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787B1 -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 Google Patents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787B1
KR102655787B1 KR1020230109191A KR20230109191A KR102655787B1 KR 102655787 B1 KR102655787 B1 KR 102655787B1 KR 1020230109191 A KR1020230109191 A KR 1020230109191A KR 20230109191 A KR20230109191 A KR 20230109191A KR 102655787 B1 KR102655787 B1 KR 102655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rows
support pillars
solar
solar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혁
김성길
이경호
도기일
임종호
채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든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든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든솔라
Priority to KR102023010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다수 열로 나열되게 설치되는 한편 앞,뒷 열은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구비되는 지지기둥; 각 열의 이웃하는 양 지지기둥에 설치되어 나란히 구비되는 한편 앞 열과 뒷 열에서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태양광 패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앞,뒷 열의 전,후 지지기둥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앞,뒷 열의 전,후 태양광 패널의 사이에 통기구가 형성되는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모듈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한편 설치된 수직의 펜스형 태양광 모듈 사이로 바람이 원활히 흘러 나갈 수 있는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석 연료나 원자력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에 따른 환경 및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광, 풍력, 파력, 지열 등 다양한 재생 에너지원을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중 태양광 발전은 풍력 등 다른 재생 에너지원에 비해 설치 장소의 제약이 적고, 시공이 비교적 간단하며, 발전 규모의 조절도 쉽다는 장점이 있어 주택이나 아파트 등 주거 공간을 이용하여 적용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최근에는 농경지 등에도 태양광 발전 설비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설비는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그림자가 생기지 않으면서 태양광이 거의 수직으로 집광될 수 있도록 지지대에 소정 경사각도로 태양광 모듈을 설치해야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태양광 모듈은 태풍이나 폭설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일례로, 태양광 모듈을 지면에 대해 수평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설에 의한 손상 및 파손 피해가 많이 발생되고, 태양광 모듈을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강풍에 의한 손상 및 파손 피해가 많이 발생된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87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을 구성하는 태양광 패널이 양 지지대 사이에서 수직하게 설치된 경우는 태양광 모듈의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이 감소되는 이점은 있으나, 양 지지대 사이에서 수직하게 설치된 태양광 패널이 강풍에 의한 풍압을 전면에 걸쳐 그대로 받게 되기 때문에, 양 지지대에 태양광 패널을 고정한 고정 구조물이 손상 및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태양광 패널이 양 지지대로부터 추락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874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태양광 모듈을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함과 더불어 수직하게 설치된 펜스형 태양광 모듈 사이로 바람이 원활히 흘러 나갈 수 있도록 한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은, 지면에 다수 열로 나열되게 설치되는 한편 앞,뒷 열은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구비되는 지지기둥; 각 열의 이웃하는 양 지지기둥에 설치되어 나란히 구비되는 한편 앞 열과 뒷 열에서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태양광 패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앞,뒷 열의 전,후 지지기둥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앞,뒷 열의 전,후 태양광 패널의 사이에 통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 열의 이웃하는 복수의 지지기둥에는 양 지지기둥의 상,하측을 각각 연결하는 마운팅프레임이 설치되고, 상,하 마운팅프레임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며, 상,하 마운팅프레임에는 그 내부에 배선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앞 열의 지지기둥과 뒷 열의 지지기둥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프레임으로 구비되고, 연결프레임에는 지지기둥의 원주면에 