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1218A - Dsrc 동작에 순응하기 위한 프레임간 간격 적응화 - Google Patents

Dsrc 동작에 순응하기 위한 프레임간 간격 적응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1218A
KR20160021218A KR1020167000914A KR20167000914A KR20160021218A KR 20160021218 A KR20160021218 A KR 20160021218A KR 1020167000914 A KR1020167000914 A KR 1020167000914A KR 20167000914 A KR20167000914 A KR 20167000914A KR 20160021218 A KR20160021218 A KR 20160021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src
access timing
spectrum
mode device
activit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785B1 (ko
Inventor
주빈 호세
잉 왕
순다르 수브라마니안
신저우 우
준이 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04W74/0875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with assigned priorities bas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짧은 프레임간 간격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킬 수도 있다.

Description

DSRC 동작에 순응하기 위한 프레임간 간격 적응화{INTER-FRAME SPACING ADAPTATION FOR YIELDING TO DSRC OPERATION}
상호 참조
본 특허출원은 Jose 등에 의해 "Inter-Frame Spacing Adaptation for Yielding to DSRC Operation" 의 명칭으로 2013년 6월 18일자로 출원되고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출원 제13/920,638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용 단거리 통신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적으로 수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이들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중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 가능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기지국들 각각은 다중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한다. 기지국들은 다운스트림 및 업스트림 링크들 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각각의 기지국은 커버리지 범위를 가지며, 이 커버리지 범위는 셀의 커버리지 영역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송신들을 위한 가용 대역폭은 송신들의 데이터 레이트 및 스루풋에 영향을 준다. 대역폭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레이트가 또한 증가할 수도 있다.
셀룰러 및 Wi-Fi 네트워크들 상으로 통신할 수도 있는 디바이스들, 및/또는 상이한 가용 Wi-Fi 네트워크들 상으로 통신할 수도 있는 디바이스들과 같은 멀티-모드 디바이스들은 그 송신들을 위한 증가된 양의 대역폭을 사용하길 원할 수도 있다. DSRC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에 할당된 대역폭은 통상적으로, DSRC 관련 송신들을 위해 사용된다. 멀티-모드 디바이스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그 대역폭을 확대하면, 이들 DSRC 관련 송신들에 대해 간섭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DSRC 스펙트럼이 비-DSRC 송신들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들과 공유될 경우, DSRC 관련 송신들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된다.
무선 통신을 위한 전용 단거리 통신 (DSRC) 스펙트럼의 사용 및 공유의 관리가 설명된다. 멀티-모드 디바이스들에 의한 DSRC 스펙트럼의 사용 및 공유는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DSRC 스펙트럼에 있어서 1차 DSRC 디바이스들에 대한 2차 사용자들로서 동작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최대 송신 전력, 최대 패킷 지속기간, DSRC 스펙트럼 감지 간의 인터벌들, 빔 포밍, 프레임간 간격 (IFS) 파라미터들과 같은 타이밍 파라미터들, 슬롯 시간, 송신 기회 (TXOP), 및 최소 및 최대 경쟁 윈도우 사이즈들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는 것을 통해 DSRC 스펙트럼의 그 사용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이 설명된다. 일 예에 있어서, 그 방법은 멀티-모드 디바이스가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짧은 프레임간 간격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용 단거리 통신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이 설명된다. 일 예에 있어서,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적응된다.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의 적응화는 짧은 프레임간 간격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는 것,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을, DSRC 디바이스의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는 것, 또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백오프 타이머를 적응시키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증가된 슬롯 시간은 분산형 조정 함수 (DCF) 프레임간 간격 (D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확장형 프레임간 간격 (E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및/또는 중재형 프레임간 간격 (A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그 방법은 DSRC 스펙트럼 내에서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DSRC 송신들의 결정된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DSRC 송신들을 위해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시,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DSRC 송신들의 결정된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응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그 방법은 DSRC 송신들의 제 1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1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단계, DSRC 활동들의 제 2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단계로서, 제 2 활동 레벨은 제 1 활동 레벨과는 상이한, 상기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단계, 제 1 시간 주기 동안 제 1 적응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 및 제 2 시간 주기 동안 제 2 적응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적응화는 제 1 적응화와는 상이하다.
추가의 예들에 있어서, 그 방법은 또한,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활동 레벨을 송신하는 단계;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에 적용하기 위한 적응화를 나타내는 명령을 액세스 포인트 (AP) 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로서, 명령은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DSRC 스펙트럼 외부에서 동작하도록,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가 또한 설명된다. 그 장치는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가 또한 설명된다. 그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명령들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또한,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또한 설명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본성 및 이점들의 추가적인 이해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 있어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또는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도 있다. 추가로, 동일한 타입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유사한 컴포넌트들 간을 구별하는 대쉬 및 제 2 라벨을 참조 라벨 다음에 오게 함으로써 구별될 수도 있다. 오직 제 1 참조 라벨만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면, 그 설명은, 제 2 참조 라벨과 무관하게 동일한 제 1 참조 라벨을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컴포넌트에 적용가능하다.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 는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른 주파수 대역 할당들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일 예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 는 통신을 위해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하나 이상의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도 있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 는 DSRC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예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 은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모드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의 일 예를 예시한 메시지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8 은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주파수 스펙트럼에 따른 다양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할당 대역폭을 예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9 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 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의 추가적인 실시형태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 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정보 및 데이터는 가용 대역폭의 양에 기초하여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대역폭의 사이즈 (예를 들어, 폭) 는 주파수들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헤르쯔로 측정됨) 의 연속적인 범위에서 최고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 간의 차이일 수도 있다. 