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664B1 -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664B1
KR100436664B1 KR10-2001-0049234A KR20010049234A KR100436664B1 KR 100436664 B1 KR100436664 B1 KR 100436664B1 KR 20010049234 A KR20010049234 A KR 20010049234A KR 100436664 B1 KR100436664 B1 KR 100436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special code
information transmission
image
block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448A (ko
Inventor
송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6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특수코드 수신시 화상정보의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상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와,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 해제시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특수코드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면 카메라를 오프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한 후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하는 제3과정과, 상기 특수코드의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 해제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해제시간이 되면 상기 카메라를 온하거나, 상기 화상데이터의 전송차단을 해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PICTURES IN DISPLAY PHONE}
본 발명은 화상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특수목적을 위하여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상통신단말기는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모습뿐만 아니라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상대방에게 송출한다.
따라서 종래의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문자입력에 의한 비교적 단순한 정보전송이나 다른 매제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화상의 전송과는 달리, 화상통신단말기는 이용하여 전송을 원하는 화상정보를 손쉽게 촬영하여 즉시 다른 단말로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화상통신단말기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신단말기의 편리한 기능들이 일부 사용자의 불순한 의도에 의해 사용되어 질 경우에는, 국가나 기업의 중요 정보들을 상대국이나 경쟁사에 간단히 유출시킬 수 있는 도구로 악용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사생활이 침해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통신단말기에서 정보유출방지 및 사생활 보호 등 특수목적을 위해서 특수코드 수신시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특수코드 수신시 소정 지역, 소정 시간 동안 단말기 사용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화상의 전송을 차단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특수코드 수신시 화상정보의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와,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 해제시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특수코드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면 카메라를 오프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한 후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하는 제3과정과, 상기 특수코드의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 해제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해제시간이 되면 상기 카메라를 온하거나, 상기 화상데이터의 전송차단을 해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특수코드 수신시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수코드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특수코드가 제1특수코드와 제2특수코드 중 어느 특수코드인지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1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3과정과,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면 카메라를 오프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2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카메라를 온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신단말기에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화상 송출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순서를 나타낸 제어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키 혹은 모드 이름 등과 같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송수신부(10)는 안테나에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0)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0)에 구비되어 있는 카운터(2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의 설정 시, 수신된 특수코드로부터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의 해제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카운트한다.
카메라(3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가 촬영하고자하는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30)는 전화기에 내장된 것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부(40)는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호 연결 시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화상 송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30)에서 촬영한 화상정보(42)를 저장한다.
영상처리부(50)는 사용자가 촬영한 화상의 촬영 정보를 동화상 압축 표준(예: MPEG4)에 의거 소정의 비율(예: 5백분의 1)로 압축한다. 또는 그 반대의 경우복원하는 처리를 한다.
표시부(60)는 화상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특수코드 수신시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 설정 및 해제 시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여 알린다. 한편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 설정 및 해제 시 이를 사용자에게 경보음 등을 통하여 알릴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신단말기에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화상 송출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순서를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는 200단계에서 특수코드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특수코드가 수신되었으면 202단계에서 화상통신단말기의 상태가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제어부(20)는 화상통신단말기가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아니면, 204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30)를 오프(off)하고,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한다. 제어부(20)는 204단계에서 카메라(30)를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30)가 별도로 전원공급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PM(Power Management)칩에 의해 전원이 제어되므로 이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30)의 전원을 제어토록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 카메라(3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카메라(30)로부터의 화상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는 카메라(30)의 전원을 제어하지 않고, 카메라(30)로부터의 화상데이터나 화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40)로부터의 화상데이터가 송수신부(10)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카메라(30)가 생성하는 특수 데이터 포맷을 검색하여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화상통신단말기가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부(60)나 스피커(또는 부저, 미도시함)를 통하여 알린다. 한편, 202단계에서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20)는 208단계에서 현재 화상통신단말기의 모드가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화상통신단말기의 화상 송출을 제어하기 위해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특수코드는, 화상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와,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 해제시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화상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정보의 송신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송출을 제어하기 위한 특수코드 수신 및 발생장치 등을 통하여 소정시간에 소정지역 내의 단말기들에게 상기 특수코드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등에 의뢰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특수코드를 수신하면, 이를 체크하여 정당한 특수코드이면,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구비된 카운터(22)를 통하여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의 해제시간을 카운트한다. 따라서 210단계에서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 해제시각인지를 체크하여 해제시각이 되면 카메라(30)를 온(on)시키고,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를 해제하며, 사용자에게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해제됨을 알린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0)는 300단계에서 특수코드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특수코드가 수신되었으면 302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특수코드가 제1특수코드인지, 제2특수코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1특수코드는 상기 제1특수코드임을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화상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카메라를 오프 및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시키기 위한 특수코드이고, 상기 제2특수코드는 상기 제2특수코드임을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화상정보의 전송차단을 해제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카메라를 온 및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한 특수코드이다.
제어부(20)는 302단계의 판단에서 수신된 특수코드가 제1특수코드이면 304단계로, 제2특수코드이면 308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304단계에서 화상통신단말기가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아니면 306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를 오프하고,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한다. 한편 308단계에서 화상통신단말기의 상태가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이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를 온하고,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를 해제한다.
제어부(20)는 306단계 및 310단계에서 카메라(30)를 제어하기 위해, 카메라(30)가 별도로 전원공급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PM(PowerManagement)칩에 의해 전원이 제어되므로 이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30)의 전원을 제어토록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 카메라(3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카메라(30)로부터의 화상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는 카메라(30)의 전원을 제어하지 않고, 카메라(30)로부터의 화상데이터나 화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40)로부터의 화상데이터가 송수신부(10)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카메라(30)가 생성하는 특수 데이터 포맷을 검색하여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상기 306단계 및 310단계의 동작을 수행하고, 화상통신단말기가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 설정되었거나, 또는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표시부(60)나 스피커(또는 부저, 미도시함)를 통하여 알린다. 한편, 304단계 또는 308단계에서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20)는 현재 화상통신단말기의 모드가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종료한다.
화상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정보의 송신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송출을 제어하기 위한 특수코드 수신 및 발생장치 등을 통하여 소정시간에 소정지역 내의 단말기들에게 상기 특수코드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등에 의뢰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특수코드를 수신하면, 이를 체크하여 정당한 특수코드이면, 해당 동작을 수행하고, 제1특수코드인 경우, 이를 구성하고 있는 화상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를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 설정하고, 제2특수코드인 경우, 이를 구성하고 있는 화상정보의 전송차단을 해제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를 해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통신단말기로 통화를 할 때, 현재 촬영되는 영상이 아니라, 미리 녹화된 영상을 송출할 수 있으므로 프라이버시를 보호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카메라를 온/오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

