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556A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556A
KR20160026556A KR1020140115661A KR20140115661A KR20160026556A KR 20160026556 A KR20160026556 A KR 20160026556A KR 1020140115661 A KR1020140115661 A KR 1020140115661A KR 20140115661 A KR20140115661 A KR 20140115661A KR 20160026556 A KR20160026556 A KR 20160026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transmission
power supply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739B1 (ko
Inventor
윤대길
조호윤
임현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7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을 순차적으로 대기동작하도록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와 인접한 송신 코일부의 전력 전송 효율을 비교하여 선택한 송신 코일부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도록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ETHID}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에 의해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충전 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아닌 이물질(foreign object)이 위치하게 되면, 정상적인 무선 전력 송신 모드에서 비정상 모드로 돌입하여 충전이 중지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기구적인 형태를 원뿔형, 원통형 등으로 설계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만이 충전 영역(charging area)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형태의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복수의 송신 코일부를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효율이 높은 송신 코일부를 선택하는 기준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1-000922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로 인한 충전 중지를 방지하고 복수의 송신 코일부 중 효율적인 송신 코일부를 선택하여 전력 전송을 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을 순차적으로 대기동작하도록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와 인접한 송신 코일부의 전력 전송 효율을 비교하여 선택한 송신 코일부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도록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a)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이 순차적으로 대기동작하도록 송신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b)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와 인접한 송신 코일부의 전력 전송 효율을 비교하여 송신 코일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송신 코일부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로 인한 충전 중지를 방지하고 복수의 송신 코일부 중 전력 전송 효율이 높은 송신 코일부를 선택하여 효율적인 전력 전송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이로부터 전력을 전송 받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3b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송신 코일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방법을 설명하는 간략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방법의 대기 동작 단계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이로부터 전력을 전송 받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공급 장치(200)의 충전 영역에 위치되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로부터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자기 유도 방식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표준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자기 공명 방식은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표준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의 표준 또는 비표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원뿔형의 형태로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를 가이드(guide)하여 충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고, 이물질이 충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설계 형태는 원뿔형 이외의 원통형 등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전력 공급부(230) 및 복수의 코일부들(241, 242, 243, 244)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네 개의 송신 코일부들을 도시하였으나 설계에 따라 다섯 개 이상의 송신 코일부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와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BL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송신 코일부들(241, 242, 243, 244)을 순차적으로 대기동작하도록 상기 전력 공급부(23)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210)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와 인접한 송신 코일부의 전력 전송 효율을 비교하여 선택한 송신 코일부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도록 전력 공급부(2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송신 코일부들(241, 242, 243, 244)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송신 코일부들(241, 242, 243, 244) 중 전력 공급부(230)과 연결된 송신 코일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포함된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의 수는 설계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코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및 도 4a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제1 내지 제4 송신 코일부들(241, 242, 243, 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송신 코일부들(241, 242, 243, 244)은 평면상에서 사각형 형태를 이루어 전력 공급부(230)의 선택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계 또는 자계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에 전송되는 무선 전력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b 및 도3c를 참조하면,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도 3b의 241, 242, 및 243과, 도 3c의 241, 242, 243, 244, 및 245)의 수와 배치는 설계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의 수와 배치는 전력 송신 효율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은 도 3a에서 상술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송신 코일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원뿔형의 형태를 가지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241, 242, 2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서 제1 내지 제3 송신 코일부들(241, 242, 243)을 확인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채용된 송신 코일부들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설계 형태에 따라 이물질을 배제하고 충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241, 242, 243, 244, ...)을 채용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241, 242, 243, 244, ...) 중 효율적인 송신 코일부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방법을 설명하는 간략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무선 전력 송신 방법은, 제어부(도 2의 220)가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도 2의 241, 242, 243, 244, ...)이 순차적으로 대기동작하도록 전력 공급부(도 2의 230)를 제어하는 것으로 시작된다(S510).
제어부(도 2의 220)는 대기동작 중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도 1의 10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S520).