종종, 데이터 레이트 한계 (예를 들어, 채널 용량, 전송될 수 있는 정보의 양) 는 대역폭의 사이즈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80 MHz 의 대역폭은 40 MHz 의 대역폭보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 한계를 가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대역폭이 요구될 수도 있다. 대역폭은 스펙트럼 (예를 들어, 무선 스펙트럼) 의 적어도 일부분을 점유한다. 결과적으로, 대역폭에서의 증가는 스펙트럼에서의 증가를 요구한다. 하지만, 부가적인 스펙트럼은 획득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들에 있어서, 스펙트럼 사용은 규정 (예를 들어, 할당) 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스펙트럼 사용은 연방 통신 위원회 (FCC) 에 의해 규정된다. 미국에서, FCC 는 5.15-5.25 GHz (예를 들어, U-NII 1), 5.25-5.35 GHz (예를 들어, U-NII 2), 5.47-5.725 GHz (예를 들어, U-NII WW), 및 5.725-5.825 GHz (예를 들어, U-NII 3) 주파수 대역들을 미허가된 국가 인프라구조 (U-NII) 스펙트럼으로서 할당하였고, 5.85-5.925 GHz 주파수 대역을 전용 단거리 통신 (DSRC) 스펙트럼으로서 할당하였다. 따라서, 대역폭은 할당된 스펙트럼에 배당된 공간으로 제약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할당된 스펙트럼의 유한한 제약들로 인해 가용 대역폭 (또는, 예를 들어, 데이터 레이트 한계) 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기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스펙트럼 공유는 가용 대역폭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DSRC 스펙트럼 대역의 기회적 사용을 가능케 하기 위해 U-NII 스펙트럼 대역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U-NII 사용자들 (예를 들어, 미허가된 Wi-Fi 사용자들) 로 하여금 다른 DSRC 디바이스들에 대한 스펙트럼으로의 더 높은 우선순위 액세스를 유지하면서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일부 구성들에 있어서, 멀티-모드 디바이스들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DSRC 스펙트럼에서 그리고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 가능한 Wi-Fi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또한, Wi-Fi 네트워크, WLAN, 셀룰러 네트워크 등과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중의 네트워크들에서 동작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셀룰러 지원을 갖지 않을 수도 있고, 셀룰러 네트워크 상으로 통신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청구항들에 기재된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의 일탈함없이 논의된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열에 있어서 변경들이 행해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절차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하게 생략, 치환, 또는 부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실시형태들에 관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면, 일 다이어그램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의 예를 도시한다. 시스템 (100) 은 DSRC 스펙트럼 내에서 (예를 들어, DSRC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DSRC 기지국들 (105) 및 DSRC 디바이스들 (115) 을 포함한다. 시스템 (100) 은 또한,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들 (125) 및 멀티-모드 디바이스들 (135) 을 포함한다. 일 예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들 (125) 및 멀티-모드 디바이스들 (135) 은 U-NII 스펙트럼에서 (예를 들어, Wi-Fi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FCC 는 처음에, 자동차 사용 (예를 들어, 인텔리전트 운송 시스템들) 을 위해 DSRC 스펙트럼을 할당하였다. DSRC 통신의 예들은 차량용 긴급 경고들, 협력적 적응 크루즈 제어, 협력적 충돌 경고, 교차로 충돌 회피, 전자 주차 지불, 차량내 시그널링, 전자 통행료 징수 등을 포함한다. DSRC 통신 링크들 (120) 은 DSRC 디바이스 (115) 와 DSRC 기지국 (105) 사이 또는 DSRC 디바이스 (115) 와 다른 DSRC 디바이스 (115)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DSRC 디바이스들 (115) 간의 DSRC 통신 링크들 (120) 은 DSRC 기지국 (105) 의 커버리지 영역 (110) 외부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DSRC 기지국들 (105) 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일 수도 있는 백홀 링크 (134) 상으로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DSRC 디바이스들 (115) 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전반에 걸쳐 분산되고, 각각의 DSRC 디바이스 (115) 는 정지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DSRC 디바이스 (115) 는 차량, 트래픽 신호, 철도 건널목, 기지국, 셀룰러 전화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 등일 수도 있다. DSRC 디바이스 (115) 는 DSRC 기지국 (105) 및 다른 DSRC 디바이스들 (115) 과 통신 가능할 수도 있다. 각각의 DSRC 기지국 (105) 은 개별 DSRC 지리적 영역 (11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들 (135) 이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 (135) 는 정지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 는 또한,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비,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용어로서 당업자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는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코드리스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등일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는 액세스 포인트들 (125) 및/또는 다른 멀티-모드 디바이스들 (135) 과 통신 가능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사이트들 각각은 개별 통신 지리적 영역 (13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 (140) 은 디바이스 (135) 와 액세스 포인트 (125) 및/또는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간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들 (125) 은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 (ESS), 노드 B, e노드B (eNB), 홈 노드B, 홈 e노드B, 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 (130) 은 커버리지 영역 (도시 안됨) 의 오직 일부분을 구성하는 섹터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 (100) 은 또한, 다중의 캐리어들 (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들) 에 대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멀티-캐리어 송신기들은 다중의 캐리어들 상으로 변조된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통신 링크 (140) (및 예를 들어 DSRC 통신 링크 (120)) 는 다양한 무선 기술들에 따라 변조된 멀티-캐리어 신호일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상이한 캐리어 상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제어 정보 (예를 들어, 레퍼런스 신호들, 제어 채널들 등), 오버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반송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들 (125) 의 커버리지 영역 (130) 은 DSRC 기지국들 (105) 의 커버리지 영역들 (110) 과 중첩할 수도 있다. 통상적인 시나리오에 있어서, 중첩하는 커버리지 영역들 (또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들의 외부에서의 중첩하는 사용) 은 간섭을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DSRC 통신 시스템은 DSRC 스펙트럼에서 동작하고 있지만 다른 통신 시스템은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예를 들어, U-NII 스펙트럼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DSRC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간섭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액세스 포인트 (125) 및/또는 멀티-모드 디바이스들 (135) 에 의한 DSRC 스펙트럼의 공유를 위한 기술들을 설명한다. 일 예에 있어서, 멀티-모드 통신 디바이스 (135) 멀티-모드 통신 디바이스 (135) 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 는, 예를 들어, 짧은 프레임간 간격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킬 수도 있고, 이에 의해,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송신들에 대해 더 높은 우선순위를 DSRC 디바이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멀티-모드 통신 디바이스 (135) 는 DSRC 스펙트럼에서 현재 동작하고 있는 DSRC 디바이스들 (115) 의 활동 레벨에 기초하여 DSRC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를 기회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멀티-모드 통신 디바이스 (135) 는, 예를 들어, 도로, 고속도로, 공항 등과 같이 DSRC 송신들에 기인한 영역들로부터 이격된 특정 거리에 위치되면,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멀티-모드 통신 디바이스 (135) 는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 1 클록 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송신들을 검출하기 위해 제 2 클록 레이트로 스위칭할 수도 있다.