대응한 내경을 갖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한 쌍의 연결프레임이 지지기둥을 감싼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앞 열의 마운팅프레임과 뒷 열의 마운팅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 마운팅프레임을 연결하는 벤딩관으로 구비되고, 벤딩관은 그 양단부에 전,후 마운팅프레임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직선형의 고정부와, 양 고정부 사이에서 전,후 마운팅프레임의 간격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앞 열의 지지기둥과 뒷 열의 지지기둥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관과, 연결관의 양단부와 전,후 지지기둥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전,후 지지기둥을 연결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을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하는 한편 수직하게 설치된 펜스형 태양광 모듈 사이로 이격된 통기구를 형성함으로써 태양광 모듈 사이의 통기구를 통해 바람이 원활히 흘러 나가게 되므로 태양광 모듈에 작용하는 풍압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이 풍압에 의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의 개략적인 정면 및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이 2열 배치되어 연결된 구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2열 배치된 태양광 모듈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일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3a는 연결부재의 구성도이고, 도 3b는 연결부재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3c는 연결부재에 구성되는 연결프레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2열 배치된 태양광 모듈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4a는 연결부재의 구성도이고, 도 4b는 연결부재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2열 배치된 태양광 모듈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5a는 연결부재의 구성도이고, 도 5b는 연결부재의 평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및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100)을 구성하는 태양광 패널(110)을 설치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기둥(120)을 2열로 배치하여 구비하고, 이웃하는 앞 열의 지지기둥(120)과 뒷 열의 지지기둥(120)을 상호 연결하여 각 태양광 패널(110)에 작용하는 풍압을 견딜 수 있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다수 열로 나열되게 설치되는 한편 앞,뒷 열은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구비되는 지지기둥(120)과, 각 열의 이웃하는 양 지지기둥(120)에 설치되어 나란히 구비되는 한편 앞 열과 뒷 열에서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태양광 패널(110)과, 태양광 패널(110)이 설치되는 앞,뒷 열의 전,후 지지기둥(1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로써, 앞,뒷 열의 전,후 태양광 패널(110)의 사이에는 이격된 간격으로 이루어진 통기구(170)가 형성됨으로써, 태양광 패널(110)에 풍압이 작용될 때 통기구(170)로 바람이 신속히 빠져나가 배출되므로 태양광 패널(110)에 작용하는 풍압을 신속히 낮출 수 있게 된다.
특히, 지지기둥(120)은 환봉의 기둥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각 형상의 기둥으로도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기둥(120)은 나란히 위치된 2개의 기둥이 한 쌍을 이루고, 한 쌍의 지지기둥(120)은 일정 간격으로 나열되어 일렬로 구비된다.
게다가, 일렬로 나열된 각 쌍의 지지기둥(120)들 사이에는 또 다른 한 쌍을 이루는 지지기둥(120)들이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앞 열에 구비된 각 쌍의 지지기둥(120)들과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앞 열 및 뒷 열에 각각 구비되는 각 쌍의 지지기둥(120)에는 태양광 패널(110)이 각각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고, 태양광 패널(110)은 도 2에서와 같이 한 쌍의 지지기둥(120)에 복수의 마운팅프레임(130)을 매개로 하여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의 마운팅프레임(130)은 각 열에서 이웃하는 한 쌍의 지지기둥(120) 상측과 하측에 각각 직교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바, 마운팅프레임(130)과 지지기둥(120)에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와 같이 지지기둥(120)을 감싼 상태로 그 양단부가 마운팅프레임(130)을 관통하여 너트가 체결되는 U-볼트(132)에 의해 마운팅프레임(130)이 지지기둥(120)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U-볼트(132)는 개구를 통해 지지기둥(120)에 끼워져 지지기둥(120)을 감싼 상태로 설치됨과 더불어 개구 측의 U-볼트(132) 양단부가 마운팅프레임(130)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 고정됨으로써 최소의 체결부위로 환봉의 지지기둥(120)에 마운팅프레임(130)을 견고히 결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운팅프레임(13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부(131)를 갖는 