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993A -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 Google Patents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993A
KR20160023993A KR1020140109205A KR20140109205A KR20160023993A KR 20160023993 A KR20160023993 A KR 20160023993A KR 1020140109205 A KR1020140109205 A KR 1020140109205A KR 20140109205 A KR20140109205 A KR 20140109205A KR 20160023993 A KR20160023993 A KR 2016002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se structure
safety
base frame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봉
김정암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3993A/ko
Publication of KR2016002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에 관한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다수의 지지다리를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영역에 설치되며 제1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제1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2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제2 베이스 구조물;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과 제2 베이스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계단부재; 및 상기 지지다리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구름이동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블록 하부 의장작업에 필요한 치구대를 2개로 나누어 제작하고 이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의 작업 위치마다 분할된 2개의 치구대로 빈번하게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작업능률 및 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WORKING DEVICE FOR LOWER PART OUTFITTING OF A SHIP BLOCK}
본 발명은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가 다른 2개의 작업공간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물을 제작하여 블록 하부의 높낮이에 따른 작업 위치를 선택적으로 택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성 및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할 경우 선박이 대형으로 이루어져 선체의 선형을 한 번에 제작할 수 없다. 따라서, 강판이나 형강 등과 같은 소재로 부품을 조립하고 이들 부품으로부터 선박의 블록(block)을 수십 개 혹은 수백 개로 분할 제작한 후, 제작된 블록을 하나의 선체로 조립하게 된다.
또한, 선박 건조시 선체의 블록 하부에 대하여 작업자가 의장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높낮이가 다르게 마련된 복수의 작업용 치구대를 사용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용 치구대는 블록의 하면에 대하여 의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의 하면을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의 제1 치구대와, 상기 제1 치구대 보다 높은 구조물로 제작하여 블록 하부의 측면에 대하여 의장작업을 수행하는 사다리를 구비한 제2 치구대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용 치구대는 높낮이가 다른 2개의 치구대를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자는 블록 하부 의장작업을 위해 2개의 치구대를 동시에 이동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는 블록의 작업 위치마다 상기 제1 치구대와 제2 치구대로 빈번하게 이동하면서 작업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시간을 크게 지체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72094호(2014.03.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높이가 다른 2개의 작업공간을 가지는 일체형 구조물을 제작하여 블록 하부의 높낮이에 따른 작업 위치를 선택적으로 택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성 및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다수의 지지다리를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영역에 설치되며 제1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제1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2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제2 베이스 구조물;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과 제2 베이스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계단부재; 및 상기 지지다리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구름이동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평판형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제1 안전난간과, 상기 제1 안전난간 사이를 연결하여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개폐용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평판형 제2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둘레방향에 설치되는 제2 안전난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안전난간은 상하방향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안전난간에는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제2 안전난간이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는 회동방지용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안전난간이 세워질 경우, 상호 간의 직립 결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결속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 쪽에 설치되는 제2 안전난간에는 작업자의 출입할 수 있는 출입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의 출입구 쪽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보조 발판이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스터에는 구름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높낮이가 다른 제1 베이스 구조물과 제2 베이스 구조물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베이스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블록 하부 의장작업에 필요한 치구대를 2개로 나누어 제작하고 이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의 작업 위치마다 분할된 2개의 치구대로 빈번하게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작업능률 및 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전난간은 상하방향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선박 건조시 블록을 지지하는 트라클(tracle)과 블록 사이를 간섭받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블록의 다른 측면에 대한 의장작업을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먼 거리로 우회시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용 치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베이스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2 베이스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2 안전난간의 힌지운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결속부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회동부재 및 회동방지용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다수의 지지다리(110)를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 영역에 설치되며 제1 작업공간(201)을 마련하는 제1 베이스 구조물(2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200)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2 작업공간(301)을 마련하는 제2 베이스 구조물(300)과,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200)과 제2 베이스 구조물(300) 사이를 연결하는 계단부재(400)와, 상기 지지다리(110)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구름이동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작업자가 블록 하부 의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기본 구조물로써,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지지틀(120)과, 상기 지지틀(120) 하면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다리(1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110)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구름이동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상기 캐스터(500) 구성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캐스터(500)에는 구름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51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부재(510)는 상기 캐스터(5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캐스터(500)를 가압 접촉하는 구성으로, 작업자의 의장 작업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 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블록의 하면에 대한 낮은 위치에서의 의장작업시 직립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작업공간(201)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평판형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제1 안전난간(220)과, 상기 제1 안전난간(220) 사이를 연결하여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개폐용 체인(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표면은 우천시 빗물 또는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 패턴의 돌기부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안전난간(2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작업공간(201)에 위치한 작업자가 부주의로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핸들의 역할을 병행한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200)의 출입구 쪽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보조 발판(240)이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 베이스 구조물(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타측 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블록의 하면에 대한 낮은 위치에서의 의장작업시 앉은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작업공간(301)이다.
아울러, 상기 제2 베이스 구조물(300)은 상기 제2 작업공간(301)에서 작업자가 서서 작업할 경우 블록 하부의 측면에 대한 의장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제1 베이스 구조물(200) 및 제2 베이스 구조물(30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블록 하부 의장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높낮이가 다른 2개의 치구대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의 작업 위치마다 분할된 2개의 치구대로 빈번하게 이동해야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작업능률 및 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베이스 구조물(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평판형 제2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320) 둘레방향에 설치되는 제2 안전난간(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다수의 구조물로써,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기둥부재이다.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표면 역시 우천시 빗물 또는 외부의 이물질에 의해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 패턴의 돌기부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안전난간(330)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320)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4개로 조합된 안전구조물로써 상기 제2 작업공간(301)에 위치한 작업자가 부주의로 낙상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200) 쪽에 설치되는 제2 안전난간(330)에는 작업자의 출입할 수 있는 출입통로(30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안전난간(330)은 상하방향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부재(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340)는 상기 제2 안전난간(33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 건조시 블록을 지지하는 트라클(tracle)과 블록 사이를 간섭받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블록의 다른 측면에 대한 의장작업을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먼 거리로 우회시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도 5참조).
또한, 상기 제2 안전난간(330)에는 상기 회동부재(330)에 의해 제2 안전난간이 제2 베이스 플레이트(320)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는 회동방지용 브라켓(350)이 설치된다.
상기 회동방지용 브라켓(350)은 대략 'ㄴ'자 형태로 절곡된 부재로써,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안전난간(330)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320)에 접촉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안전난간(330)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경우, 상호 간의 직립 결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결속부재(36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2 안전난간(36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걸이용 체결구(3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이용 체결구(361)가 결속되는 걸이용 결속구(36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용 체결구(361)와 걸이용 결속구(362)는 각각 체인과 후크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결속부재(360)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계단부재(400)는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200)과 제2 베이스 구조물(3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200)과 제2 베이스 구조물(300)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계단식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높낮이가 다른 제1 베이스 구조물(200)과 제2 베이스 구조물(300)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베이스 프레임(100)을 구성함으로써, 블록 하부 의장작업에 필요한 치구대를 2개로 나누어 제작하고 이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의 작업 위치마다 분할된 2개의 치구대로 빈번하게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작업능률 및 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전난간(330)은 상하방향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부재(340)를 구성함으로써, 선박 건조시 블록을 지지하는 트라클(tracle)과 블록 사이를 간섭받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블록의 다른 측면에 대한 의장작업을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을 먼 거리로 우회시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제1 베이스 구조물
210 : 제1 베이스 플레이트
220 : 제1 안전난간
230 : 개폐용 체인
300 : 제2 베이스 구조물
310 : 수직프레임
320 : 제2 베이스 플레이트
330 : 제2 안전난간
340 : 회동부재
350 : 회동방지용 브라켓
360 : 결속부재
400 : 계단부재
500 : 캐스터

