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219A -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219A
KR20160022219A KR1020150045740A KR20150045740A KR20160022219A KR 20160022219 A KR20160022219 A KR 20160022219A KR 1020150045740 A KR1020150045740 A KR 1020150045740A KR 20150045740 A KR20150045740 A KR 20150045740A KR 20160022219 A KR20160022219 A KR 2016002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inclined surfa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용
윤종문
박민경
Original Assignee
(주)뉴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옵틱스 filed Critical (주)뉴옵틱스
Priority to CN201510506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572783B/zh
Priority to US14/828,724 priority patent/US9684113B2/en
Publication of KR2016002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도광판은 한 쌍의 주면(柱面)과 상기 한 쌍의 주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가지는 판 형상의 도광판으로, 상기 한 쌍의 주면 중 일면에 제공되고 빛을 출력하는 출광면; 상기 한 쌍의 주면 중 타면에 제공되는 반사면; 상기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공되고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입사받는 입광면; 및 상기 입광면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반사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음각부 및 상기 음각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양각부를 포함하고, 서로 상기 입광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 확산도가 향상되는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평판형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분야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진이 두드러져 왔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중소형 디스플레이 분야뿐 아니라 소형 모바일 디스플레이나 대형 텔레비전, 실외용 스크린 분야에서도 핵심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그렇지만,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의 자발광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비자발광 또는 수광형 디스플레이로서 자체적으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한다.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이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후방에 빛을 공급해주는 광원 장치의 일종으로서 영상의 휘도, 색 재현도, 시야각, 명암비, 가독성 등 영상 품질과 소비 전력, 제품 수명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 단가의 약 20~5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이다.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광원의 배치 형태에 따라 크게 직하형(direct-lit)과 엣지형(edge-lit)으로 분류된다. 직하형은 화면의 직후방에 배치된 광원이 액정 패널 방향으로 출사하는 빛을 이용하는 반면, 엣지형은 화면의 가장자리에 광원이 배치된 광으로부터 측방으로 출사되는 빛을 도광판이 액정 패널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빛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하여 휘도, 명암비, 화면 균일도, 영상 재현력 등에서는 직하형이 유리한 반면, 제품 두께나 비용 면에서 엣지형이 강점을 가지게 된다.
최근에 디스플레이 업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제품의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가치가 중요해지면서 제품 외관 면에서 강점이 큰 엣지형 백라이트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초박형 디스플레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 패널 후방에 3~5매 가량 게재되던 확산 시트(diffusion sheet)를 최대한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품은 기존에 확산 시트가 담당하던 광 확산도 확보에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핫 스팟이 두드러지는 문제점이 있어 광 확산도가 향상되는 도광판의 개발이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광 확산도가 향상되는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핫 스팟이 억제되는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광 확산도가 향상되는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핫 스팟이 억제되는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각부 및 양각부에 의해 광을 산란시켜 도광판에서 출력되는 광의 산란도 또는 확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광 산란도가 향상되는 도광판을 이용하므로 핫 스팟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밀도가 균일한 도광판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밀도가 불균일한 도광판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광면에 패턴이 있는 도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광면에 패턴이 있는 도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1 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1 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1 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2 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2 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2 예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3 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3 예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3 예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4 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4 예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제4 예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인 반사 패턴이 있는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반사 패턴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한 쌍의 주면(柱面)과 상기 한 쌍의 주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가지는 판 형상의 도광판으로, 상기 한 쌍의 주면 중 일면에 제공되고 빛을 출력하는 출광면; 상기 한 쌍의 주면 중 타면에 제공되는 반사면; 상기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공되고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입사받는 입광면; 및 상기 입광면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반사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음각부 및 상기 음각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양각부를 포함하고, 서로 상기 입광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 패턴;을 더 포함하는 도광판이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 또는 상기 제2 경사면 중 상기 입광면에 가까운 경사면의 경사각이 더 작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경사면은, 40 내지 60°의 경사각이고, 상기 제2 경사면은, 50 내지 70°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반사면과 평행한 평탄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양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가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또 상기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음각부는, 상기 입광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만나는 한 쌍의 측면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측면 경사면의 경사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 상기 양각부는, 상기 측면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면 돌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측면 돌출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돌출 영역 및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 상기 측면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 및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 상기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측면 돌출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면적 및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빛을 출력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과 마주보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입사받는 입광면, 상기 입광면에 수직한 일면으로 빛을 출력하는 출광면 및 상기 출광면의 반대면인 반사면을 가지는 판 형상의 몸체로 제공되는 도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면에는, 프리즘 형상의 음각부 및 상기 음각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양각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반사 패턴이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의 반사 패턴은, 서로 상기 입광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음각부는, 상기 입광면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반사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상기 양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크기와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중 상기 입광면에 가까운 경사면의 경사각이 더 작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 중 상기 입광면에 가까운 영역의 돌출 높이가 더 크고, 상기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 중 상기 입광면에 가까운 영역의 면적이 더 클 수 있다.