도 2 는 5 GHz 스펙트럼 (200) 에서의 다양한 스펙트럼 할당들의 예시적인 뷰를 도시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GHz 스펙트럼 (200) 은 U-NII 1 주파수 대역 (205) (예를 들어, 5170-5250 MHz), U-NII 2 주파수 대역 (210) (예를 들어, 5250-350 MHz), U-NII WW 주파수 대역 (215) (예를 들어, 5470-5725 MHz), U-NII 3 주파수 대역 (220) (예를 들어, 5725-5825 MHz), 및 DSRC 주파수 대역 (225) (예를 들어, 5850-5925 MHz) 을 포함한다.
각각의 주파수 대역은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사용하도록 할당될 수도 있다. 각각의 채널은 대역폭 (예를 들어, 10 MHz, 20 MHz, 40 MHz, 80 MHz, 160 MHz 등) 을 점유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증가된 대역폭은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채널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 채널들의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불행하게도, 스펙트럼 할당들은 채널들의 수 및/또는 사이즈를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컨대 80 MHz 를 점유하는) U-NII 1 주파수 대역 (205) 은 4개까지의 20 MHz 채널들 (230) (예를 들어, 채널 인덱스들 (36, 40, 44, 및 48) 을 가짐), 2개까지의 40 MHz 채널들 (235), 또는 하나의 80 MHz 채널 (240) 을 지원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U-NII 2 주파수 대역 (210) 은 4개까지의 20 MHz 채널들 (230) (예를 들어, 채널 인덱스들 (52, 56, 60, 및 64) 을 가짐), 2개까지의 40 MHz 채널들 (235), 또는 하나의 80 MHz 채널 (240) 을 지원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U-NII 1 주파수 대역 (205) 또는 U-NII 2 주파수 대역 (210) 중 어느 것도 개별적으로 160 MHz 채널 (245) 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Wi-Fi 디바이스) 은 U-NII 1 및 U-NII 2 주파수 대역들 (205, 210) 양자에 걸쳐 동작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U-NII 1 및 U-NII 2 주파수 대역들 (205, 210) 은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5170-5350 MHz 주파수 대역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160 MHz 채널 (245) (예를 들어, 5170-5330 MHz) 이 지원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U-NII 3 주파수 대역 (220) (예를 들어, 5725-5825 MHz) 은 5개까지의 20 MHz 채널들 (230) (예를 들어, 채널 인덱스들 (149, 153, 157, 161, 및 165) 을 가짐), 2개까지의 40 MHz 채널들 (235), 또는 하나의 80 MHz 채널 (240) 을 지원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DSRC 주파수 대역 (225) 은 10 MHz 채널들을 사용하는 DSRC 통신을 지원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예를 들어, 2차 사용자들로서) DSRC 주파수 대역을 기회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멀티-모드 디바이스들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U-NII 3 및 DSRC 주파수 대역들 (220, 225) 은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5725-5925 MHz 주파수 대역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결합된 주파수 대역들은 9개까지의 20 MHz 채널들 (230) (예를 들어, 채널 인덱스들 (149, 153, 157, 161, 165, 169, 173, 177, 및 181) 을 가짐), 4개까지의 40 MHz 채널들 (235), 2개까지의 80 MHz 채널들 (240), 및 1개까지의 160 MHz 채널 (245) 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DSRC 스펙트럼의 공유는 가용 채널들의 수 및/또는 가용 채널들의 사이즈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U-NII 및 DSRC 주파수 대역들에 걸친 스펙트럼 공유는 29개까지의 20 MHz 채널들 (230), 14개까지의 40 MHz 채널들 (235), 7개까지의 80 MHz 채널 (240), 및 3개까지의 160 MHz 채널들 (245) 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들 증가들은 증가된 데이터 레이트들을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을 허용함). 예를 들어, 증가된 데이터 레이트들은 고선명 비디오 포맷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초고선명 텔레비전 (UHDTV)).
도 3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a) 의 블록 다이어그램 (300) 이다. 이는 도 1 의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a) 는 Wi-Fi 디바이스들, 개인용 컴퓨터들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들, 넷북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등), 셀룰러 전화기들, PDA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들 (DVR들), 인터넷 어플라이언스들, 게이밍 콘솔들, e-리더들 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구성들을 가질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a) 는, 모바일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형 배터리와 같은 내부 전력 공급부 (도시 안됨) 를 가질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a) 는 안테나들 (335), 트랜시버 모듈 (330), 메모리 (315) 및 프로세서 모듈 (310) 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330) 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안테나들 (335) 및/또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모듈 (330) 은 도 1 의 액세스 포인트들 (125) 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330) 은, 패킷들을 변조하고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 (335) 에 제공하고 그리고 안테나들 (335) 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a) 가 단일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a) 는 다중의 링크들을 위해 다중의 안테나들 (33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315)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또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315) 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320) 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 모듈 (310)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DSRC 관리,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적응화 등)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320) 는 프로세서 모듈 (310) 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컴퓨터로 하여금 (예를 들어, 컴파일되고 실행될 경우)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310) 은 인텔리전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310) 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오디오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를 나타내는 패킷들 (예를 들어, 30ms 길이) 로 오디오를 변환하고 오디오 패킷들을 트랜시버 모듈 (330) 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스피킹하고 있는지의 표시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스피치 인코더 (도시 안됨)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인코더는 오직 패킷들만을 트랜시버 모듈 (330) 에 제공할 수도 있으며, 패킷의 제공 또는 자제/억제 자체가, 사용자가 스피킹하고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제공한다.
도 3 의 아키텍처에 따르면, 디바이스 (135-a) 는 통신 관리 모듈 (325) 및 상태 모듈 (340) 을 더 포함한다. 통신 관리 모듈 (325) 은 다른 디바이스들 (135) 과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로서, 통신 관리 모듈 (325) 은 버스를 통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a) 의 다른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그 모두와 통신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a)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관리 모듈 (325) 의 기능은 트랜시버 모듈 (330) 의 컴포넌트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및/또는 프로세서 모듈 (310) 의 하나 이상의 제어기 엘리먼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태 모듈 (340) 은 현재 디바이스 상태 (예를 들어, 컨텍스트, 인증, 기지국 연관, 다른 접속 문제들) 를 반영 및 제어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a) 는 DSRC 스펙트럼 관리 모듈 (305)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관리 모듈 (305) 은, 디바이스 (135-a) 가 전용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관리할 수도 있다. 모듈 (305) 은 다수의 팩터들에 기초하여 전용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듈 (305) 은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현재 활동 레벨에 기초하여 스펙트럼 내에서의 동작들을 허용할 수도 있다. 관리 모듈 (305) 은 디바이스 (135-a) 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또는 동작들을 수정하여 DSRC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의 활동을 검출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 (135-b) 로 하여금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게 하기 위한 결정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a) 의 현재 위치에 기초할 수도 있다. DSRC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동안, 관리 모듈 (305)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a) 의 하나 이상의 통신 파라미터들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들 파라미터들은, DSRC 송신들에 기인한 디바이스들로부터 발생하는 통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관리 모듈 (305) 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기 위해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a)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 기능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및 다른 반(semi)-주문형 IC들),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팅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언급된 모듈들 각각은 디바이스 (135-a) 의 동작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일 수도 있다.
