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784B1 -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784B1
KR102655784B1 KR1020230080926A KR20230080926A KR102655784B1 KR 102655784 B1 KR102655784 B1 KR 102655784B1 KR 1020230080926 A KR1020230080926 A KR 1020230080926A KR 20230080926 A KR20230080926 A KR 20230080926A KR 102655784 B1 KR102655784 B1 KR 10265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power generation
supports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혁
김성길
이경호
도기일
임종호
채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든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든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든솔라
Priority to KR102023008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박혀 설치되는 복수의 기초 파일; 복수의 기초 파일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지주; 복수의 지주 사이에 구비되어 복수의 지주를 연결한 상태로 고정되는 연결바; 복수의 지주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에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연결프레임; 연결프레임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상면에는 태양광모듈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복수개 이상의 마운팅프레임;을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Support device for solar photovoltaic structure}
본 발명은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풍속)에도 태양광모듈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지주가 설치되고, 지주 상에 다양한 구조의 프레임을 조립 구성한 다음에 프레임 상에 태양광모듈을 설치하도록 구비되며, 태양광모듈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서, 프레임은 태양광모듈에 대해 전기 생산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태양이 조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최근에 농지에도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농사를 지으면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전기 생산을 통한 판매를 통해 수익을 올리도록 하고 있고, 이와 같은 영농형 태양광 발전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종래 설치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기존 육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그대로 도입하여 단순 설치하는 방식만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기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구성부품이 많고 다수의 조립에 의한 설치가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설치조립에 따른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농지 상에 설치하여 구축시 농지의 형태 및 구조에 맞게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는 실정에 있으며, 이로 인해 모든 농지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태양광모듈을 프레임 상에 연이어 연속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서, 농지에 그늘이 지고 그림자에 의한 영구 음영지역이 형성되므로 농작물 성장을 저해하고 농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태양광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와 프레임의 설치 및 조립작업을 단순 수직 조립 형태로 실시하여야만 하므로 현장에서의 태양광모듈 설치시 공중에서 조립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시공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특히 작업자의 낙하 등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 등록한 등록특허 제10-2211102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독립지주방식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수직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삽입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이에 연장되어 태양광 구조물이 설치되는 설치부재로 구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주의 외면에서 체결하되 수직부재를 관통하여 지주와 지지대 간 체결력을 제공하는 관통볼트; 상기 관통볼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수직부재(121) 사이에 끼움 삽입되여 그 사이 간격을 메워 지지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지주를 직립 상태로 하여 기초 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조립 결합되는 베이스 고정구조물; 을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 구조체로서, 상기 지주의 정면을 기준으로 그 양면은 수직부재(121) 전후(前後) 간 사이 간격을 메워 지지하도록 끼움 삽입되고 그 두께 면은 지주 내면에 접하여 지주를 지지하는 제1 스페이서; 상기 지주의 정면을 기준으로 그 양면은 수직부재(121) 좌우(左右) 간 사이 간격을 메워 지지하도록 끼움 삽입되고 그 두께 면은 지주 내면에 접하여 지주를 지지하는 제2 스페이서; 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스페이서는 판형 구조체의 중앙에 상부 개방구조의 제2스페이서끼움홈을 형성하고, 제2 스페이서는 판형 구조체의 중앙에 하부 개방구조의 제1스페이서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제2 스페이서가 제1 스페이서의 위에서 교차 배치구조로 삽입되어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스페이서는 제2스페이서끼움홈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부에 하부 개방구조의 관통볼트끼움홈을 간격 형성함으로써, 제1 스페이서가 아래방향으로 관통볼트를 끼움에 의해 관통볼트의 유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태양광 발전구조물에서는 고중량의 태양광모듈을 받쳐 지지하는 지주가 단일 부재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강한 바람의 풍력(풍속)에 의해 지주가 쉽게 휘어지거나 구부러져 태양광 발전구조물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110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태양광모듈의 받쳐 지지하는 지주를 개선하여 강한 풍력(풍속)에도 태양광모듈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는, 지면에 박혀 설치되는 복수의 기초 파일; 복수의 기초 파일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지주; 복수의 지주 사이에 구비되어 복수의 지주를 연결한 상태로 고정되는 연결바; 복수의 지주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에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연결프레임; 