또 상기 음각부는, 상기 입광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만나는 한 쌍의 측면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양각부는, 상기 측면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면 돌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 PDP 디스플레이 장치, O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하우징(1200), 디스플레이 패널(1400) 및 백라이트 유닛(16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00)은 그 내부에 디스플레이 패널(1400) 및 백라이트 유닛(1600)을 수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를 보호한다. 또 하우징(1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400)과 백라이트 유닛(1600)을 정합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하우징(1200)은 케이스 탑(1220), 가이드 프레임(1240) 및 커버 바텀(126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탑(1220)과 커버 바텀(1260)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도록 서로 결합되며, 가이드 프레임(1240)이 그 둘 사이에 장착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1240)은 케이스 탑(1220)의 베젤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1400)을 고정시키고 또 커버 바텀(1260)과 함께 도광판(2000)과 광학 시트들(16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00)은 백라이트 유닛(1600)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400)은 두 개의 투명 기판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14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기판은 각각 컬러 필터 기판(color filter, 1460),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TFT: Thin Film Transistor, 1440)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440)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을 통해 액정층(1420)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액정의 배열 상태가 바뀌어 픽셀 단위로 백라이트 유닛(160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며, 투과되는 빛은 컬러 필터 기판(1460)에 의해 색상이 입혀져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440)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을 통해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이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 등과 같은 패널 구동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600)은 디스플레이 패널(1400)의 후방으로 빛을 공급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400)이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600)에는 광학 시트(1620), 광원 어레이(1640), 도광판(2000) 및 반사판(1680)이 포함될 수 있다.
광원 어레이(1640)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1642)과 광원(1642)이 설치되는 광원 기판(1644)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642)으로는 냉음극 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방전 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 어레이(1640)는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1600)인 경우에는 빛이 도광판(2000)의 측면으로 입사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가장자리 부분에 광원(1642)이 측방을 향하도록 하여 설치될 수 있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1600)의 경우에는 광원(1642)이 디스플레이 패널(1400)의 후방을 향해 빛을 출력하도록 커버 바텀(126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광원 기판(1644)은 커버 바텀(1260)에 설치되거나 광원 기판(1644)이 생략되고 광원(1642)이 직접 커버 바텀(1260)에 설치될 수 있다.
도광판(2000)은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16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400)의 후방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광판(2000)은 광원(1642)으로부터 측방으로 출력되는 빛을 디스플레이 패널(1400) 방향으로 도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 도광판(2000)에는 휘도 향상이나 핫 스팟 개선 등의 광 균일도 향상을 위하여 그 상면과 하면, 그리고 광원(1642) 측의 측면에 각각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광판(2000)의 소재로는 PMMA 재질(PMMA: Poly Methly Methacrylate)나 MS, MMA 또는 글래스 등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도광판(200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1600)의 경우에는 빛을 도광시키는 도광판(2000) 대신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구비될 수 있다.
