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413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413B1
KR101635413B1 KR1020090107376A KR20090107376A KR101635413B1 KR 101635413 B1 KR101635413 B1 KR 101635413B1 KR 1020090107376 A KR1020090107376 A KR 1020090107376A KR 20090107376 A KR20090107376 A KR 20090107376A KR 101635413 B1 KR101635413 B1 KR 101635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ode
security
security m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837A (ko
Inventor
선우승희
홍성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4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04M1/66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by checking the validity of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1Hardware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실로 인하여 타인에게 습득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보안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 분실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보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 도난, 분실, 보안, 사용 제한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SE OF PORTAB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실로 인하여 타인에게 습득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보안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생활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게임,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과 같이 그 활용 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사용자 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항시 휴대하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는 전화 번호, 개인 인증서, 개인 메모 등과 같은 개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개인 정보들은 보안이 필요한 정보로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하지만, 상기 사용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분실하게 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습득한 사람이 상기 습득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여 해당 개인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시 타인에 의한 제어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타인에 의한 무분별한 휴대용 단말기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분실에 따른 보안 모드 요청을 수신할 경우,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타인에 의한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 요청을 수신할 경우, 기 수행중인 절전 모드를 해제한 후 보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분실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보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 분실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가 타인에 의해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로 보안 모드 진입을 요청하여 상기 요청을 수신한 분실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보안 모드로 자동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 분실시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타인에 의한 무분별한 휴대용 단말기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분실에 따른 보안 모드 요청을 수신할 경우,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타인에 의한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보안 서버(120)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02), 보안 처리부(104), 메모리부(108), 및 통신부(1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 복합무선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노트 PC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0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할 경우,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며,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2)는 타인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보안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보안 모드를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보안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습득한 사용자에 의한 제어를 제한하기 위하여 초기 부팅시 인증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출력 화면을 출력하거나 비디오 바이어스 설정을 변경하여 출력 화면을 인식할 수 없도록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보안 처리부(104)는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가 분실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습득한 사용자에 의한 제어를 제한한다.
또한, 상기 보안 처리부(104)는 전원 관리부(10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절전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전원 관리부(106)를 제어하여 상기 수행중인 절전 모드를 해지한 후, 상기 보안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보안 처리부(102)의 전원 관리부(10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가 일정 시간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할 경우, 최소 동작을 위한 절전 모드에 해당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 관리부(106)는 상기 보안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도 상기 통신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메모리부(108)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2) 및 보안 처리부(10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2)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 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 따라 보안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가 상기 보안 모드 진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탈장착이 가능한 상기 통신부(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부(110)가 존재하는 단말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안 서버(1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보안 모드 진입을 요청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보안 관리하는 특정 서버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는 다른 휴대용 단말기가 될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안 서버(120)는 서버 제어부(122), 메모리부(124), 통신부(12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 제어부(122)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를 제한하는 보안 정보(예; 인증 과정에 사용하는 비밀 번호, 기능 제한 방법(비디오 바이어스 설정 제한, 키 입력 제한) 등)를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상기 보안 서버(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서버 제어부(122)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안 모드 진입 해제를 위한 요청을 입력받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보안 모드 해제 요청을 전송하여 상기 수행 중인 보안 모드를 해제하도록 한다.
상기 보안 서버(120)의 메모리부(124)는 상기 서버 제어부(12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통신부(12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하며 상기 보안 모드 진입 및 상기 보안 모드 해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보안 처리부(104)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02)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2)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다수의 버튼들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입력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일반적은 구성에 해당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타인에 의한 무분별한 휴대용 단말기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분실에 따른 보안 모드 요청을 수신할 경우,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타인에 의한 사용을 제한하여 타인에 의한 무분별한 휴대용 단말기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 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 PC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상기 보안 모드는 타인에 의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는 동작 모드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보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201단계에서 보안 모드 진입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안 모드 진입을 위한 요청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분실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보안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요청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상기 201단계에서 보안 모드 진입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분실한 상태가 아님으로 2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201단계에서 보안 모드 진입을 위한 요청을 수신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보안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203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타인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밀 번호와 같은 보안 정보를 설정한 보안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상기 보안 모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는 프로그램 설정을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그램 설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보안 설정으로, 초기 부팅시 인증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출력 화면을 출력하거나 비디오 바이어스 설정을 변경하여 출력 화면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5단계에서 확인한 프로그램 설정을 이용하여 보안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보안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습득한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접근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부팅 과정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보안 모드로 동작한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접근을 위한 키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접근을 위한 키 입력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습득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말한다.
만일, 상기 209단계에서 분실에 따른 보안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접근을 위한 키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09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209단계에서 분실에 따른 보안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접근을 위한 키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화면을 출력한 후, 213단계로 진행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데이터 접근을 수행하고자 키를 입력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의 사용자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상기와 같은 인증 과정을 수행한 휴대용 단말기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증 과정의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215단계에서 인증 과정의 실패를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211단계로 진행하여 습득자에 의한 데이터 접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미리 정한 횟수 만큼 인증 과정을 실패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분실 상태인 휴대용 단말기 자신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215단계에서 인증 과정의 성공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보안 모드의 동작을 해제한다.
