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062A -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 Google Patents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062A
KR20160026062A KR1020140113860A KR20140113860A KR20160026062A KR 20160026062 A KR20160026062 A KR 20160026062A KR 1020140113860 A KR1020140113860 A KR 1020140113860A KR 20140113860 A KR20140113860 A KR 20140113860A KR 20160026062 A KR20160026062 A KR 2016002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bis
hydroxyphenyl
weight
diol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835B1 (ko
Inventor
김민정
이기재
홍무호
반형민
전병규
황영영
박정준
고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1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8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7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69/94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polycyclic hydroxy carboxylic acids, the hydroxy groups and the carboxyl groups of which are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11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여 중합된 폴리카보네이트 및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기재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에 적용 시 분자량 감소 효과는 적으면서도 내열도 향상 효과가 큰 신규한 단량체와 이를 포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 및 물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DIOL MONOMER, ITS POLYCARBONATE AND ARTICLE CONTAINING THE SAME}
본 기재는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적용 시 분자량 감소 효과는 적으면서도 내열도 향상 효과가 큰 신규한 단량체와, 이를 포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 A와 같은 방향족 디올과 포스겐과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가 축중합하여 제조되고, 우수한 충격강도, 수치안정성, 내열성 및 투명성 등을 가지며, 전기전자 제품의 외장재, 자동차 부품, 건축 소재, 광학 부품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된다.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최근 보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2종 이상의 서로 다른 구조의 방향족 디올을 공중합하여 구조가 다른 단위체를 폴리카보네이트의 주쇄에 도입하여 원하는 물성을 얻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특별히 고내열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면 이의 기계적 물성이나 광학적 성질 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7-0036091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기재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적용 시 분자량 감소 효과는 적으면서도 내열도 향상 효과가 큰 신규한 단량체와 이를 포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재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기재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재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카보네이트 전구체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올 단량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제조된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기재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에 적용 시 분자량 감소 효과는 적으면서도 내열도 향상 효과가 큰 신규한 단량체와 이를 포함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하기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디올 단량체의 1H NMR 스펙트럼이다.
하기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디올 단량체의 1H NMR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기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기재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R2, R3, R4는 수소이고, R1, R5 및 R6은 탄소수 1~10 또는 1~3의 알킬기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모두 수소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에 적용 시 분자량 감소 효과가 적으면서도 내열성이 크게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례로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올 단량체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일례로 산 또는 염기 촉매 하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4-하이드록시벤조산(4-hydroxybenzoic acid)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기재의 폴리카보네이트는 카보네이트 전구체 및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다)로 표시되는 디올 단량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례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올 단량체에, 상기 디올 단량체와 상이한 방향족 디올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된 코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는 일례로 상기 디올 단량체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총합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8 중량%, 5 내지 50 중량%, 또는 10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례로 상기 디올 단량체 총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올 단량체 1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 및 상기 방향족 디올 단량체 0 중량% 초과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이고, 이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본래의 기계적 물성 및 투명성이 유지되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디올 단량체 총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올 단량체 0 중량% 초과 내지 100 중량% 및 상기 방향족 디올 단량체 0 내지 100 중량% 미만을 포함하여 중합된 것이고, 이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본래의 기계적 물성 및 투명성이 유지되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디올 단량체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총합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1 내지 60 중량%, 상기 방향족 디올 단량체 25 내지 85 중량%,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0 내지 70 중량%로 중합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디올 단량체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총합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10 내지 40 중량%, 상기 방향족 디올 단량체 30 내지 70 중량%,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20 내지 60 중량%로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일례로 하기 화학식 4
[화학식 4]
Figure pat00005
(X1, X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할로알킬기, 할로사이클로알킬기, 할로아릴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알콕시기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이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본질적 특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디-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브로모포스겐 및 비스할로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포스겐 또는 포스겐이며, 이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의 본질적 특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일례로 디올 단량체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총합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8 중량%, 5 내지 50 중량%, 또는 10 내지 40 중량%이고, 이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본질적 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 단량체는 일례로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페놀 Z),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이며, 이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 단량체는 일례로 디올 공단량체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총합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8 중량%, 30 내지 95 중량%, 또는 40 내지 90 중량%이고, 이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본질적 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례로 분자량 조절제를 더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일례로 모노-알킬페놀이다.