광학 시트(1620)는 디스플레이 패널(1400)의 후방에 디스플레이 패널(140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도광판(2000)이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400)과 도광판(20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1620)의 예로는 확산 시트(1624)나 프리즘 시트(1622)가 있다. 확산 시트(1624)는 도광판(2000)이나 확산판으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킴으로써 광 출력 분포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무아레(Moire) 현상과 같이 명부(dark/bright) 패턴이나 핫 스팟의 발생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1622)는 빛의 경로를 디스플레이 패널(14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광판(2000)이나 확산 시트(1624)를 거친 빛은 전방향으로 분산되며 진행하는데 프리즘 시트(1622)는 이와 같이 분산되는 빛을 디스플레이 패널(14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휘도와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광학 시트(16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400)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수직 프리즘 시트(1622a), 수평 프리즘 시트(1622b), 확산 시트(162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들 광학 시트(1620)의 배치 순서가 반드시 상술한 예와 같이 배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광학 시트(1620)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일부가 여러 장 배치되거나(예를 들어, 2장 이상의 확산 시트(1624)가 배치될 수 있음) 또는 그 순서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
반사판(1680)은 커버 바텀(126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판(1680)은 광원(1642)으로부터 출력된 빛 중 후방으로 진행하는 빛을 디스플레이 패널(140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사판(1680)은 도광판(2000)이나 확산판의 배면으로 출사되는 빛을 디스플레이 패널(1400) 반사시킴으로써 광 손실이 줄여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휘도를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2000)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20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밀도가 균일한 도광판(2000)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밀도가 불균일한 도광판(2000)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2000)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광면(2060)에 패턴이 있는 도광판(20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광면(2020)에 패턴이 있는 도광판(2000)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광판(2000)은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광판(2000)은 한 쌍의 주면(柱面)과 주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주면 중 디스플레이 패널(1400)과 가까운 상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400)로 빛을 출력하는 출광면(2020)이고, 그 반대면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2040)이 된다. 또 측면들 중 적어도 한 면은 광원(164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빛을 입사받는 입광면(2060)이 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사각형의 화면을 가지므로 도광판(2000)도 이에 대응되도록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사각 판 형상의 도광판(2000)의 경우에는 네 측면 중 어느 한 면이나 상하로 마주보는 한 쌍 또는 좌우로 마주보는 한 쌍이 입광면(2060)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도광판(2000)이 전체적으로 그 두께가 일정한 평판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입광 효율 향상을 위해 도광판(2000)에서 광원(1642)과 마주보는 측면의 인근이 다른 영역보다 더 두꺼운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도광판(2000)은 입광면(2060)을 통해 광원(1642)에서 출사되는 빛을 입사받아 도광판(2000)의 내부에서 이를 도광시켜 출광면(2020)을 통해 면 광원(1642)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반사면(2040)은 도광판(2000)의 배면으로 빠져나가는 광을 출광면(202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입광면(2060), 출광면(2020) 및 반사면(2040)에는 각각 입광과 도광 그리고 반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반사면(2040)에는 도광판(2000)의 배면, 즉 반사면(2040)으로 빠져나가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 패턴(2200)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면(2040) 상에는 반사 패턴(2200)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반사 패턴(220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면(2040)에 균일한 밀도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불균일한 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대화면의 경우에는 도광판(2000)의 입광면(2060)에 가까운 쪽과 먼 쪽의 휘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입광면(2060)에 가까운 영역보다 입광면(2060)에서 먼 영역에 반사 패턴(2200)을 더 조밀하게 형성시켜 휘도 차이를 완화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 패턴(2200)의 밀도란 반사 패턴(2200)이 반사면(2040)에서 차지하는 피복률, 반사 패턴(2200)의 사이즈, 반사 패턴(2200)의 간격 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패턴(2200)은 실크 스크리닝(silk screening) 기법, 인쇄 기법이나 레이저 식각 기법, 증착 기법, 프레싱 기법, 롤 스탬핑 기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반사 패턴(2200)은 도광판(2000) 배면으로 빠져나가는 빛을 출광면(2020)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굴절 또는 반사시키기 위한 특정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사 패턴(2200)의 형태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광판(2000)의 입광면(2060)에는 광원(1642)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배광각을 향상시키고, 확산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세레이션 패턴(2400)이 형성될 수 있다. 세레이션 패턴(2400)은 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각부와 음각부가 입광면(2060)의 폭 방향으로 반복 배치되도록 입광면(2060)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도광판(2000)의 출광면(2020)에는 입광면(2060)을 통해 입사된 빛을 도광판(2000) 전 영역으로 도광하기 위한 도광 패턴(26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광 패턴(2600)은 입광면(2060)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출광면(2020)에 반복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패턴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삼각이나 사각의 프리즘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세레이션 패턴(2400)이나 도광 패턴(2600)은 반사 패턴(2200)과 함께 도광판(2000)이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는 도광판(2000)에 세레이션 패턴(2400), 도광 패턴(2600), 반사 패턴(2200)이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반사 패턴(2200)은 반사면(2040)으로부터 돌출 또는 함몰됨에 따라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광판(2000)의 배면으로 빠져나가려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빛을 반사시키면 결과적으로 도광판(2000)의 출광면(2020)을 통해 출력되는 광량이 증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휘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사 패턴(2200)은 기본적으로 프리즘 패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반사 패턴(2200)은 반사면(2040)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반사면(2040) 상에 프리즘 형상으로 함몰되는 부위와, 이 영역을 감싸며 돌출되는 부위를 가질 수 있다.
