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681A -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681A
KR20160022681A KR1020140108545A KR20140108545A KR20160022681A KR 20160022681 A KR20160022681 A KR 20160022681A KR 1020140108545 A KR1020140108545 A KR 1020140108545A KR 20140108545 A KR20140108545 A KR 20140108545A KR 20160022681 A KR20160022681 A KR 20160022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jection
protrusion
support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995B1 (ko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스
Priority to KR1020140108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9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12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spindle adjustable to different angles, e.g. either horizontal or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6Securing milling cutters to the driving spind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돌기제거날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제거날은 프레임의 용접돌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여, 용접돌기 이외의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돌기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용접돌기를 제거할 수 있는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Welding ball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돌기제거날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제거날은 프레임의 용접돌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34361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용접장치를 통해 프레임에 마스크를 용접하였다.
용접후에 불량이 날 경우 마스크를 떼어낸 다음에는 프레임에는 용접돌기가 남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용접돌기를 작업자가 직접 제거날을 통해 제거하였다.
이로 인해, 용접돌기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고 제거하는 용접돌기 근처에 다른 부재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3436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접돌기 이외의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돌기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용접돌기를 제거할 수 있는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는, 돌기제거날과, 상기 돌기제거날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제거날은 프레임의 용접돌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장치이고, 상기 돌기제거날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흡입부를 더 포함하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돌기제거날을 이동시키는 돌기제거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돌기제거날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용접돌기 이외의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돌기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용접돌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장치로 하여, 미세한 진동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용접돌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돌기제거날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흡입부를 더 포함하여, 용접돌기 파티클이 프레임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돌기제거날을 이동시키는 돌기제거 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더욱 용이하게 용접돌기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의 돌기제거 어셈블리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개략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개략 정면도.(프레임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
도 5는 도 1의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개략 정면도.(프레임이 세워진 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는, 돌기제거날(301)과, 상기 돌기제거날(301)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302)를 포함하며, 돌기제거날(301)은 프레임(10)의 용접돌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돌기제거날(301)은 티타늄과 같은 초경합금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돌기제거날(301)은 자유단이 납작하게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진동장치(302)는 돌기제거날(301)에 연결되어 돌기제거날(301)을 진동시킨다. 진동장치(302)는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장치이다.
이와 같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동을 생성하는 장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830530호 등에 제시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돌기제거날(301)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흡입부(306)가 돌기제거날(301)의 상부에 배치된다.
돌기제거날(301) 및 진동장치(302)는 이동시키는 돌기제거 이동부에 설치되어 이동된다.
상기 돌기제거 이동부는 돌기제거날(301) 및 진동장치(302)를 전후, 경사진 상태에서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수 있다.
상기 돌기제거 이동부는 돌기제거날(301) 및 진동장치(302)가 설치되는 브라켓부(308)와, 브라켓부(308) 하부에 배치되며 상부에 경사면이 구비되어 브라켓부(308)가 경사지게 이동될수 있도록 하는 전후이동부(303)와, 전후이동부(303)의 후방에 설치되어 브라켓부(308)를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경사구동부(307)와, 전후이동부(303)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후이동부(303)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304)와, 좌우이동부(304)의 후방에 설치되어 전후이동부(303)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구동부(305)와, 프레임(10)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설치되어 좌우이동부(304)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구동부(3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돌기제거날(301) 및 진동장치(302) 및 브라켓부(308) 및 전후이동부(303) 및 좌우이동부(304)가 돌기제거 어셈블리(300)로 모듈화되어 있다.
각 이동되는 부재 사이에는 베어링 및 가이드부재가 구비된다.
경사구동부(307)와 전후구동부(305)는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경사구동부(307)와 전후구동부(305)는 스크류를 회전시켜서 브라켓부(308)와 전후이동부(303)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된 너트부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좌우구동부(320)는 작업자가 돌릴 수 있는 핸들이 설치된 원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판에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류(321)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좌우구동부(320)를 돌리게 되면 스크류(321)가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321)는 좌우이동부(304) 우측에 설치된 너트부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좌우구동부(320)를 돌리게 되면 좌우이동부(304)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더해서 추가 좌우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좌우구동부는 모터로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축에는 제1피니언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1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제1랙기어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좌우구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돌기제거날(301)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 좌우구동부는 좌우이동부(304)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좌우구동부(320) 및 스크류(321)는 돌기제거 지지부(3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돌기제거 지지부(33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측부프레임과,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측부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에 좌우구동부(320) 및 스크류(32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랙기어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된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부프레임에는 각 구동부에 연결된 스위치와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돌기제거 지지부(330)의 하부에는 하부에 지지부 전후구동부가 설치된다. 지지부 전후구동부는 모터로 구비되며, 상기 모터의 축에는 제2피니언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제2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제2랙기어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랙기어는 제2랙기어부(340) 내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랙기어부(340)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제2랙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면에는 상기 모터의 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순한 구조로 돌기제거 지지부(330)가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돌기제거 지지부(33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돌기제거 지지부(3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돌기제거 지지부 로킹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을 지지하는 지지부(200)가 더 구비된다.
