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079A -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079A
KR20160024079A KR1020140109809A KR20140109809A KR20160024079A KR 20160024079 A KR20160024079 A KR 20160024079A KR 1020140109809 A KR1020140109809 A KR 1020140109809A KR 20140109809 A KR20140109809 A KR 20140109809A KR 20160024079 A KR20160024079 A KR 2016002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ylinders
control unit
engi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채
이동훈
전상열
권혁용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4079A/ko
Publication of KR2016002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6Cutting-out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2Cutting-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8Controlling each cylinder individually
    • F02D41/0087Selective cylinder activation, i.e. partial cylind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7/00Non-electrical 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of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7/02Non-electrical conjoint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of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e of the functions being ig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기, 상기 실린더로 신기(新氣)를 흡입시키기 위한 흡기밸브,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연료와 상기 신기의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 상기 실린더에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밸브 및 차량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CDA(CYLINDER DE-ACTIVATION)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실린더 중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의 구동은 유지시키며,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구동되는 실린더를 상기 나머지 실린더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E CYLINDER DE-ACTIVATION ENGINE}
본 발명은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YLINDER DE-ACTIVATION 상황에서 구동되는 실린더를 전환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이란 차량이 정속 운전 중인 경우나 공회전 중인 경우 등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적은 상황에서 일부 실린더(기통)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엔진을 말하며, 가변 배기량 엔진(variable piston displacement engine)이라고도 불린다.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은 필요에 따라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에 부하를 집중시킴으로써, 펌핑 로스를 저감하고 연소 효율 및 연료 소비율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8기통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CYLINDER DE-ACTIVATION 상황에서 절반의 실린더를 구동하는 경우,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은 2,8,5,3 실린더만 구동하거나 1,7,4,6 실린더만 구동하는 방식, 즉 8개의 실린더 중 4개의 실린더만을 사용하여 CYLINDER DE-ACTIVATION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63408호(2012.06.15.)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CYLINDER DE-ACTIVATION 상황에서 실린더의 전환 시 발생하는 충격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는 실린더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기; 상기 실린더로 신기(新氣)를 흡입시키기 위한 흡기밸브;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연료와 상기 신기의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 상기 실린더에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밸브; 및 차량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CDA(CYLINDER DE-ACTIVATION)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실린더 중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의 구동은 유지시키며,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구동되는 실린더를 상기 나머지 실린더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린더 전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상기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일부 실린더를 재구동시키고, 상기 일부 실린더가 재구동된 시간이 제2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나머지 실린더를 휴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 휴지 및 상기 나머지 실린더 휴지 시, 상기 제어부는 휴지되는 실린더 내부에 신기가 트랩(trap)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 재구동 시, 상기 제어부는 실린더 내부에 트랩된 신기를 배출시키지 않고 엔진 행정이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검출하는 요구출력검출부; 및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을 검출하는 운행상태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구출력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요구토크 및 상기 운행상태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CDA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CDA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점화장치, 연료분사기,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실린더 중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의 구동은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구동되는 실린더를 상기 나머지 실린더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상기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일부 실린더를 재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실린더가 재구동된 시간이 제2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나머지 실린더를 휴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의 구동은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실린더를 휴지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휴지되는 실린더 내부에 신기(新氣)가 트랩(trap)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를 재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실린더 내부에 트랩된 신기를 배출시키지 않고 엔진 행정이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요구출력검출부를 통해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운행상태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요구토크,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CDA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CYLINDER DE-ACTIVATION 상황에서 모든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각 실린더의 수명을 동등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실린더 전환 시 일정시간동안 전체 실린더를 구동함으로써 실린더 전환에 따른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실린더 휴지 시 신기를 트랩시킴으로써 휴지된 실린더의 재구동 시 발생하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에서 구동되는 실린더가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에서 구동되는 실린더가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는 제어부(100), 운행상태검출부(110), 요구출력검출부(120),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포함한다.
점화장치(13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 내의 연료와 신기(新氣)의 혼합기를 점화시키고, 연료분사기(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 내부로 연료를 분사한다. 또한 흡기밸브(1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엔진의 실린더 내부로 신기를 흡입시키고, 배기밸브(16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 내부에서 배기가스를 배출시킨다. 여기서 신기는 흡기밸브의 개방에 의해 실린더로 유입되는 새로운 공기를 의미한다.
제어부(100)는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제어하여 엔진의 행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4행정 엔진(four stroke cycle engine)의 경우, 피스톤이 상사점으로부터 하강을 시작하면서 흡기밸브(150)가 열려 실린더 내부로 신기가 유입되는 흡기행정, 피스톤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승하면서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가 닫혀 공기가 압축되는 압축행정, 피스톤이 상사점에 이르면 점화장치(130)에 의해 혼합기가 점화되고 연소에 의한 압력으로 피스톤이 하강되어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는 폭발행정 및 피스톤이 다시 상승을 시작하면 배기밸브(160)가 열려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행정의 반복을 통해 차량의 동력을 얻는다. 한편 일반적인 직분사식 엔진(Gasoline direct Injection Engine,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Engine)의 경우 압축행정 과정에서 연료분사기(140)에 의해 실린더 내부로 연료가 주입된다.
