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034B1 -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034B1
KR100748034B1 KR1020060089455A KR20060089455A KR100748034B1 KR 100748034 B1 KR100748034 B1 KR 100748034B1 KR 1020060089455 A KR1020060089455 A KR 1020060089455A KR 20060089455 A KR20060089455 A KR 20060089455A KR 100748034 B1 KR100748034 B1 KR 100748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control
message
received
contro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효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034B1/ko
Priority to EP07116207A priority patent/EP1901577B1/en
Priority to CN2007101543096A priority patent/CN101145812B/zh
Priority to US11/856,554 priority patent/US820443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가능 상태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검사결과 상기 통신 가능 상태이면, 수신하여 저장된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검사결과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분실로 인한 보안상의 문제를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연결 제어,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 SMS 메시지, MMS 메시지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LUETOOTH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에서 블루투스 연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에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격지로부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메시지에 따라 블 루투스 연결을 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이하 PDA라 함)등의 휴대용 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문서편집, 게임, 네비게이션 및,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주변기기와 연동하여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는 등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블루투스 통신기술의 발달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블루투스 장치들이 많이지고 있다.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블루투스 장치는 주변의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한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고, 인증이 필요한 경우는 페어링(pairing)을 하여 두 블루투스 장치간의 통신 허가 상태를 만들어서 통신을 시작한다. 또는 블루투스 장치는 연결할 블루투스 장치와의 페어링을 위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정보를 가진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페어링를 통한 연결 요청시 페어링하여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미리 저장한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구를 받아 자동으로 블루투스 연결을 하는 블루투스 연결 방법은 아래 도 1과 같이 블루투스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에서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집(110) 또는 자동차(140)의 블루투스 잠금 장치(112, 142)는 일정주기로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방송하고, 상기 블루투스 잠금 장치(112, 142)를 등록한 휴대용 단말기(120, 130)에서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자동으로 페어링 절차를 수행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하고, 정상적으로 블루투스 연결시 상기 블루투스 잠금 장치(112, 142)는 잠금을 해제한다.
상기 도 1과 같이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도어락 시스템에서 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시 악의적 사용자에 의해 도어락 시스템이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분실시 등록한 블루투스 잠금 장치에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여 자동 블루투스 연결을 일일이 초기화하여야 함으로 초기화 지연으로 인한 보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등록한 블루투스 잠금 장치가 다수개 일 경우 다수의 블루투스 잠금 장치를 초기화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이용하여 연결한 블루투스 장치에 저장된 보안을 필요로하는 정보에 접근 가능시에도 정보유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지로부터 블루투스 연결을 제어 받을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로부터 블루투스 연결을 제어받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블루투스 연결을 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은,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가능 상태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검사결과 상기 통신 가능 상태이면, 수신하여 저장된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검사결과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는,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등록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와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등록된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제공하는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가능 상태인지 검사하고 상기 통 신부가 상기 통신 가능 상태이면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검사결과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원격지로부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메시지에 따라 블루투스 연결을 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입력부(202), 통신부(204), 블루투스부(206), 메모리(208) 및, 표시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202)는 다수의 키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비밀번호의 입력요구시 사용자로부터의 비밀번호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204)는 수신할 때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송신할 때는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고 주파수 상승시켜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블루투스 제어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블루투스부(206)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250)를 검색하고 인증 필요하면 페어링(pairing)하여 블루투스 연결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자동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와 연결하는 자동연결 모드시 등록된 블루투스 장치(250)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블루투스 장치(250)와 블루투스 연결을 한다.
상기 메모리(208)는 비밀번호, 제어 인증정보 및, 등록된 블루투스 장치(250)와의 블루투스 연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수신하는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 중에서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21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블루투스 연결을 요구하는 상기 블루투스 장치(250)와의 연결 실패시 블루투스 연결 실패 메시지를 출력하고, 비밀번호의 필요시 비밀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를 출력하고, 허가되지 않은 제어 인증번호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허가된 제어 인증번호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208)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블루투스 자동연결 모드시 등록된 블루투스 장치(250)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204)의 통신이 가능 여부와 상기 메모리(208)에 수신하여 저장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확인결과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저장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상기 블루투스부(206)를 통해 블루투스 연결을 하고, 확인결과가 통신이 가능하지 않거나 통신이 가능하더라도 상기 저장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허가된 비밀번호이면 상기 블루투스부(206)를 통해 블루투스 연결을 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는 원격지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을 제한하기 위해 생성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는 "[010-123-4567]#LOCK[ab1323]"와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 "010-123-4567"는 제어할 휴대용 단말기를 식별하는 전화번호이고, #LOCK는 제어정보이고, "ab1323"는 제어 인증정보이다. 즉,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는 제어할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번호, 제어정보 및, 제어 인증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에서 블루투스 연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블루투스 자동연결 모드로 동작 중인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300단계에서 등록된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302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302단계의 확인결과 통신이 가능 상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리(208)에 저장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304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저장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를 연결한다.