C형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바, 마운팅프레임(130)은 그 전면이 지지기둥(120)의 후부에 접한 상태로 구비되고, 개구부(131)는 지지기둥(120)의 후방으로 위치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마운팅프레임(130)은 개구부(131)를 통해 각종 전선이나 케이블 등을 삽입시켜 마운팅프레임(130) 내에 배선할 수 있으므로 마운팅프레임(130)에 의해 내부에 배선된 전선이나 케이블이 보호되므로 전선이나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태양광 발전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지기둥(120)을 감싼 상태로 마운팅프레임(130)의 전면을 관통한 U-볼트(132)의 양단부는 도 3b에서와 같이 마운팅프레임(130) 내에 위치되어 구비되고, 마운팅프레임(130)의 개구부(131)를 통해 너트가 삽입되어 U-볼트(132)에 체결됨으로써 U-볼트(132)와 너트의 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수려할 뿐 아니라 주변 부품과의 간섭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 지지기둥(120) 사이의 상,하 마운팅프레임(130) 전면에는 태양광 패널(110)이 각각 결합 고정되어 구비된다. 이때, 태양광 패널(110)은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별도의 브라켓을 매개로 하여 마운팅프레임(130)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패널(110)이 설치되는 앞 열의 전방 지지기둥(120)과 뒷 열의 후방 지지기둥(120)이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2열 배치된 앞,뒷 열의 태양광 모듈(100)이 일체화되므로 풍압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 열의 전방 지지기둥(120)과 뒷 열의 후방 지지기둥(1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한 쌍을 이루는 연결프레임(140)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 연결프레임(140)은 사각 프레임 또는 원형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프레임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연결프레임(140)은 전방 지지기둥(120)과 후방 지지기둥(120)의 좌우 양측에서 면접촉되도록 결합되면서 전,후방 지지기둥(120)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각 단위 연결프레임(140)의 양측 단부에는 지지기둥(120)의 외경에 대응한 내경을 갖는 결합홈(141)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단위 연결프레임(140)의 결합홈(141)은 지지기둥(120)의 반지름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연결프레임(140)이 서로 접함됨에 따라 양 연결프레임(140)의 결합홈(141)이 지지기둥(120)의 원주면을 완전히 감싸는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홈(141)이 있는 각 연결프레임(140)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홈(141)을 관통하는 체결공(142)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142)에는 체결볼트(143)가 관통 결합되며, 체결공(142)을 관통한 체결볼트(143)의 단부에는 너트가 체결된다.
이와 더불어, 전,후방 지지기둥(120)에는 연결프레임(140)의 체결공(142)에 대응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43)가 연결프레임(140)의 체결공(142) 및 지지기둥(120)의 관통공을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연결프레임(140)을 전,후방 지지기둥(120)에 견고히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연결프레임(140)은 전,후방 지지기둥(12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전,후방 지지기둥(120)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140)은 각 단위 연결프레임(140)과 지지기둥(120)을 관통한 체결볼트(143)에 의해 전,후방 지지기둥(120)에 정위치로 결합되어 전,후방 지지기둥(120)을 견고히 연결할 수 있고, 연결부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140)으로 연결된 전방 태양광 패널(110)과 후방 태양광 패널(110) 사이에는 이격된 간격으로 된 통기구(170)가 형성되고, 이 통기구(170)에 의해 태양광 패널(110)에 작용하는 바람이 신속히 분산되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패널(110)을 서로 엇갈리게 위치시켜 2열로 배치함과 더불어 앞 열의 전방 지지기둥(120)과 뒷 열의 후방 지지기둥(120)을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태양광 모듈(1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전방 지지기둥(120)과 후방 지지기둥(120) 사이의 통기구(170)를 통해 태양광 패널(110)에 작용하는 풍압을 분산 배출함으로써 풍압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앞 열의 전방 지지기둥(120)과 뒷 열의 후방 지지기둥(1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연결부재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앞 열의 전방 마운팅프레임(130)과 뒷 열의 후방 마운팅프레임(130)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 마운팅프레임(130)을 연결하는 벤딩관(15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벤딩관(150)은 중공의 각관이나 원통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의 사각관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벤딩관(150)은 도 4a에서와 같이 그 양단부에 