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793A - 음이온 전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이온 전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793A
KR20160023793A KR1020167001483A KR20167001483A KR20160023793A KR 20160023793 A KR20160023793 A KR 20160023793A KR 1020167001483 A KR1020167001483 A KR 1020167001483A KR 20167001483 A KR20167001483 A KR 20167001483A KR 20160023793 A KR20160023793 A KR 2016002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ed
anion
oxides
oxide
re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이린 장
엠 아닐쿠마르 지
게이타 미야지마
가오루코 가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노리타케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C01F7/00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66Nitrates, with or without other cations besides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78Compounds containing aluminium and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and hydrogen
    • C01F7/784Layered double hydroxide, e.g. comprising nitrate, sulfate or carbonate ions as intercalating an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78Compounds containing aluminium and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and hydrogen
    • C01F7/784Layered double hydroxide, e.g. comprising nitrate, sulfate or carbonate ions as intercalating anions
    • C01F7/785Hydrotalc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8Fuel 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s
    • H01M8/083Alkaline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20Two-dimensional structures
    • C01P2002/22Two-dimensional structures layered hydroxide-type, e.g. of the hydrotalcite-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14Alkalin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저습도에서 종래와 비교하여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갖는 음이온 전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의하면,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를 층간 박리함으로써 이온 전도성이 높아진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예를 들어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와 같은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와 비교하여 이온 전도성이 높아지고, 저습도에 있어서도 이온 전도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음이온 전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ANION-CONDUCT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상 구조를 층간 박리함으로써 이온 전도성이 높아진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이온 전도 재료로서 내열성·내구성이 우수한 무기계의 층상 복수산화물 (Layered Double Hydroxide) 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음이온 전도 재료는, 예를 들어 연료 전지용의 전해질막이나 전극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층상 복수산화물은, 예를 들어, 기본층 [M2+ 1-xM3+ x(OH)2]x+ 와 중간층 [An- x/n·yH2O]x- 가 층상으로 쌓인 것으로, 공통 화학식 [M2+ 1-xM3+ x(OH)2]x+[An- x/n·yH2O]x- 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M2+ 는 2 가의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M3+ 는 3 가의 금속 이온을 나타내고, An- 는 1 가 또는 2 가의 음이온을 나타내고, x 는 0.1 ∼ 0.8 의 범위 내에 있는 수를 나타내고, y 는 실수이다.
국제 공개 제2010/1096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13889호
그런데, 상기 음이온 전도 재료에 사용되는 층상 복수산화물에 있어서, 그 층상 복수산화물 분말의 이온 전도성은, 그 층상 복수산화물의 입자 사이즈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이 논문 등에 의해 알려져 있고, 층상 복수산화물의 입자의 내부 (층간) 의 이온 전도보다 그 입자의 표면의 이온 전도가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때문에, 통상적인 합성 방법으로 얻어진 규칙성이 비교적 높은 층상 구조를 가지는 층상 복수산화물, 즉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입자는, 비교적 높은 이온 전도성을 나타내는 부분인 이온 전도 채널이 그 입자의 표면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의 이온 전도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또, 상기 층상 복수산화물의 입자는, 환경 습도가 낮아지면, 그 입자 표면에 흡착된 물이 이탈되어, 이온 전도성이 극적으로 낮아지는 결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저습도에서 종래와 비교하여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갖는 음이온 전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의 해석이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사실에 도달하였다. 즉, 규칙성이 비교적 높은 층상 구조를 가지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상 구조를 층간 박리시켜, 층상 복수산화물의 구조를 붕괴시키면, 이온 전도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뜻밖의 사실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이온 전도 재료의 요지와 하는 바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상 구조를 층간 박리함으로써 이온 전도성이 높아진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음이온 전도 재료에 의하면, 상기 음이온 전도 재료는,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상 구조를 층간 박리함으로써 이온 전도성이 높아진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종래의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와 비교하여 이온 전도성이 높아져, 저습도에 있어서도 이온 전도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은, 질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 즉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상 구조의 중간층에 전하 이동에 의해 질산 이온을 삽입한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에 있어서, 예를 들어 탄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과 비교하여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는, 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시에 극성이 비교적 큰 포름아미드가 사용되므로,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는, 대기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에 있어서,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하에서 실시되는 것과 비교하여,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를 실시하는 설비가 간단해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a)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는,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을 포름아미드에 넣고 교반시킴으로써 실시되는 것으로, (b) 상기 층간 박리 후의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은, 여과 또는 동결 건조에 의해 포름아미드로부터 회수된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을 회수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고온에서의 가열을 피할 수 있으므로, 그 고온에서의 가열에 의해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상 구조의 재구축을 바람직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 전도 재료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용의 전해질막 또는 전극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음이온 전도 재료는, 저습도에서의 이온 전도성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그 음이온 전도 재료를 알칼리형 연료 전지용의 전해질막 또는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종래와 비교하여 엄밀한 가습 관리가 실시될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a)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을 소정량의 반응 용매에 넣고 교반시키는 층간 박리 공정과, (b) 상기 층간 박리 공정에 의해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이 분산된 분산액을 여과함으로써,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을 회수하는 여과 공정과, (c) 상기 여과 공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음이온 전도 재료가 제조된다.