도 4 는 통신을 위한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b) 의 예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400) 이다. 디바이스 (135-b) 는 도 1 및/또는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된 멀티-모드 디바이스들 (135)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예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b) 는 수신기 모듈 (405), DSRC 스펙트럼 관리 모듈 (305-a), 및 송신기 모듈 (42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b)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 기능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및 다른 반(semi)-주문형 IC들),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팅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기 모듈 (405) 은 Wi-Fi 수신기일 수도 있으며, 다양한 Wi-Fi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수신기 모듈 (405) 은 셀룰러 수신기일 수도 있으며,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LTE/LTE-A 수신기일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수신기는 U-NII 스펙트럼에서 (예를 들어, Wi-Fi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든, 수신기 모듈 (405) 은, 도 1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 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상으로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들은 업링크 허여를 위한 리소스들의 가용도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기 모듈 (405) 은 DSRC 스펙트럼의 일부를 사용하여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송신기 모듈 (420) 은 또한 Wi-Fi 커넥션 상으로 송신 가능한 Wi-Fi 송신기일 수도 있다. 송신기 (420) 는 셀룰러 송신기일 수도 있으며,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LTE/LTE-A 송신기일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송신기는 U-NII 스펙트럼에서 (예를 들어, Wi-Fi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든, 송신기 모듈 (420) 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상으로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들은 또한 DSRC 스펙트럼의 일부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DSRC 스펙트럼 관리 모듈 (305-a) 은,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들이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수신/송신될 수도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듈 (305-a) 은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및 DSRC 스펙트럼 액세싱 모듈 (41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은,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있을 경우에 하나 이상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킬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DSRC 스펙트럼 액세싱 모듈 (415) 은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에 의해 결정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DSRC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에 액세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b) 는 처음에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은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하나 이상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를 적응시킬 수도 있다.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은, 예를 들어, 짧은 프레임간 간격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킬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은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을, DSRC 디바이스의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킬 수도 있다. 그러한 증가된 슬롯 시간은 분산형 조정 함수 (DCF) 프레임간 간격 (D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확장형 프레임간 간격 (E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또는 중재형 프레임간 간격 (A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중 하나 이상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b) 에 의해 사용된 백오프 타이머를 적응시킬 수도 있다.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은, 일부 예들에 있어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에 적용할 적응화를 나타내는 명령을 액세스 포인트 (AP) 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은, DSRC 디바이스들의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활동 레벨과 같은 하나 이상의 조건들에 기초하여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다른 예들에 있어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 은, DSRC 스펙트럼 외부에서 동작하도록,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b) 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을시킬 수도 있다.
도 5 는 DSRC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동작할 수도 있는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의 예를 예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500) 이다. 디바이스 (135-c) 는 도 1, 도 3 및/또는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멀티-모드 디바이스들 (135)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예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c) 는 수신기 모듈 (405), DSRC 스펙트럼 관리 모듈 (305-b), 및 송신기 모듈 (42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 각각은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 기능들의 일부 또는 그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다른 타입들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및 다른 반(semi)-주문형 IC들), 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메모리에 수록되고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팅된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신기 모듈 (405) 및 송신기 모듈 (420) 은 상기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DSRC 관리 모듈 (305-b) 은 활동 레벨 결정 모듈 (505) 및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a) 및 DSRC 스펙트럼 액세싱 모듈 (415-a)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활동 레벨 결정 모듈 (505) 은, 일부 예들에 있어서,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결정은, 예를 들어,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에 기초하여, DSRC 스펙트럼 액세싱 모듈 (415-a) 은, 비-DSRC 송신들을 위해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a)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의 하나 이상의 일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타이밍 파라미터 적응화는 DSRC 송신들의 결정된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a) 은,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활동의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들에서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킬 수도 있고,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활동의 더 높은 레벨로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DSRC 활동이 임계량을 초과하면, DSRC 스펙트럼 액세싱 모듈 (415-a)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면 비-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것을 단순히 계속할 수도 있거나, 또는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고 있으면 디바이스 (135-c) 를 DSRC 스펙트럼 사용으로부터 이격되게 스위칭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 (135-c) 는 DSRC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도 있으며, DSRC 스펙트럼 액세싱 모듈 (415-a) 은 낮은 우선순위의 서비스 품질 (QoS) 클래스를 통해 DSRC 스펙트럼 사용을 제한할 수도 있다. QoS 클래스는, 일부 예들에 있어서, 방정식 AIFS = SIFS + SIFSN*슬롯 시간에서 사용된 SIFSN 의 값을 수정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AIFS 는 중재형 프레임간 간격이다. 낮은 우선순위는, 예를 들어, SIFSN 에 대한 상대적으로 큰 값을 선택함으로써 DSRC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동안 디바이스 (135-c) 에 주어질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경쟁 윈도우 (CW) 의 최소 및 최대 값은, 디바이스 (135-c) 가 DSRC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경우에 더 큰 값들로 변경되고,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낮은 QoS 를 제공할 수도 있다.
