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936B1 -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936B1
KR102473936B1 KR1020220061300A KR20220061300A KR102473936B1 KR 102473936 B1 KR102473936 B1 KR 102473936B1 KR 1020220061300 A KR1020220061300 A KR 1020220061300A KR 20220061300 A KR20220061300 A KR 20220061300A KR 102473936 B1 KR102473936 B1 KR 102473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undation pile
cover plate
support
pos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혁
도기일
이경호
임종호
채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든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든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든솔라
Priority to KR102022006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2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파일과, 기초 파일 상에서 기립되어 태양광 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와 기초 파일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되는 지주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편 및 고정편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로서, 연결편은 기초 파일 상에서 지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주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1 지지편과, 제1 지지편에서 연장 형성되어 기초 파일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2 지지편을 포함하고, 제2 지지편은 기초 파일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커버판과, 제1 커버판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판을 포함하며, 제1 커버판은 제2 커버판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기초 파일에서 외향 돌출된 결합돌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Joint device for solar photovoltaic structure}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파일에서 지주를 간편히 정위치시켜 기립시키고 기립된 지주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지주가 설치되고, 지주 상에 다양한 구조의 프레임을 조립 구성한 다음에 프레임 상에 태양광모듈을 설치하도록 구비되며, 태양광모듈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서, 프레임은 태양광모듈에 대해 전기 생산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태양이 조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최근에 농지에도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농사를 지으면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전기 생산을 통한 판매를 통해 수익을 올리도록 하고 있고, 이와 같은 영농형 태양광 발전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종래 설치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기존 육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그대로 도입하여 단순 설치하는 방식만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기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구성부품이 많고 다수의 조립에 의한 설치가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설치조립에 따른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설치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농지 상에 설치하여 구축시 농지의 형태 및 구조에 맞게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는 실정에 있으며, 이로 인해 모든 농지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태양광모듈을 프레임 상에 연이어 연속 설치하는 구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서, 농지에 그늘이 지고 그림자에 의한 영구 음영지역이 형성되므로 농작물 성장을 저해하고 농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태양광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와 프레임의 설치 및 조립작업을 단순 수직 조립 형태로 실시하여야만 하므로 현장에서의 태양광모듈 설치시 공중에서 조립작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시공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특히 작업자의 낙하 등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 등록한 등록특허 제10-2211102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독립지주방식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수직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 삽입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이에 연장되어 태양광 구조물이 설치되는 설치부재로 구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주의 외면에서 체결하되 수직부재를 관통하여 지주와 지지대 간 체결력을 제공하는 관통볼트; 상기 관통볼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수직부재(121) 사이에 끼움 삽입되여 그 사이 간격을 메워 지지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지주를 직립 상태로 하여 기초 측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조립 결합되는 베이스 고정구조물; 을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형 구조체로서, 상기 지주의 정면을 기준으로 그 양면은 수직부재(121) 전후(前後) 간 사이 간격을 메워 지지하도록 끼움 삽입되고 그 두께 면은 지주 내면에 접하여 지주를 지지하는 제1 스페이서; 상기 지주의 정면을 기준으로 그 양면은 수직부재(121) 좌우(左右) 간 사이 간격을 메워 지지하도록 끼움 삽입되고 그 두께 면은 지주 내면에 접하여 지주를 지지하는 제2 스페이서; 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스페이서는 판형 구조체의 중앙에 상부 개방구조의 제2스페이서끼움홈을 형성하고, 제2 스페이서는 판형 구조체의 중앙에 하부 개방구조의 제1스페이서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제2 