상기 음이온 전도 재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층간 박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이 소정량의 반응 용매에 넣어져 교반되고, 상기 여과 공정에 있어서 상기 층간 박리 공정에 의해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이 분산된 분산액이 여과됨으로써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이 회수되고,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여과 공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이 건조됨으로써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가 얻어짐에 따라, 저습도에 있어서 종래의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와 비교하여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갖는 음이온 전도 재료가 제조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간 박리 공정의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은, 질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 즉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상 구조의 중간층에 전하 이동에 의해 질산 이온을 삽입한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층간 박리 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탄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과 비교하여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 용매는 포름아미드이다. 이 때문에, 상기 층간 박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시에 극성이 비교적 큰 반응 용매인 포름아미드가 사용되므로,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간 박리 공정은 대기 분위기하에서 실시된다. 이 때문에, 상기 층간 박리 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하에서 실시되는 것과 비교하여,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를 실시하는 설비가 간단해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 공정은 동결 건조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고온에서의 가열을 피할 수 있으므로, 그 고온에서의 가열에 의해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상 구조의 재구축을 바람직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음이온 전도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전해질막에 사용된 음이온 전도 재료에 있어서의 층상 복수산화물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전해질막에 사용된 음이온 전도 재료에 있어서의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되기 전 상태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전해질막에 사용된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5 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와, 도 3 에 나타내는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비교예품 1,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등의 결정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서, 분말 X 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된 그것들 음이온 전도 재료의 X 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실시예품 1 및 비교예품 1 내지 비교예품 5 의 음이온 전도 재료에 있어서, 그것들 음이온 전도 재료의 이온 전도율을 측정하는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실시예품 1 및 비교예품 1 내지 비교예품 5 의 음이온 전도 재료의 온도 80 도에 있어서의 상대 습도 80 %, 50 %, 20 % 일 때의 이온 전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온도 80 도에 있어서의 상대 습도 80 %, 50 %, 20 % 일 때의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와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의 이온 전도율을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온도 80 도에 있어서의 상대 습도 80 %, 50 %, 20 % 일 때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와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의 이온 전도율을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온도 80 도에 있어서의 상대 습도 80 %, 50 %, 20 % 일 때의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와 비교예품 3 의 음이온 전도 재료의 이온 전도율을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온도 80 도에 있어서의 상대 습도 80 %, 50 %, 20 % 일 때의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와 비교예품 4 의 음이온 전도 재료의 이온 전도율을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온도 80 도에 있어서의 상대 습도 80 %, 50 %, 20 % 일 때의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와 비교예품 5 의 음이온 전도 재료의 이온 전도율을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면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변형되어 있고, 각 부의 치수비 및 형상 등은 반드시 정확하게는 그려져 있지 않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전해질막 (11) 을 구비하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 (12) 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칼리형 연료 전지 (12) 는, 예를 들어 백금이나 천이 금속 등을 담지하는 촉매 담지 카본을 전해질막 (11) 측의 일면 전체에 지지한 카본 크로스로 이루어지고, 도전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는 애노드 (연료극)(14) 및 캐소드 (공기극)(16) 가, 전해질막 (11) 을 개재하여 대향한 구조를 갖고 있다. 또, 알칼리형 연료 전지 (12) 에는, 애노드 (14) 의 전해질막 (11) 과 접하지 않은 측에 연료실 (18) 과, 캐소드 (16) 의 전해질막 (11) 과 접하지 않은 측에 산화제 가스실 (20) 이 배치되어 있고, 연료실 (18) 에는 예를 들어 수소 가스 (H2) 등이 공급되고, 산화제 가스실 (20) 에는 예를 들어 산소 (O2) 를 포함하는 기체 (공기) 등이 공급되고 있다. 또한, 전해질막 (11) 은, 음이온 전도 재료 (10) 를 예를 들어 콜드 프레스 등에 의해 형성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알칼리형 연료 전지 (12) 에서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 (12) 에 전류를 인가하면, 캐소드 (16) 에 있어서 산소 함유 가스 중의 산소와 물 (H2O) 이 반응하여 수산화물 이온 (OH-) 이 생성되고, 그 생성된 수산화물 이온이 캐소드 (16) 로부터 전해질막 (11) 을 개재하여 애노드 (14) 에 공급된다. 그리고, 애노드 (14) 에 있어서, 연료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시켜 전자 (e-) 를 방출함으로써 발전이 실시된다.
