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479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479B1
KR100672479B1 KR1020050040647A KR20050040647A KR100672479B1 KR 100672479 B1 KR100672479 B1 KR 100672479B1 KR 1020050040647 A KR1020050040647 A KR 1020050040647A KR 20050040647 A KR20050040647 A KR 20050040647A KR 100672479 B1 KR100672479 B1 KR 10067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t
control signal
mod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8641A (ko
Inventor
구교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47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통신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도난 신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밧데리의 기계적인 분리 잠금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모듈;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연락처 및 분실 메시지를 나타내는 화면 표시부에 관한 것으로, 핸드폰의 분실상황 발생시 휴대폰 전원 off 설정, 밧데리 분리불가 장치, 분실시 핸드폰 모드 변경 등 적극적 대처 방안을 제공하므로 분실된 핸드폰의 불법사용을 방지하고 회수률을 높일 수 있다
휴대폰 분실, 분실모드, 절전모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illegal uses of the los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구성도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a~2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모드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분실 휴대폰 건수는 지난 99년 8만 5120건, 2000년 8만 1675건, 2001년 7만 4758건, 2002년 1분기 3만 여건 등에 이르고 있으며, 이 가운데 주인을 찾지 못해 보관중인 단말기가 5만대를 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헥사코드 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들 분실 단말기가 불법 개조돼 유통되면서 이용자들이나 휴대폰 업체들이 선의의 피해를 입는 등 후유증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연간 휴대폰 분실건수가 7만~8만 여건에 이르고 있어 수거되지 못한 분실 단말기는 불법복제 등으로 범죄에 악용되거나 무단 폐기돼 자원 낭비는 물론 환경오염 문제까지 야기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한 기술적 대책이 필요하다.
종래기술은 분실 시 위치 추적기능을 각 통신사에서 제공해 주기는 하지만 휴대폰과 밧데리의 분리가 쉽고 누구나 핸드폰을 오프(off)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실시 핸드폰을 찾을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분실 휴대폰은 범죄에도 이용되고 불법 거래 등이 성행하여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 전원 off 설정, 밧데리 분리불가 장치, 분실시 핸드폰 모드 변경 등 적극적 대처 방안을 제공하므로 분실된 핸드폰의 불법사용을 방지하고 회수률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분실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통신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도난 신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밧데리의 기계적인 분리 잠금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모듈;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연락처 및 분실 메시지를 나타내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에 있어서, 분실 제어 신호의 입력에 의해 분실 잠금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분실 모드에 의해 밧데리 분리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분실 모드에 의해 전원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단계; 키 입력이 있을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종료 기능 버튼을 잠그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구성도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휴대폰을 분실한 사용자는 인터넷 네트웍을 통해 분실신고 접수 및 분실된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 사용자로부터 휴대폰 분실 또는 도난 신고를 접수한 이동통신 서비스 센터(30)는 해당 기지국 서버(20)로 분실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분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 서버(20)는 분실된 휴대폰(10)으로 분실 이벤트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신호에 의해 휴대폰(10)은 분실 모드로 전환되고 주기적으로 위치정보 데이터를 기지국 서버(20)로 송신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위치추적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11), 전원 공급 모듈(12), 키 입력부(13), 제어부(14), 메모리부(15), 무선통신부(16), 음성신호 처리부(17), 화면 표시부(18), 스피커, 마이크를 구비한다.
제어부(14)는 분실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통신 설정을 변경한다. 무선통신부(16)는 기지국(20)으로부터 분실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에 따른 도난 신고 신호를 기지국(20)으로 송신한다. 전원공급 모듈(12)은밧데리의 기계적인 개폐상태를 제어하는데 분실모드일 경우 밧데리의 분리 잠금으로 동작한다. 화면 표시부(18)는 분실모드 시의 단말기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데 제어신호에 따른 연락처 및 분실 메시지를 나타낸다. 위치추적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11)는 분실모드 시의 단말기 위치 정보 데이터를 무선통신부로 출력한다.
도 2a~2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모드 설정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는 분실 모드 설정을 위한 비밀번호 등록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위메뉴에서 비밀번호 입력신호를 수신하여(a) 영문과 숫자를 조합한 8자리의 비밀번호 입력을 받는다(b). 비밀번호 재입력을 실행하여 전단계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c) 새로운 비밀번호가 설정이 된다(c). 도 2b는 분실 모드 설정을 위한 표시 연락처의 등록 과정이다. 상위메뉴에서 표시 연락처로 이동 선택 입력 신호를 받아(a) 이미 등록된 연락처(1.연락처) 하단의 추가 버튼의 입력신호를 받는다(b). 화 면 상단에 연락처 2를 표시하고 기입 항목인 이름과 연락처를 입력받아 하단의 확인 버튼을 입력하여 등록한다(c). 연락처 2가 설정되고(d) 표시 연락처 메뉴로 이동하면 연락처 1,2가 등록되어 나타난다(d). 도 2c는 분실 모드 설정을 위한 표시 메시지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위 메뉴에서 표시 메시지 항목으로 이동, 선택 입력신호를 받아(a) 표시 메시지로 나타낼 내용을 45자 이하의 단어로 입력받는다(b). 완성된 문장은 확인 버튼 입력신호를 받아 표시 메시지로 등록한다(c). 도 2d는 단말기가 분실 모드로 설정될 시 기지국으로 자동신고 기능을 등록하는 과정이다. 상위 메뉴에서 자동 신고 기능으로 이동, 선택 입력신호를 받아(a) 자동신고 설정의 하단 이동키로 이동하여 자동 신고로 입력하여(b) 등록한다(c).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지국으로부터 분실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는 분실 잠금 모드로 전환된다(S301). 단말기 본체로부터 밧데리의 기계적인 분리 잠금을 설정하여 단말기 전원 공급을 확보한다(S302). 단말기 전원을 최대한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절전 조명, 벨소리 줄임 및 발신제한 등으로 동작한다(S303). 외부 키 입력이 있을 경우, 비밀번호 입력을 표시하여 입력된 키 신호와 기 저장된 신호와 비교한다(S304). 적어도 3회 이상 입력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단말 내 시스템의 동작을 off하는 종료버튼을 잠근다(S305). 이때, 사용자는 종료버튼을 입력하더라도 실행되지 않는다. 동시에 자동 신고 기능이 수행된다.분실 모드가 유지됨으로 기 저장된 표시 연락처 및 표시 메시지가 화면 표시부로 출력된다(S306).
본 발명은 핸드폰의 분실상황 발생시 휴대폰 전원 off 설정, 밧데리 분리불가 장치, 분실시 핸드폰 모드 변경 등 적극적 대처 방안을 제공하므로 분실된 핸드폰의 불법사용을 방지하고 회수률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2)