연결프레임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상면에는 태양광모듈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복수개 이상의 마운팅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마운팅브라켓은 복수의 지주 양측면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과, 양 고정판을 연결하는 장착판을 포함하고, 장착판은 고정판에서 경사지게 구비되어, 태양광모듈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주는 태양광모듈 즉 태양광모듈의 경사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에 따르면, 태양광모듈을 지지하는 지주를 복수로 구비하는 한편 양 지주 위에 설치되는 태양광모듈과 지주 간의 마운팅 부위를 보강함으로써 강한 풍력(풍속)에도 태양광모듈을 안정적으로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전체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부의 확대도로서, 연결프레임과 마운팅프레임 간의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와 기초 파일의 연결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및 이에 구성되는 각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나열된 다수의 태양광모듈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주(100)를 포함하고, 각 지주(100)는 복수의 지주대(이하 "복수의 지주"라 한다)가 한 조를 이뤄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장치는 지면에 박혀 설치되는 복수의 기초 파일(200)과, 복수의 기초 파일(2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기립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지주(100)와, 복수의 지주(100) 사이에 구비되어 복수의 지주(100)를 연결한 상태로 고정되는 연결바(110)와, 복수의 지주(100)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130)과, 마운팅브라켓(130)에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연결프레임(140)과, 연결프레임(140)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상면에는 태양광모듈(300)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복수개 이상의 마운팅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먼저, 복수의 지주(100)는 각 기초 파일(200) 위에서 각각 세워져 기립된 상태로서, 그 상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기울어져 "A"자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바(11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그 양측 단부가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복수의 지주(100) 상측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양 지주(1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바(110)는 복수의 지주(100)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각 연결바(110)의 외측면에는 힌지브라켓(111)이 결합 고정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힌지브라켓(111)에는 중공의 파이프로 된 지지대(120)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지지대(120)의 타단부는 후술될 연결프레임(140)의 하면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후술될 연결프레임(140)을 받쳐 지지하게 된다.
또한, 마운팅브라켓(130)은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접한 양 지주(100)의 양측면 상단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132)과, 양 고정판(13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장착판(131)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판(131)은 양 지주(100)의 상단부를 덮은 상태로 양 고정판(132)의 상단부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이와 같은 장착판(131)의 경사각은 후술될 태양광모듈(300)의 설치각도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140)은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마운팅브라켓(130)의 장착판(131) 양측편에 고정브라켓(133)과 볼트를 매개로 하여 각각 결합 고정되되, 장착판(13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길이 방향(전후 방향)과 직교되게 설치되어, 양 연결프레임(140)의 단부가 장착판(131)의 좌우 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비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연결프레임(140)에는 후술될 태양광모듈(300)이 장착되는 점을 감안하여, 복수의 지주(100)는 양 지주(100)가 연결프레임(14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지주(100)는 후술될 태양광모듈(300)의 경사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어 구비된 것으로, 이는 복수의 지주(100)를 바람이 태양광모듈(300)에 작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함으로써 태양광모듈(300)의 전면에 작용하는 바람의 풍력(풍속)을 양 지주(100)의 상호 보완에 의해 견고히 견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연결프레임(140) 간의 연결부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양 연결프레임(140)을 연결시키는 보강바(141)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강바(141)는 그 양측부가 양 연결프레임(140)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양 연결프레임(140)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양 연결프레임(140)을 연결함과 더불어 양 연결프레임(140) 및 이의 연결부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결프레임(140)의 상면에는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연결프레임(140)과 직교되는 복수개 이상의 마운팅프레임(150)이 이격되게 나열되어 고정브라켓(133)과 볼트로서 체결 고정된다. 이러한 마운팅프레임(150)은 "ㄷ"자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양 마운팅프레임(150)의 상면에는 태양광모듈(300)이 안착되어 결합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태양광모듈(300)은 마운팅브라켓(130)의 장착판(131) 상면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140) 및 마운팅프레임(150)에 의해 장착판(131)과 동일한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경사진 태양광모듈(300)은 복수의 지주(100)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바람이 태양광모듈(300)의 전면에 작용되더라도 경사진 태양광모듈(300)과 나란한 일직선상으로 구비된 복수의 지주(100)가 상호 보완됨에 따라 태양광모듈(300)에 작용하는 풍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초 파일(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되고, 하단부에서 상측으로는 스파이럴 형태의 스크류 날개가 형성된다.