상기 응답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도 1의 100)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advertisement packet)일 수 있다.
응답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도 2의 220)는 상기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에 포함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도 2의 220)는 통신부(도 2의 210)에서 수신한 상기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에 포함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기준 신호 레벨 이상이면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도 2의 220)는 통신부(도 2의 210)에서 수신한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의 RSSI가 기준 신호 레벨 이하이면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대기동작을 계속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응답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도 2의 220)는 전력 전송 효율을 비교하여 전력 송신을 위한 송신 코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S530).
구체적으로, 통신부(도 2의 210)는 응답신호의 수신 이후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도 1의 100)로부터 전압 정보, 전류 정보 등이 포함된 동작 특성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도 2의 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도 2의 220)는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의 동작 특성 신호에 포함된 전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도 2의 220)는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에 인접한 송신 코일부의 동작 특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도 2의 220)는 상기 인접한 송신 코일부의 동작 특성 신호에 포함된 전압정보와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의 동작 특성 신호에 포함된 전압정보를 비교하여 전력 전송 효율이 높은 송신 코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도 2의 220)는 상기 선택한 송신 코일부를 통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도 1의 10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S540).
이에 따라,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도 2의 241, 242, 243, 244, ...) 중 전송 효율이 높은 송신 코일부를 통하여 전력이 전송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전력 전송을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방법의 대기 동작 단계(S510)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도 2의 220)은 대기동작하는 송신 코일부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현재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의 대기동작 중인 시간(t)을 대기시간(twait -)과 비교할 수 있다(S511).
비교에 따라, 제어부(도 2의 220)는 현재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의 대기동작 중인 시간(t)이 대기시간(twait)을 초과한 경우 상기 대기동작하는 송신 코일부를 변경하여(S512),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 각각이 상기 대기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대기동작하도록 전력 공급부(도 2의 23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 공급부(도 2의 230)는 제어부(도 2의 220)의 제어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제1 주기를 갖는 숏 비컨을 전송하여(S513) 무선 전력 수신 장치(도 1의 100)의 근접을 인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도 1의 100)가 근접하였는지는 전력 공급부(도 2의 230)가 연결한 송신 코일부의 임피던스(impedance) 변화를 검출하여 기준 이상으로 임피던스가 변한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도 1의 100)가 근접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S514).
또한, 전력 공급부(도 2의 230)는 제어부(도 2의 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주기와 상이한 제2 주기를 가지는 롱 비컨을 전송하여(S515), 인접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00)의 블루투스 회로를 웨이크 업 시킬 수 있다(S516). 상기 롱 비컨 신호는 상기 S514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기준 이상으로 임피던스가 변화한 경우에도 전송될 수 있다. 즉, 롱 비컨 신호는 제2 주기가 도래한 경우 또는 숏 비컨 신호의 전송 후 송신 코일부의 임피던스 변화가 발생된 경우에, 제어부(도 2의 220)에 따라 전력 공급부(도 2의 23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이후, 통신부(도 2의 210)는 제어부(도 2의 220)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 회로가 웨이크 업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도 1의 100)에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517).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2의 220)는 연결 요청 신호의 전송 후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도 1의 10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S520).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00: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30: 전력 공급부
241, 242, 243, 244: 제1 내지 제4 송신 코일부

Claims (15)

  1. 무선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을 순차적으로 대기동작하도록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로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와 인접한 송신 코일부의 전력 전송 효율을 비교하여 선택한 송신 코일부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도록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대기동작하는 송신 코일부를 변경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 각각이 상기 대기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상기 대기동작하도록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무선 전력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 중 대기동작중인 송신 코일부가 숏 비컨(short beacon)을 전송하도록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근접을 인지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 중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가 롱 비컨을(long beacon)을 전송하도록 상기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블루투스 회로를 웨이크 업(wake up)시키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신호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advertisement packet)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에 포함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작특성신호에 포함된 전압정보를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비교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블루투스 회로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a)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이 순차적으로 대기동작하도록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단계;