운행상태검출부(110)는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상태검출부(110)는 차속 센서 및 엔진RPM 센서를 포함하여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운행상태검출부(110)는 차량의 스마트 컨트롤 시스템(SCC: Smart Cruise Control)으로부터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을 획득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요구출력검출부(120)는 차량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요구토크는 운전자의 가속의지에 따라 차량에 요구되는 토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요구토크검출부(120)는 차량의 액셀 페달(accelerator pedal)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토크검출부(120)가 차량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요구출력검출부(120)를 통해 검출된 요구토크 및 운행상태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에 근거하여 차량의 CDA(CYLINDER DE-ACTIVATION)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요구토크,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이 각각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차량의 상태가 CDA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구토크가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에 대비해 적정한 값을 가져, 차량의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킬 수 있는 상태일 경우 차량의 상태가 CDA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각각 설정된 범위는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상태가 CDA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제어하여 가변 휴지 기통 엔진에 구비된 복수개의 실린더 중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의 구동은 유지시킨다. 즉 제어부(100)는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에 부하를 집중시킴으로써, 펌핑 로스를 저감하고 연소 효율 및 연료 소비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제어하여 구동되는 실린더를 상기 나머지 실린더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로 전환시킨다. 즉 제어부(100)는 모든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각 실린더의 수명이 동등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기준시간은 구동되는 실린더를 전환시키기 위한 시간의 기준으로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상기 운전시간이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일부 실린더를 재구동시키고, 상기 일부 실린더가 재구동된 시간이 제2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나머지 실린더를 휴지시켜 구동되는 실린더를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준시간은 구동되는 실린더 전환 시 전체 실린더가 순간적으로 모두 구동되는 시간의 기준으로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어부(100)는 일단 휴지된 실린더를 재구동시켜, 제2기준시간동안 모든 실린더를 구동시킨 후, 휴지되지 않았던 나머지 실린더를 휴지시켜 구동되는 실린더를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구동되는 실린더 전환 시, 모든 실린더가 구동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실린더 동시 전환에 따른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실린더를 휴지시킬 때, 휴지되는 실린더 내부에 신기가 트랩(trap)될 수 있도록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행정 엔진의 경우, 제어부(100)는 흡기행정이 종료된 후 더 이상의 연료분사, 점화, 배기 및 흡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제어하여 실린더 내부에 신기가 트랩된 상태로 실린더가 휴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휴지된 실린더의 재구동 시, 실린더 내부에 트랩된 신기를 배출시키지 않고 엔진 행정이 시작될 수 있도록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행정 엔진의 경우, 휴지된 실린더의 재구동 시 제어부(100)는 엔진 행정이 압축행정부터 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실린더 휴지 시 트랩된 신기를 사용하여 엔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엔진 행정 재구동 시 트랩된 신기를 사용함으로써, 공기량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0)는 운행상태검출부(110)를 통해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을 검출하고, 요구출력검출부(120)를 통해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검출한다(S200). 예를 들어 운행상태검출부(110)는 차속 센서 및 엔진RPM 센서를 포함하여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을 검출할 수 있고, 요구토크검출부(120)는 차량의 액셀 페달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0)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차량의 CDA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S21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요구토크,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이 각각 설정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차량의 상태가 CDA 조건을 만족하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 설정된 범위는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10)의 판단결과, 차량의 상태가 CDA 조건을 만족하였다면, 제어부(100)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에 구비된 복수개의 실린더 중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킨다(S220). 이때 제어부(100)는 휴지되는 실린더 내부에 신기가 트랩(trap)될 수 있도록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단계(S210)의 판단결과, 차량의 상태가 CDA 조건을 만족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0)로 회귀하여, 차량의 속도, 엔진RPM 및 요구토크 검출부터 반복한다.