  1. 분실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통신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도난 신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밧데리의 기계적인 분리 잠금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모듈;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연락처 및 분실 메시지를 나타내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단말기 내부를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는 상기 단말기 내 절전 조명, 벨소리 줄임 및 발신제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 모드를 실행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전원을 off 하는 종료 기능 버튼을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분실 제어 신호의 입력에 의해 분실 잠금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분실 모드에 의해 밧데리 분리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분실 모드에 의해 전원 절전 상태로 동작하는 단계;
    키 입력이 있을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종료 기능 버튼을 잠그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분실 연락처 및 분실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는 숫자와 영문을 조합한 적어도 6 ~ 8자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이 3회 이상 오류 시 자동으로 분실 모드가 설정되고 도난 신고 신호가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KR1020050040647A 2005-05-16 2005-05-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KR10067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647A KR100672479B1 (ko) 2005-05-16 2005-05-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647A KR100672479B1 (ko) 2005-05-16 2005-05-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41A KR20060118641A (ko) 2006-11-24
KR100672479B1 true KR100672479B1 (ko) 2007-01-24

Family

ID=3770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647A KR100672479B1 (ko) 2005-05-16 2005-05-16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50B1 (ko) * 2007-01-12 2009-01-13 (주)테크바일 휴대단말기의 다중데이터 보호방법, 장치, 및 휴대단말기
KR100799250B1 (ko) * 2007-10-29 2008-01-29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디지털 기기의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디지털 기기
KR100963789B1 (ko) * 2008-06-04 2010-06-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 단말기의 개인 정보 보호 및 추적 시스템
KR101635413B1 (ko) * 2009-11-09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74615B1 (ko) * 2011-12-05 2014-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 사용 방지 방법 및 전지팩 분실 탐지 방법
US10278066B2 (en) 2015-05-04 2019-04-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dentification of lost device for anti-theft operatio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368A (ja) * 1994-11-29 1996-08-20 Nec Corp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盗難防止システム
KR19990009914A (ko) * 1997-07-12 1999-02-05 윤종용 분실된 휴대혼의 위치 추적 방법
KR20020041872A (ko) * 2000-11-29 2002-06-05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30045234A (ko) * 2001-12-01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찾기 위한 이동 서비스 교환센터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41581A (ko) * 2004-11-09 2006-05-12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368A (ja) * 1994-11-29 1996-08-20 Nec Corp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盗難防止システム
KR19990009914A (ko) * 1997-07-12 1999-02-05 윤종용 분실된 휴대혼의 위치 추적 방법
KR20020041872A (ko) * 2000-11-29 2002-06-05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30045234A (ko) * 2001-12-01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찾기 위한 이동 서비스 교환센터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41581A (ko) * 2004-11-09 2006-05-12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641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226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motely set alarms on a mobile device
CN103458125B (zh) 一种高等级私密性智能手机及其私密信息的保护方法
US8195248B2 (en)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24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분실시 불법 사용 방지 방법
KR100735421B1 (ko)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스케쥴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8002080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stricting acces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unctionality
JP2001238260A (ja) 電子機器及び固有情報管理方法
JP2000165952A (ja) 携帯移動電話機及びその使用規制方法
KR20030008243A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제어 방법
JP2000083282A (ja) 移動体通信装置
JP2000125346A (ja) 無許可の使用に対する無線端末の保護方法
CN103188369A (zh) 移动终端的工作方法和移动终端
JP507767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040733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13085053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4703475B2 (ja) 携帯情報機器
JPH06188829A (ja) 電話機システム
JP2003219032A (ja) リアルタイムに携帯電話状態を通知する方法と携帯電話サービスのコントロールセンタ
JP2006129329A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携帯電話の不正使用防止方法
KR20140118532A (ko) 이동단말기 분실 방지 시스템
JP2000125026A (ja) 携帯通信端末のデータ設定方法
JP200435668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制御システム
US20030054862A1 (en) Method for checking user information of a mobile telephone in a locked state and automatically calling the user
JP2002111858A (ja) 置き忘れ対策機能内蔵携帯電話機
JPH11289381A (ja) 携帯通信端末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