Claims (12)

  1.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특수코드 수신시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수코드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면 카메라를 오프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의 전송을 차단한 후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하는 제3과정과,
    상기 특수코드의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 해제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해제시간이 되면 상기 카메라를 온하거나, 상기 화상데이터의 전송차단을 해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코드는,
    상기 화상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와,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 해제시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특수코드 수신시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수코드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특수코드가 제1특수코드와 제2특수코드 중 어느 특수코드인지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1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3과정과,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면 카메라를 오프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2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카메라를 온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특수코드는;
    상기 제1특수코드임을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상기 화상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카메라를 오프시키기 위한 특수코드이고,
    상기 제2특수코드는;
    상기 제2특수코드임을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상기 화상정보의 전송차단을 해제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카메라를 온시키기 위한 특수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10. 화상통신단말기에서 특수코드 수신시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수코드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특수코드가 제1특수코드와 제2특수코드 중 어느 특수코드인지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1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3과정과,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하고, 사용자에게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제4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제2특수코드 수신이 감지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감지하면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를 해제하고, 사용자에게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특수코드임을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상기 제1특수코드는;
    상기 화상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특수코드이고,
    상기 제2특수코드는;
    상기 제2특수코드임을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와,
    상기 화상정보의 전송차단을 해제하고자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번호와,
    상기 화상정보 송출제어 서비스 이용자 비밀번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화상정보전송차단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특수코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KR10-2001-0049234A 2001-08-16 2001-08-16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KR100436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34A KR100436664B1 (ko) 2001-08-16 2001-08-16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34A KR100436664B1 (ko) 2001-08-16 2001-08-16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448A KR20030016448A (ko) 2003-03-03
KR100436664B1 true KR100436664B1 (ko) 2004-06-22

Family

ID=2771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234A KR100436664B1 (ko) 2001-08-16 2001-08-16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735A (ko) * 2002-06-14 2003-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화상 통화 방법
KR101013614B1 (ko) * 2003-11-25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한 장치와 방법
KR100633778B1 (ko) 2004-06-17 2006-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출력 제어 방법, 영상 처리 장치 및이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1331146B1 (ko) * 2011-11-22 2013-11-26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이동 단말 기능 통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4378577B (zh) * 2013-08-16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725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휴대폰 영상출력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725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휴대폰 영상출력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448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5730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photographs taken in a proprietary area
KR100520618B1 (ko) 다기능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 제한 방법
US8374648B2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KR101083381B1 (ko) 긴급구조 신호 발생장치 및 긴급구조 신호 전송방법
KR100990434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로 촬영한 영상의 관리방법
KR100548418B1 (ko) 카메라 일체형 휴대 단말기의 촬영 제한 방법 및 시스템
US709965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emote-controlled camera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436664B1 (ko) 화상통신단말기에서의 화상 송출 제어방법
KR20070113578A (ko) 화상통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처리 방법
JP2005123817A (ja) 携帯通信端末
KR100547837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기능 제어 방법
KR10066348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삭제 방법
KR100575756B1 (ko) 통신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동작 제한 장치 및 방법
KR100594175B1 (ko) 자동촬영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1955A (ko) 화상 전화기에서 호 연결시 화상 송출을 제어하는 방법
KR100469694B1 (ko) 화상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전송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013673B1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
KR2005004134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동작제한장치 및 방법
KR100631580B1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방법
KR100547816B1 (ko) 카메라 폰의 카메라 기능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2005204035A (ja) 盗撮防止システム、カメラ搭載型携帯端末及び無線通信装置
EP1895765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photographs taken in a proprietary area
JP2006186685A (ja) 撮像装置
JP2005341044A (ja) 携帯端末装置
KR20040089911A (ko) 휴대폰의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