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846A -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846A
KR20160020846A KR1020140106087A KR20140106087A KR20160020846A KR 20160020846 A KR20160020846 A KR 20160020846A KR 1020140106087 A KR1020140106087 A KR 1020140106087A KR 20140106087 A KR20140106087 A KR 20140106087A KR 20160020846 A KR20160020846 A KR 20160020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insertion hole
bumper
protru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471B1 (ko
Inventor
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스
Priority to KR102014010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4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에 해당되는 범퍼(BP)의 상, 하부 케이스에 대한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서 체결 구비되는 구속장치인 클립에 대한 것으로서, 상호 대향되어 일체 형상을 갖는 일측판 및 타측판이 일방이던 양방이던 상호 간에 간단하게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상, 하부 케이스를 홀딩하며 걸림 또는 걸림 해제를 이루며 상, 하부 케이스 상호 간에 대한 견고한 결합을 갖도록 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Binder For Combining Bumper Cas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 상호 간을 결합하기 위한 구속장치로서 상, 하부 케이스로 구성된 범퍼 간의 결합을 위해 범퍼 내측에서 상, 하부 케이스를 간단한 조작만으로 강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자동차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범퍼를 결합하는데 있어서, 나사나 볼트류와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범퍼 상호 간을 결합하여 왔다.
나사나 볼트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자동차 범퍼 상호 간을 체결할 때에는 이들 나사나 볼트를 회전시켜야 하는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별도의 공구를 분실하거나 미처 준비되지 못할 경우, 나사나 볼트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자동차 범퍼 상호 간에 대한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나사나 볼트류의 경우 회전하는 과정을 거쳐 범퍼를 체결하게 되므로, 회전의 완성을 이루기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범퍼의 수리 및 교체에 요구될 경우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나 볼트류를 회전시켜 조여야만 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 범퍼 상호 간에 대한 체결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기술들이 개시된바 있고, 이러한 기술들로는 등록특허 제10-0356665호, 등록특허 제10-0321638호, 공개특허 제10-2006-0040937호 등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0356665호의 경우, 접을 수 있는 클립 구조로서 고정돌기가 고정공에 삽입되어 범퍼를 체결하나, 고정돌기가 고정공에 삽입되는 것으로만 범퍼에 대한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결력이 약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0321638호의 경우, 접을 수 있는 클립 구조로서 걸림돌기가 걸림홀에 삽입되어 범퍼를 체결하나, 여전히 볼트의 조임력에 의한 범퍼 체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술된 바와 같이 볼트 조임에 대한 회전의 완료에 이르기까지 발생되는 시간 소요와, 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를 휴대해야 하는 점, 및 회전시켜 조여야만 하는 범퍼 체결 과정의 불편함과 같은 문제들이 여전하다.
등록특허 제10-0356665호, 등록특허 제10-0321638호, 공개특허 제10-2006-0040937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범퍼의 상 하부 케이스 상호 간을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범퍼의 상,하부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어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기 상,하부 케이스 상호 간에 대한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일측판과 타측판이 일체된 형태의 클립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일측판에는, 상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결속공에 삽입되어 상기 타측판을 향하여 접철되는 방식으로 상기 타측판에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제1 체결부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일측판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제2면에 구성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부에서 돌출 형성된 상측벽과, 상기 상측벽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 하측벽, 및 상기 상측벽 및 상기 하측벽의 좌우에서 돌출 형성된 좌우측벽을 포함하여, 이들 상하측벽 및 좌우측벽 모두가 연속된 하나의 돌출벽이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결속공에 삽입되는 상태로 타측판에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상측벽에서 연장 형성되어 타측판에 대한 걸림 또는 걸림 해제 방식으로 타측판을 보조로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보조 후크와, 상기 상하측벽 및 상기 좌우측벽 내에서 일측판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제2면에서부터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1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타측판을 삽입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연통된 채, 상기 좌우측벽과 상기 제2면이 만나는 좌우 