지지부(200)는 프레임(10) 하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210)와, 제1지지부(210)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30) 사이의 이격공간에 돌기제거 지지부(330)의 하부프레임이 삽입된다.
제1지지부(210)는 두개의 프레임재로 구비되어 제2지지부(230)의 상부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일측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2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지지돌출부(211)가 전방과 후방에 이격되게 각각 배치된다. 지지돌출부(211)와 제1지지부(210)의 상면 사이에는 프레임(1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로 인해 프레임(1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제1지지부(210)의 상부에는 프레임위치조절부(220)가 설치된다. 프레임위치조절부(220)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프레임(10)을 지지하는 프레임지지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지지돌기부는 프레임(10)의 외측에 배치된다.
프레임위치조절부(220)는 프레임(10)의 각 모서리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프레임위치조절부(220)는 프레임(10)이 제1지지부(210) 상부로 로딩된 후에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지지부(2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지지부(230)의 우측벽에 상기 제2랙기어부가 설치된다.
또한, 돌기제거 지지부(330)의 하부프레임 전방에 받침부(400)가 배치된다.
받침부(400)는 양측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210) 사이에 배치된다.
받침부(400)는 장변 스틱의 용접돌기 제거시 장변 스틱 하부를 받쳐준다.
받침부(40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대(410)와, 받침대(410) 중간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전후이동부(420)를 포함한다.
받침대(410)는 받침전후이동부(4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대구동부가 구비되어 자동으로 받침대(41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받침전후이동부(420)는 제2지지부(23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전후이동부(420)와 제2지지부(230) 사이에는 LM베어링과 가이드레일이 배치된다. 또한, 돌기제거 지지부(330)의 하부프레임과 제2지지부(230) 사이에도 LM베어링과 가이드레일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돌기제거 지지부(33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지지부(230)도 자동으로 같이 이동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돌기제거 지지부(330)와 제2지지부(230)를 각각 별도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2지지부(230)의 하부에는 베이스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제2지지부(230)의 우측 하부 전후방에 힌지연결되는 제1연결부(140)와, 제2지지부(230)의 중간 하부 전후방에 힌지(131)를 통해 연결되는 제2연결부(130)와, 제2연결부(13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150)와, 제2연결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연결부(120)와, 제3연결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판(110)과, 지지판(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진동흡수부(111)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140)는 상단이 제2지지부(230)에 힌지연결되고 하단이 제2연결부(130) 하부 우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지게 배치된다. 두개의 제1연결부(140) 하부는 서로 연결되고,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상단이 인입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신축된다.
제2연결부(130)는 직육면의 프레임재로 형성된다.
제2연결부(130)는 상부 우측단이 힌지(131)를 통해 제2지지부(230)에 연결된다.
승강부(150)의 상단은 제2연결부(130)의 상부 중간 부분에 연결된다.
승강부(150)는 두개가 구비되어 제1연결부(140) 사이에 배치된다. 두개의 승강부(150)는 상부가 서로 연결되고,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하단이 인입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신축된다. 제2연결부(130)의 하부는 뚤려서 승강부(150)는 관통한다.
승강부(150)의 하단이 지지판(110)에 접촉된 후 더 신장되게 되면 제2연결부(130)는 상승하게 된다.
제3연결부(120)는 제2연결부(1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제3연결부(120)는 지지판(110)의 좌측에 편심되게 배치된다.
지지판(110)은 사각형상의 판으로 구비된다. 진동흡수부(111)는 지지판(1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프레임(10)을 제1지지부(210) 위로 로딩한다. 프레임(10)은 지지돌출부(211)와 제1지지부(210) 사이의 삽입홈에 가장자리가 삽입된다. 돌기제거 어셈블리(3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거해야 하는 용접돌기 상부 후방으로 돌기제거날(301)이 배치되도록 이동시킨다. 이어서, 진동되는 돌기제거날(301)을 경사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전후 및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전후방향으로만 이동시켜서 용접돌기를 제거한다. 제거된 용접돌기 파티클은 이물질 흡입부(306)를 통해 진공흡입된다.