전해질막 (11) 에 사용된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층상 복수산화물 (Layered Double Hydroxide)(22) 로 이루어지고, 도 2 는 그 층상 복수산화물 (22) 의 층상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상 복수산화물 (22) 은, 랜덤하게 존재하는 2 가 또는 3 가의 양이온, 예를 들어 마그네슘 이온 (Mg2+), 알루미늄 이온 (Al3+) 등이 수산화물 이온 (OH-) 에 둘러싸인 복수층의 기본층 (24) 과, 그것들 복수층의 기본층 (24) 과의 사이의 층간에 존재하는, 예를 들어 질산 이온 (NO3 -) 등의 음이온 (28) 및 도시하지 않은 수분자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26)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은, 상기 기본층 (24) 과 중간층 (26) 의 층상 구조가 규칙적으로 쌓인 비교적 규칙성이 높은 층상 구조를 가지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도 3 참조) 의 층상 구조를, 후술하는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의해 층간 박리를 실시하여, 층상 구조를 붕괴시킴으로써 층상 구조의 규칙성이 어지럽혀진 비교적 규칙성이 낮은 층상 구조를 가지는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본층 (24) 은, 예를 들어 [Mg2+ 1-xAl3+ x(OH)2]x+ 로 나타나고, 상기 중간층 (26) 은, 예를 들어 [NO3 - x·yH2O]x- 로 나타내어진다.
도 3 은 전술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제조 공정 SA1 내지 SA7 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용액 제조 공정 SA1 에 있어서, 예를 들어 질산마그네슘 6 수화물 (Mg(NO3)2·6H2O) 을 15.384 g (0.060 ㏖) 과 질산알루미늄 9 수화물 (Al(NO3)3·9H2O) 을 7.502 g (0.020 ㏖) 이 정제수에 녹아 150 g 의 용액이 제조된다.
다음으로, 제 1 교반 공정 SA2 에 있어서, 상기 용액 제조 공정 SA1 에서 얻어진 용액이 20 분간 교반된다. 다음으로, pH 조제 공정 SA3 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반 공정 SA2 에 의해 교반된 용액에, 4M 의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이 첨가되고, 그 용액의 pH 가 예를 들어 9.5 로 조제된다. 또한, pH 조제 공정 SA3 에서는, 용액의 pH 가 9.5 로 안정될 때까지 4M 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이 계속해서 첨가된다. 다음으로, 제 2 교반 공정 SA4 에 있어서, 상기 pH 조제 공정 SA3 에서 pH 가 9.5 로 조제된 용액이 30 분간 교반된다.
다음으로, 고온 유지 공정 SA5 에 있어서, 상기 제 2 교반 공정 SA4 에서 교반된 용액이 들어가 있는 비커에 워치 글라스를 씌우고, 추가로 랩으로 가볍게 싸, 전기 오븐 중에 예를 들어 80 도에서 4 시간 유지하게 한다.
다음으로, 원심 분리·세정 공정 SA6 에 있어서, 상기 고온 유지 공정 SA5 에서 얻어진 용액이 원심 분리에 의해 그 용액의 침전물이 회수되고, 그 회수된 침전물이 정제수로 예를 들어 3 회 씻겨 세정된다.
다음으로, 제 1 건조 공정 SA7 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세정 공정 SA6 에서 회수되고 세정된 침전물이 예를 들어 80 도에서 하룻밤 건조된다. 이로써,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용액 제조 공정 SA1 내지 제 1 건조 공정 SA7 에 의해 제조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은, 질산 이온 (NO3 -) 을 인터칼레이션한 것, 즉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의 중간층 (26) 에 전하 이동에 의해 질산 이온 (NO3 -) 을 삽입한 것이다.
도 4 는 전술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를 층간 박리함으로써 형성된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의 제조 공정 SB1 내지 SB3 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전술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0.5 g 을, 예를 들어 포름아미드인 반응 용매 (32) 100 ㎖ 에 넣어진 용액이, 예를 들어 용기에서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대기 분위기하에서 밀봉되고, 실온에서 예를 들어 6 시간 그 용액이 교반된다. 또한, 이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의해,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가 층간 박리되어, 반응 용매 (32) 인 포름아미드의 중에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여과 공정 SB2 에 있어서, 상기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의해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 반응 용매 (32) 중에 분산된 분산액이 흡인 여과 됨으로써, 그 반응 용매 (32) 인 포름아미드로부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 회수된다.