지점에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타측판으로 하여금 일측판에 대한 걸림 또는 걸림 해제 방식으로 일측판을 주되게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함을 유도하는 한 쌍의 걸림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타측판에는, 상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결속공으로 삽입된 상기 돌출벽 내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일측판을 향하여 접철되는 방식으로 상기 일측판에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제2 체결부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타측판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제3면에 구성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일측판의 돌출벽 내의 상기 삽입공과 대향하는 지점에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을 따라 수용되다가 상기 한 쌍의 걸림공에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방식으로 일측판을 주되게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한 쌍의 메인 후크와, 상기 메인 후크의 바로 위 지점인 타측판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제3면에서부터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4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일측판의 상기 보조 후크 삽입에 따른 걸림 또는 걸림 해제를 유도하는 삽입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상기 삽입공은, 일측판의 상기 보조 후크 삽입 과정에서 자동으로 보조 후크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삽입공의 내측 상면이 제3면에서부터 제4면에 이르는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에 일례의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범퍼 케이스 결합용 클립은, 종래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에 비하여, 단번에 범퍼의 상, 하부 케이스를 간단한 조작만으로 체결할 수 있어 체결 과정이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범퍼 케이스 결합용 클립은, 범퍼의 상, 하부 케이스 체결 시 스크류의 회전력에 기인한 단차의 발생을 없애며, 범퍼 체결 시 나사나 볼트류 타입의 조임력에 요구되는 별도의 공구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범퍼 케이스 결합용 클립은, 범퍼 케이스 상호 간의 결합에 있어 일측판과 타측판을 서로 밀착시켜 잠금되고 범퍼 케이스 내측에 구비됨에 따라 범퍼 외관의 깔끔함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범퍼 케이스 결합용 클립은, 범퍼 케이스 내측에서 일측판과 타측판을 한 번의 밀착으로 상기 범퍼 케이스 상호 간에 대한 결합이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속장치를 이용하여 상호 간 결합을 이룬 범퍼의 전방을 도시한 전면도.
도 2는 도 1의 측부 방향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 부분 이면에서 본 발명의 구속장치를 이용하여 범퍼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내측 제1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대향 각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내측 제2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구속장치에 대한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로 구성된 구속장치를 확대하여 범퍼에 대한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함께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범퍼의 상,하부 케이스에 대한 분리와 함께 구속장치의 잠금 및 잠금해제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도면에 대한 각을 달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도면에 대하여 구속장치인 클립의 일측판과 타측판 상호 간의 일체형과 함께 타측판만을 분리하여 타측판의 후면인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4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구속장치인 클립의 일측판과 타측판 상호 간의 일체형과 함께 일측판을 분리하여 일측판의 후면인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1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범퍼의 체결 상태에 대한 클립의 일측판과 타측판 간의 잠금 상태 및 잠금해제 상태를 함께 도시한 측면 사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 구성된 구속장치로서, 범퍼의 상,하부 케이스에 대한 분리와 함께 구속장치인 클립의 일측판과 타측판의 상호 간의 일체형과 아울러 타측판의 분리하여 타측판의 후면인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4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를 다른 각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범퍼의 상,하부 케이스에 대한 분리와 함께 구속장치인 클립의 일측판과 타측판의 상호 간의 일체형과 아울러 타측판을 분리하면서 일측판의 후면인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1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는, 일종의 클립(100)으로 구성된바, 상기 클립(100)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도 7에서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일측판(10)과 타측판(20)으로 구성되고, 이들 일측판(10) 및 타측판(20)은 다수의 굽힘대(B)에 의해 상호 간에 일체된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일측판(10) 및 타측판(20)으로 구성된 클립(100)에 범퍼(BP)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결합되는바, 상기 범퍼(BP)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상부 케이스(BP1)와 상기 상부 케이스(BP1) 하단에 구비되는 하부 케이스(BP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범퍼(BP)의 상 하부 케이스(BP1, BP2)에 대한 결합을 위해 본 발명의 구속장치에 해당되는 클립(100)이 요구된다.