전,후방 마운팅프레임(130)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직선형의 고정부(152)와, 양 고정부(152) 사이에서 전,후 마운팅프레임(130)의 이격된 간격에 대응되게 절곡 형성된 벤딩부(151)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벤딩관(150)은 중공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마운팅프레임(130) 내에 배선된 전선이나 케이블이 벤딩관(150)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 마운팅프레임(130)으로 외부 노출없이 인출되어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벤딩관(150)은 도 4b에서와 같이 그 양단부의 고정부(152)가 전,후방 마운팅프레임(130)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기둥(120)과 마운팅프레임(130)을 결합 고정시키는 U-볼트(132)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즉, 벤딩관(150)의 양 고정부(152)에는 U-볼트(132)가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을 관통한 U-볼트(132)의 양단부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벤딩관(150)이 전,후방 마운팅프레임(130) 내에서 견고히 결합 고정될 뿐 아니라 벤딩관(150)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가 최소화되므로 태양광 모듈(100)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벤딩관(150)의 양 고정부(152)가 전,후방 마운팅프레임(130)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U-볼트(132)에 의해 결합 고정됨에 따라 너트가 체결되는 U-볼트(132)의 양단부는 도 4b에서와 같이 마운팅프레임(130)의 개구부(131)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벤딩관(150)으로 연결된 전방 태양광 패널(110)과 후방 태양광 패널(110) 사이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통기구(170)가 형성되므로 태양광 패널(110)에 작용하는 바람이 통기구(170)를 통해 신속히 분산 배출됨으로써, 태양광 패널(110)에 작용하는 풍압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앞 열의 전방 지지기둥(120)과 뒷 열의 후방 지지기둥(1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앞 열의 전방 지지기둥(120)과 뒷 열의 후방 지지기둥(120) 사이에 개재되어 구비되는 연결관(160)과, 연결관(160)의 양단부와 전,후 지지기둥(120)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전,후 지지기둥(120)을 연결하는 고정브라켓(161)을 포함한다.
특히, 전방 지지기둥(120)과 후방 지지기둥(12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관(160)은 전방 지지기둥(120)과 후방 지지기둥(12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사각관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관(160)이 사각관으로 구비됨에 따라 연결관(160)의 양측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61)이 연결관(160)의 양측면에 완전 밀착되어 체결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161)은 연결관(160)의 양단부를 각각 전,후방 지지기둥(120)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그 일단부는 연결관(160)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는 지지기둥(120)에 연결되는 대경단(161a)으로 구비되고, 반대편의 타단부는 지지기둥(12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관(160)에 연결되는 소경단(161b)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161)의 소경단(161b)과 대경단(161a) 사이의 경계에는 소경단(161b)에서 대경단(161a) 측으로 점차 확개되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됨에 따라 소경단(161b)과 대경단(161a)을 연결하는 경계에서의 굽힘 응력이나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브라켓(161)의 소경단(161b)이 연결관(160)의 측면에 밀착되어 접한 상태로 체결볼트(162)로 체결되고, 고정브라켓(161)의 대경단(161a)은 지지기둥(120)의 원주면에 접한 상태로 체결볼트(162)로 체결되어 결합 고정됨으로써, 연결관(160)과 고정브라켓(161)에 의해 앞 열의 전방 지지기둥(120)과 뒷 열의 후방 지지기둥(120)을 견고히 연결할 수 있음과 더불어 연결부의 강도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160)과 고정브라켓(161)으로 연결된 전방 태양광 패널(110)과 후방 태양광 패널(110) 사이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통기구(170)가 형성되므로 태양광 패널(110)에 작용하는 바람이 통기구(170)를 통해 신속히 분산 배출됨으로써, 태양광 패널(110)에 작용하는 풍압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태양광 모듈 110 : 태양광 패널
120 : 지지기둥 130 : 마운팅프레임
131 : 개구부 132 : U-볼트
140 : 연결프레임 141 : 결합홈
142 : 체결공 143 : 체결볼트
150 : 벤딩관(bending pipe) 151 : 벤딩부
152 : 고정부 160 : 연결관
161 : 고정브라켓 161a : 대경단
161b : 소경단 162 : 체결볼트
170 : 통기구

Claims (5)

  1. 지면에 다수 열로 나열되게 설치되는 한편 앞,뒷 열은 이격된 상태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구비되는 지지기둥; 각 열의 이웃하는 양 지지기둥에 설치되어 앞 열과 뒷 열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 나란한 2열로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앞,뒷 열의 전,후 지지기둥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앞,뒷 열의 전,후 태양광 패널의 사이에 통기구가 형성되고,