이로써, 기초 파일(200)을 지면에 용이하게 박을 수 있고, 지면에 박힌 상태에서 기초 파일(200)을 회전시키면 기초 파일(200)이 지면을 파고들어가 지면에 매설된다.
그리고, 기초 파일(200)의 양측면 상단부에는 지주(100)의 설치 위치 즉 설치 방향을 결정하는 결합돌부(210)가 각각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고, 결합돌부(210)에는 후술될 연결편(160)이 볼트로서 체결되어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돌부(210)는 기초 파일(200)의 축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구비되고, 다수의 결합돌부(210)에는 연결편(160)을 결합 고정시키는 볼트가 각각 체결됨으로써 지주(100)와 태양광모듈(300)의 하중을 분산시켜 기초 파일(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편(160)은 기초 파일(200)의 상단부와 지주(100)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지주(100)를 기초 파일(200) 상에서 회전시켜 기립된 상태로 구비하는 것으로, 기초 파일(200) 상에서 회전되는 지주(10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지주(100)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1 지지편(161)과, 제1 지지편(161)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기초 파일(20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2 지지편(162)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편(160)은 양편으로 분할된 복수의 부재로서, 양 부재가 지주(100)와 기초 파일(200)의 연결부위를 감싼 상태로 결합 고정된다. 즉, 분할된 양측의 연결편(160)은 상부의 제1 지지편(161)과 하부의 제2 지지편(162)을 각각 가진 상태로 구비되어, 양 연결편(16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지주(100) 및 기초 파일(20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제1 지지편(161)은 지주(10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평판의 지지판(161a)과, 지지판(161a)의 하단부에서 수직하게 내향 절곡된 받침판(161b)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판(161a)에는 다수의 장공이 삼각 형상을 이룬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지지판(161a)의 상면 양측부에는 단차진 걸림홈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판(161b)은 하면에 기초 파일(200)의 상면이 접하여 구비되고, 상면에는 지주(100)의 하면이 안착되어 받쳐진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기초 파일(200)에 집중되던 지주(100) 및 태양광모듈(300)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지지편(162)은 기초 파일(200)의 상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커버판(162a)과, 제1 커버판(162a)의 양측에서 외향 연장되는 제2 커버판(162b)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커버판(162a)과 제2 커버판(162b)은 도 7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는 바, 제1 커버판(162a)이 제2 커버판(162b)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는 제1 커버판(162a)의 원호에 해당되는 각도만큼 제1 커버판(162a) 내에서 회전되어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커버판(162a)의 원호에 해당되는 각도 내에서는 기초 파일(20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가 정위치를 벗어나 위치되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제2 지지편(162)을 기초 파일(200)에 정위치로 구비할 수 있으므로 기초 파일(200) 상에 지주(100)를 정위치로 위치시켜 구비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제1 커버판(162a)에는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에 대응한 장공이 제1 커버판(162a)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커버판(162a) 내에서 회전되는 기초 파일(200)이 장공의 중앙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측으로 회전될 수 있고, 기초 파일(200)이 장공의 좌우 길이 내에서 회전된 경우는 기초 파일(200)의 회전 상태와 무관하게 연결편(160)을 기초 파일(200)에 정위치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장공과 결합돌부(210)에는 볼트가 관통되어 체결됨으로써 제2 지지편(162)을 기초 파일(200) 상에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제2 커버판(162b)은 제1 커버판(162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는 바, 제1 커버판(162a)과의 경계에는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가 걸림되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한편, 고정편(163)은 도 7에서와 같이, 양편의 제1 지지편(16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평판으로 구비되고, 이 고정편(163)은 지주(100)에 볼트로서 체결되어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편(163)의 상단부 