다음으로, 제 2 건조 공정 (건조 공정) SB3 에 있어서, 상기 여과 공정 SB2 에 의해 반응 용매 (32) 인 포름아미드로부터 회수된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 예를 들어 80 도에서 하룻밤 건조된다. 또한, 제 2 건조 공정 SB3 에서는, 여과 공정 SB2 에 의해 반응 용매 (32) 로부터 회수된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을 동결 건조에 의해 건조시켜도 된다. 이로써,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얻어진다.
[실험 I]
여기서, 본 발명자 등이 실시한 실험 I 을 설명한다. 또한, 이 실험 I 은, 전술한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의해,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가 층간 박리되어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 생성되는 것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 실험 I 에서는, 먼저, 전술한 용액 제조 공정 SA1 내지 제 1 건조 공정 SA7 과 층간 박리 공정 SB1 내지 제 2 건조 공정 SB3 을 거쳐 실시예품 1 (LDH + FMD)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를 제조하고, 그 분말상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를 분말 X 선 회절법으로 결정 구조를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한 「LDH + FMD」란,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있어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LDH)(30) 의 층간 박리에 반응 용매 (32) 로서 포름아미드 (FMD) 를 사용한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또, 상기 실험 I 에서는, 전술한 용액 제조 공정 SA1 내지 제 1 건조 공정 SA7 을 얻고, 비교예품 1 (LDH-CO3) 및 비교예품 2 (LDH-NO3)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즉 층간 박리 공정 SB1 내지 제 2 건조 공정 SB3 을 실시하지 않은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를 제조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그것들 분말상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를 분말 X 선 회절법으로 결정 구조를 조사하였다. 또한,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전술한 제 1 교반 공정 SA2 에 있어서, 2.120 g 의 탄산나트륨 (Na2CO3) 을 정제수에 녹여 제조된 100 g 의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시킴으로써 제조된 점에서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와 상이하다. 또, 상기한 「LDH-CO3」이란,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LDH)(30) 은, 탄산 이온 (CO3 2-) 을 인터칼레이션한 것인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LDH-NO3」이란,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LDH)(30) 은, 질산 이온 (NO3 -) 을 인터칼레이션한 것인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또, 상기 실험 I 에서는, 또한, 전술한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에 사용되는 반응 용매 (32) 로서 포름아미드 이외의 반응 용매 (32) 즉 아세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이 사용되고, 용액 제조 공정 SA1 내지 제 1 건조 공정 SA7 과 층간 박리 공정 SB1 내지 제 2 건조 공정 SB3 을 거쳐, 비교예품 3 (LDH + AAM)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비교예품 4 (LDH + DMF)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비교예품 5 (LDH + NMP)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를 제조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그것들 분말상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를 분말 X 선 회절법으로 결정 구조를 조사하였다. 또한, 상기한 「LDH + AAD」란,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LDH)(30) 의 층간 박리에 반응 용매 (32) 로서 아세틸아미드 (AAD) 를 사용한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LDH + DMF」란,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LDH)(30) 의 층간 박리에 반응 용매 (32) 로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를 사용한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LDH + NMP」란,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LDH)(30) 의 층간 박리에 반응 용매 (32) 로서 N-메틸피롤리돈 (NMP) 을 사용한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이하, 도 5 를 사용하여 상기 실험 I 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10 도 부근에 샤프한 회절 피크가 관측되고 있고, 그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비교적 규칙성이 높은 층상 구조를 가지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10 도 부근에 회절 피크가 관측되고 있고, 그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비교적 규칙성이 높은 층상 구조를 가지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비해 10 도 부근의 회절 피크의 피크폭이 크고, 층상 복수산화물의 입자경과 층상 구조의 규칙성의 저감을 시사하고 있다. 또,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및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와 비교하여 10 도 부근에 강한 피크가 거의 관측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가 층간 박리되어,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가 붕괴되었다고 생각된다. 또, 비교예품 3 내지 비교예품 5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와 대략 동일한 회절 패턴을 나타내고, 그것들 비교예품 3 내지 비교예품 5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와 대략 동일하게 규칙성이 비교적 높은 층상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즉,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반응 용매 (32) 로서 아세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을 사용해도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에 효과가 대부분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5 의 상기 실험 I 의 결과에 의하면, 비교예품 1,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10 도 부근에 강한 피크가 관측되고 있지만,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10 도 부근에 강한 피크가 거의 관측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의해,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가 층간 박리되어, 그 층상 구조가 붕괴됨으로써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 생성되었다고 생각된다.