반사 패턴(2200)은 주로 롤 스탬핑이나 프레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몰되는 부위가 롤 스탬핑이나 프레싱에 반사면(2040)을 파냄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되는 부분은 함몰되는 부위가 주변으로 밀림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 열 압착 방식의 롤 스태핑이나 프레싱을 하면 효과적으로 패터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패턴(2200)은 입광면(2060)으로부터 입사되어 반사면(2040)으로 진행하는 광이나 출광면(2020)에서 반사되어 반사면(2040)으로 진행하는 광을 각각의 영역에서 반사, 굴절 또는 산란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빛을 반사해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 패턴(2200)은 양각부(2240)에서 일차적으로 굴절, 산란, 확산, 반사시키며, 그 빛을 다시 음각부(2220)가 다시 굴절, 산란, 확산, 반사할 수 있다. 특히, 양각부(2240)가 반사 패턴(2200)으로 입사되는 빛을 1차적으로 산란시키는 기능을 가져 전체적으로 출광면(2020)에서의 휘도 균일도가 상승되는 효과를 불러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다양한 형상 중 제1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1 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1 예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1 예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1 형태는 음각부(2220) 및 양각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음각부(2220)는 반사면(2040)의 기준면보다 내측으로 함몰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음각부(2220)는 제1 경사면(2222), 제2 경사면(2224), 제3 경사면(2226) 및 제4 경사면(2228)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패턴(2200)의 제1 형태에서 음각부(2220)는 반사면(2040)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사각 형상을 띌 수 있으며,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경사면(2222)과 제2 경사면(2224)은 반사면(2040)과 만나는 테두리가 입광면(2060)에 평행할 수 있다. 제1 경사면(2222)은 반사면(2040)과 만나는 테두리로부터 출광면(20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제2 경사면(2224)은 반사면(2040)과 만나는 테두리로부터 출광면(20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 경사면(2222)과 제2 경사면은(2224)은 그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경사면(2226)과 제4 경사면(2228)은 제1 경사면(2222), 제2 경사면(2224) 그리고 반사면(2040)의 각 모서리와 연결되도록 반사면(2040)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경사면들(2222, 2224, 2226, 2228)이 그 입체적인 형태가 프리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음각부(2220)는 그 가장자리(양각부(2240)와 만나는 경계)로부터 음각부(2220)의 중심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증가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제3 경사면(2226) 및 제4 경사면(2228)은 제1 경사면(2222)및 제2 경사면(2224)의 양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면(2222)과 제2 경사면(2224)의 경사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경사면(2226)와 제4 경사면(2228)의 경사각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양각부(2240)는 음각부(2220)의 테두리에서 반사면(204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양각부(2240)는 제1 경사면(2222)의 가장자리에서 반사면(20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 영역(2242) 및 제2 경사면(2224)의 가장자리에서 반사면(20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 영역(22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형태에서 제1 돌출 영역(2242)과 제2 돌출 영역(2244)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양각부(2240)는 음각부(2220)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돌출 높이가 증가하였다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양각부(2240)는 반사 패턴(2200)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반사 패턴(2200)으로 입사되는 광을 일차적으로 산란시키는 기능을 하여 반사 패턴(220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산란되어 확산되면서 출광면(2020)으로 출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휘도 균일도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다양한 형상 중 제2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2 예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2 예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2 예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2 형태는 음각부(2220) 및 양각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형태에서는 양각부(2240)의 제1 돌출 영역(2242)과 제2 돌출 영역(2244)의 크기가 동일하게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반해, 제2 형태에서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형태의 반사 패턴(2200)에서 음각부(222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반사 패턴(2200)의 제2 형태에서의 음각부(2220)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형태의 반사 패턴(2200)에서 양각부(2240)는 음각부(2220)를 기준으로 제1 돌출 영역(2242)과 제2 돌출 영역(2244)이 비대칭을 이룰 수 있다. 양각부(2240)는 그 가장자리(음각부(2220)와 만나는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히, 제1 돌출 영역(2242)과 제2 돌출 영역(2244) 중 어느 한쪽은 그 돌출 높이가 다른 한 쪽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높이 또는 면적이 큰 돌출 영역은 입광면(2060)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 높이 또는 면적이 작은 돌출 영역은 입광면(2060)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패턴(2200)의 제2 형태는 그 형상이 비대칭형이므로 그 광학적 특성이 등방성이 아닌 이방성을 띄게 된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최대 높이가 높은 일 방향측이 반대 방향 측에 비하여 빛을 산란시키는 효과가 강하다. 