추가로, 단일 채널 무선기기들을 수용하기 위해 (동시가 아닌 오직 단일 10MHz 채널 상으로만 수신 또는 송신함), DSRC 표준들은 FDMA/TDMA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허용한다. 이 메커니즘에 따르면, 시간은 반복적인 100ms 주기들로 분할된다. 제 1 의 50ms 는 제어 채널 (CCH) 에 할당될 수도 있고, 제 2 의 50ms 는 공유 채널 (SCH) 에 할당될 수도 있다. DSRC 통신의 다수의 안전-타입 메시지들은 제 1 의 50ms 주기 동안 CCH 상으로 전송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중요한 DSRC 활동들이 각각의 100ms 주기의 제 1 의 50ms 동안에 발생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는 50ms 주기들 각각에 대해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상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의 50ms 주기 동안,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a) 은, 각각의 100ms 주기의 이러한 제 1 의 50ms 동안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기 위해 증가된 우선순위를 DSRC 디바이스들에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DSRC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보다 더 길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제 2 의 50ms 주기 동안,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a) 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DSRC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된 파라미터들과 동일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결정은, 예를 들어, 일부 예들에 따라, DSRC 송신들의 제 1 활동 레벨을 갖는 제 1 시간 주기를 식별하고 DSRC 활동들의 제 2 활동 레벨을 갖는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할 수도 있는 활동 레벨 결정 모듈 (505) 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으며, 제 2 활동 레벨은 제 1 활동 레벨과는 상이하다. 제 1 및 제 2 시간 주기들은,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100ms 주기의 제 1 및 제 2 의 50ms 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5 는 활동 레벨 결정 모듈 (505) 및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모듈 (410-a) 기능들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지만, 그러한 기능들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와는 별개인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기에 설명될 바와 같이, 디바이스 (135-c) 는 액세스 포인트 (AP), 백-엔드 서버, 기지국 등과 통신하며, 이들 디바이스들은 활동 레벨 및/또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 정보를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변경하기 위한 커맨드들을 AP 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AP 는 관리 프레임들을 통해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변경하도록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c) 에게 명령할 수도 있다. 이들 파라미터들에 적용된 변경들은,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DSRC 활동들의 레벨에 의존할 수도 있다.
도 6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에 의한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관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도 있는 통신 시스템 (60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이 시스템 (600) 은 도 1 에 도시된 시스템 (100), 및/또는 도 1 의 액세스 포인트 (125) 의 양태들의 예일 수도 있다. 시스템 (600) 은 액세스 포인트 (125-a)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안테나(들) (645), 트랜시버 모듈 (650), 메모리 (680) 및 프로세서 모듈 (670) 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각각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스들 상으로)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650) 은, 안테나(들) (645) 를 통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d) 와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d) 는 도 1, 도 3, 도 4, 및/또는 도 5 의 디바이스 (135) 의 예일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650)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 (125-a) 의 다른 컴포넌트들) 은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 (630) 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 (675)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630)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예를 들어, Wi-Fi 액세스 포인트, e노드B 기지국, 홈 e노드B 기지국, 노드B 기지국, 및/또는 홈 노드B 기지국의 예일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또한, 액세스 포인트 (125-m) 및 액세스 포인트 (125-n) 와 같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125)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 (125) 각각은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과 같은 상이한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여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d)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액세스 포인트 통신 모듈 (665) 을 활용하여 125-m 및/또는 125-n 과 같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통신 모듈 (665) 은 무선 통신 기술 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액세스 포인트들 (125) 의 일부 사이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코어 네트워크 (630) 를 통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메모리 (680)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680) 는 또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컴퓨터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685) 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 명령들은,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 모듈 (670)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DSRC 스펙트럼 관리)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코드 (685) 는 프로세서 모듈 (670) 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컴퓨터로 하여금, 예를 들어, 컴파일되고 실행될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모듈 (670) 은 인텔리전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모듈 (650) 은, 패킷들을 변조하고 변조된 패킷들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 (645) 에 제공하도록 그리고 안테나(들) (645) 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 의 아키텍처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통신 관리 모듈 (660)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관리 모듈 (660) 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125) 과의 통신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로서, 통신 관리 모듈 (660) 은 버스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a) 의 다른 컴포넌트들 중 일부 또는 그 모두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125-a) 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관리 모듈 (660) 의 기능은 트랜시버 모듈 (650) 의 컴포넌트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및/또는 프로세서 모듈 (670) 의 하나 이상의 제어기 엘리먼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DSRC 스펙트럼 관리 모듈 (305-c)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관리 모듈 (305-c) 은 액세스 타이밍 적응화 모듈 (635) 및 명령 모듈 (64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하나 이상의 멀티-모드 디바이스들 (135-d)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DSRC 통신이 이용가능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액세스 타이밍 적응화 모듈 (635) 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액세스 파라미터들을 상기 설명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정할 수도 있다. DSRC 스펙트럼이 이용가능하고 액세스 타이밍 적응화 모듈 (635) 로부터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하였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명령 모듈 (640) 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135-d) 로 송신될 명령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명령들은, 디바이스들 (135) 이 DSRC 스펙트럼에서 동작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 또한, 그러한 액세스에서 사용될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 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135-d) 이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있는 경우, 관리 모듈 (305-c) 은 DSRC 스펙트럼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아야 함을 결정할 수도 있고, 명령 모듈 (640) 은 그러한 명령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125-a) 의 다른 가능한 컴포넌트들과 함께 안테나(들) (645) 와 결합된 트랜시버 모듈 (650) 은 DSRC 명령들을 하나 이상의 멀티-모드 디바이스들 (135-d) 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명령들은 디바이스들 (135-d) 이 DSRC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도 있다.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한 결정은, 일부 예들에 있어서,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에 기초할 수도 있다.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 (135-d)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와 같은 임의의 다수의 메커니즘들을 통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 (125-m 또는 125-n) 로부터의 통신을 통해, 또는 네트워크 (630) 를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한 결정은, 일부 예들에 있어서,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d) 의 위치에 기초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135-d) 는 위치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125-a) 로 송신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a) 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d) 로 하여금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게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7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e) 와 액세스 포인트 (125-b) 간의 통신의 일 예를 예시한 메시지 플로우 다이어그램 (700) 이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e) 는 도 1, 도 3, 도 4, 및/또는 도 5 의 디바이스들 (135) 의 예일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b) 는 도 1 및/또는 도 6 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들 (125) 의 예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e) 는 제 1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705). 일 구성에 있어서, 제 1 채널은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e) 는 DSRC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e) 는 DSRC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710). 그러한 결정은, 상기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DSRC 스펙트럼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조건들에 따라 행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e) 는 DSRC 스펙트럼의 일부를 사용할 수도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DSRC 스펙트럼에 대한 활동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결정 (710) 은 액세스 포인트 (125-b) 로부터 제 1 채널을 통해 수신된 명령들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e) 는 액세스 포인트에 DSRC 채널 사용을 표시하고 (715),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킨다 (720). 디바이스 (135-e) 는 제 2 채널을 확립할 수도 있다 (725). 제 2 채널은 DSRC 스펙트럼의 적어도 일부 내에 있을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e) 및 액세스 포인트 (125-b) 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통신에 참여할 수도 있다 (730).