또, 도 5 의 상기 실험 I 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10 도 부근에 강한 피크가 거의 관측되고 있지 않지만, 비교예품 3 내지 5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10 도 부근에 강한 피크가 관측되고 있다. 이 때문에,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반응 용제 (32) 로서 포름아미드를 사용함으로써,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도 5 의 상기 실험 I 의 결과에 의하면,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비해 10 도 부근의 회절 피크의 피크폭이 크고, 층상 복수산화물의 입자경과 층상 구조의 규칙성의 저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에 있어서 질산 이온 (NO3 -) 을 인터칼레이션한 것은, 탄산 이온 (CO3 2-) 을 인터칼레이션한 것과 비교하여,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실험 II]
여기서, 본 발명자 등이 실시한 실험 II 를 설명한다. 또한, 이 실험 II 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을 층간 박리시켜 층상 구조가 붕괴된 규칙성이 비교적 낮은 층상 구조를 가지는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와 비교하여 이온 전도성이 높아지는 것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 실험 II 에서는, 먼저, 전술한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비교예품 1 내지 비교예품 5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의 분말을 각각 사용하고, 그 분말을 1 축 가압 성형에 의해, 예를 들어 직경 10 ㎜, 두께 1.5 ㎜ 로 형성한 6 종류의 펠릿 (34) 을 제조하였다. 즉,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예품 3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예품 4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예품 5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한 펠릿 (34) 의 양면에 은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1 쌍의 금 전극 (36 및 38) 을 그 펠릿 (34) 의 양면의 은 페이스트에 장착하였다. 그리고, 교류 임피던스 애널라이저법으로, 환경 온도 80 도일 때에, 상대 습도 80 %, 50 %, 20 % 일 때의 상기 6 종류의 펠릿 (34) 의 이온 전도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 II 에 있어서, 상기 펠릿 (34) 의 환경 제어는, ESPEC 사 제조 (Japan) SH-221 의 소형 환경 시험기를 사용하고, 상기 펠릿 (34) 의 이온 전도율의 측정은, Solartron Analytical 사 제조 (UK) Solartron 1260 lmpedance/gain-phase analyzer 의 전기 특성 평가 장치를 사용하였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 를 사용하여 상기 실험 II 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은, 층간 박리 전의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지는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하면, 모든 습도 환경 즉 상대 습도 80 %, 50 %, 20 % 에 있어서 9 배 이상의 이온 전도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은, 층간 박리 전의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지는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하면, 2 배 ∼ 5 배 이상의 이온 전도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은,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하면, 모든 습도 환경에 있어서 높은 이온 전도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7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품 3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은,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하면, 모든 습도 환경에 있어서 높은 이온 전도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그것들 펠릿 (34) 의 이온 전도율의 차는, 실시예품 1 의 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의 이온 전도율과 비교예품 2 의 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의 이온 전도율의 차에 비해 작다. 또, 도 7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품 4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은,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하면, 모든 습도 환경에 있어서 높은 이온 전도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그들 이온 전도율의 차는, 실시예품 1 의 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의 이온 전도율과 비교예품 2 의 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의 이온 전도율의 차에 비해 작다. 또, 도 7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품 5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은,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하면, 상대 습도 20 % 에 있어서 높은 이온 전도율을 나타내고, 상대 습도 80 %, 50 % 에 있어서 낮은 이온 전도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내지 도 12 의 상기 실험 II 의 결과에 의하면,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가 층간 박리된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지는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은,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지는 비교예품 1 및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사용된 펠릿 (34) 과 비교하여, 상대 습도 80 %, 50 %, 20 % 에 있어서 높은 이온 전도율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가 층간 박리된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은,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과 비교하여 이온 전도성이 높아진다고 생각되고, 그 이온 전도성이 높은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비하여, 이온 전도성이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또, 상대 습도 20 % 의 저습도에 있어서도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은,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과 비교하여 이온 전도성이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의하면,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를 층간 박리함으로써 이온 전도성이 높아진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예를 들어 비교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와 같은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와 비교하여 이온 전도성이 높아져, 저습도에 있어서도 이온 전도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의하면,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은, 질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 즉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의 중간층 (26) 에 전하 이동에 의해 질산 이온을 삽입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에 있어서, 예를 들어 탄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과 비교하여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의하면,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는, 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시에 극성이 비교적 큰 포름아미드가 사용되므로,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의하면,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는 대기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에 있어서,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하에서 실시되는 것과 비교하여,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를 실시하는 설비가 간단해진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의하면,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는,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을 포름아미드에 넣고 교반시킴으로써 실시되는 것으로, 상기 층간 박리 후의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은, 여과 또는 동결 건조에 의해 포름아미드로부터 회수된 것이다. 