일 방향 측에 비해 반대 방향 측이 더 나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방성 광학 특성을 이용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휘도 균일도 또는 시야각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돌출 높이 또는 면적이 작은 쪽이 입광면(2060)에 가까이 배치되고, 다른 쪽이 입광면(2060)에 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다양한 형상 중 제3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3 예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3 예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3 예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3 형태는 음각부(2220) 및 양각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형태에서는 음각부(2220)의 제1 경사면(2222)과 제2 경사면(2224)의 경사각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데 반해, 제3 형태에서는 그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형태의 반사 패턴(2200)에서 양각부(224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반사 패턴(2200)의 제1 형태에서의 양각부(2240)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형태의 반사 패턴(2200)에서 음각부(2220)는 제1 경사면(2222)과 제2 경사면(2224)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경사면(2222)의 경사각은 제2 경사면(2224)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면(2222)은 완경사면이 될 수 있으며, 입광면(2060)에 가까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완경사면 측이 입광면(2060)에 가까이 위치하면 입광면(206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넓은 범위에서 출광면(2020) 측으로 굴절, 반사시킬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경사각이 높은 쪽이 입광면에 가까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다양한 형상 중 제4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4 예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4 예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4 예의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제4 형태는 음각부(2220) 및 양각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3 형태에서는 양각부(2240)의 제1 돌출 영역(2242)과 제2 돌출 영역(2244)의 크기가 동일하게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반해, 제4 형태에서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형태의 반사 패턴(2200)에서 음각부(222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반사 패턴(2200)의 제3 형태에서의 음각부(2220)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형태의 반사 패턴(2200)에서 양각부(2240)는 음각부(2220)를 기준으로 제1 돌출 영역(2242)과 제2 돌출 영역(2244)이 비대칭을 이룰 수 있다. 양각부(2240)는 그 가장자리(음각부(2220)와 만나는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그 높이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출 영역(2242)과 제2 돌출 영역(2244)중 어느 한쪽은 그 돌출 높이가 다른 한쪽의 돌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경사가 완만한 경사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돌출 영역은 급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돌출 영역에 비하여 돌출 영역의 크기 및 돌출 높이 등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 높이가 높은 돌출 영역은 입광면(2060)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은 돌출 영역은 입광면(2060)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패턴(2200)의 제4 형태는 그 형상이 비대칭형이므로 그 광학적 특성이 등방성이 아닌 이방성을 띄게 된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최대 높이가 높은 일 방향측이 반대 방향 측에 비하여 빛을 산란시키는 효과가 강하다. 일 방향 측에 비해 반대 방향 측이 더 나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방성 광학 특성을 이용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휘도 균일도 또는 시야각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경사가 낮은 쪽의 경사면에 돌출 높이 또는 면적이 큰 양각부(2240)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경사가 높은 쪽의 경사면에 돌출 높이 또는 면적이 큰 양각부(224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경사가 낮은 쪽의 경사면이 입광면(2060)에 가까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입광면(2060)에 가까운 방향에 경사가 높은 쪽의 경사면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대칭인 반사 패턴(2200)이 있는 도광판(2000)의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반사 패턴(2200)은 그 양각부(2240)의 높이가 높고 그 음각부(2220)의 경사면의 경사각이 작은 경사면이 입광면(2060)에 가까운 방향으로 반사면(2040)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사 패턴(2200)으로 진입하는 광은 주로 입광면(2060) 방향으로부터 진행하여 오므로, 이와 같이 빛이 입사되는 방향에 음각부(2220)의 완경사면(제1 경사면(2222))과 양각부(2240)의 높이와 두께가 큰 영역(제1 돌출 영역(2242))을 배치함으로써 양각부(2240)가 가지는 광 확산, 산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는 가로 방향의 시야각이 세로 방향의 시야각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양각부(2240)는 최대 높이가 높고, 두께가 큰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시청될 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시야각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세로 시야각에서도 하방 시야각과 상방 시야각 중 보다 중요한 시야각이 어디인지에 따라 양각부(2240)의 최대 높이가 높고, 두께가 큰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휘도 균일도와 시야각 확보를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광원 어레이(1640)를 하방에 배치하고, 반사 패턴(2200)에서 양각부(2240)가 큰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반사 패턴(2200)을 형성함으로써 이 둘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평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의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은 음각부(2220) 및 양각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변형예에서는 반사면(2040)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 영역(2246) 및 제4 돌출 영역(224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의 반사 패턴(2200)에서 음각부(222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반사 