    (b)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대기동작 중인 송신 코일부와 인접한 송신 코일부의 전력 전송 효율을 비교하여 송신 코일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된 송신 코일부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대기시간이 초과된 경우 상기 대기동작하는 송신 코일부를 변경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코일부들 각각이 상기 대기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상기 대기동작하도록 전력 공급부를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숏 비컨(short beacon)을 전송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근접을 인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롱 비컨(long beacon)을 전송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블루투스 회로를 웨이크 업(wake up)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advertisement packet)을 수신하는 단계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애드버타이즈먼트 패킷에 포함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동작특성신호에 포함된 전압정보를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KR1020140115661A 2014-09-01 2014-09-0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KR10199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661A KR101994739B1 (ko) 2014-09-01 2014-09-0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661A KR101994739B1 (ko) 2014-09-01 2014-09-0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556A true KR20160026556A (ko) 2016-03-09
KR101994739B1 KR101994739B1 (ko) 2019-07-01

Family

ID=5553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661A KR101994739B1 (ko) 2014-09-01 2014-09-0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73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482A (ko) * 2016-04-19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진폭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력송신기 및 무선전력수신기
KR20200002354A (ko) * 2018-06-29 2020-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00038705A (ko) * 2018-10-04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2206468B1 (ko) * 2019-08-06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46117B2 (en) 2017-04-19 2021-10-12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US11770029B2 (en) 2018-10-04 2023-09-2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20895A4 (en) 2021-01-29 2024-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985A (ko) * 2008-03-13 2010-12-14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복수 코일 프라이머리를 갖는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KR20110009227A (ko) 2008-05-13 2011-01-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KR20110069264A (ko) * 2009-12-17 2011-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충전장치 및 방법
JP2011130569A (ja) * 2009-12-17 2011-06-30 Toko Inc 無接点電力伝送装置
KR20130006363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JP2014103802A (ja) * 2012-11-21 2014-06-05 Toyota Motor Corp 送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985A (ko) * 2008-03-13 2010-12-14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복수 코일 프라이머리를 갖는 유도 전력 공급 시스템
KR20110009227A (ko) 2008-05-13 2011-01-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충전 시스템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KR20110069264A (ko) * 2009-12-17 2011-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전력 충전장치 및 방법
JP2011130569A (ja) * 2009-12-17 2011-06-30 Toko Inc 無接点電力伝送装置
KR20130006363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JP2014103802A (ja) * 2012-11-21 2014-06-05 Toyota Motor Corp 送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482A (ko) * 2016-04-19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진폭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전력송신기 및 무선전력수신기
US11146117B2 (en) 2017-04-19 2021-10-12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KR20200002354A (ko) * 2018-06-29 2020-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00038705A (ko) * 2018-10-04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US11770029B2 (en) 2018-10-04 2023-09-2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2206468B1 (ko) * 2019-08-06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739B1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739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US9769869B2 (en) Non-contact type power supply apparatus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 method
KR102589290B1 (ko) 무선 전력 송신 코일 형상 및 코일의 배치 방법
JP6166598B2 (ja) 送電装置、受電装置、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40996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1720400B1 (ko) 송전 장치 및 송수전 시스템
JP6643041B2 (ja) 送電装置
KR20160025314A (ko) 충전 방식 가변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47610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스마트 폰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US11271432B2 (en) Wireless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US20140133584A1 (en) Bluetooth device and related communications establishing method
JP6300465B2 (ja)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011932B2 (en) Mouse pad compri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use
JP2014128149A (ja) 給電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882063A1 (en)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non-contact type power supplying method
KR101471806B1 (ko) 공진형 무선 충전 수신기의 다중 조절 스위치 장치 및 그 방법
JP2017028770A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KR102230682B1 (ko)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JP2015008619A (ja) 無線電力伝送受電装置
KR20160025261A (ko)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무선전력전송통신시스템 및 무선전력전송방법
KR102266079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901464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thereby,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525730B2 (ja) 移動体端末および無接点充電器
JP2016039735A (ja) 充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3242374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