상기 클립(100)은 범퍼(BP)의 상 하부 케이스(BP1, BP2)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해 간단하고도 심플한 조작만으로 상기 상 하부 케이스(BP1, BP2) 상호 간에 대한 견고한 결합을 구현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상 하부 케이스(BP1, BP2) 상호가 상기 클립(100)에 의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측 각각에 클립(100)의 구성 요소들이 삽입 가능한 결속공(UO)들이 도 7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결속공(UO)들은 사각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각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각을 갖는 형상이면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각을 갖는 형상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결속공(UO)들이 사각 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각을 갖는 형상까지 포함하는 것은, 후술되는 클립(100)의 체결 구성 요소가 각진 형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클립(100)의 구체화된 구성인 체결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클립(100)의 좌우편으로 구분되는 일측판(10)과 타측판(20) 중에서 먼저 일측판(10)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도 6을 참고로 도 7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판(10)은 외측면과 내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편의상 외측면에 해당되는 면을 제1면(11)으로 명기하고, 내측면에 해당되는 면을 제2면(12)으로 명기할 경우, 상기 제2면(12)은 타측판(20)과 마주보는 면에 해당된다.
물론, 상기 타측판(20) 또한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구분되는바, 내측면에 해당되는 면은 제3면(21)에 해당될 것이고, 외측면에 해당되는 면은 제4면(22)에 해당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일측판(10) 및 상기 타측판(20)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각각 제1,4면(11,22)과 제2,3면(12,21)으로 명기하여, 일측판(10) 및 타측판(20)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일측판(10)의 제2면(12)에는, 타측판(20)을 향하여 근접되다가 타측판(20)에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는 도 9 및 도 10에서처럼 제1 체결부(13)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1 체결부(13)는, 일례로서 사각 형상을 갖는 돌출벽(14)으로서, 이러한 돌출벽(14)은 제2면(12)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상측벽(14a)과, 상기 상측벽(14a)의 형성 지점 하부에서 상기 상측벽(14a)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하측벽(14b)과, 상기 상하측벽(14a,14b)의 형성 지점 좌우측에서 상기 상하측벽(14a,14b)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좌우측벽(14c,14d)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상측벽(14a), 하측벽(14b), 좌우측벽(14c,14d) 모두는 상호 간에 연속된 면을 형성하게 되면서 사각으로 각진 형상을 갖게 되어, 하나의 돌출벽(14)으로 구비되는바, 이러한 돌출벽(14)은 하나 이상의 개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돌출벽(14)은 그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1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돌출벽(14)에 해당되는 상측벽(14a), 하측벽(14b), 좌우측벽(14c,14d)의 각 내부에 해당되는 부위에 상기 삽입공(15)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삽입공(15)은 일측판(10)의 제2면(12)에서부터 제1면(11)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좌우측벽(14c,14d) 각각에는 걸림공(15a)을 더 형성하고 있는바, 이러한 상기 걸림공(15a)은 상기 좌우측벽(14c,14d)과 제2면(12)이 만나는 즉 경계면 부위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공(15)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1면(11)에는 일측판(10)의 강성을 위하여 보강대(16)가 뻗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타측판(20)의 제3면(21)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일측판(10)을 향하여 근접되다가 일측판(10)의 상기 제1 체결부(13)와 잠금 또는 해제되는 제2 체결부(23)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2 체결부(23)는, 일례로서 쌍으로 나란히 돌출 형성된 메인 후크(24)와, 상기 메인 후크(24)가 형성된 지점의 바로 위에 형성된 삽입공(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메인 후크(24)는 상술된 돌출벽(14)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5)을 따라 삽입되면서 도 8 및 도 9에서처럼 상기의 걸림공(15a) 각각에 걸림되거나 걸림 해제 되는 방식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되면서 일측판(10)을 향하여 근접되는 타측판(2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메인 후크(24)가 걸림공(15a) 각각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것은, 좌우측벽(14c,14d)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상기 삽입공(25)은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타측판(20)의 제3면(21)에서부터 제4면(22)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형상으로서 상기 일측판(10)의 보조 후크(14aa)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즉, 상기 삽입공(25)에 상기 보조 후크(14aa)가 삽입되어 걸림되거나 걸림 해제 되면서 타측판(20)으로 근접되는 일측판(10)의 잠금이나 잠금 해제를 유도하게 된다.
