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599A - 파력발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파력발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599A
KR20160020599A KR1020140104940A KR20140104940A KR20160020599A KR 20160020599 A KR20160020599 A KR 20160020599A KR 1020140104940 A KR1020140104940 A KR 1020140104940A KR 20140104940 A KR20140104940 A KR 20140104940A KR 20160020599 A KR20160020599 A KR 2016002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arm
cylinder
support plate
variable uni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998B1 (ko
Inventor
임종석
이상민
윤영규
주강수
홍해림
최수영
Original Assignee
화진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진기업(주) filed Critical 화진기업(주)
Priority to KR102014010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9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03B13/1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03B13/1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 F03B13/1805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 F03B13/181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for limited ro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 일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해수면에 뜨는 부유체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실린더 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1 가변 유닛; 일단부는 상기 제1 가변 유닛의 단부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 암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변 유닛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제2 가변 유닛; 및 일단부는 상기 실린더 암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 암 일단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 암에 각각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암의 신축에 연동하여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위치보정 유닛;을 포함하여, 최적의 발전 효율을 획득 가능한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력발전 어셈블리{WAVE POWER ENERGY GENERATION ASSEMBLY}
본 발명은 파력발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적의 발전 효율을 획득 가능한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파력발전은 해상에 발생하는 파도의 유체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파랑의 운동 및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을 구동하거나, 파랑에 따른 기계장치의 반복적인 운동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파력발전의 최적지는 파고가 높고 파주기가 긴 해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파력발전은 에너지를 변환하는 원리에 따라 가동 물체형, 진동 수주형, 월파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설치 형태에 따라 착저식(고정식)과 부유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에서, 가동 물체형은 수면의 움직임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개발된 여러 형태의 기구를 사용하여 파랑 에너지를 물체에 직접 전달하고, 이때 발생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변환 효율은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285856호의 "파력 발전 장치 및 그를 위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설비"(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실린더가 암의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신축하며, 항상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암이 파랑에 따라 가동되기 때문에 기후 및 해상 조건에 따라 파고와 파주기에 따른 최적의 발전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튜닝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858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최적의 발전 효율을 획득 가능한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 일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해수면에 뜨는 부유체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실린더 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1 가변 유닛; 일단부는 상기 제1 가변 유닛의 단부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 암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변 유닛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제2 가변 유닛; 및 일단부는 상기 실린더 암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 암 일단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 암에 각각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암의 신축에 연동하여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위치보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여기서, 상기 제1 가변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위치결정편과, 상기 제1 위치결정편으로부터 직교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가변 유닛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1 위치결정편에 결합되는 수용편과, 상기 수용편에 수용되어 인출 또는 수납되며, 인출 또는 수납된 위치에 고정 장착되는 출입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변 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출입편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변 유닛은, 상기 제1 가변 유닛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유체 실린더와, 상기 제1 유체 실린더로부터 출입하며 상기 실린더 암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암측으로 신축 가능한 제1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변 유닛은, 상기 제1 가변 유닛의 단부와 상기 제1 유체 실린더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가변 유닛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유체 실린더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볼 조인트와, 상기 제1 로드의 단부와 상기 실린더 암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 암에 대하여 상기 제1 로드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변 유닛은, 상기 실린더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로드의 단부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위치결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보정 유닛은, 상기 실린더 암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유체 실린더와, 상기 제2 유체 실린더로부터 출입하며 상기 실린더 암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암측으로 신축 가능한 제2 로드와, 상기 실린더 암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 유체 실린더와, 상기 제3 유체 실린더로부터 출입하며 상기 실린더 암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암측으로 신축 가능한 제3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로드가 신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3 로드는 수축하고, 상기 제2 로드가 수축함과 동시에 상기 제3 로드는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보정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유체 실린더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2 유체 실린더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볼 조인트와, 상기 제2 로드의 단부와 상기 실린더 암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실린더 암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4 볼 조인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유체 실린더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3 유체 실린더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5 볼 조인트와, 상기 제3 로드의 단부와 상기 실린더 암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3 로드가 상기 실린더 암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6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보정 유닛은, 상기 실린더 암의 상, 하부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암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을 작용하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 가변 유닛과, 제1 가변 유닛과 결합되어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신축하는 제2 가변 유닛과, 제2 가변 유닛의 단부와 결합되고 부유체를 구비하여 지지 플레이트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신축하는 실린더 암과, 상기 실린더 암의 양측에 결합되고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각각의 양단부는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위치보정 유닛을 포함하여, 최적의 발전 효율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된 실린더 암과 제2 가변 유닛과 위치보정 유닛 등의 연결 부위가 전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파도의 출렁임에 따른 한층 더 자유롭고 복잡한 동작들을 원활하게 수행하여 장치 전체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수명 연한 또한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후 또는 해상 조건 등 다양한 시공 환경에 따른 발전설비의 튜닝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어셈블리가 해상에 설치 및 시공된 파력발전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어셈블리가 해상에 설치 및 시공된 파력발전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력발전 어셈블리(1)는 도 1과 같이 w-w선으로 표시된 해상에 시공된 고정용 구조물(700)에 복수로 설치되어 해상의 파랑 및 파주기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운동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발전 어셈블리(1)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지지 플레이트(300)에 실린더 암(400)과 제1 가변 유닛(100)이 장착되고, 제2 가변 유닛(200)은 제1 가변 유닛(100)과 실린더 암(400)과 연결되며, 위치보정 유닛(500)은 지지 플레이트(300)와 실린더 암(400)과 연결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구조물(700)에 고정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1 가변 유닛(100)과 실린더 암(400) 등이 설치되는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린더 암(400)은 일단부가 지지 플레이트(300)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해수면에 뜨는 부유체(600)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것이다.