이는 상기 인증 과정의 성공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데이터 접근을 수행하였음을 판단하여 상기 보안 모드의 동작을 해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보안 모드 진입 요청에 포함된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보안 모드로 진입한 후, 상기 209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상기 221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보안 모드를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보안 정보를 입력해야지만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안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정한 암호와 상기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넘버를 조합한 인증 정보를 사용하여 인증 과정의 복잡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서버에서 보안 모드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안 서버는 먼저 301단계에서 보안 모드를 요청할 것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301단계에서 보안 모드를 요청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보안 서버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301단계에서 보안 모드를 요청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보안 서버는 303단게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받은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 모드 진입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정보는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 과정에 사용하고자 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부팅시 인증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비디오 바이어스 설정을 변경하여 출력 화면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후, 상기 보안 서버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3단계에서 생성한 메시지 즉, 상기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 모드 진입 요청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를 보안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보안 서버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보안 모드 해제를 요청할 것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307단계에서 보안 모드 해제를 요청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보안 서버는 상기 307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307단계에서 보안 모드 해제를 요청할 경우, 상기 보안 서버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행 중인 보안 모드를 해제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401단계에서 보안 모드 진입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안 모드 진입을 위한 요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인에 의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는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401단계에서 상기 보안 모드 진입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분실한 상태가 아님으로 상기 도 2의 2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대기 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401단계에서 보안 모드 진입을 위한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403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공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인지 또는 최소의 전원을 공급하는 절전 모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03단계에서 확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인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최소의 기능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나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모드 진입을 알리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만일, 상기 405단계에서 절전 모드가 아님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2의 203단계로 진행하여 보안 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405단계에서 절전 모드로 동작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보안 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여 현재 동작 모드인 절전 모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보안 모드 진입을 위한 요청을 수신한 후, 절전 모드 해제할 경우, 상기 보안 모드로 진입하라는 별도의 제어 없이 보안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2의 203단계로 진행하여 보안 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서버에서 보안 모드를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보안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에 포함된 보안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보안 모드 상태에서 수행하는 인증 과정을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에 포함된 보안 정보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절전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해제한 후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습득한 사용자에 의한 제어를 제한하기 위하여 초기 부팅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모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제한하는 모드, 비디오 바이어스 설정을 변경하여 출력 화면을 인식할 수 없도록 처리하는 모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정한 암호와 상기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넘버를 조합한 인증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는,
    다른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 관리하는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안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에 포함된 보안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는,
    상기 보안 모드 상태에 수행하는 인증 과정을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에 포함된 보안 정보에 기반하여 보안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에 포함된 보안 정보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한하는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절전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해제한 후 상기 보안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습득한 사용자에 의한 제어를 제한하기 위하여 초기 부팅시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모드, 상기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을 제한하는 모드, 비디오 바이어스 설정을 변경하여 출력 화면을 인식할 수 없도록 처리하는 모드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모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정한 암호와 상기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의 고유 넘버를 조합한 인증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알리는 정보는,
    다른 휴대용 단말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 관리하는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107376A 2009-11-09 2009-11-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3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376A KR101635413B1 (ko) 2009-11-09 2009-11-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376A KR101635413B1 (ko) 2009-11-09 2009-11-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837A KR20110050837A (ko) 2011-05-17
KR101635413B1 true KR101635413B1 (ko) 2016-07-04

Family

ID=4436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376A KR101635413B1 (ko) 2009-11-09 2009-11-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5350B (zh) * 2021-12-09 2023-09-19 湖南大学 基于密码和频偏的双重认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111B1 (ko) * 1999-10-30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KR100672479B1 (ko) * 2005-05-16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KR101197269B1 (ko) * 2005-12-15 201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실한 휴대용 단말기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는 장치 및방법
KR101305968B1 (ko) * 2006-10-19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837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3121B2 (ja) ユーザ取外可能モジュール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および着信コール受信方法
US201500313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wireless device's location after shutdown
KR1007480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60186199A1 (en) Apparatus for authorising access to an electronic device
JP2007150650A (ja)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2186021A (ja) 電源制御機能付き携帯電話機とその制御方法
KR1016354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51211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130734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携帯通信端末のロック解除方法
KR2011004927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4515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261394B2 (ja) 無線携帯端末装置
US20070130435A1 (en) Terminal apparatus and its data management method
JP5023354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9232108A (ja) 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9090702A1 (zh) 一种终端的安全保护方法及装置
KR100436664B1 (ko)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KR100692004B1 (ko) 원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WO2013180046A1 (ja) Icカードを用いる携帯端末
CN114727272B (zh) 紧急联网的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
KR100750198B1 (ko) 휴대단말의 화상통화기능을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KR2007003583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메시지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방법
US200803205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400876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잠금 장치 및 그 방법
CN116028916A (zh) 一种设备控制方法与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