스페이서가 제1 스페이서의 위에서 교차 배치구조로 삽입되어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스페이서는 제2스페이서끼움홈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부에 하부 개방구조의 관통볼트끼움홈을 간격 형성함으로써, 제1 스페이서가 아래방향으로 관통볼트를 끼움에 의해 관통볼트의 유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베이스 고정구조물은 단순히 베이스플레이트의 플랜지부가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안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베이스 고정구조물을 기초구조물 상에서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설치 방향으로 정위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롭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지면의 높낮이에 따라 지면 위로 돌출되는 기초구조물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춰 조절할 시는 높은 지면에서는 기초구조물을 깊게 매설하여 지면 위로 돌출되는 높이를 낮게 조절하고, 낮은 지면에서는 기초구조물을 낮게 매설하여 지면 위로 돌출되는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기초구조물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매설된 기초구조물의 체결부 위치가 제각각 다르게 위치되므로 인해 이에 설치되는 베이스 고정구조물을 정위치로 위치시키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베이스 고정구조물은 기초 즉 기초구조물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된 상태로 베이스플레이트가 지주의 양측면에 각각 볼트로서 체결 고정되고 지주의 다른 양측면에는 마감고정플레이트가 각각 볼트로서 체결 고정되어 지주를 기초구조물 상에 직립 상태로 구비하게 되는데, 이때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지주의 모든 하중이 지주에 볼트로서 체결된 베이스플레이트와 마감고정플레이트의 체결부에서 연직 방향으로 집중되어 작용되고, 결국에는 체결부가 연직 방향으로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어 지주의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110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파일의 결합돌부가 일정 영역 내에서 정위치를 벗어나더라도 기초 파일에 지주를 정위치로 위치시켜 기립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용이하고, 기립된 지주를 견고히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는,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파일과, 기초 파일 상에서 기립되어 태양광 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와 기초 파일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되는 지주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편 및 고정편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로서, 연결편은 기초 파일 상에서 지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주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1 지지편과, 제1 지지편에서 연장 형성되어 기초 파일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2 지지편을 포함하고, 제2 지지편은 기초 파일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커버판과, 제1 커버판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판을 포함하며, 제1 커버판은 제2 커버판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기초 파일에서 외향 돌출된 결합돌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 지지편의 제1 커버판에는 기초 파일의 결합돌부에 대응한 장공이 형성되어, 제1 커버판 내에서 결합돌부의 위치가 가변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편의 제2 커버판에는 제1 지지편에 연결되는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보강리브는 제1 지지편과 제2 커버판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제1,2 지지편 사이의 영역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지지편은 지주와 결합되는 다수의 장공을 갖는 한편 고정편의 상부가 걸림되어 구비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서 연장 형성되어 하면에는 기초 파일에 접하여 구비되고 상면에는 지주가 받쳐져 지지되는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받침판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고정편에는 받침판의 삽입공에 결합되는 삽입돌부가 형성되어, 고정편을 받침판에 회전 불가하게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에 따르면,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파일의 결합돌부가 일정 영역 내에서 정위치를 벗어나 위치되더라도 기초 파일에 연결편을 정위치시키고 정위치된 연결편에 지주를 설치함으로써 기초 파일에서 지주를 정위치로 위치시켜 기립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용이하고, 연결편이 기립된 지주를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장치와 기초 파일 및 지주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장치가 결합된 기초 파일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장치에 결합된 기초 파일의 위치 조절 상태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장치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장치를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장치에 의해 지주가 기립되어 고정되는 상태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및 이에 구성되는 각 구성요소들과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장치는 기초 파일(200) 상에서 지주(300)를 기립시켜 고정시키고, 기립된 지주(300) 상에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을 방향성을 갖도록 설치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조인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파일(200)과, 기초 파일(200) 위에서 기립되어 태양광 발전구조물(미도시)이 설치되는 지주(300)와, 지주(300)와 기초 파일(200)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되는 지주(300)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편(100) 및 고정편(140)을 포함한다.