양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될 수 있고, 양 걸림돌부는 제1 지지편(161)의 지지판(161a) 상면의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편(163)의 하단부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돌부가 형성될 수 있고, 양 삽입돌부는 양 제1 지지편(161)의 받침판(161b)에 형성된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고정편(163)은 상단부의 걸림돌부가 제1 지지편(161)의 지지판(161a)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단부의 삽입돌부는 제1 지지편(161)의 받침판(161b)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양 연결편(160)의 제1 지지편(161) 사이에서 지주(100)를 사이에 두고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기립된 지주(10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에 의한 지주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태양광 발전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복수의 기초 파일(200)을 일렬로 매설하여 설치하고, 지면 위로 돌출된 복수의 기초 파일(200) 상단부에 각각 양 연결편(160)의 제2 지지편(162)을 맞대어 기초 파일(200)을 감싼 상태로 구비한다.
그러면,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는 제2 지지편(162)의 제1 커버판(162a)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연결편(160)을 기초 파일(200)에서 회전시켜 연결편(160)의 제1 지지편(161)의 위치를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설치 방향에 대응되는 정위치로 위치시킨 후, 연결편(160)의 제2 지지편(162)과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에 볼트로 체결하여 양 연결편(160)을 기초 파일(200)의 양측에 서로 맞댄 상태로 고정시키고, 이때 연결편(160)의 받침판(161b)은 기초 파일(200)의 상면에 접하여 안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양 제1 지지편(161) 사이로 지주(100)의 하단부를 각각 삽입하여 볼트로서 힌지 결합하고, 힌지 결합된 볼트를 축으로 각 지주(100)를 회전시켜 기립시키고, 기립된 양 지주(100)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양 지주(100)의 상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한 후 양 지주(100)를 각각 제1 지지편(161)의 지지판(161a)에 결합 고정시키며, 기립된 지주(100)의 양측에 각각의 고정편(163)을 구비하여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지주(100)는 양 고정편(163)과 양 지지판(161a) 사이에서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기립된 양 지주(100)의 상측부를 연결바(110)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양 지주(100)의 상단부에는 마운팅브라켓(130)을 체결하여 고정하며, 마운팅브라켓(130)의 경사진 장착판(131) 위에 연결프레임(140)을 직교되게 설치하고, 직교된 연결프레임(140) 위에 다수의 마운팅프레임(150)을 다시 직교되게 설치하여 나열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이웃하는 양 마운팅프레임(150)에 태양광모듈(300)을 안착시켜 고정브라켓(133)과 볼트로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태양광모듈(3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로써, 설치된 태양광모듈(300)은 이의 경사 방향으로 복수의 지주(100)가 나란히 구비됨으로써, 바람이 태양광모듈(300)의 전면에 바람이 작용되더라도 경사진 태양광모듈(300)과 나란히 구비된 양 지주(100)의 상호 보완작용에 의해 태양광모듈(300)에 작용하는 풍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 및 내구성을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지주 110 : 연결바
111 : 힌지브라켓 120 : 지지대
130 : 마운팅브라켓 131 : 장착판
132 : 고정판 133 : 고정브라켓
140 : 연결프레임 141 : 보강바
150 : 마운팅프레임 160 : 연결편
161 : 제1 지지편 161a : 지지판
161b : 받침판 162 : 제2 지지편
162a : 제1 커버판 162b : 제2 커버판
163 : 고정편 200 : 기초 파일
210 : 결합돌부

Claims (3)

  1. 지면에 박혀 설치되는 복수의 기초 파일;
    복수의 기초 파일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기립되게 설치되고 기립된 상단부는 서로 밀착되어 접한 상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지주;
    복수의 지주 양 측면에서 각각 복수의 지주를 연결한 상태로 고정되어 구비되는 연결바;
    서로 접한 복수의 지주 상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구비되는 단일의 마운팅브라켓;
    마운팅브라켓의 양측편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마운팅브라켓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연결프레임;
    마운팅브라켓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양 연결프레임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보강바;
    연결프레임과 연결바에 그 양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운팅브라켓에서 돌출된 연결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