특히, 상기 보조 후크(14aa)가 상기 삽입공(25)을 따라 삽입될 때 상기 삽입공(25)의 내측 상면이 도 10에서와 같이 경사진 테이퍼면(25a)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 후크(14aa)는 삽입 과정에서 상기 테이퍼면(25a)에 의해 자동으로 굽혀지면서 걸림될 수 있다.
물론, 타측판(20)의 제4면(22)에는, 도 9에서처럼, 일측판(10)의 제1면(11)에 형성된 보강대(16)와 동일한 형상의 보강대(26)가 형성되고, 이러한 보강대(26)의 형성으로 인하여 타측판(20)의 강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으로 구성된 상기 메인 후크(24)와 상기 삽입공(25) 및 삽입공(25)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테이퍼면(25a)을 포함한 상기 제2 체결부(23) 또한 일측판(10)의 제1 체결부(13)에 해당되는 돌출벽(14)의 개수와 짝을 이룰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개수로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측판(10) 및 상기 타측판(20)은 일 방향으로 접철되는 즉 펼쳐지거나 오므라들며 상호 간 굽힘성이 있도록, 도 9 및 도 10에서처럼,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며 형성된 다수의 굽힘대(B)들에 의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굽힘대(B)들은 상기 일측판(10) 및 상기 타측판(20)에서 연속 연장된 것으로, 상기 굽힘대(B)들 사이로는 다수의 절개공(H)들을 함께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절개공(H)들은 상기 굽힘대(B)의 펼침과 오므려지는 굽힘 강도와 연관성을 두고 있다. 즉, 절개공(H)들의 형성이 적을 경우 굽힘대(B)의 굽힘 강도는 강할 것이며, 절개공(H)들의 형성이 많을 경우 굽힘대(B)의 굽힘 강도는 약할 것이다.
따라서, 일측판(10) 및 타측판(20) 상호 간의 굽힘 강도는 절개공(H)들의 많고 적음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굽힘대(B) 각각에는 굽힘대(B)의 굽힘 효율성을 위해 굽힘대(B)의 다른 부위보다 그 두께가 얇은 굽힘발생지(B1)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 구성된 클립(100)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러한 클립(100)은 일측판(10) 및 타측판(20)의 제1,2 체결부(13,23)에 대한 개수를 제1 실시 예와 달리 복수가 아닌 하나의 단일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구체적 설명은 상술된 제1 실시 예를 참고하면 된다. 즉 상기 제1,2 체결부(13,23)는 하나의 돌출벽(14)과 상기 돌출벽(14)과 짝을 이룰 수 있는 하나의 메인 후크(24)와 구성되는 점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구속장치인 클립(100)을 이용하여 범퍼(BP)의 상, 하부 케이스(BP1,BP2) 상호 간에 대한 결합 과정 및 일측판(10)과 타측판(20) 상호 간의 잠금이나 잠금 해제를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범퍼(BP)의 상, 하부 케이스(BP1,BP2)를 정확하게 접합시킨 후, 상 하부 케이스(BP1,BP2)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결속공(UO) 방향으로 일측판(10)을 밀착시키면서 일측판(10)의 돌출벽(14)을 상기 각 결속공(UO)에 삽입한다.
상기 결속공(UO)에 삽입된 돌출벽(14)의 삽입공(15)을 따라 타측판(20)의 메인 후크(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타측판(20)을 상기 일측판(10)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이때, 다수의 굽힘대(B)가 구부려지면서 타측판(20)이 일측판(10) 방향으로 근접되고 범퍼(BP)의 상,하부 케이스(BP1,BP2)들을 홀딩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타측판(20)이 일측판(10) 방향으로 근접되면 타측판(20)의 메인 후크(24)는 일측판(10)의 돌출벽(14) 내에 형성된 삽입공(15)을 따라 진입하게 되는 한편, 일측판(10)의 보조 후크(14aa)는 타측판(20)의 삽입공(25)을 따라 진입하게 된다.