먼저, 연결편(100)은 기초 파일(200)의 상단부와 지주(300)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지주(300)를 기초 파일(200) 상에서 회전시켜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편(100)은 도 2 및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기초 파일(200) 상에서 회전되는 지주(30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지주(300)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1 지지편(110)과, 제1 지지편(110)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기초 파일(20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2 지지편(1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연결편(100)은 후술될 지주(300) 및 기초 파일(200)을 양측에서 감싸 결합되도록 분할된 복수의 부재로 구비된다. 즉, 분할된 양측의 연결편(100)은 상부의 제1 지지편(110)과 하부의 제2 지지편(120)을 각각 가진 상태로 구비되어, 양 연결편(10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지주(300) 및 기초 파일(20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특히, 제1 지지편(110)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30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평판 상의 지지판(111)과, 지지판(111)의 하단부에서 수직하게 내향 절곡된 받침판(115)을 포함한다.
지지판(111)에는 후술될 지주(300)의 제1 결합공(301)에 대응한 다수의 장공(112)이 삼각 형상을 이룬 상태로 형성되는 바, 구체적으로는 지지판(111)의 상부에는 하나의 장공이 형성되고, 지지판(111)의 하부에는 복수의 장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다수의 장공(112)에는 지주(300)의 제1 결합공(301)이 각각 위치되어 연통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볼트가 지지판(111)의 장공(112)과 지주(300)의 제1 결합공(301)을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된다.
특히, 지지판(111)의 상부에 위치된 단일의 장공(112)은 기립된 지주(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으로서, 정원의 구멍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지지판(111)의 하부에 위치된 복수의 장공(112)은 연결편(100)에서 지주(300)를 회전시켜 기립시키기 위해 선택되는 힌지공으로서, 복수의 장공(112)을 지지판(111)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함으로써 지주(300)를 연결편(100)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자유롭게 눕혀 구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공(112)은 지지판(111)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에 지주(300)의 제1 결합공(301)은 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장공(11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지주(300)의 회전시 지주(300)의 하단부가 제1 지지편(110)의 받침판(115)에 걸림되어 간섭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판(111)의 상면에는 단차진 걸림홈(113)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 걸림홈(113)에는 후술될 고정편(140)의 걸림돌부(141)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받침판(115)은 지지판(111)의 하단부에서 양 연결편(100)이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평판으로서, 그 하면에는 후술될 기초 파일(200)의 상면이 접하여 구비되고, 상면에는 후술될 지주(300)의 하면이 안착되어 받쳐진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기초 파일(200)에 집중되던 지주(300) 및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받침판(115)에는 후술될 고정편(140)의 하면에 돌출된 삽입돌부(142)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삽입공(116)이 형성되고, 삽입공(116)과 삽입돌부(142)의 결합에 의해 고정편(140)은 양 연결편(100) 사이에서 위치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기립된 지주(300)의 회전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지지편(120)은 도 2 및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될 기초 파일(200)의 상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커버판(121)과, 제1 커버판(121)의 양측에서 외향 연장되는 제2 커버판(123)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커버판(121)과 제2 커버판(123)은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호로 형성되는 바, 제1 커버판(121)이 제2 커버판(123)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후술될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는 제1 커버판(121)의 원호에 해당되는 각도만큼 제1 커버판(121) 내에서 회전되어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커버판(121)의 원호에 해당되는 각도 내에서는 기초 파일(20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가 정위치를 벗어나 위치되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제2 지지편(120)을 기초 파일(200)에 정위치로 구비할 수 있으므로 기초 파일(200) 상에 지주(300)를 정위치로 위치시켜 구비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제1 커버판(121)에는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에 형성된 결합공(211)에 대응한 장공(122)이 형성되고, 이 장공(122)은 제1 커버판(121)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로써, 제1 커버판(121) 내에서 회전되는 기초 파일(200)은 도 4에서와 같이 장공(122)의 중앙에서 각각 좌,우 측으로 20도씩 회전될 수 있고, 기초 파일(200)이 장공(122)의 좌우 길이 내에서 회전된 경우는 기초 파일(200)의 회전 상태와 무관하게 연결편(100)을 기초 파일(200)에 정위치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장공(122)과 결합돌부(210)의 결합공(211)에는 볼트가 관통되어 체결됨으로써 제2 지지편(120)을 기초 파일(200) 상에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제2 커버판(123)은 제1 커버판(12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호로 형성되는 바, 제1 커버판(121)과의 경계에는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가 걸림되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커버판(12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편(110)의 받침판(115)에 연결되는 보강리브(130)가 형성된다.