제1 가변 유닛(100)은 지지 플레이트(300)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 플레이트(300)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조절 가능한 것으로, 지지 플레이트(300)에 설치되는 높낮이와 돌출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후술할 제2 가변 유닛(200)이 신축하는 스트로크와 함께 제2 가변 유닛(200)이 회전하는 동작 범위 또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제2 가변 유닛(200)은 일단부가 제1 가변 유닛(100)의 단부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실린더 암(400)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가변 유닛(100)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것이다.
위치보정 유닛(500)은 일단부는 실린더 암(400)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실린더 암(400) 일단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지지 플레이트(300)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실린더 암(400)에 각각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실린더 암(400)의 신축에 연동하여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것이다.
즉, 위치보정 유닛(500)은 해상에서 출렁이는 파도의 움직임에 따라 부유체(600)가 부침하는 것에 연동하여 실린더 암(400)이 신축하며 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리저리 흔들려 다양한 방향으로의 위치 에너지의 차이를 발생시키되, 실린더 암(400)이 지지 플레이트(300)에 대하여 심하게 꺾이거나 이웃한 실린더 암(400)에 연결된 부유체(600)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2 가변 유닛(100, 200) 각각의 결합 위치를 조정하여 결합시키고, 실린더 암(400)의 신축 및 전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위치보정 유닛(500)이 실린더 암(400)의 원위치를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발전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결합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후 또는 해상 조건 등 다양한 시공 환경에 따른 발전설비의 튜닝 자유도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지지 플레이트(300)에 결합된 실린더 암(400)은 실린더 프레임(410)에 수용되어 출입하면서 신축하는 출입 암(420)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 암(400)의 양단부, 즉 실린더 프레임(410)과 지지 플레이트(300) 사이 및 출입 암(420)과 부유체(600) 사이에는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볼 조인트(430, 450)가 각각 결합된다.