상기 메인 후크(24)의 상기 삽입공(15) 내 진입과 함께 상기 보조 후크(14aa)의 상기 삽입공(25) 진입을 완료하게 되면, 한 쌍의 메인 후크(24)는 상기 삽입공(15)과 연통된 좌우편의 걸림공(15a) 각각에서 탄성에 의해 벌어지는 형태로 삽입되면서 걸림된다.
즉, 한 쌍의 메인 후크(24)에 형성된 개별 단턱이 좌우편에 형성된 걸림공(15a) 각각에 삽입되어 노출된 상태로 좌우측벽(14c,14d)에 걸림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 후크(14aa)는 상기 삽입공(25)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테이퍼면(25a)을 따라 구브려지다가 삽입공(25)을 완전히 관통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삽입공(25)의 주변 부위인 타측판(20)의 제4면(22)에 걸림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일측판(10)과 타측판(20)은 어느 일방이던 양방이던 상호 간에 밀착되면서 서로 체결될 때, 일측판(10)의 제1 체결부(13)의 일부 구성인 보조 후크(14aa)가 타측판(20)의 삽입공(25)으로 삽입되면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형태로 타측판(20)에서의 일측판(10)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구현하는 한편, 타측판(20)의 제2 체결부(23)의 일부 구성인 메인 후크(24)가 일측판(10)의 삽입공(15)으로 삽입되면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형태로 일측판(10)에서의 타측판(20)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구현하게 된다.
BP : 범퍼 BP1 : 상부 케이스
BP2 : 하부 케이스 UO : 결속공
100 : 클립100
10 : 일측판 11 : 제1면
12 : 제2면 13 : 제1 체결부
14 : 돌출벽 14a : 상측벽
14aa : 보조 후크 14b : 하측벽
14c, 14d : 좌우측벽 15 : 삽입공
15a : 걸림공 16 : 보강대
20 : 타측판 21 : 제3면
22 :제4면 23 : 제2 체결부
24 : 메인 후크 25 : 삽입공
25a : 테이퍼면 26 : 보강대
B : 굽힘대 B1 : 굽힘발생지
H : 절개공

Claims (7)

  1. 범퍼의 상,하부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어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기 상,하부 케이스 상호 간에 대한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일측판과 타측판이 일체된 형태의 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판에는, 상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결속공에 삽입되어 상기 타측판을 향하여 접철되는 방식으로 상기 타측판에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제1 체결부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일측판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제2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부에서 돌출 형성된 상측벽;
    상기 상측벽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 하측벽;
    상기 상측벽 및 상기 하측벽의 좌우에서 돌출 형성된 좌우측벽;
    을 포함하여 이들 상하측벽 및 좌우측벽 모두가 연속된 하나의 돌출벽이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결속공에 삽입되는 상태로 타측판에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상측벽에서 연장 형성되어 타측판에 대한 걸림 또는 걸림 해제 방식으로 타측판을 보조로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보조 후크;
    상기 상하측벽 및 상기 좌우측벽 내에서 일측판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제2면에서부터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1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타측판을 삽입하는 삽입공;
    상기 삽입공에 연통된 채, 상기 좌우측벽과 상기 제2면이 만나는 좌우 지점에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타측판으로 하여금 일측판에 대한 걸림 또는 걸림 해제 방식으로 일측판을 주되게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함을 유도하는 한 쌍의 걸림공;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판에는, 상 하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결속공으로 삽입된 상기 돌출벽 내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일측판을 향하여 접철되는 방식으로 상기 일측판에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제2 체결부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타측판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제3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일측판의 돌출벽 내의 상기 삽입공과 대향하는 지점에 돌출되어 상기 삽입공을 따라 수용되다가 상기 한 쌍의 걸림공에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방식으로 일측판을 주되게 잠금하거나 잠금 해제하는 한 쌍의 메인 후크;