패턴(2200)의 제4 형태에서의 음각부(2220)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변형예의 반사 패턴(2200)에서 양각부(2240)는 제1 돌출 영역(2242)과 제2 돌출 영역(2244)의 수직방향에 형성되며, 제3 경사면(2226)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 영역(2246) 및 제4 경사면(2228)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4 돌출 영역(22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돌출 영역(2246) 및 제4 돌출 영역(2248)은 입광면(2060)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돌출 영역(2246)과 제4 돌출 영역(2248)은 그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패턴(2200)의 변형예는 그 형상이 비대칭형이므로 그 광학적 특성이 등방성이 아닌 이방성을 띄게 된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최대 깊이가 낮은 일 방향측이 반대 방향 측에 비하여 빛을 산란시키는 효과가 강하다. 일 방향 측에 비해 반대 방향 측이 더 나은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방성 광학 특성을 이용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휘도 균일도 또는 시야각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턴(2200)에서 수직 방향 상의 거리(높이 또는 깊이의 절대치)는 음각부(2220)의 최대 깊이가 가장 크고, 양각부(2240)의 최대 높이가 그 다음으로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각부(2220)의 최대 깊이는 약 20 내지 100㎛이고, 양각부(2240)의 최대 높이는 약 0.5 내지 10㎛일 수 있다. 또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음각부(2220)의 긴 방향의 길이는 약 20 내지 150㎛이고, 짧은 방향의 길이는 20 내지 100㎛일 수 있다. 단 필요에 따라 음각부(2220)의 긴 방향의 길이는 도광판(2000)의 입광면(2060)의 길이와 동일한 정도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 짧은 방향의 길이 역시 필요에 따라 상술한 예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양각부(2240)의 제1 경사면(2222)의 경사각은 40 내지 60°일 수 있고, 제2 경사면(2224)의 경사각은 50 내지 70°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경사면(2226) 및 제4 경사면(2228)은 그 경사각이 약 50 내지 90°일 수 있다.
또 이상의 도면에서는 반사 패턴(2200)의 표면이 매끄러운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반사 패턴(2200)의 표면이 소정의 거칠기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음각부(2220)와 양각부(2240)는 소정 이상의 거칠기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 반사 패턴(2200)의 스펙이 상술한 높이, 깊이, 너비, 경사각, 거칠기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반사면(2040)에 형성되는 모든 반사 패턴(220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스펙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반사면(2040)의 부위에 따라 반사 패턴(2200)의 스펙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든 반사 패턴(2200)을 동일한 스펙으로 형성하면 공정 상의 유리한 점이 있어 생산 단가 절감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반대 예로, 입광면(2060)에 가까울수록 반사 패턴(2200)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조정하면 전체적으로 도광판(2000)의 출광면(2020)에서 휘도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디스플레이 장치
1600: 백라이트 유닛
2000: 도광판
2040: 반사면
2060: 입광면
2200: 반사 패턴
2220: 음각부
2222: 제1 경사면
2224: 제2 경사면
2240: 양각부
2242: 제1 돌출 영역
2244: 제2 돌출 영역

Claims (23)

  1. 한 쌍의 주면(柱面)과 상기 한 쌍의 주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을 가지는 판 형상의 도광판으로,
    상기 한 쌍의 주면 중 일면에 제공되고 빛을 출력하는 출광면;
    상기 한 쌍의 주면 중 타면에 제공되는 반사면;
    상기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제공되고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입사받는 입광면; 및
    상기 입광면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반사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음각부 및 상기 음각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양각부를 포함하고, 서로 상기 입광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 패턴;을 더 포함하는
    도광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 또는 상기 제2 경사면 중 상기 입광면에 가까운 경사면의 경사각이 더 작은
    도광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40 내지 60°의 경사각이고,
    상기 제2 경사면은, 50 내지 70°의 경사각을 가지는
    도광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이 서로 동일한
    도광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반사면과 평행한 평탄면을 더 포함하는
    도광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도광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도광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가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보다 더 큰
    도광판.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면적이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면적보다 큰
    도광판.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부는, 상기 입광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만나는 한 쌍의 측면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도광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경사면의 경사각은, 서로 동일한
    도광판.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상기 측면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면 돌출 영역을 더 포함하는
    도광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돌출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돌출 영역 및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도광판.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 및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도광판.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측면 돌출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면적 및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면적보다 작은
    도광판.