이로 인해, 용접돌기 이외의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돌기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이하게 용접돌기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장변 스틱의 용접돌기를 제거할 때에는 장변 스틱 하부를 받침부(400)로 지지한 상태에서 용접돌기를 제거한다. 따라서 더욱 효과적으로 용접돌기를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140)의 길이를 짧게 하면 제2지지부(230) 및 제2지지부(230) 상부에 배치된 것이 우측으로 회전되게 되어(수평하게 배치된 프레임(10)이 세워져서) 작업자가 용접돌기 제거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용접돌기 제거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용접돌기 제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모니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1 : 돌기제거날 302 : 진동장치
306 : 이물질 흡입부

Claims (4)

  1. 돌기제거날;
    상기 돌기제거날을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제거날은 프레임의 용접돌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한 진동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제거날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돌기제거날을 이동시키는 돌기제거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KR1020140108545A 2014-08-20 2014-08-20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KR101655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45A KR101655995B1 (ko) 2014-08-20 2014-08-20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545A KR101655995B1 (ko) 2014-08-20 2014-08-20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681A true KR20160022681A (ko) 2016-03-02
KR101655995B1 KR101655995B1 (ko) 2016-09-08

Family

ID=5558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545A KR101655995B1 (ko) 2014-08-20 2014-08-20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9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5294A (zh) * 2018-05-18 2018-09-11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焊点清除装置及方法
CN110102956A (zh) * 2019-04-19 2019-08-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掩膜版焊点去除装置及焊点去除方法
KR102544708B1 (ko) * 2022-05-24 2023-06-21 (주)세우인코퍼레이션 마스크 프레임 재활용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089A (ja) * 1996-12-18 1998-06-30 Hitachi Ltd 溶接方法および溶接装置
KR200431682Y1 (ko) * 2006-09-08 2006-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래그 제거 겸용 용접 오토캐리지
KR101134361B1 (ko) 2009-10-29 2012-04-09 김주환 마스크 용접장치용 클램프 유닛
KR20120040525A (ko) * 2010-10-19 2012-04-27 (주)경동 파이프 용접 장치
KR101190685B1 (ko) * 2012-03-20 2012-10-15 주식회사 대성지티 정속주행 기능을 갖는 용접비드 및 돌출부 제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089A (ja) * 1996-12-18 1998-06-30 Hitachi Ltd 溶接方法および溶接装置
KR200431682Y1 (ko) * 2006-09-08 2006-11-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래그 제거 겸용 용접 오토캐리지
KR101134361B1 (ko) 2009-10-29 2012-04-09 김주환 마스크 용접장치용 클램프 유닛
KR20120040525A (ko) * 2010-10-19 2012-04-27 (주)경동 파이프 용접 장치
KR101190685B1 (ko) * 2012-03-20 2012-10-15 주식회사 대성지티 정속주행 기능을 갖는 용접비드 및 돌출부 제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5294A (zh) * 2018-05-18 2018-09-11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焊点清除装置及方法
CN110102956A (zh) * 2019-04-19 2019-08-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掩膜版焊点去除装置及焊点去除方法
KR102544708B1 (ko) * 2022-05-24 2023-06-21 (주)세우인코퍼레이션 마스크 프레임 재활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995B1 (ko)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995B1 (ko) 프레임 용접돌기 제거장치
KR20170113169A (ko) 이동체 이송 기구 및 가공 장치
CN109500855A (zh) 一种便于调距的波纹管切割装置
CN207387509U (zh) 可调节伸缩夹具
CN116460519B (zh) 一种门框用带有机械臂的焊接装置及其使用方法
CN220073595U (zh) 一种辅助激光切割的装置
CN108861296A (zh) 一种蔬菜保鲜运输装置
CN219520871U (zh) 一种高效的振镜连续激光焊接机结构
KR102366999B1 (ko) 가공 장치
CN110340337A (zh) 电机固定座用的铸造后吹洗装置
CN212371449U (zh) 一种便于清洁的激光切割机
KR102193096B1 (ko) 진공챔버의 리브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지그장치
JP2949159B2 (ja) 超音波洗浄装置
JP2005029975A (ja) レール頭部継目熔接残部の削正装置
KR101547068B1 (ko) 스크린 프린터
CN206326284U (zh) 堆高车门架焊接装置
CN219274779U (zh) 一种焊接工装
JP6438427B2 (ja) 溶接補助装置
CN210451505U (zh) 双面直缝焊机
JP269025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における画像表示面の研磨装置
CN218746941U (zh) 一种机械零部件生产用抛光机
CN215747511U (zh) 一种射线防护窗加工用焊接装置
KR0136745Y1 (ko) 음극선관 밴드 절단장치
CN208342234U (zh) 一种氮化物金属复合材料加工用工作台
CN213411622U (zh) 一种机械零件加工打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