한편, 제1 가변 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30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310)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위치결정편(110)과, 제1 위치결정편(110)으로부터 직교되게 결합되며, 제2 가변 유닛(20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바(1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지지바(120)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지 플레이트(300)로부터 돌출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위치결정편(110)에 결합되는 수용편(121)과, 수용편(121)에 수용되어 인출 또는 수납되며, 인출 또는 수납된 위치에 고정 장착되는 출입편(12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제2 가변 유닛(200)의 일단부는 출입편(122)의 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가변 유닛(100)은 양단부가 제1 위치결정편(110)과 지지바(120)에 각각 연결되어 제1 위치결정편(110) 및 지지바(120)와 경사지게 배치되는 받침바(130)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받침바(130)는 제1 지지바(121)를 통하여 제1 위치결정편(111)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지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2 가변 유닛(200)은 제1 가변 유닛(100), 지지바(120)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유체 실린더(210)와, 제1 유체 실린더(210)로부터 출입하며 실린더 암(400)과 연결되어 실린더 암(400)측으로 신축 가능한 제1 로드(2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2 가변 유닛(200)은 제1 가변 유닛(100)과 실린더 암(400) 사이에서 전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2 볼 조인트(230, 2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볼 조인트(230)는 제1 가변 유닛(100)의 단부와 제1 유체 실린더(210)를 상호 연결하여 제1 가변 유닛(100)의 단부에 대하여 제1 유체 실린더(210)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제2 볼 조인트(240)는 제1 로드(220)의 단부와 실린더 암(400)을 상호 연결하여 실린더 암(400)에 대하여 제1 로드(220)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2 가변 유닛(200)은 실린더 암(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로드(220)의 단부가 전술한 제2 볼 조인트(240)에 의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2 위치결정편(2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보정 유닛(500)은 실린더 암(400)의 양측에 경사지게 배치된 제2 유체 실린더(510) 및 제3 유체 실린더(5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2 유체 실린더(510)는 실린더 암(400)을 기준으로 지지 플레이트(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며, 제2 로드(520)는 제2 유체 실린더(510)로부터 출입하며 실린더 암(400)과 연결되어 실린더 암(400)측으로 신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3 유체 실린더(530)는 실린더 암(400)을 기준으로 지지 플레이트(300)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이며, 제3 로드(540)는 제3 유체 실린더(530)로부터 출입하며 실린더 암(400)과 연결되어 실린더 암(400)측으로 신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로드(520)가 신장함과 동시에 제3 로드(540)는 수축하고, 제2 로드(520)가 수축함과 동시에 제3 로드(540)는 신장하면서, 실린더 암(400)의 과도한 회전 동작으로 인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고, 실린더 암(4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치보정 유닛(500)은 지지 플레이트(300)와 실린더 암(400) 사이에서 전방향으로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3, 4, 5, 6 볼 조인트(550, 560, 570, 58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볼 조인트(550)는 지지 플레이트(300)와 제2 유체 실린더(510)를 상호 연결하며 제2 유체 실린더(510)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제4 볼 조인트(560)는 제2 로드(520)의 단부와 실린더 암(400)을 상호 연결하며 제2 로드(520)가 실린더 암(400)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제5 볼 조인트(570)는 지지 플레이트(300)와 제3 유체 실린더(530)를 상호 연결하며 제3 유체 실린더(530)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제6 볼 조인트(580)는 제3 로드(540)의 단부와 실린더 암(400)을 상호 연결하며 제3 로드(540)가 실린더 암(400)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위치보정 유닛(500)은 전술한 제3, 4, 5, 6 볼 조인트(550, 560, 570, 580)와 함께 실린더 암(400)의 회전 동작에 따른 상, 하 방향의 요동에 대하여 원위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 수단(590, 59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수단(590, 590)은 실린더 암(400)의 상, 하부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부는 지지 플레이트(300)에 고정되어 실린더 암(40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실린더 암(400)이 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지지 플레이트(300)에 대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경사를 이루게 되면, 실린더 암(400)의 상, 하부에 각각 장착된 탄성 수단(590, 590)들 중 일측의 탄성 수단(590)이 신장함과 동시에 타측의 탄성 수단(590)은 굴곡 또는 수축하게 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 반발력을 번갈아 발생시키면서 실린더 암(4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려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최적의 발전 효율을 획득 가능한 결합 위치를 가변시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가변 유닛
110...제1 위치결정편
120...지지바
121...수용편
122...출입편
130...받침바
200...제2 가변 유닛
210...제1 유체 실린더
220...제1 로드
230...제1 볼 조인트
240...제2 볼 조인트
250...제2 위치결정편
300...지지 플레이트
310...레일
400...실린더 암
410...실린더 프레임
420...출입 암
500...위치보정 유닛
510...제2 유체 실린더
520...제2 로드
530...제3 유체 실린더
540...제3 로드
550...제3 볼 조인트
560...제4 볼 조인트
570...제5 볼 조인트
580...제6 볼 조인트
590, 590...탄성 수단
600...부유체

Claims (9)

  1.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
    일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해수면에 뜨는 부유체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실린더 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1 가변 유닛;
    일단부는 상기 제1 가변 유닛의 단부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 암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가변 유닛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제2 가변 유닛; 및