상기 모노-알킬페놀은 일례로 p-tert-부틸페놀, p-쿠밀페놀, 데실페놀, 도데실페놀, 테트라데실페놀, 헥사데실페놀, 옥타데실페놀, 에이코실페놀, 도코실페놀 및 트리아콘틸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para-tert-부틸페놀이며, 이 경우 분자량 조절 효과가 크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일례로 디올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 0.3 내지 6 중량부, 또는 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타겟(target) 분자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례로 유리전이온도가 140 내지 250 ℃, 145 내지 237 ℃, 또는 150 내지 200 ℃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 g/mol, 12,000 내지 80,000 g/mol, 또는 14,000 내지 70,000 g/mol이고, 이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본래의 기계적 물성 및 광확적 특성이 유지되면서도 내열성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례로 내열도(HDT)가 120 내지 230 ℃, 130 내지 230 ℃, 또는 135 내지 200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례로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고, 상기 n은 0 내지 445이고, m은 1 내지 225이다)로 표시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n은 10 내지 90의 정수, 또는 25 내지 75의 정수이고, 상기 m은 일례로 10 내지 90의 정수, 또는 25 내지 75의 정수이며,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 투명성 및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물품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본 기재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계면중합 방법일 수 있고, 이 경우 상압과 낮은 온도에서 중합 반응이 가능하며 분자량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계면중합 방법은 일례로 산결합제 및 유기용매의 존재 하에 디올 단량체, 카보네이트 전구체 및 분자량 조절제를 반응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계면중합 방법은 일례로 선중합(pre-polymerization) 후 커플링제를 투입한 다음, 다시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고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계면중합에 사용되는 기타 물질들은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 사용량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산결합제는 일례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피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통상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일 수 있다.
상기 계면중합은 일례로 반응촉진을 위해 트리에틸아민, 테트라-n-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등의 3 차 아민 화합물, 4 차 암모늄 화합물, 4 차 포스포늄 화합물 등과 같은 반응촉진제가 더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중합의 반응온도는 일례로 0 내지 40 ℃, 반응시간은 일례로 10 분 내지 5 시간이며, 반응 중 pH는 일례로 9 이상 또는 11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일례로 중합개시 전, 중합개시 중 또는 중합개시 후에 투입될 수 있다.
본 기재의 성형품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사출 성형품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화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핵제, 난연제, 활제, 충격보강제, 형광증백제, 자외선흡수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본 기재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산화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믹서를 이용하여 잘 혼합한 후에, 이 혼합물을 압출기로 압출성형하여 펠릿으로 제조하고, 이 펠릿을 잘 건조시킨 다음 사출성형기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기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기재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기재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화학식 1에 해당하는 디올 단량체의 제조>
(1) 4-아세톡시벤조일클로라이드의 제조
4-아세톡시벤조산 80g, 2.2 당량을 메틸렌클로라이드(MC) 용매에 희석하여 혼탁액을 만든 후 디메틸포름아미드 1~3 방울을 촉매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교반과 동시에 옥살릴클로라이드 58.92g, 2.3 당량을 상온에서 천천히 첨가하여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회전감압증발기를 통하여 잔여 옥살릴클로라이드와 메틸렌클로라이드 용매를 제거하여 액상의 4-아세톤벤조일클로라이드 88.1g을 합성하였다.