    연결프레임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상면에는 태양광모듈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복수개 이상의 마운팅프레임;을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운팅브라켓은 복수의 지주 양측면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고정판과, 양 고정판을 연결하는 장착판을 포함하고,
    장착판은 고정판에서 경사지게 구비되어, 태양광모듈이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지주는 태양광모듈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비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20230080926A 2023-06-23 2023-06-23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265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926A KR102655784B1 (ko) 2023-06-23 2023-06-23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926A KR102655784B1 (ko) 2023-06-23 2023-06-23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784B1 true KR102655784B1 (ko) 2024-04-11

Family

ID=9066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926A KR102655784B1 (ko) 2023-06-23 2023-06-23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7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34B1 (ko) * 2013-08-23 2014-02-14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연약지반 침하대응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211102B1 (ko) 2020-09-22 2021-02-03 주식회사 모든솔라 독립지주방식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235683B1 (ko) * 2019-10-25 2021-04-02 주식회사 강산 태양광 발전용 지지프레임 구조체
KR102312097B1 (ko) * 2021-02-03 2021-10-13 (주)우림에너지 태양광패널 조립식 기초 구조물
KR20220155782A (ko) * 2021-05-17 2022-11-24 김용래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34B1 (ko) * 2013-08-23 2014-02-14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연약지반 침하대응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235683B1 (ko) * 2019-10-25 2021-04-02 주식회사 강산 태양광 발전용 지지프레임 구조체
KR102211102B1 (ko) 2020-09-22 2021-02-03 주식회사 모든솔라 독립지주방식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312097B1 (ko) * 2021-02-03 2021-10-13 (주)우림에너지 태양광패널 조립식 기초 구조물
KR20220155782A (ko) * 2021-05-17 2022-11-24 김용래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지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454B2 (en) Solar array support structure, mounting rail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KR102038530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WO2010064656A1 (ja) 構造物設置架台、及び太陽電池システム
US20150034575A1 (en) Solar Panel Mounting Structure
KR102211102B1 (ko) 독립지주방식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9510568A (zh) 一种管桩式柔性光伏支架系统
KR20170044538A (ko) 태양광 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KR102655784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1573239B1 (ko) 태양광 모듈 지지 구조체
KR102475751B1 (ko) 태양광 패널용 단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5472535B2 (ja) パネル支持架台
KR102246583B1 (ko) 태양광모듈의 지지구조물
KR20150117513A (ko) 태양광 어레이의 조립식 지붕 고정 구조물
JP2014212177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JP2014148820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KR102457075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KR20160009981A (ko) 태양광 모듈 지지용 지지체 어셈블리
JP7107608B1 (ja) 太陽光パネル架台及び太陽光パネル架台システム
CN113193814A (zh) 光伏发电系统及光伏发电装置、光伏阵列支撑装置
CN208461748U (zh) 一种光伏支架
KR102473936B1 (ko)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JP3181751U (ja) 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構造
KR200492940Y1 (ko) 구조물 지지용 지주
CN219204419U (zh) 一种光伏支架安装结构
KR102655787B1 (ko) 펜스형 태양광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