  16. 빛을 출력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과 마주보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입사받는 입광면, 상기 입광면에 수직한 일면으로 빛을 출력하는 출광면 및 상기 출광면의 반대면인 반사면을 가지는 판 형상의 몸체로 제공되는 도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반사면에는, 프리즘 형상의 음각부 및 상기 음각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양각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반사 패턴이 형성되는
    백라이트 유닛.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 패턴은, 서로 상기 입광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음각부는, 상기 입광면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반사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백라이트 유닛.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영역의 크기와 상기 제2 돌출 영역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백라이트 유닛.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 중 상기 입광면에 가까운 경사면의 경사각이 더 작은
    백라이트 유닛.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 중 상기 입광면에 가까운 영역의 돌출 높이가 더 크고, 상기 반사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돌출 영역과 상기 제2 돌출 영역 중 상기 입광면에 가까운 영역의 면적이 더 큰
    백라이트 유닛.
  23.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부는, 상기 입광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사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만나는 한 쌍의 측면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양각부는, 상기 측면 경사면과 상기 반사면이 만나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측면 돌출 영역을 더 포함하는
    도광판.
KR1020150045740A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22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506481.8A CN105572783B (zh) 2014-08-18 2015-08-18 一种导光板、含有该导光板的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US14/828,724 US9684113B2 (en) 2014-08-18 2015-08-18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38723P 2014-08-18 2014-08-18
US62/038,723 2014-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219A true KR20160022219A (ko) 2016-02-29

Family

ID=55448434

Famil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742A KR20160022221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46A KR20160022225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39A KR20160022218A (ko) 2014-08-18 2015-03-31 롤 스탬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0150045738A KR20160022217A (ko) 2014-08-18 2015-03-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도광판
KR1020150045743A KR20160022222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50045736A KR20160022215A (ko) 2014-08-18 2015-03-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도광판
KR1020150045744A KR20160022223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50045741A KR20160022220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33A KR20160022212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32A KR20160022211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45A KR20160022224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50045735A KR20160022214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34A KR20160022213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40A KR20160022219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37A KR20160022216A (ko) 2014-08-18 2015-03-31 롤 스탬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742A KR20160022221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46A KR20160022225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39A KR20160022218A (ko) 2014-08-18 2015-03-31 롤 스탬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0150045738A KR20160022217A (ko) 2014-08-18 2015-03-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도광판
KR1020150045743A KR20160022222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50045736A KR20160022215A (ko) 2014-08-18 2015-03-3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도광판
KR1020150045744A KR20160022223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50045741A KR20160022220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33A KR20160022212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32A KR20160022211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45A KR20160022224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50045735A KR20160022214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45734A KR20160022213A (ko) 2014-08-18 2015-03-31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737A KR20160022216A (ko) 2014-08-18 2015-03-31 롤 스탬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5) KR20160022221A (ko)
CN (7) CN1055727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807A (ko) * 2021-09-29 2023-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9588A (zh) * 2016-06-27 2016-09-07 广东长虹电子有限公司 一种液晶电视机的反射纸及应用该反射纸的液晶面板
KR102546419B1 (ko) * 2016-08-31 2023-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6249341A (zh) * 2016-09-12 2016-12-2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以及显示器
KR101865856B1 (ko) * 2017-04-28 2018-06-11 (주)코이즈 도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89003A (zh) * 2017-05-31 2017-08-25 山西宇皓新型光学材料有限公司 导光板模具、导光板及其制备方法
KR102360611B1 (ko) * 2017-07-13 202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9029334A (ja) * 2017-07-31 2019-02-21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板、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7340648B (zh) * 2017-09-07 2020-08-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板结构、背光模组、显示装置及背板结构的制作方法
