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739B1 -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 Google Patents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739B1
KR102644739B1 KR1020210072120A KR20210072120A KR102644739B1 KR 102644739 B1 KR102644739 B1 KR 102644739B1 KR 1020210072120 A KR1020210072120 A KR 1020210072120A KR 20210072120 A KR20210072120 A KR 20210072120A KR 102644739 B1 KR102644739 B1 KR 102644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ower
power generation
fence
bearing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681A (ko
Inventor
조진택
Original Assignee
조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택 filed Critical 조진택
Priority to KR102021007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7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H02S40/12Means for removing sn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베어링 구조물; 상기 베어링 구조물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회전에 따라 탄성력이 인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SOLAR POWER GNE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양면형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한 펜스 형태의 태양광 발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태양광 발전 구조물은 태풍이나 폭설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대표적으로, 태양광 모듈을 수평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 폭설에 의하여 피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고, 태양광 모듈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태풍시 강풍에 의해 피해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태양광 모듈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 태양광 발전 구조물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므로 많은 장점이 있으나, 강풍에 의해 조립 설치된 모듈의 파손, 쓰러지지 않는 구조물의 설치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8744호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태양광 모듈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교체가 용이한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모듈 표면의 청소가 용이한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풍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도 스프링에 의해 일정 압력의 풍압이 발생될 때만 태양광 모듈이 회전하고 원상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베어링 구조물; 상기 베어링 구조물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 상기 태양광 모듈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회전에 따라 탄성력이 인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새로운 구조를 갖는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태양광 모듈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교체가 용이한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모듈 표면의 청소가 용이한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풍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도 스프링에 의해 일정 압력의 풍압이 발생될 때만 태양광 모듈이 회전하고 원상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에서 바람이 불 때 베어링 구조물과 탄성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은 지면에 설치된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에 설치되고 상부는 베어링 구조물(2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태양광 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40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가진 구조물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00)는 수직 기둥 형태의 수직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태양광 모듈(4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100)는 단면이 사각형 형태인 사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에는 소켓 결합부(110)가 설치되고, 상기 소켓 결합부(110)에는 베어링 소켓(120)이 설치된다. 상기 소켓 결합부(110)는 상기 지지부(100)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데, 상기 베어링 소켓(120)이 그 사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 소켓(120)은 '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베어링 소켓(120)의 상측에 베어링(21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에는 스프링 고리(130)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 고리(130)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일측과 결합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양면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양면 태양광 모듈이 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상부 및 하부에 'ㄷ' 자형 앵글 프레임(410)이 배치되고 양측에는 사각 기둥 형태의 각재 프레임(420)이 배치되는데, 상기 앵글 프레임(410)과 각재 프레임(420)은 상호 결합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측면을 감싼다.
상기 각재 프레임(420)의 상부에는 베어링 축 연결구(430)가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 축 연결구(430)에는 베어링 축(220)이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소켓(120) 상에 설치된 베어링(210)과 상기 베어링 축(220)이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구조물(200)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재 프레임(420)에서 상기 베어링 축 연결구(430)의 하측, 예를 들어 상기 각재 프레임(420)의 중간부분 또는 하부에는 스프링 연결구(450)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연결구(450)에는 상기 탄성부재(300)가 결합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는 일측이 상기 각재 프레임(4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지지부(100) 또는 각재 프레임(420)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300)가 원활하게 팽창과 수축을 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에서 바람이 불 때 베어링 구조물과 탄성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은 태풍 등에 의하여 강풍이 부는 경우 태양광 모듈(400)이 강풍에 의해 힘을 받는 바,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상기 베어링 구조물(20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바람의 힘에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의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충진하면서 바람의 힘을 일부 상쇄한다.
한편, 강풍이 멈추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300)의 스프링이 팽창되면서 복원력이 가해지고, 강풍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기 베어링 구조물(200)에 의해 회전하여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은 지면에 설치된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에 설치되고 상부는 베어링 구조물(2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부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는 태양광 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400)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가진 구조물이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기둥 형태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태양광 모듈(4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100)는 단면이 사각형 형태인 사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에는 프레임 결합부(115)가 설치되는데 상기 프레임 결합부(115)에 의해 수직 방향의 수직 프레임과 수평 방향의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어 지지부(100)를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부(100)의 수평 프레임에는 베어링 소켓(120)이 설치되는데, 상기 베어링 소켓(120)은 상기 수평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베어링(21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에는 와이어 고리(135)가 설치되는데, 상기 와이어 고리(135)에는 와이어(136)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136)는 상기 탄성부재(300)의 일측과 결합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양면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양면 태양광 모듈이 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상부 및 하부에 'ㄷ' 자형 앵글 프레임(410)이 배치되고 양측에는 사각 기둥 형태의 각재 프레임(420)이 배치되는데, 상기 앵글 프레임(410)과 각재 프레임(420)은 상호 결합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측면을 감싼다.
상기 각재 프레임(420)의 상부에는 베어링 축 연결구(430)가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 축 연결구(430)에는 베어링 축(220)이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210)과 상기 베어링 축(220)이 결합되어 상기 베어링 구조물(200)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재 프레임(420)에서 상기 베어링 축 연결구(430)의 하측, 예를 들어 상기 각재 프레임(420)의 중간부분 또는 하부에는 스프링 연결구(450)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연결구(450)에는 상기 탄성부재(300)가 결합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는 일측이 상기 각재 프레임(4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와이어(136)를 통해 지지부(100)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지지부(100) 또는 각재 프레임(420)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300)가 원활하게 팽창과 수축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은 지상에 낮은 높이로 설치하여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은 상하좌우 펜스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기존 방음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방음의 역할과 함께 신재생에너지의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이 높고, 양면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태양광 모듈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교체가 용이하고 청소가 쉽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지부, 200; 베어링 구조물, 300; 탄성부재, 400; 태양광 모듈