    일단부는 상기 실린더 암의 일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 암 일단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 암에 각각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 암의 신축에 연동하여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위치보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위치결정편과,
    상기 제1 위치결정편으로부터 직교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가변 유닛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제1 위치결정편에 결합되는 수용편과,
    상기 수용편에 수용되어 인출 또는 수납되며, 인출 또는 수납된 위치에 고정 장착되는 출입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변 유닛의 일단부는 상기 출입편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유닛은,
    상기 제1 가변 유닛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 유체 실린더와,
    상기 제1 유체 실린더로부터 출입하며 상기 실린더 암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암측으로 신축 가능한 제1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유닛은,
    상기 제1 가변 유닛의 단부와 상기 제1 유체 실린더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제1 가변 유닛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유체 실린더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볼 조인트와,
    상기 제1 로드의 단부와 상기 실린더 암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 암에 대하여 상기 제1 로드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변 유닛은,
    상기 실린더 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로드의 단부가 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위치결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 유닛은,
    상기 실린더 암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유체 실린더와,
    상기 제2 유체 실린더로부터 출입하며 상기 실린더 암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암측으로 신축 가능한 제2 로드와,
    상기 실린더 암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 유체 실린더와,
    상기 제3 유체 실린더로부터 출입하며 상기 실린더 암과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암측으로 신축 가능한 제3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로드가 신장함과 동시에 상기 제3 로드는 수축하고, 상기 제2 로드가 수축함과 동시에 상기 제3 로드는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 유닛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유체 실린더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2 유체 실린더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3 볼 조인트와,
    상기 제2 로드의 단부와 상기 실린더 암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2 로드가 상기 실린더 암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4 볼 조인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유체 실린더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3 유체 실린더가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5 볼 조인트와,
    상기 제3 로드의 단부와 상기 실린더 암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3 로드가 상기 실린더 암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6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정 유닛은,
    상기 실린더 암의 상, 하부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암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을 작용하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 어셈블리.
KR1020140104940A 2014-08-13 2014-08-13 파력발전 어셈블리 KR10159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940A KR101597998B1 (ko) 2014-08-13 2014-08-13 파력발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940A KR101597998B1 (ko) 2014-08-13 2014-08-13 파력발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599A true KR20160020599A (ko) 2016-02-24
KR101597998B1 KR101597998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940A KR101597998B1 (ko) 2014-08-13 2014-08-13 파력발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718A (ko) 2019-09-18 2019-10-28 황용안 해양 복합 발전 선박
KR102154935B1 (ko) 2019-09-18 2020-09-10 황용안 파력과 조류력의 복합발전터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783A (ko) * 2004-05-14 2007-05-18 씨파워 퍼시픽 피티와이 리미티드 파에너지 변환장치
KR20120022174A (ko) * 2010-09-01 2012-03-12 우정택 발전용 파력구동장치
KR101285856B1 (ko) 2005-04-14 2013-07-12 웨이브 스타 에너지 에이/에스 파력 발전 장치 및 그를 위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783A (ko) * 2004-05-14 2007-05-18 씨파워 퍼시픽 피티와이 리미티드 파에너지 변환장치
KR101285856B1 (ko) 2005-04-14 2013-07-12 웨이브 스타 에너지 에이/에스 파력 발전 장치 및 그를 위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설비
KR20120022174A (ko) * 2010-09-01 2012-03-12 우정택 발전용 파력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998B1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041B1 (ko) 파력발전 어셈블리
KR101728105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파력발전 장치
US7649276B2 (en) Wave powered generation
US1018678A (en) Wave-motor.
KR20100017118A (ko) 파력 발전 장치용 댐퍼 및 댐핑 구조체
JP2009536709A (ja) 電気活性高分子を使用した波力発電
KR101597998B1 (ko) 파력발전 어셈블리
KR101980174B1 (ko) 부유식 구조물용 연결장치
KR102513182B1 (ko) 케이블의 진동을 댐핑하는 장치
KR20160022669A (ko) 기울기 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
CN102124284A (zh) 定日镜接头
TWM491812U (zh) 具有傾斜錨部之鋼索控制追日式太陽能發電設備
KR101689701B1 (ko) 에어스프링을 이용한 태양광 구조물
CN205529869U (zh) 一种桥梁伸缩缝装置
JP3188926U (ja) 調整可能な大型広告幕の耐風モジュール
WO2010133347A3 (en) A nano-scale manipulator
CN105421228A (zh) 一种桥梁伸缩缝装置
KR101584241B1 (ko) 에어스프링을 이용한 태양광 트랙커
CN209493842U (zh) 一种桥梁伸缩缝装置
KR101633704B1 (ko) 파력발전 어셈블리
US10756596B2 (en) Fluid-powered generator
CN108900110B (zh) 一种基于负刚度预载荷eap驱动结构
CN102500081B (zh) 伸缩臂和伸缩管的安装结构及具有该安装结构的消防车
KR102644739B1 (ko)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1689699B1 (ko) 에어스프링을 이용한 태양광 트랙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