도 8 은 5 GHz 스펙트럼 (800) 에서의 다양한 스펙트럼 할당들, 및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에 의한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의 예시적인 뷰를 도시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펙트럼 (800) 은 스펙트럼 (800) 을 따른 주파수 대역들의 상이한 할당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주파수 대역 할당은 특정 수의 주파수 채널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채널은 특정 양의 대역폭을 점유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U-NII 1 주파수 대역 (205) 은 4개까지의 20 MHz 채널들 (230), 2개의 40 MHz 채널들 (235), 또는 하나의 80 MHz 채널 (240) 을 지원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U-NII 2 주파수 대역 (210) 은 4개까지의 20 MHz 채널들 (230), 2개의 40 MHz 채널들 (235), 또는 하나의 80 MHz 채널 (240) 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전에 서술된 바와 같이, U-NII 1 주파수 대역 (205) 또는 U-NII 2 주파수 대역 (210) 중 어느 것도 개별적으로 160 MHz 채널 (805-a-1) 을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가 양자의 대역들 (205, 210) 모두에 걸쳐 동작할 수도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는 양자의 주파수 대역들 모두에 걸쳐 160 MHz 채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U-NII WW 대역 (215) 은 160 MHz 채널 (805-a-2) 을 지원할 수도 있다. 160 MHz 채널 (805-a-3) 이 또한 U-NII 3 주파수 대역 (220) 및 DSRC 주파수 대역 (225) 에 대한 대역들에 걸쳐 지원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가 적어도 일부의 DSRC 스펙트럼 (225) 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결정할 경우, 디바이스 (135) 의 송신들을 위한 대역폭은, 디바이스가 U-NII 1 (205) 및 U-NII 2 (210) 대역들에 걸친 160 MHz 채널 (805-a-1), U-NII WW 대역 (215) 에서의 160 MHz 채널 (805-a-2) 뿐 아니라 U-NII 3 스펙트럼 (220) 및 DSRC 스펙트럼 (225) 에 걸친 160 MHz 채널 (805-a-3) 상에서 동작할 수도 있을 때, 증가될 수도 있다.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의 송신들을 위한 대역폭에서의 이러한 증가는 증가된 데이터 레이트들을 가능케 할 수도 있으며, 이는 더 높은 스루풋을 허용할 수도 있다.
도 9 는 DSRC 디바이스들의 DSRC 통신을 위한 우선순위를 유지하면서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 (900) 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명료화를 위해, 방법 (900) 은 도 1, 도 3, 도 4, 도 5, 및/또는 도 7 의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 구현에 있어서, 도 3, 도 4, 및/또는 도 5 의 DSRC 관리 모듈 (305)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실행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블록 905 에서, 무선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된다. 블록 910 에서,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그 결정은 DSRC 송신 내에서의 송신들의 활동 레벨,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위치 등에 기초할 수도 있다. 블록 915 에서,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것은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 있어서, 액세스를 적응시키는 것은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을, DSRC 디바이스의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증가된 슬롯 시간은 분산형 조정 함수 (DCF) 프레임간 간격 (D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확장형 프레임간 간격 (E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및 중재형 프레임간 간격 (A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세스를 적응시키는 것은 멀티-모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백오프 타이머를 적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방법 (900) 은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위해 제공하면서 또한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할 수도 있다. 방법 (900) 은 단지 하나의 구현일 뿐이고 방법 (900) 의 동작들은 다른 구현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정될 수도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0 은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유지하면서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 (1000) 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명료화를 위해, 방법 (1000) 은 도 1, 도 3, 도 4, 도 5, 및/또는 도 7 의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 구현에 있어서, 도 3, 도 4, 및/또는 도 5 의 DSRC 관리 모듈 (305)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실행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블록 1005 에서,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는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된다. 블록 1010 에서,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이 결정된다.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은, 예를 들어, DSRC 스펙트럼에서의 트래픽의 모니터링을 통해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일부 다른 엔터티를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블록 1015 에서, 활동 레벨이 미리설정된 임계치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관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리설정된 임계치는 DSRC 송신들을 위한 송신 시간들에 대한 적은 영향으로 또는 영향없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의 부가적인 트래픽을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한 가용 리소스들의 양일 수도 있다. 활동 레벨이 미리설정된 임계치를 충족한다고 결정되면, 블록 1020 에서, 디바이스 (135) 는 DSRC 송신들의 결정된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도 있다. 블록 1025 에서, 디바이스 (135) 는 적응된 타이밍 파라미터(들)에 따라 DSRC 스펙트럼에 액세싱할 수도 있다. 하지만, 활동 레벨이 미리설정된 임계치를 충족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는, 블록 103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계속 동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방법 (1000) 은 DSRC 디바이스들의 DSRC 통신의 활동에 기초하여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할 수도 있다. 방법 (1000) 은 단지 하나의 구현일 뿐이고 방법 (1000) 의 동작들은 다른 구현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정될 수도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1 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DSRC 스펙트럼의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 (1100) 의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명료화를 위해, 방법 (1100) 은 도 1, 도 3, 도 4, 도 5, 및/또는 도 7 의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 구현에 있어서, 도 3, 도 4, 및/또는 도 5 의 DSRC 관리 모듈 (305) 은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의 기능 엘리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실행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블록 1105 에서,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는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된다. 블록 1110 에서,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이 결정된다.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은, 예를 들어, DSRC 스펙트럼에서의 트래픽의 모니터링을 통해 또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일부 다른 엔터티로부터의 정보의 수신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블록 1115 에서, 활동 레벨이 미리설정된 임계치를 충족하는지 여부에 관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리설정된 임계치는 DSRC 송신들을 위한 송신 시간들에 대한 적은 영향으로 또는 영향없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의 부가적인 트래픽을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한 가용 리소스들의 양일 수도 있다. 활동 레벨이 미리설정된 임계치를 충족한다고 결정되면, 블록 1120 에서, 디바이스 (135) 는 DSRC 송신들의 제 1 활동 레벨을 갖는 제 1 시간 주기를 식별하고, 제 1 시간 주기 동안 제 1 적응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단일 채널 무선기기들을 수용하기 위해 (동시가 아닌 오직 단일 10MHz 채널 상으로만 수신 또는 송신함), DSRC 표준들은 FDMA/TDMA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허용한다. 이 메커니즘에 따르면, 시간은 반복적인 100ms 주기들로 분할된다. 제 1 의 50ms 는 제어 채널 (CCH) 에 할당될 수도 있고, 제 2 의 50ms 는 공유 채널 (SCH) 에 할당될 수도 있다. DSRC 통신의 다수의 안전-타입 메시지들은 제 1 의 50ms 주기 동안 CCH 상으로 전송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다수의 중요한 DSRC 활동들이 각각의 100ms 주기의 제 1 의 50ms 동안에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1 의 예에 있어서,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는 50ms 주기들 각각에 대해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상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 주기 동안, 하나 이상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은, 이러한 제 1 시간 주기 동안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기 위해 증가된 우선순위를 DSRC 디바이스들에 제공하도록, DSRC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보다 더 길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도 11 을 계속 참조하면, 방법은, 블록 1125 에서, DSRC 송신들의 제 2 활동 레벨을 갖는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고, 제 2 시간 주기 동안 제 2 적응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킨다. 단일 채널 무선기기 예를 계속 참조하면, 제 2 의 50ms 주기 동안,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DSRC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된 파라미터들과 동일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블록 1130 에서,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적응된 타이밍 파라미터(들)에 따라 DSRC 스펙트럼에 액세싱할 수도 있다. 하지만, 결정 1115 에서, 활동 레벨이 미리설정된 임계치를 충족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멀티-모드 디바이스 (135) 는, 블록 113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계속 동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방법 (1100) 은 상이한 시간 주기들 동안 DSRC 디바이스들의 DSRC 통신의 활동에 기초하여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할 수도 있다. 