하지만, 상기 304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저장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비밀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210)에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208)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허가된 비밀번호인지 검사한다. 상기 308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허가된 비밀번호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를 연결한다.
하지만 상기 308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허가되지 않은 비밀번호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2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연결 실패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210)에 출력한다.
상기 302단계의 확인결과 통신이 불능 상태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6단계로 진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에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400단계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면, 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한 메시지가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인지 검사한다. 상기 402단계의 검사결과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아니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402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수신한 메시지가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에서 제어 인증번호를 추출하고, 4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추출한 제어 인증번호가 상기 메모리(208)에 저장된 제어 인증번호와 동일한 허가된 제어 인증번호인지 검사한다.
상기 404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추출한 제어 인증번호가 허가된 제어 인증번호이면, 4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210)에 출력하지 않고, 상기 수신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208)에 저장하고, 4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 원격지로 블루투스의 연결을 제한하였음을 알리는 블루투스 제어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상기 404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추출한 제어 인증번호가 허가되지 않은 제어 인증번호이면, 412단계로 진행하여 허가되지 않은 제어 인증번호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210)에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지로부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메시지에 따라 블루투스 연결을 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분실로 인한 보안상의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가능 상태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검사결과 상기 통신 가능 상태이면, 수신하여 저장된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검사결과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검사결과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검사결과 상기 통신 가능 상태가 아니거나 상기 통신 가능 상태이더라도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면,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상기 저장된 비밀번호가 동일하면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비교결과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상기 저장된 비밀번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에서 포함된 수신한 제어 인증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제어 인증정보와 저장된 제어 인증정보가 동일한지 비교하는 과정과,
    비교결과 상기 수신한 제어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된 제어 인증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비교결과 상기 수신한 제어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된 제어 인증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 원격지로 응답 메시지인 블루투스 제어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비교결과 상기 수신한 제어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된 제어 인증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정당하지 않은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는,
    제어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번호, 제어정보 및, 제어 인증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방법.
  9.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에 있어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등록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와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등록된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제공하는 블루투스부와,
    상기 블루투스 연결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가능 상태인지 검사하고 상기 통신부가 상기 통신 가능 상태이면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검사결과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사결과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비밀번호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검사결과 상기 통신부가 상기 통신 가능 상태가 아니거나 상기 통신 가능 상태이어도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상기 블루투스부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교결과 상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저장된 비밀번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지 않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어 인증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한 제어 인증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어 인증정보가 동일한지 비교하고 동일하면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상기 정당한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교결과 상기 수신한 제어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된 제어 인증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 원격지로 응답 메시지인 블루투스 제어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정당하지 않은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비교결과 상기 수신한 제어 인증정보와 상기 저장된 제어 인증정보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경고메시지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제어 메시지는,
    제어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번호, 제어정보 및, 제어 인증번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KR1020060089455A 2006-09-15 2006-09-15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48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455A KR100748034B1 (ko) 2006-09-15 2006-09-15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
EP07116207A EP1901577B1 (en) 2006-09-15 2007-09-12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uetooth in portable terminal
CN2007101543096A CN101145812B (zh) 2006-09-15 2007-09-17 用于控制在便携终端中的蓝牙的装置与方法
US11/856,554 US8204436B2 (en) 2006-09-15 2007-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uetooth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455A KR100748034B1 (ko) 2006-09-15 2006-09-15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034B1 true KR100748034B1 (ko) 2007-08-09