이 때문에,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을 회수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고온에서의 가열을 피할 수 있으므로, 그 고온에서의 가열에 의해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의 층상 구조의 재구축을 바람직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의하면,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 (12) 용의 전해질막 (10) 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이다.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저습도에서의 이온 전도성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그 음이온 전도 재료 (10) 를 알칼리형 연료 전지 (12) 용의 전해질막 (10) 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종래와 비교하여 엄밀한 가습 관리가 실시될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이 소정량의 반응 용매 (32) 에 넣어져 교반되고, 여과 공정 SB2 에 있어서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의해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 분산된 분산액이 여과됨으로써 그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 회수되고, 제 2 건조 공정 SB3 에 있어서 여과 공정 SB2 에 의해 얻어진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이 건조됨으로써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지는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얻어짐에 따라, 저습도에 있어서 종래의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예를 들어 비교예품 2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등과 비교하여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갖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가 제조된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층간 박리 공정 SB1 의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은, 질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 즉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의 중간층 (26) 에 전하 이동에 의해 질산 이온을 삽입한 것이다. 이 때문에,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예를 들어 탄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과 비교하여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사용되는 반응 용매 (32) 는 포름아미드이다. 이 때문에,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시에 극성이 비교적 큰 반응 용매 (32) 인 포름아미드가 사용되므로,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를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층간 박리 공정 SB1 은 대기 분위기하에서 실시된다. 이 때문에, 층간 박리 공정 SB1 에 있어서,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하에서 실시되는 것과 비교하여,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간 박리를 실시하는 설비가 간단해진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2 건조 공정 SB3 은 동결 건조에 의해 실시된다. 이 때문에, 제 2 건조 공정 SB3 에 있어서, 예를 들어 고온에서의 가열을 피할 수 있으므로, 그 고온에서의 가열에 의해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의 층상 구조의 재구축을 바람직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밖의 양태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있어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상 복수산화물 (22) 의 기본층 (24) 은, 마그네슘 이온 (Mg2+) 및 알루미늄 이온 (Al3+) 을 갖고 있었지만, 그 마그네슘 이온 대신에 마그네슘 이온 이외의 2 가의 금속 이온, 예를 들어 철이온 (Fe2+), 아연 이온 (Zn2+), 칼슘 이온 (Ca2+), 망간 이온 (Mn2+), 니켈 이온 (Ni2+), 코발트 이온 (Co2+), 구리 이온 (Cu2+) 등이나, 그 알루미늄 이온 대신에 알루미늄 이온 이외의 3 가의 금속 이온, 예를 들어 철이온 (Fe3+), 망간 이온 (Mn3+), 코발트 이온 (Co3+)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기본층 (24) 은, 2 가의 금속 이온 및 3 가의 금속 이온을 1 종류씩 갖는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 가의 금속 이온 및 2 가의 금속 이온을 1 종류씩 갖는 것이어도 되고, 2 가의 금속 이온을 1 종류 및 4 가의 금속 이온을 2 종류 갖는 것이어도 된다. 즉, 서로 가수가 상이한 금속 이온을 1 종류 이상씩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가수가 서로 상이하면, 동일한 원소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은, 가수가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된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서는, 층상 복수산화물 (22) 의 중간층 (26) 에 질산 이온 (NO3 -) 을 갖고 있었지만, 질산 이온 이외의 음이온, 예를 들어 탄산 이온 (CO3 2-), 수산화물 이온 (OH-), 염화물 이온 (Cl-), 브롬화물 이온 (Br-)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의 실시예품 1 의 음이온 전도 재료 (10) 에 있어서, 층간 박리 공정 SB1 에서는 반응 용매 (32) 로서 극성이 큰 포름아미드가 사용되고 있었지만, 예를 들어 포름아미드 이외의 반응 용매 (32),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드, 메틸포름아미드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즉,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0) 의 층상 구조를 층간 박리할 수 있는 반응 용매 (32) 이면 뭐든지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 (12) 의 전해질막 (10) 에 사용되고 있었지만, 그 이외의 알칼리형 연료 전지용의 부품, 예를 들어 알칼리형 연료 전지용의 전극에 사용되어도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 (22) 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전도 재료 (10) 는, 저습도에서의 이온 전도성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그 음이온 전도 재료 (10) 를 알칼리형 연료 전지용의 전극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종래와 비교하여 엄밀한 가습 관리가 실시될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는 어디까지나 일 실시형태로,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의 변경, 개량을 더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10:음이온 전도 재료
11:전해질막
12:알칼리형 연료 전지
22:층상 복수산화물
30: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
32:반응 용매
SB1:층간 박리 공정
SB2:여과 공정
SB3:제 2 건조 공정 (건조 공정)

Claims (11)

  1.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상 구조를 층간 박리함으로써 이온 전도성이 높아진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전도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은, 질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인, 음이온 전도 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는, 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인, 음이온 전도 재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는, 대기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것인, 음이온 전도 재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의 층간 박리는, 그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을 포름아미드에 넣고 교반시킴으로써 실시되는 것으로,
    상기 층간 박리 후의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은, 여과 또는 동결 건조에 의해 포름아미드로부터 회수된 것인, 음이온 전도 재료.