(2) 4-(1-{4-[(4-아세톡시벤조일)옥시]페닐}싸이클로헥실)페닐 4-아세톡시벤조에이트의 제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BPZ(Bisphenol Z) 54g, 1 당량을 피리딘 159g, 10 당량에 상온에서 교반하여 희석하였다. 그 후 앞서 합성된 4-아세톡시벤조일클로라이드 88.1g, 2.2 당량을 천천히 첨가하여 3~4 시간 110 ℃에서 환류 교반하였다. 얇은판크로마토크래피(TLC)를 통하여 BPZ가 없어짐을 확인한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상온으로 만들어 초산에틸과 1N 염산, 증류수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분별추출한 후 마그네슘설페이트를 통하여 유기층에 남아 있을 잔여 수분을 제거하고, 이를 여과하여 수분이 제거된 유기층을 얻었다. 얻은 유기층은 회전감압증발기를 사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용매가 제거된 물질을 초산에틸과 메탄올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인 4-(1-{4-[(4-아세톡시벤조일)옥시]페닐}싸이클로헥실)페닐 4-아세톡시벤조에이트를 106.77g, 89% 수율로 얻었으며, 제조된 4-(1-{4-[(4-아세톡시벤조일)옥시]페닐}싸이클로헥실)페닐 4-아세톡시벤조에이트는 1H NMR을 통해 확인하였다.
(3) 4-(1-{4-[(4-히드록시벤조일)옥시]페닐}싸이클로헥실)페닐 4-히드록시벤조에이트(HB-BPZ)의 제조
앞서 합성된 4,4'-싸이클로헥실리덴비스페놀 비스(4-아세톡시벤조에이트)를 106.77g, 1 당량을 에탄올 용매에 교반하여 혼탄액을 만든 후 25% 메탄올 용매에 희석되어 있는 소디움메톡사이드를 76.33g, 2.1 당량을 0 ℃ 조건 하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10~20 분 정도 교반 후 얇은판크로마토그래피(TLC)를 통하여 반응의 유무를 확인하고 반응이 종결되었다 판단되었을 때 0 ℃ 조건 하에 35% 염산 수용액 36.8g을 첨가하여 흰색 고체인 4-(1-{4-[(4-히드록시벤조일)옥시]페닐}싸이클로헥실)페닐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즉, 화학식 1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91g, 98%의 수율로 얻을 수 있었으며, 제조된 4-(1-{4-[(4-히드록시벤조일)옥시]페닐}싸이클로헥실)페닐 4-히드록시벤조에이트는 1H NMR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때 1H NMR(500MHz, CDCl2) 피크(δ)는 ① 0.348ppm(6H,m), ② 2.306ppm(4H,m), ③ 6.992ppm(4H,m), ④ 7.147ppm(4H,m), ⑤ 7.389ppm(4H,m), ⑥ 7.959ppm(4H,m), ⑦ 10.493ppm(2H,s)였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HB-BPZ(n=1)을 사용하여 비스페놀 A와의 트리포스겐 반응에 의해 계면중합시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질소 퍼지와 콘덴서가 구비되고, 서큘레이터(circulator)로 상온 유지가 가능한 500 ml 메인 반응기에 H2O 230g, BPA(비스페놀 A) 23g, 화학식 1에 해당하는 HB-BPZ 7g(10 mol%), PTBP(p-tert-부틸페놀) 0.6g, NaOH 50g, MeCl2 114g을 투입하고 약 10~20 분간 교반하였다.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트리포스겐 16g과 MeCl2 114g을 넣고 트리포스겐을 용해시킨 다음 용해된 트리포스겐 용액을 천천히 BPA 용액이 녹아 있는 메인 반응기에 투입하고, 투입이 완료되면 커플링제로서 TEA (triethylamine) 6g(5wt% in MC)을 투입하였다. 이때 반응 pH는 11~13을 유지하였다. 충분히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시간을 두고 반응을 종결하기 위해 HCl을 투입하여 pH를 1~2로 떨어뜨렸다. 그리고, 교반을 중지하여 폴리머층과 물층을 분리시킨 다음 물층은 제거하고 순수한 H2O를 다시 투입하여 수세하는 과정을 3~5회 반복 수행하였다. 수세가 완전히 이루어지면 폴리머층만 추출하고 메탄올, 아세톤, n-헥산, H2O 등을 이용한 비용매를 사용하여 재침법으로 폴리머 결정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폴리카보네이트는 PC 스텐다드(Standard)를 이용한 GPC로 분자량을 측정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54,000 g/mol인 것을 확인하였다.