Family

ID=3860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455A KR100748034B1 (ko) 2006-09-15 2006-09-15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04436B2 (ko)
EP (1) EP1901577B1 (ko)
KR (1) KR100748034B1 (ko)
CN (1) CN10114581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636A (ko) * 2014-07-31 2016-02-15 디바이스디자인(주) Mac 주소 인증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60082937A (ko) * 2014-12-05 2016-07-11 시아오미 아이엔씨. 관리권한 잠금해제 방법, 인증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9673A1 (en) * 2008-04-24 2009-1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Wireless Device Pairing
US20110021147A1 (en) * 2009-07-21 2011-01-27 Tout Walid R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nectivity status of short range wireless devices
GB201000448D0 (en) * 2010-01-12 2010-02-24 Cambridge Silicon Radio Ltd Indirect pairing
KR101208212B1 (ko) * 2010-12-16 2012-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33454B1 (ko) * 2011-06-14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US9509822B2 (en) 2014-02-17 2016-11-29 Seungman KI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in mobile device
US9276914B2 (en) 2014-04-15 2016-03-01 Google Inc. Auto-user registration and unlocking of a computing device
US9870662B2 (en) 2014-10-15 2018-01-16 Tristan Mullane Wireless lock sensory delivery and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220217136A1 (en) * 2021-01-04 2022-07-0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Identity verification through multisystem cooper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28A (ko) * 2001-02-06 2002-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KR20050015000A (ko) * 2003-08-01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8421A1 (de) * 1998-08-24 2000-03-16 Siemens Ag Zugangskontrolleinrichtung zu einem Objekt, insbesondere zu einem Kraftfahrzeug
WO2001020463A1 (en) * 1999-09-17 2001-03-22 Fingloq Ab Security arrangement
FR2814900B1 (fr) 2000-10-04 2003-06-27 Sagem Calculateur d'enceinte a acces verouillable et deverouillable et appareil de radiotelephonie cellulaire pour la telecommande du calculateur
FI20002255A (fi) 2000-10-13 2002-04-14 Nokia Corp Menetelmä lukkojen hallintaan ja kontrollointiin
JP4027713B2 (ja) * 2002-05-13 2007-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通信装置、携帯端末、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にその方法を実現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40203601A1 (en) * 2002-12-19 2004-10-14 Morriss Matthew James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restrictive operating m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28A (ko) * 2001-02-06 2002-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구 개폐 장치 및 방법
KR20050015000A (ko) * 2003-08-01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636A (ko) * 2014-07-31 2016-02-15 디바이스디자인(주) Mac 주소 인증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633924B1 (ko) * 2014-07-31 2016-06-27 디바이스디자인(주) Mac 주소 인증을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60082937A (ko) * 2014-12-05 2016-07-11 시아오미 아이엔씨. 관리권한 잠금해제 방법, 인증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686760B1 (ko) * 2014-12-05 2016-12-14 시아오미 아이엔씨. 관리권한 잠금해제 방법, 인증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992676B2 (en) 2014-12-05 2018-06-05 Xiaomi Inc. Method for unlocking administration authority and device for authent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1577B1 (en) 2012-09-05
US20080070503A1 (en) 2008-03-20
CN101145812B (zh) 2012-03-14
EP1901577A3 (en) 2009-04-08
US8204436B2 (en) 2012-06-19
CN101145812A (zh) 2008-03-19
EP1901577A2 (en)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0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제어 장치 및 방법
US5457737A (en) Methods and apparatus to verify the identity of a cellular mobile phone
US75057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use restri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126562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WO2000031608A2 (en) Mobile telephone auto pc logon
JP2005020758A (ja) カメラを内蔵した移動通信端末機を検索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40077278A (ko)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잠금 설정 및해제 방법
US200401983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service access request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43950A1 (en) Target apparatus, certification device, and certification method
US20090221264A1 (en) Storage system of mobile terminal and access control method
WO2002071786A1 (fr)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et dispositif constitutif
KR100620917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
EP2640046A1 (en) System for allowing registration of dect devices
US7406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blocked secure storage memory
KR102001223B1 (ko)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휴대 단말을 인증하는 외부 디바이스
KR100944246B1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37272B1 (ko) 정보 보안 관리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040198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access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71507B1 (ko) 인증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방법
KR2005005042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한 장치와 방법
AU6246200A (en) Method for authorising a communication between atleast two devices, a well as tele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device
KR100692004B1 (ko) 원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00493A (ko) 카메라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54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818609B (zh) 一种连接无线网络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