방법 (1100) 은 단지 하나의 구현일 뿐이고 방법 (1100) 의 동작들은 다른 구현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수정될 수도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상기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설명하며, 오직 구현될 수도 있거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실시형태들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이 설명 전반에 걸쳐 사용된 용어 "예시적인" 은 "예, 예증,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을 의미하며,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유리" 하거나 "선호" 되지는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설명된 기술들의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상세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 기술들은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널리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설명된 실시형태들의 개념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시스템" 및 "네트워크" 는 종종 상호대체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CDMA2000,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IS-2000 릴리스 0 및 A 는 일반적으로, CDMA2000 1X, 1X 등으로서 지칭된다. IS-856 (TIA-856) 은 일반적으로, CDMA2000 1xEV-DO, 하일 레이트 패킷 데이터 (HRPD) 등으로서 지칭된다. UTRA 는 광대역 CDMA (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시스템은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 (UMB), 진화된 UTRA (E-UTRA),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및 E-UTRA 는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UMTS) 의 부분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 (LTE) 및 LTE-어드밴스드 (LTE-A) 는 E-UTRA 를 사용한 UMTS 의 새로운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 은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GPP)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 는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PP2)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상기 언급된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뿐 아니라 다른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하기 설명은 예시의 목적들로 LTE 시스템을 설명하고 LTE 용어가 하기 설명의 대부분에서 사용되지만, 그 기술들은 LTE 어플리케이션들을 넘어서도 적용가능하다.
정보 및 신호들은 임의의 다양한 서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command)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성 입자, 광계 또는 광학 입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중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된다면,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으로 저장 또는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들은 본 개시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본성으로 인해, 상기 설명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특징부들은 또한,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포지션들에서 물리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청구항들에 포함하여, "~ 중 적어도 하나" 에 의해 시작된 아이템들의 리스트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또는" 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 (즉, A 와 B 와 C) 를 의미하도록 하는 이접적인 리스트를 표시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수록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명명된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소프트웨어가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쌍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개시를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함없이 다른 변경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용어 "예" 또는 "예시적인" 은 일 예 또는 실례를 나타내고, 언급된 예에 대한 임의의 선호도를 암시하거나 요구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Claims (40)

  1. 전용 단거리 통신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상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는,
    짧은 프레임간 간격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는,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을, DSRC 디바이스의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증가된 상기 슬롯 시간은 분산형 조정 함수 (DCF) 프레임간 간격 (D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확장형 프레임간 간격 (E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및 중재형 프레임간 간격 (A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백오프 타이머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DSRC 송신들의 결정된 상기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DSRC 송신들을 위해 상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기로 결정할 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그 적응화는 DSRC 송신들의 결정된 상기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DSRC 송신들의 제 1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1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단계;
    DSRC 활동들의 제 2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활동 레벨은 상기 제 1 활동 레벨과는 상이한, 상기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간 주기 동안 제 1 적응화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간 주기 동안 제 2 적응화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적응화는 상기 제 1 적응화와는 상이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활동 레벨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에 적용하기 위한 적응화를 나타내는 명령을 액세스 포인트 (AP) 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SRC 스펙트럼 외부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방법.
  11. 전용 단거리 통신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상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수단은,
    짧은 프레임간 간격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수단은,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을, DSRC 디바이스의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증가된 상기 슬롯 시간은 분산형 조정 함수 (DCF) 프레임간 간격 (D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확장형 프레임간 간격 (E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및 중재형 프레임간 간격 (A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수단은,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백오프 타이머를 적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을 결정하는 수단; 및
    DSRC 송신들의 결정된 상기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DSRC 송신들을 위해 상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그 적응화는 DSRC 송신들의 결정된 상기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DSRC 송신들의 제 1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1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수단;
    DSRC 활동들의 제 2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활동 레벨은 상기 제 1 활동 레벨과는 상이한, 상기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수단;
    상기 제 1 시간 주기 동안 제 1 적응화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수단; 및
    상기 제 2 시간 주기 동안 제 2 적응화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적응화는 상기 제 1 적응화와는 상이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활동 레벨을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에 적용하기 위한 적응화를 나타내는 명령을 액세스 포인트 (AP) 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SRC 스펙트럼 외부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장치.
  21. 전용 단거리 통신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상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한 명령들은,
    짧은 프레임간 간격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한 명령들은,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을, DSRC 디바이스의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증가된 상기 슬롯 시간은 분산형 조정 함수 (DCF) 프레임간 간격 (D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확장형 프레임간 간격 (E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및 중재형 프레임간 간격 (A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백오프 타이머를 적응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을 결정하고; 그리고
    DSRC 송신들의 결정된 상기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DSRC 송신들을 위해 상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 적응화는 DSRC 송신들의 결정된 상기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DSRC 송신들의 제 1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1 시간 주기를 식별하고;
    DSRC 활동들의 제 2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활동 레벨은 상기 제 1 활동 레벨과는 상이한, 상기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시간 주기 동안 제 1 적응화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 2 시간 주기 동안 제 2 적응화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제 2 적응화는 상기 제 1 적응화와는 상이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활동 레벨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에 적용하기 위한 적응화를 나타내는 명령을 액세스 포인트 (AP) 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DSRC 스펙트럼 외부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도록 구성된 멀티-모드 디바이스.