<사출시편의 제조>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에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050 중량부,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0.010 중량부,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스테아레이트를 0.030 중량부 첨가하여, 벤트 부착 Φ30㎜ 이축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한 후, JSW(주) N-20C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00℃, 금형온도 90℃로 사출성형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BPZ 대신 BPTMC(4,4'-(3,3,5-트리메틸싸이클로헥실리덴)디페놀; Bisphenol TMC)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사출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5,000 g/mol인 것을 확인하였다. 여기에서 제조된 화학식 1에 해당하는 디올 단량체(HB-BPTMC)는 1H NMR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때 1H NMR(500MHz, CDCl2) 피크(δ)는 ① 0.348ppm(3H,m), ② 0.954ppm(6H,m), ③ 1.034ppm(1H,m), ④ 1.047ppm(1H,m), ⑤ 1.334ppm(1H,m), ⑥ 1.858ppm(2H,m), ⑦ 2.629ppm(1H,m), ⑧ 2.852ppm(1H,m), ⑨ 6.933ppm(4H,m), ⑩ 7.088ppm(4H,m), ⑪ 7.380ppm(4H,m), ⑫ 7.915ppm(4H,m), ⑬ 10.680ppm(2H,s)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HB-BPZ 10 mol% 대신 HB-BPZ 20 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사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4,000 g/mol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HB-BPZ 10 mol% 대신 HB-BPZ 30 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사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3,000 g/mol인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화학식 1에 해당하는 디올 단량체를 사용하지 않고 이의 양(mole) 만큼 BPA(bisphenol A)를 더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에 대한 사출시편을 제조하였다. 이 때의 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g/mol인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사출시편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충격강도: ASTM D256(1/8 inch, Notched Izod)에 의거하여 23 ℃에서 측정하였다.
* 투명도: 육안으로 검사하여 투명 ○, 반투명 △, 불투명 X로 평가하였다.
* 중량평균분자량(g/mol): Agilent 1200 series를 이용, PC standard로 검량하여 측정하였다.
* 흐름성(MI): ASTM D1238(300℃, 1.2kg 조건)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반복단위: Varian 500MHz을 이용하여 1H-NMR로 측정하였다.
* 유리전이온도: DSC Q100(TA Instruments사)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내열도(HDT, ℃):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충격강도 유리전이온도 투명도 흐름성 Mw HDT
실시예 1 87 156 6 54,000 136
실시예 2 90 166 5 55,000 146
실시예 3 89 162 6 54,000 142
실시예 4 91 168 4 53,000 148
비교예 1 85 145 7 50,000 12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재의 폴리카보네이트(실시예 1 내지 4)는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비교예 1)와 비교하여 투명성 등이 동등하면서도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특히 내열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2, R3, R4는 수소이고, R1,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디올 단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카보네이트 전구체 및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at00008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다)로 표시되는 디올 단량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올 단량체에, 상기 디올 단량체와 상이한 방향족 디올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상기 디올 단량체 총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 10 중량% 내지 100 중량% 미만, 및 상기 방향족 디올 단량체 0 중량% 초과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하기 화학식 4
    [화학식 4]
    Figure pat00009

    (X1, X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할로알킬기, 할로사이클로알킬기, 할로아릴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알콕시기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올 단량체는,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페놀 Z),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분자량 조절제를 더 포함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모노-알킬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디올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 g/mol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40 내지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열도(HDT)가 120 내지 2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3
    [화학식 3]
    Figure pat00010

    (상기 R1,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고, 상기 n은 0 내지 445이고, m은 1 내지 225이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15. 제 4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140113860A 2014-08-29 2014-08-29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1690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60A KR101690835B1 (ko) 2014-08-29 2014-08-29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860A KR101690835B1 (ko) 2014-08-29 2014-08-29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062A true KR20160026062A (ko) 2016-03-09