    각 열의 이웃하는 복수의 지지기둥에는 양 지지기둥의 상,하측을 각각 연결하는 마운팅프레임이 설치되며, 상,하 마운팅프레임에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고, 상,하 마운팅프레임이 각 지지기둥과 마주하는 면의 이면에는 각 마운팅프레임의 내부에 배선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연결부재는 이웃하는 앞 열의 마운팅프레임과 뒷 열의 마운팅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 마운팅프레임을 연결하고 그 내부에 배선할 수 있는 중공의 벤딩관으로 구비되는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벤딩관은 그 양단부에 전,후 마운팅프레임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직선형의 고정부와, 양 고정부 사이에서 전,후 마운팅프레임의 간격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5. 삭제
KR1020230109191A 2023-08-21 2023-08-21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KR10265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191A KR102655787B1 (ko) 2023-08-21 2023-08-21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191A KR102655787B1 (ko) 2023-08-21 2023-08-21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787B1 true KR102655787B1 (ko) 2024-04-11

Family

ID=9066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9191A KR102655787B1 (ko) 2023-08-21 2023-08-21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7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744B1 (ko) 2020-03-26 2020-07-28 주식회사 나우솔리드 양면모듈이 구비되는 수직형 태양광 설비
KR20220163681A (ko) * 2021-06-03 2022-12-12 조진택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2511859B1 (ko) * 2022-11-29 2023-03-20 썬웨이 주식회사 수직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532777B1 (ko) * 2022-11-08 2023-05-16 주식회사 그랜드썬기술단 연결구조가 구비된 펜스 대체 가능한 가변형 태양광모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744B1 (ko) 2020-03-26 2020-07-28 주식회사 나우솔리드 양면모듈이 구비되는 수직형 태양광 설비
KR20220163681A (ko) * 2021-06-03 2022-12-12 조진택 펜스형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2532777B1 (ko) * 2022-11-08 2023-05-16 주식회사 그랜드썬기술단 연결구조가 구비된 펜스 대체 가능한 가변형 태양광모듈 어셈블리
KR102511859B1 (ko) * 2022-11-29 2023-03-20 썬웨이 주식회사 수직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625B1 (ko)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KR20170044538A (ko) 태양광 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KR20200055875A (ko) 태양광 패널 조립체의 높이조절장치
JP5365937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取付装置
US20150101654A1 (en) Solar panel array
KR102115516B1 (ko) 케이블 고정식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
KR101176719B1 (ko) 각도 조절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655787B1 (ko)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KR20150117513A (ko) 태양광 어레이의 조립식 지붕 고정 구조물
JP5008891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構造
KR20160000769U (ko) 태양광 패널 설치 구조물
CN213879701U (zh) 一种檩条支撑结构及适用于双面光伏组件的支架
KR101716662B1 (ko) 프레임리스 태양광 모듈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JP2014212177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KR101136342B1 (ko) 회전 링크모듈 및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151531B1 (ko) 태양광 구조물 지지 조립체
KR101626357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JP200109027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KR101498551B1 (ko) 조립식 지붕에 태양전지 모듈 설치를 위한 마운팅 구조체
JP607244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り付け構造
JP5395522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2655784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1631645B1 (ko) 태양광패널조립체 및 그 고정방법
KR102578133B1 (ko) 태양광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KR102210126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