한편 상기 단계(S220) 이후, 제어부(100)는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S230). 여기서 제1기준시간은 구동되는 실린더를 전환시키기 위한 시간의 기준으로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30)의 확인결과, 운전시간이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였다면, 제어부(100)는 휴지된 일부 실린더를 재구동시킨다(S240). 이때 제어부(100)는 실린더 내부에 트랩된 신기를 배출시키지 않고 엔진 행정이 시작될 수 있도록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일부 실린더가 재구동된 시간 즉, 전체 실린더 모두가 구동된 시간이 제2기준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한다(S250). 여기서 제2기준시간은 구동되는 실린더 전환 시 전체 실린더가 순간적으로 모두 구동되는 시간의 기준으로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50)의 확인결과, 일부 실린더가 재구동된 시간이 제2기준시간에 도달하였다면, 제어부(100)는 휴지되지 않았던 나머지 실린더를 휴지시킨다(S260). 이때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20)와 마찬가지로, 휴지되는 실린더 내부에 신기가 트랩(trap)될 수 있도록 점화장치(130), 연료분사기(140), 흡기밸브(150) 및 배기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가 구동되는 실린더를 나머지 실린더에서 일부 실린더로 전환시킨다고 함은 상기 단계(S240), 단계(S250) 및 단계(S260)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의 상술한 과정은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계속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실린더 전환 시 일정시간동안 전체 실린더를 구동하고, 실린더 휴지 시 신기를 트랩시킴으로써, 실린더의 전환 시 발생하는 충격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운행상태검출부
120: 요구출력검출부
130: 점화장치
140: 연료분사기
150: 흡기밸브
160: 배기밸브

Claims (10)

  1. 복수개의 실린더가 구비된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기;
    상기 실린더로 신기(新氣)를 흡입시키기 위한 흡기밸브;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연료와 상기 신기의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장치;
    상기 실린더에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밸브; 및
    차량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CDA(CYLINDER DE-ACTIVATION)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개의 실린더 중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의 구동은 유지시키며,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구동되는 실린더를 상기 나머지 실린더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전환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상기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일부 실린더를 재구동시키고, 상기 일부 실린더가 재구동된 시간이 제2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나머지 실린더를 휴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실린더 휴지 및 상기 나머지 실린더 휴지 시, 상기 제어부는 휴지되는 실린더 내부에 신기가 트랩(trap)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실린더 재구동 시, 상기 제어부는 실린더 내부에 트랩된 신기를 배출시키지 않고 엔진 행정이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검출하는 요구출력검출부; 및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을 검출하는 운행상태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구출력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요구토크 및 상기 운행상태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CDA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6. 복수개의 실린더가 구비된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CDA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점화장치, 연료분사기,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개의 실린더 중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의 구동은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여 구동되는 실린더를 상기 나머지 실린더에서 상기 일부 실린더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실린더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일부 실린더가 휴지된 상태의 운전시간이 상기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일부 실린더를 재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실린더가 재구동된 시간이 제2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나머지 실린더를 휴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실린더를 휴지시키고 나머지 실린더의 구동은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실린더를 휴지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휴지되는 실린더 내부에 신기(新氣)가 트랩(trap)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실린더를 재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실린더 내부에 트랩된 신기를 배출시키지 않고 엔진 행정이 시작될 수 있도록 상기 점화장치, 상기 연료분사기, 상기 흡기밸브 및 상기 배기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요구출력검출부를 통해 운전자의 요구토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운행상태검출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요구토크, 차량의 속도 및 엔진RPM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CDA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방법.
KR1020140109809A 2014-08-22 2014-08-22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24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09A KR20160024079A (ko) 2014-08-22 2014-08-22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09A KR20160024079A (ko) 2014-08-22 2014-08-22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079A true KR20160024079A (ko) 2016-03-04

Family

ID=5553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809A KR20160024079A (ko) 2014-08-22 2014-08-22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40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913B1 (ko) 2016-12-08 2018-06-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가변 기통 휴지 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KR102163783B1 (ko) 2019-12-09 2020-10-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노크 센서를 이용한 가변 기통 휴지 엔진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913B1 (ko) 2016-12-08 2018-06-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가변 기통 휴지 엔진의 연료 분사 제어 방법
KR102163783B1 (ko) 2019-12-09 2020-10-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노크 센서를 이용한 가변 기통 휴지 엔진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3214A (ko) 직접 시동을 갖는 시동-정지 작동을 위한 실린더 차단을 갖춘 방법, 제어 장치, 내연 기관
US10450989B2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789687A (zh) 内燃机的气门正时控制装置和方法
JP200816379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291762B2 (ja) 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JP7324061B2 (ja) エンジン駆動装置
JP2016023559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KR20160024079A (ko) 가변 휴지 기통 엔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6148256A (ja) 車両制御装置
JP2005140112A (ja) 自動車用の内燃機関の再始動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546284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4036561A (ja) 筒内噴射型内燃機関の自動停止始動装置
JP2010084645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装置及び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制御方法
WO2009144830A1 (ja) 内燃機関の始動装置
RU2667573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2005282434A5 (ko)
CN102287283A (zh) 利用进气管喷射重新起动内燃机的方法
JP201810516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7278174A (ja) 内燃機関の燃料カット制御装置
JP5018374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システム
JP7176301B2 (ja) 内燃機関システム
JP2013083185A (ja) 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ピストン停止位置制御方法
JP6537025B2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制御装置
JP200617007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WO2011067831A1 (ja) 車載ディーゼル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