Claims (5)

  1. 양측에 배치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연결된 와이어;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베어링 구조물;
    상기 베어링 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양측에 배치된 지지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태양광 모듈;
    상기 복수의 태양광 모듈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하나의 와이어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회전에 따라 탄성력이 인가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구조물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베어링 구조물의 하측에 위치하는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물은 상기 태양광 모듈에 결합된 베어링 축 연결구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된 베어링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4. 삭제
  5. 삭제
KR1020210072120A 2021-06-03 2021-06-03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264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20A KR102644739B1 (ko) 2021-06-03 2021-06-03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120A KR102644739B1 (ko) 2021-06-03 2021-06-03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681A KR20220163681A (ko) 2022-12-12
KR102644739B1 true KR102644739B1 (ko) 2024-03-06

Family

ID=8439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120A KR102644739B1 (ko) 2021-06-03 2021-06-03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787B1 (ko) * 2023-08-21 2024-04-11 주식회사 모든솔라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969521U (zh) * 2020-08-05 2021-04-13 杭州易达光电有限公司 一种跟随太阳光旋转的太阳能板支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7881A1 (de) * 1994-08-06 1996-02-15 Tnc En Consulting Gmbh Solarstromanlage
KR102008569B1 (ko) * 2017-06-23 2019-08-07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태양광 발전장치
KR20200092754A (ko) * 2019-01-25 2020-08-04 오토렉스 주식회사 능동형 태양광 모듈지지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969521U (zh) * 2020-08-05 2021-04-13 杭州易达光电有限公司 一种跟随太阳光旋转的太阳能板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681A (ko) 202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739B1 (ko)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WO2017125071A1 (zh) 一种光伏支架
KR102009708B1 (ko) 경사굴곡 지형 설치용 태양광 어레이 시공 시스템
KR102150020B1 (ko)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0856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200016430A (ko) 태양광 추적장치
KR102016285B1 (ko) 태양광 패널 구조체 연결구조
KR101666785B1 (ko) 부유체 모듈 연결형 부유식 풍력발전기 지지 구조물
KR101753089B1 (ko) 태양광발전장치
KR101366865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97998B1 (ko) 파력발전 어셈블리
CN212850366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光伏板固定装置
JP6449006B2 (ja) 屋根構造
KR102088045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114753243A (zh) 一种装配式弹簧减隔震支座
KR101346106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2413685B1 (ko) 강풍압 저감형 태양광 발전 가림장치
WO2020070525A1 (en) Inclined mounting system for photovoltaic panels with wind protection
CN106760860B (zh) 一种折板型剪切阻尼器
KR20220154873A (ko)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2172302B1 (ko) 프레임 연결 유닛과 이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장치
KR102466784B1 (ko) 풍력발전기용 터보팬
JP6723508B2 (ja) 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
WO2016175270A1 (ja) 蓄電装置および補強構造
KR102655787B1 (ko)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