US10755500B2 (en) 2017-11-06 2020-08-25 Moca System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571165B1 (ko) * 2017-11-06 2023-08-25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KR102041304B1 (ko) 2018-04-10 2019-11-06 기민전자주식회사 투명 이중유리에 나노입자가 증착된 에너지절감형 양방향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CN111010878B (zh) 2018-08-06 2021-06-04 瑞仪(广州)光电子器件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9239834B (zh) * 2018-08-31 2020-01-21 合肥泰沃达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高亮背光模组用导光板
KR102664505B1 (ko) * 2018-10-30 2024-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358515B1 (ko) * 2021-03-30 2022-02-08 (주)알토 도광판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가공 방법
KR20230013448A (ko) * 2021-07-19 2023-01-26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그룹화 패턴을 이용한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4236669B (zh) * 2021-12-22 2023-03-10 东莞市现代精工实业有限公司 一种组合网点结构以及导光板
TWI807623B (zh) * 2022-01-17 2023-07-01 達運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模組、背光模組及其高增益導光板
US11802677B2 (en) * 2022-04-01 2023-10-31 Tcl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CN115032830B (zh) * 2022-06-17 2024-02-27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面板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2505B2 (en) * 1999-02-23 2004-06-22 Solid State Opto Limited Light redirecting films and film systems
KR100756368B1 (ko) * 2002-12-05 2007-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CN100562686C (zh) * 2004-02-20 2009-11-25 欧姆龙株式会社 面光源装置
TWI251104B (en) * 2004-06-07 2006-03-11 Nano Prec Corp Back lighting apparatus
CN100419522C (zh) * 2005-08-19 2008-09-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和背光系统
CN100381914C (zh) * 2005-10-28 2008-04-16 财团法人国家实验研究院国家高速网路与计算中心 导光板的微结构
CN101078795B (zh) * 2006-05-24 2010-05-12 清华大学 导光板及背光模组
JP2008084544A (ja) * 2006-09-25 2008-04-10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導光板、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
CN101329423A (zh) * 2007-06-21 2008-12-24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导光板及背光模组
CN101634726B (zh) * 2008-07-21 2012-06-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其制造方法,以及采用该导光板的背光模组
CN101900299A (zh) * 2009-05-26 2010-12-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背光模组
TWI412840B (zh) * 2010-03-22 2013-10-21 Au Optronics Corp 光源模組
CN102221156B (zh) * 2010-04-06 2012-11-1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
KR20120075097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202057826U (zh) * 2011-05-24 2011-11-30 深圳市德仓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薄型背光模组
CN202102136U (zh) * 2011-05-24 2012-01-04 深圳市德仓科技有限公司 导光板及背光模组
TWI453477B (zh) * 2011-08-25 2014-09-21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導光板與光源模組
US8870434B2 (en) * 2011-09-12 2014-10-28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Asymmetric serrated edge light guide film having circular base segments
US9500795B2 (en) * 2012-09-13 201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rea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CN103851540A (zh) * 2012-11-29 2014-06-11 南京高一智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背光模组的导光板
CN104375236B (zh) * 2014-11-26 2017-10-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807A (ko) * 2021-09-29 2023-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215A (ko) 2016-02-29
KR20160022214A (ko) 2016-02-29
KR20160022216A (ko) 2016-02-29
CN105572963B (zh) 2019-04-19
CN105572783A (zh) 2016-05-11
CN105572786B (zh) 2019-01-15
KR20160022224A (ko) 2016-02-29
KR20160022223A (ko) 2016-02-29
KR20160022222A (ko) 2016-02-29
CN105572787A (zh) 2016-05-11
CN105572784B (zh) 2019-01-15
CN105572787B (zh) 2019-01-15
CN105572963A (zh) 2016-05-11
KR20160022213A (ko) 2016-02-29
KR20160022220A (ko) 2016-02-29
KR20160022212A (ko) 2016-02-29
KR20160022221A (ko) 2016-02-29
CN105572784A (zh) 2016-05-11
CN105572788B (zh) 2019-01-15
CN105572785A (zh) 2016-05-11
CN105572788A (zh) 2016-05-11
CN105572786A (zh) 2016-05-11
KR20160022217A (ko) 2016-02-29
KR20160022225A (ko) 2016-02-29
KR20160022211A (ko) 2016-02-29
CN105572785B (zh) 2019-01-15
KR20160022218A (ko) 2016-02-29
CN105572783B (zh)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2219A (ko)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5275441B2 (ja) 導光体、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6194716A1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9684113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98066B2 (en) Display devic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KR100838681B1 (ko) 광학 시트,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US9753206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84116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00049339A (ko) 광학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30412B1 (ko) 라운드 다각패턴을 가진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US9753209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10046581A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US20160047973A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80113888A (ko) 마이크로 원통형 패턴을 이용한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 장치
KR20150034933A (ko) 바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604904B1 (ko) 광원 패키지 및 백라이트 유닛
KR101039322B1 (ko) 측면 발광형 백라이트 유닛
KR20080022717A (ko) 백라이트 유닛
KR20170084888A (ko) 광학시트와 도광판을 구비한 투명 백라이트 유닛
KR101740774B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554610B1 (ko) 도광판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0393962Y1 (ko) 확산수단과 프리즘시트가 일체로 형성된 백라이트유닛
KR20050087097A (ko)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확산판
KR20140108056A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122310A (ko) 확산수단과 프리즘시트가 일체로 형성된 백라이트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