  31. 전용 단거리 통신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 경우에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DSRC 스펙트럼의 외부에서 동작하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는 상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DSRC 디바이스들의 송신들에 우선순위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한 명령들은,
    짧은 프레임간 간격 (SIFS) 의 지속기간을, DSRC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SIFS 의 지속기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한 명령들은,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을, DSRC 디바이스의 액세스 타이밍을 위해 사용된 슬롯 시간과 적어도 동일하도록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증가된 상기 슬롯 시간은 분산형 조정 함수 (DCF) 프레임간 간격 (D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확장형 프레임간 간격 (E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 및 중재형 프레임간 간격 (AIFS) 의 증가된 지속기간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된 백오프 타이머를 적응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DSRC 송신들의 활동 레벨을 결정하고; 그리고
    DSRC 송신들의 결정된 상기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비-DSRC 송신들을 위해 상기 DSRC 스펙트럼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 적응화는 DSRC 송신들의 결정된 상기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DSRC 송신들의 제 1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1 시간 주기를 식별하고;
    DSRC 활동들의 제 2 활동 레벨을 포함하는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활동 레벨은 상기 제 1 활동 레벨과는 상이한, 상기 제 2 시간 주기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시간 주기 동안 제 1 적응화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고; 그리고
    상기 제 2 시간 주기 동안 제 2 적응화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제 2 적응화는 상기 제 1 적응화와는 상이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활동 레벨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에 적용하기 위한 적응화를 나타내는 명령을 액세스 포인트 (AP) 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의 활동 레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DSRC 스펙트럼 외부에서 동작하도록, 상기 DSRC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는 상기 멀티-모드 디바이스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를 적응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액세스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67000914A 2013-06-18 2014-06-11 Dsrc 동작에 순응하기 위한 프레임간 간격 적응화 KR101874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20,638 2013-06-18
US13/920,638 US9584954B2 (en) 2013-06-18 2013-06-18 Inter-frame spacing adaptation for yielding to DSRC operation
PCT/US2014/041933 WO2014204752A1 (en) 2013-06-18 2014-06-11 Inter-frame spacing adaptation for yielding to dsrc ope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218A true KR20160021218A (ko) 2016-02-24
KR101874785B1 KR101874785B1 (ko) 2018-07-05

Family

ID=5117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914A KR101874785B1 (ko) 2013-06-18 2014-06-11 Dsrc 동작에 순응하기 위한 프레임간 간격 적응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84954B2 (ko)
EP (1) EP3011792B1 (ko)
JP (1) JP6250800B2 (ko)
KR (1) KR101874785B1 (ko)
CN (1) CN105309034B (ko)
BR (1) BR112015031805B1 (ko)
ES (1) ES2886076T3 (ko)
MX (1) MX348781B (ko)
WO (1) WO2014204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4090A (zh) * 2013-12-02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网络的通信处理方法及装置
US20160295580A1 (en) * 2015-04-03 2016-10-06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hort inter-frame space bursting
WO2017165784A1 (en) 2016-03-25 2017-09-2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ontrolling resource usage for vehicle (v2x) communications
WO2018143971A1 (en) * 2017-02-01 2018-08-09 Nokia Technologies Oy Determining access slot for communications on radio interface
US20180227714A1 (en) * 2017-02-06 2018-08-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detec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7413B2 (en) 2001-07-05 2007-10-02 At & T Corp. Hybrid coordination function (HCF) access through tiered contention and overlapped wireless cell mitigation
JP2004080420A (ja) * 2002-08-19 2004-03-11 Denso Corp 車載無線端末
WO2006091605A2 (en) 2005-02-22 2006-08-31 Atc Technologies, Llc Reusing frequencies of a fixed and/o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016372A (ko) 2005-08-03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용근거리통신을 적용한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하여 지능형 교통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
JP2007074047A (ja) * 2005-09-05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KR100810501B1 (ko) * 2005-12-08 2008-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다중모드 주파수 합성기 및 가변 분주기
US8000857B2 (en) * 2006-01-27 2011-08-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presence indication
FI119409B (fi) 2006-12-13 2008-10-31 Teliasonera Ab Tietoliikennejärjestelmä
JP2011188451A (ja) * 2010-03-11 2011-09-2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通信装置
US9750019B2 (en) * 2010-09-23 2017-08-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hannel access systems and methods for cognitive relaying for cellular systems
JP5665694B2 (ja) 2011-08-26 2015-02-0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31805B1 (pt) 2022-12-13
EP3011792A1 (en) 2016-04-27
CN105309034B (zh) 2019-05-17
KR101874785B1 (ko) 2018-07-05
MX2015016944A (es) 2016-04-25
US9584954B2 (en) 2017-02-28
BR112015031805A2 (pt) 2017-07-25
JP6250800B2 (ja) 2017-12-20
MX348781B (es) 2017-06-29
US20140370809A1 (en) 2014-12-18
WO2014204752A1 (en) 2014-12-24
JP2016524882A (ja) 2016-08-18
EP3011792B1 (en) 2021-08-11
ES2886076T3 (es) 2021-12-16
CN105309034A (zh)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ik et al. Next generation Wi-Fi and 5G NR-U in the 6 GHz band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S9713154B2 (en) Wi-Fi signaling by cellular devices for coexistenc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KR101992472B1 (ko) 듀얼 라디오 디바이스의 스펙트럼 분석 및 동작
KR20160022347A (ko) Dsrc 스펙트럼의 기회주의적 사용
US20210100039A1 (en) Framework for Two-Step Random Access Channel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874785B1 (ko) Dsrc 동작에 순응하기 위한 프레임간 간격 적응화
US10136331B2 (en) Enhancing coexistence on unlicensed frequency bands using adaptive clear-to-send-to-self messages
US20170026819A1 (en) Out-of-band hidden node detection
US11343709B2 (en) Hidden WLAN detection for better ecosystem design in 5G
US2016024922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6855478B2 (ja) LTE制御Wi−Fiシステムにおける自己への送信可送信
JP6215458B2 (ja) Wi−fiがdsrcスペクトルを使用するためのdsrcリスニングモード
US9554353B2 (en) Location based use of the DSRC spectrum
US2016025564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aveform protection in a mix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