Claims (9)

  1.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다수의 지지다리를 형성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영역에 설치되며 제1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제1 베이스 구조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보다 높은 위치에서 제2 작업공간을 마련하는 제2 베이스 구조물;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과 제2 베이스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계단부재; 및,
    상기 지지다리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구름이동 가능하게 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평판형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는 제1 안전난간과,
    상기 제1 안전난간 사이를 연결하여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개폐용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되는 평판형 제2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둘레방향에 설치되는 제2 안전난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전난간은 상하방향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전난간에는 상기 회동부재에 의해 제2 안전난간이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단속하는 회동방지용 브라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전난간이 세워질 경우, 상호 간의 직립 결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결속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 쪽에 설치되는 제2 안전난간에는 작업자의 출입할 수 있는 출입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구조물의 출입구 쪽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보조 발판이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에는 구름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KR1020140109205A 2014-08-21 2014-08-21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KR20160023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05A KR20160023993A (ko) 2014-08-21 2014-08-21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05A KR20160023993A (ko) 2014-08-21 2014-08-21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993A true KR20160023993A (ko) 2016-03-04

Family

ID=5553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205A KR20160023993A (ko) 2014-08-21 2014-08-21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39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94B1 (ko) 2003-01-13 2005-03-10 김옥미 한약재 및 액상칼슘을 첨가한 빵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94B1 (ko) 2003-01-13 2005-03-10 김옥미 한약재 및 액상칼슘을 첨가한 빵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3619B (fi) Saett och anordning foer uppfoerande av hoega byggnader
KR102426503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US20140026486A1 (en) Adjustable safety barrier system
JP4556136B2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60000577U (ko)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 제거 장치
KR101288370B1 (ko) 터널용 작업대차
JP6894694B2 (ja) 支柱装置
KR20160023993A (ko) 블록 하부 의장 작업용 치구대
KR20060071595A (ko)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KR102123359B1 (ko) 구명줄 장치
KR200163251Y1 (ko) 건설현장용작업대
KR101912178B1 (ko)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KR200480884Y1 (ko) 작업대 승강장치
KR200472214Y1 (ko) 고소작업대의 안전 난간
KR20160095407A (ko) 에이형 알루미늄 사다리의 전도방지 장치
KR20210015011A (ko) 사다리
KR102447971B1 (ko) 롤링 타워
KR200412243Y1 (ko) 사다리
KR20200075370A (ko) 기중기를 이용한 입식구조물 작업대
KR102219439B1 (ko) 발판 사다리
KR100752389B1 (ko) 틀비계용 난간대
KR200408504Y1 (ko) 이동식 작업대
KR102634597B1 (ko)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102634598B1 (ko) 이동식 비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