peripheral device
KR101663011B1 (ko) * 2010-05-17 2016-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712A (ko) * 2014-09-01 2016-03-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장치와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US10194371B2 (en) 2014-09-01 2019-01-29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60084693A (ko) * 2015-01-06 201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6111537A1 (ko) * 2015-01-06 201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211203A1 (ko) * 2021-03-29 2022-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595346B2 (en) 2021-03-29 2023-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3286308A1 (ja) * 2021-07-13 2023-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
WO2024063309A1 (ko) * 2022-09-21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894B1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813B2 (en) Function execu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80894B1 (ko)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3236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EP3468068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lassic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dual-mode bluetooth devices, and dual-mode bluetooth device
KR10073542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sim 카드 공유 방법
KR100594127B1 (ko)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EP3229506B1 (en) Pairing of wireless devices using physical presence
JP6483696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アップデート処理方法及び端末機器
US9253190B2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9241357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0880889B1 (ko) 고객 맞춤식 위치추적 서비스
CN106605422B (zh) 通信系统、通信装置和通信终端装置
US1054799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1362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0797508B1 (ko) 차량 내의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인증 장치 및 그 방법
JP715976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KR101224340B1 (ko) 전기 자동차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원격 무선 장치 및 배터리 관리 장치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상태 확인 방법
KR2011004515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6129474A1 (ja) データ転送方法、転送指示用通信端末装置、転送制御用通信端末装置、転送指示用プログラムおよび転送制御用プログラム
JP2013085144A (ja) 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754766B1 (ko) 원격제어 불능 상태에서 신속한 피드백을 발생시키는 차량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17720A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TW200909780A (en) Remote control system
JP7283732B2 (ja) 車両通信システム
KR1016354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