  6. 제 1 항의 음이온 전도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알칼리형 연료 전지용의 전해질막 또는 전극.
  7. 제 1 항에 기재된 음이온 전도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을 소정량의 반응 용매에 넣고 교반시키는 층간 박리 공정과,
    상기 층간 박리 공정에 의해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이 분산된 분산액을 여과함으로써,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을 회수하는 여과 공정과,
    상기 여과 공정에 의해 얻어진 상기 저규칙성의 층상 복수산화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포함하는, 음이온 전도 재료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박리 공정의 상기 규칙성 층상 복수산화물은, 질산 이온을 인터칼레이션한 것인, 음이온 전도 재료의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용매는 포름아미드인, 음이온 전도 재료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박리 공정은 대기 분위기하에서 실시되는, 음이온 전도 재료의 제조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정은 동결 건조에 의해 실시되는, 음이온 전도 재료의 제조 방법.
KR1020167001483A 2013-07-25 2014-07-02 음이온 전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37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5054 2013-07-25
JPJP-P-2013-155054 2013-07-25
PCT/JP2014/067721 WO2015012078A1 (ja) 2013-07-25 2014-07-02 陰イオン伝導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793A true KR20160023793A (ko) 2016-03-03

Family

ID=5239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483A KR20160023793A (ko) 2013-07-25 2014-07-02 음이온 전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59659A1 (ko)
JP (1) JPWO2015012078A1 (ko)
KR (1) KR20160023793A (ko)
CN (1) CN105493199B (ko)
DE (1) DE112014003397T5 (ko)
WO (1) WO20150120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240A (ko) * 2018-10-15 2020-04-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적층된 층상 이중 수산화물 나노시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캐패시터용 전극
KR20200042317A (ko) * 2018-10-15 2020-04-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혼성화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커패시터 전극
JP2020098782A (ja) * 2018-12-17 2020-06-25 日本碍子株式会社 燃料電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1502B (zh) * 2015-04-14 2019-12-31 日本碍子株式会社 层状双氢氧化物、层状双氢氧化物致密膜及复合材料
JP6560478B1 (ja) * 2017-12-18 2019-08-14 日本碍子株式会社 固体アルカリ形燃料電池
CN111492520A (zh) * 2017-12-18 2020-08-04 日本碍子株式会社 固体碱性燃料电池
JP6876839B1 (ja) * 2020-02-06 2021-05-26 日本碍子株式会社 電解質材料及びアルカリ形燃料電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3889A (ja) 2008-11-05 2010-05-20 Kyoto Univ アルカリ燃料電池用電極
WO2010109670A1 (ja) 2009-03-27 2010-09-30 住友商事株式会社 アルカリ電解質膜、電極接合体及び直接アルコール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7797B2 (ja) * 2005-07-25 2013-04-24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層状複水酸化物を剥離する方法、複水酸化物ナノシート、該複合薄膜材料、該製造方法、および、層状複水酸化物薄膜材料の製造方法
JP2009044009A (ja) * 2007-08-09 2009-02-26 Canon Inc 電極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極
WO2009072488A2 (ja) * 2007-12-05 2009-06-11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陰イオン交換性層状複水酸化物の製造方法
JP5339331B2 (ja) * 2008-02-26 2013-11-13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層状水酸化物と単層ナノシート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221626B2 (ja) * 2010-10-29 2013-06-26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金属空気二次電池用空気極、並びに当該空気極を備える金属空気二次電池用膜・空気極接合体及び金属空気二次電池
US20140021404A1 (en) * 2011-01-27 2014-01-23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Method for producing anion-exchanging layered double hydroxide and method for substituting carbonate ion of layered double hydroxide
EP2669251B1 (en) * 2011-01-27 2018-01-03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Water-swelling layered double hydroxide, method for producing same, gel or sol substance, double hydroxide nano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000537B2 (ja) * 2011-12-08 2016-09-28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アルカリ電解質および該電解質を備えた燃料電池
JP5953575B2 (ja) * 2012-03-15 2016-07-20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全固体アルカリ燃料電池用電解質膜
CN103071458A (zh) * 2013-01-25 2013-05-01 北京化工大学 一种硅烷功能化剥层水滑石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3889A (ja) 2008-11-05 2010-05-20 Kyoto Univ アルカリ燃料電池用電極