이때, 보강리브(130)는 제2 커버판(123)에서 제1 지지편(110)의 받침판(115)을 향해 외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보강리브(130)와 제2 커버판(123) 및 받침판(115)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S)에는 받침판(115)의 삽입공(116)이 위치되는 바, 이는 받침판(115)의 삽입공(116)에 후술될 고정편(140)의 삽입돌부(142)가 삽입되어 결합될 때, 삽입공(116)을 관통하는 삽입돌부(142)가 보강리브(130)에 간섭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고정편(140)은 도 2 및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제1 지지편(110)을 가로질러 구비되는 평판으로서, 그 표면에는 후술될 지주(300)의 제2 결합공(302)에 볼트로서 체결되는 결합공(143)이 형성된다.
특히, 고정편(140)의 결합공(143)은 도 2에서와 같이, 제1 지지편(110)에서 삼각 형상을 이루는 상부 장공(112)과 하부 장공(112) 사이에 위치되어 구비되는 바, 이는 고정편(140)의 결합공(143)에 체결되는 볼트와 제1 지지편(110)의 장공(112)에 체결되는 볼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고정편(140)의 상단부 양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부(141)가 형성되고, 양 걸림돌부(141)는 제1 지지편(110)의 걸림홈(113)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그리고, 고정편(140)의 하단부 양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돌부(142)가 형성되고, 양 삽입돌부(142)는 양 제1 지지편(110)의 받침판(115)에 형성된 삽입공(116)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로써, 고정편(140)은 상단부의 걸림돌부(141)가 제1 지지편(110)의 지지판(111)에 형성된 걸림홈(113)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하단부의 삽입돌부(142)는 제1 지지편(110)의 받침판(115)에 형성된 삽입공(116)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양 연결편(100)의 제1 지지편(110) 사이에서 지주(300)를 사이에 두고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기립된 지주(300)의 회전을 견고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기초 파일(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지면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첨예하게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스파이럴 형태의 스크류 날개가 구비된다.
이로써, 기초 파일(200)은 지면에 용이하게 박히게 되고, 박힌 상태에서 기초 파일(200)을 회전시키면 지면을 용이하게 파고들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기초 파일(200)의 상단부에는 대칭되는 양측면에 지주(300)의 설치 위치 즉 설치 방향을 결정하는 결합돌부(210)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결합돌부(210)에는 연결편(100)을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조립용의 결합공(2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돌부(210)는 기초 파일(200)의 축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결합돌부로 구비될 수 있고, 다수의 결합돌부(210)는 기초 파일(200) 위에 설치되는 지주(300)와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하중이 일부의 결합돌부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주(300)는 그 하단부에서 일방향으로 나란한 양측면에 연결편(100)이 결합 고정되는 다수의 제1 결합공(301)이 형성되고, 다수의 제1 결합공(301)은 지주(300)의 하단부에서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결합공(301)은 지주(300)의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 또는 정원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공(301)이 정원의 구멍으로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결합공(301)과 직교되는 지주(300)의 하단부에서 타방향으로 나란한 양측면에는 고정편(140)이 결합 고정되는 제2 결합공(302)이 형성되고, 제2 결합공(302) 역시도 지주(300)의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정원의 구멍으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에 의한 지주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태양광 발전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기초 파일(200)을 매설하여 설치하고, 지면 위로 돌출된 기초 파일(200)의 상단부에 양 연결편(100)의 제2 지지편(120)을 맞대어 기초 파일(200)을 감싼 상태로 구비한다.