    상기 메인 후크의 바로 위 지점인 타측판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제3면에서부터 외측면에 해당되는 제4면에 이르기까지 관통되어 일측판의 상기 보조 후크 삽입에 따른 걸림 또는 걸림 해제를 유도하는 삽입공;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일측판의 상기 보조 후크 삽입 과정에서 자동으로 보조 후크의 걸림이 가능하도록, 삽입공의 내측 상면이 제3면에서부터 제4면에 이르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KR1020140106087A 2014-08-14 2014-08-14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KR10162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87A KR101628471B1 (ko) 2014-08-14 2014-08-14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087A KR101628471B1 (ko) 2014-08-14 2014-08-14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846A true KR20160020846A (ko) 2016-02-24
KR101628471B1 KR101628471B1 (ko) 2016-06-08

Family

ID=5544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087A KR101628471B1 (ko) 2014-08-14 2014-08-14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4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688A (ko) * 1996-12-31 1998-10-07 김영귀 범퍼 측부판 고정용 파스너
JP2000168472A (ja) * 1998-11-30 2000-06-20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バンパーの取付け構造
KR100321638B1 (ko) 1999-12-28 2002-03-18 이계안 자동차용 범퍼의 마운팅용 클립
KR100356665B1 (ko) 1996-11-27 2003-01-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메쉬범퍼고정구조
KR20060040937A (ko) 2004-11-08 2006-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범퍼커버 마운팅용 클립
JP2011178340A (ja) * 2010-03-03 2011-09-15 Nifco Inc 取付具
JP2012189123A (ja) * 2011-03-10 2012-10-04 Aoyama Seisakusho Co Ltd 部品取付用樹脂クリップ及び部品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665B1 (ko) 1996-11-27 2003-01-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메쉬범퍼고정구조
KR19980059688A (ko) * 1996-12-31 1998-10-07 김영귀 범퍼 측부판 고정용 파스너
JP2000168472A (ja) * 1998-11-30 2000-06-20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バンパーの取付け構造
KR100321638B1 (ko) 1999-12-28 2002-03-18 이계안 자동차용 범퍼의 마운팅용 클립
KR20060040937A (ko) 2004-11-08 2006-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범퍼커버 마운팅용 클립
JP2011178340A (ja) * 2010-03-03 2011-09-15 Nifco Inc 取付具
JP2012189123A (ja) * 2011-03-10 2012-10-04 Aoyama Seisakusho Co Ltd 部品取付用樹脂クリップ及び部品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471B1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2448B2 (ja) 収納ボックス
CN111938279B (zh) 搭扣
CN101360921B (zh) 两块板的组装装置
KR101637652B1 (ko)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WO2007013283A1 (ja) クリップ
US20080276663A1 (en) Locking device
US9322200B1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JP4839130B2 (ja) ケース
KR101628471B1 (ko) 자동차의 범퍼 케이스 결합용 구속장치
US9708014B1 (en) Adaptable cargo rack system
CN210460255U (zh) 附接式锁具
US20120181908A1 (en) Sheet Assembly For Cabinet
JP5517562B2 (ja) 車両搭載用荷箱のリヤドア構造
JP6697293B2 (ja) 固定構造
CN209795150U (zh) 一种电动车电池盒与车架的锁扣结构
JP6236028B2 (ja) 車体構造
JP3625553B2 (ja) パイプの連結装置
JP4493877B2 (ja) 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テクタ
JPH07300046A (ja) コンソールリッド
WO2008015482A1 (en) Fastener
JPH08187129A (ja) 天板及び脚の連結装置
JP2778508B2 (ja) パーティションの連結構造
US11912241B2 (en) Load carrier foot
JP3879186B2 (ja) 二つの部材の連結具
JP3969353B2 (ja) 壁パネル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