WO2010109670A1 (ja) 2009-03-27 2010-09-30 住友商事株式会社 アルカリ電解質膜、電極接合体及び直接アルコール燃料電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240A (ko) * 2018-10-15 2020-04-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적층된 층상 이중 수산화물 나노시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캐패시터용 전극
KR20200042317A (ko) * 2018-10-15 2020-04-2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혼성화 나노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슈퍼커패시터 전극
JP2020098782A (ja) * 2018-12-17 2020-06-25 日本碍子株式会社 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12078A1 (ja) 2017-03-02
US20160159659A1 (en) 2016-06-09
WO2015012078A1 (ja) 2015-01-29
CN105493199B (zh) 2017-04-26
CN105493199A (zh) 2016-04-13
DE112014003397T5 (de)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3793A (ko) 음이온 전도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Wang et al. Transition-metal-oxide-based catalysts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Thangadurai et al. Metathetic room temperatur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cheelite-type ABO4 (A= Ca, Sr, Ba, Pb; B= Mo, W) powders
Nagaraju et al. Designed construction of yolk–shell structured trimanganese tetraoxide nanospheres via polar solvent-assisted etching and biomass-derived activated porous carbon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asymmetric supercapacitors
CN106104909A (zh) 金属空气电池用空气极
Zhu et al. Promising functional two-dimensional lamellar metal thiophosphates: synthesis strategie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EP2900594A1 (en) High conductivity nasicon electrolyte for room temperature solid- state sodium ion batteries
He et al. Cobalt oxides coated commercial Ba0. 5Sr0. 5Co0. 8Fe0. 2O3− δ as high performance cathode for low-temperature SOFCs
Chen et al. The influence of impurity ions on the permeation and oxygen reduction properties of Ba0. 5Sr0. 5Co0. 8Fe0. 2O3− δ perovskite
Liu et al. Significant performance enhancement of yttrium-doped barium cerate proton conductor as electrolyte for solid oxide fuel cells through a Pd ingress–egress approach
WO2011136258A1 (ja) 新規チタン酸リチ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チタン酸リチウムを含む電極活物質、該電極活物質を用いてなる蓄電デバイス
Hofstetter et al. Electrochemical stability of garnet-type Li7La2. 75Ca0. 25Zr1. 75Nb0. 25O12 with and without atomic layer deposited-Al2O3 under CO2 and humidity
Zhao et al. Fundamental air stability in solid-state electrolytes: principles and solutions
Amar et al.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ammonia directly from wet N2 using La0. 6Sr0. 4Fe0. 8Cu0. 2O3-δ-Ce0. 8Gd0. 18Ca0. 02O2-δ composite catalyst
Ren et al. Toward stabilizing Co3O4 nanoparticles as an oxygen reduction reaction catalyst for intermediate-temperature SOFCs
Guan et al. Synthesis and conductivity of strontium cerate doped by erbium oxide and its composite electrolyte for intermediate temperature fuel cell
Strandbakke et al. Reaction kinetics of protons and oxide ions in LSM/lanthanum tungstate cathodes with Pt nanoparticle activation
CN109437880B (zh) 一种超声波-微波溶胶凝胶法制备Ce-Sm-Fe系复合固体电解质陶瓷材料的方法
Wu et al. La0. 14V2O5/reduced graphene oxide composite for aqueous zinc− ion batteries with long cycle life
Li et al. Facile surface defect engineering on perovskite oxides for enhanced OER performance
Song et al. Characterization of Ba0. 5Sr0. 5M1− xFexO3− δ (M= Co and Cu) perovskite oxide cathode materials for intermediate temperature solid oxide fuel cells
Kim et al. Anisotropic Li+ ion conductivity in a large single crystal of a Co (III) coordination complex
Muraleedharan et al. Investigation on temperature-dependent electrical properties of La 1− x A x CoO 3 (A–La, Li, Mg, Ca, Sr, Ba)
CN110462912A (zh) 全固体电池
Zhang et al. Intermediate temperature solid oxide cell with a barrier layer free oxygen electrode and phase inversion derived hydrogen electr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