그러면, 기초 파일(200)의 결합돌부(21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2 지지편(120)의 제1 커버판(121) 내에 위치되게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연결편(100)을 도 4에서와 같이 회전시키면서 연결편(100)의 제1 지지편(110)의 위치를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설치 방향에 대응되는 정위치로 조절하여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기초 파일(200) 상에서 정위치된 연결편(100)의 제2 지지편(120)의 장공(122)과 이에 대응되는 기초 파일(200)의 제1 결합공(301)에 볼트를 관통 결합하여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양 연결편(100)을 서로 맞댄 상태로 기초 파일(200)에 고정시키게 되고, 연결편(100)의 받침판(115)은 기초 파일(20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의 (a)에서와 같이, 양측의 제1 지지편(110) 사이로 눕혀진 지주(3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바, 이때 제1 지지편(110)의 장공(112) 중 지주(300)의 하면과 근접한 하부의 일측 장공(112)과 이에 대응되는 지주(300)의 제1 결합공(301)에 볼트를 체결하고, 체결된 볼트를 힌지축으로 하여 지주(300)를 회전시켜 기립시키게 된다.
이때, 회전되는 지주(300)는 도 7의 (b)에서와 같이, 받침판(115)과 근접한 일측 코너 부위가 제1 지지편(110)의 받침판(115)에 걸림되어 간섭되는데, 이때 지주(300)를 상방으로 들어올린 상태로 회전시키면 힌지축을 이루는 볼트가 지주(300)와 같이 제1 지지편(110)의 장공(112)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이 이루어져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지주(300)가 회전되어 기립된 후에는 도 7의 (c)에서와 같이, 제1 지지편(110)의 나머지 장공(112)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기립된 지주(300)를 연결편(100)의 받침판(115) 상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기립된 지주(300)는 받침판(115)의 삽입공(116)이 이루는 내부 영역 안에서 기립되게 위치된다.
이후, 제1 지지편(110) 사이에서 기립된 지주(300)의 양측에 도 7의 (d)에서와 같이 각각의 고정편(140)을 설치하여 구비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일측의 고정편(140)을 도 7의 (a)에서와 같이 지주(300) 반대편 측의 양 제1 지지편(110) 사이에 먼저 설치하여 구비한 후, 지주(300)를 기립시킬 수도 있는데, 이는 지주(300)를 회전시켜 기립시키는 과정에서 지주(300)가 반대편으로 넘어가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고정편(140)의 설치는 고정편(140) 상단부의 양 걸림돌부(141)를 양 제1 지지편(110)의 걸림홈(113)에 삽입하여 안착시키면서 고정편(140) 하단부의 삽입돌부(142)를 양 제1 지지편(110)의 받침판(115)에 형성된 삽입공(116)에 각각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양 제1 지지편(110) 사이에 고정편(140)을 회전 불가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받침판(115)의 삽입공(116)에 삽입되는 고정편(140)의 삽입돌부(142)는 삽입공(116)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지만, 삽입공(116)을 관통하는 삽입돌부(142)는 보강리브(130)와 제2 커버판(123) 및 받침판(115) 사이에 형성된 공간(S)으로 위치되므로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써, 고정편(140)은 양 제1 지지편(110) 사이에서 고정되게 구비됨으로써 지주(300)를 견고히 지지하여 지주(300)의 임의적인 회전 즉 넘어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양 제1 지지편(110) 사이에서 고정된 고정편(140)의 결합공(143)과 이에 대응되는 지주(300)의 제2 결합공(302)에 도 7의 (e)에서와 같이 볼트를 관통 결합하여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고정편(140)을 도 7의 (f)에서와 같이 지주(300)와 양 제1 지지편(110)에 더욱 견고히 결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연결편 110 : 제1 지지편
111 : 지지판 112 : 장공
113 : 걸림홈 115 : 받침판
116 : 삽입공 120 : 제2 지지편
121 : 제1 커버판 122 : 장공
123 : 제2 커버판 130 : 보강리브
140 : 고정편 141 : 걸림돌부
142 : 삽입돌부 143 : 결합공
200 : 기초 파일 210 : 결합돌부
211 : 결합공 300 : 지주
301,302 : 결합공
S : 공간

Claims (5)

  1.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파일과, 기초 파일 상에서 기립되어 태양광 발전구조물이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와 기초 파일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되는 지주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연결편 및 고정편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로서,
    연결편은 기초 파일 상에서 지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주를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제1 지지편과, 제1 지지편에서 연장 형성되어 기초 파일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제2 지지편을 포함하고,