KR101690835B1 KR101690835B1 (ko) 2016-12-28

Family

ID=5553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860A KR101690835B1 (ko) 2014-08-29 2014-08-29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8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141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8478A (ko) *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CN113412257A (zh) * 2019-09-05 2021-09-17 株式会社Lg化学 二醇化合物、聚碳酸酯及其制备方法
US11499010B2 (en) 2018-08-10 2022-11-15 Lg Chem, Ltd. 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884777B2 (en) 2018-09-14 2024-01-30 Lg Chem, Ltd. Diol compound, 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0612A (en) * 1981-12-21 1983-04-19 General Electric High heat distortion resistant segment ester polycarbonates
JPH08169946A (ja) * 1994-05-20 1996-07-02 Bayer Ag 公知の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類と任意に混合されたuv安定性ポリカーボネート類、それらの製造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20070036091A (ko) 2004-07-01 2007-04-02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폴리카보네이트공중합체
WO2008006276A1 (fr) * 2006-07-03 2008-01-17 Shanghai Institute Of Materia Medica, Chinese Academy Of Sciences INHIBITEUR À PETITE MOLÉCULE POUVANT INHIBER LA FIBROSE DU POLYPEPTIDE Aβ DANS LA MALADIE D'ALZHEIMER, PROCÉDÉS DE PRÉPARATION CORRESPONDANT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UTILISATIONS CORRESPONDANTES
KR101139190B1 (ko) * 2004-02-19 2012-04-26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0612A (en) * 1981-12-21 1983-04-19 General Electric High heat distortion resistant segment ester polycarbonates
JPH08169946A (ja) * 1994-05-20 1996-07-02 Bayer Ag 公知の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類と任意に混合されたuv安定性ポリカーボネート類、それらの製造およびそれらの使用
KR101139190B1 (ko) * 2004-02-19 2012-04-26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070036091A (ko) 2004-07-01 2007-04-02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폴리카보네이트공중합체
WO2008006276A1 (fr) * 2006-07-03 2008-01-17 Shanghai Institute Of Materia Medica, Chinese Academy Of Sciences INHIBITEUR À PETITE MOLÉCULE POUVANT INHIBER LA FIBROSE DU POLYPEPTIDE Aβ DANS LA MALADIE D'ALZHEIMER, PROCÉDÉS DE PRÉPARATION CORRESPONDANT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UTILISATIONS CORRESPONDANT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9010B2 (en) 2018-08-10 2022-11-15 Lg Chem, Ltd. 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26141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11884777B2 (en) 2018-09-14 2024-01-30 Lg Chem, Ltd. Diol compound, 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210028478A (ko) *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CN113412257A (zh) * 2019-09-05 2021-09-17 株式会社Lg化学 二醇化合物、聚碳酸酯及其制备方法
CN113412257B (zh) * 2019-09-05 2023-09-29 株式会社Lg化学 二醇化合物、聚碳酸酯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835B1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2131B (zh) 共聚碳酸酯及包含彼之組成物
TWI567105B (zh) 共聚碳酸酯及含彼之組成物
KR101579618B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1620168B1 (ko) 히드록시 캡핑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1690835B1 (ko) 디올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TWI772677B (zh) 二醇化合物、聚碳酸酯及其製法
KR101758962B1 (ko) 디올계 화합물,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1735888B1 (ko) 디올계 화합물,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EP3628699B1 (en) Copolycarbon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229664B1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728630A (zh) 新穎聚有機矽氧烷、及使用其製得之共聚碳酸酯
KR101659542B1 (ko) 폴리오가노실록산 조성물,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1789752B1 (ko) 저온충격성을 갖는 고 유동 폴리카보네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60961B1 (ko) 폴리오가노실록산 조성물,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N112739744B (zh) 聚碳酸酯及其制备方法
US20240018301A1 (en) Polycarbonate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20210269590A1 (en) Copolycarbonate and polycarbonat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20210028478A (ko) 폴리카보네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