    제2 지지편은 기초 파일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커버판과, 제1 커버판의 양측에서 단이진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커버판을 포함하며,
    제1 커버판은 제2 커버판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2 커버판에서 외측으로 단이지게 확장 형성되어, 기초 파일에서 외향 돌출된 결합돌부를 수용한 상태로 회전되어 위치 조절되게 구비되고,
    제2 커버판에는 제1 지지편에 연결되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지지편의 제1 커버판에는 기초 파일의 결합돌부에 대응한 장공이 형성되어, 제1 커버판 내에서 결합돌부의 위치가 가변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강리브는 제1 지지편과 제2 커버판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제1,2 지지편 사이의 영역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20061300A 2022-05-19 2022-05-19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KR10247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00A KR102473936B1 (ko) 2022-05-19 2022-05-19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300A KR102473936B1 (ko) 2022-05-19 2022-05-19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936B1 true KR102473936B1 (ko) 2022-12-07

Family

ID=8444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300A KR102473936B1 (ko) 2022-05-19 2022-05-19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9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52B1 (ko) * 2019-11-28 2020-10-13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KR102211102B1 (ko) 2020-09-22 2021-02-03 주식회사 모든솔라 독립지주방식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240778B1 (ko) * 2020-07-21 2021-04-14 오형석 일체형 앵커 지주용 태양광 모듈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구조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52B1 (ko) * 2019-11-28 2020-10-13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KR102240778B1 (ko) * 2020-07-21 2021-04-14 오형석 일체형 앵커 지주용 태양광 모듈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211102B1 (ko) 2020-09-22 2021-02-03 주식회사 모든솔라 독립지주방식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3680B2 (en) Solar array support structure with a telescopic wind brace
KR102038530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US9091037B2 (en) Adjustable monopole support structure
AU2023219881A1 (en) Optimized truss foundations, adapters for optimized truss foundation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142064B1 (ko) 태양광 패널 지지구조
CA2817550C (en) Erection system for solar panels
KR102074793B1 (ko) 태양광발전모듈용 지지구조물
US9574795B2 (en) Solar system mounting assembly
US20120025038A1 (en) Mounting Bracket
KR20200055875A (ko) 태양광 패널 조립체의 높이조절장치
KR101741215B1 (ko) 가변구조를 갖는 태양광 발전모듈 고정 구조물
KR102211102B1 (ko) 독립지주방식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813453B1 (ko) 태양전지 모듈용 지지대
US20230238914A1 (en) Fixed-tilt solar arrays and related systems
JP201622032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架台および太陽光発電装置
KR101781064B1 (ko) 비탈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주 조인트 어셈블리
KR102473936B1 (ko)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KR20170015765A (ko) 태양광 모듈 설치 프레임 구조
KR200458801Y1 (ko) 지상 가변형 태양광 모듈
KR102457075B1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KR102246583B1 (ko) 태양광모듈의 지지구조물
KR101796966B1 (ko) 태양광발전모듈 지지구조
KR102475751B1 (ko) 태양광 패널용 단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3213752U (ja) 太陽光パネル用架台
KR102085325B1 (ko) 태양광 모듈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