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952B1 -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952B1
KR102163952B1 KR1020200045662A KR20200045662A KR102163952B1 KR 102163952 B1 KR102163952 B1 KR 102163952B1 KR 1020200045662 A KR1020200045662 A KR 1020200045662A KR 20200045662 A KR20200045662 A KR 20200045662A KR 102163952 B1 KR102163952 B1 KR 10216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ower generation
farmland
coupling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훈
이남영
박석화
박민철
김의중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6K9/3233
    • G06K9/3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8Quantising the image, e.g. histogram thresholding for discrimination betw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patter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벼농사를 짓는 농지에 설치하여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는 벼농사를 위한 농지에 설치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태양광발전패널;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을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농지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볼트유닛;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기초볼트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의 전체 면적은 상기 농지의 전체 면적 대비 70% 이하이고,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농지의 지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이며, 상기 기초볼트유닛은 지지부 및 스크류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농지에 고여있는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볼트유닛이 농지에 고여있는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기 때문에 기초볼트유닛의 부식에 의해 태양광 발전장치 구조물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Photovoltaic Device for a farmfield of basic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벼농사를 짓는 농지에 설치하여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햇빛을 직류 전기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법으로, 태양광 발전은 여러 개의 태양전지들이 붙어있는 태양광발전용패널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상된다. 태양광발전의 특징은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태양전지를 사용해서 유지 보수가 간편하며 무공해·무진장의 태양에너지원이라는 점 등의 장점으로 인해 미래의 대체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태양광발전을 통해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해내기 위해서는 대단위의 태양광발전용패널을 넓을 면적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많은 부지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의 전체면적에서 산간지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산간지역이 아닌 평야지역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벼농사를 지을 수 있는 농지로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전력생산을 위한 태양광발전용 부지를 확보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방법이 벼농사를 짓고 있는 농지 위에 태양광발전용패널을 설치하여 태양광발전을 하는 방식이며, 통상적으로 이런 방식의 태양광 발전방식을 영농형 태양광발전이라고 부른다.
도 1은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는 태양광발전패널(10) 및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을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고정프레임(20)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농지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볼트유닛(40)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기초볼트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프레임(30)을 통해 농지에 고정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벼농사를 위한 농지가 전체 농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경우 벼농사를 짓는 농지에 설치할 경우 농지에 고정되는 부분인 기초볼트유닛이 농지에 고여 있는 물에 의해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장치의 경우 한번 농지에 설치되면 20년 내지 30년간 구조물이 유지되면서 발전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처럼 농지의 물에 의해 기초볼트유닛에 부식이 발생하고 이러한 부식이 심화될 경우 구조물의 안전성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 부분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기초볼트유닛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경우 농지에 물이 고여 있는 영역(93) 및 농지의 하부영역(91) 중 물이 침투해있는 영역(92)에 접하고 있는 기초볼트유닛(40)의 외부에 부식이 발생하고 이러한 부식에 의해 구조물의 전체적인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벼농사용 농지에 설치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에서 기초볼트유닛이 농지에 고여 있는 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태양광 발전장치 시설물의 조립과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을 원터치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벼농사를 위한 농지에 설치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태양광발전패널(100);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을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가 설치되고,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의 끝단에는 양측이 경사진 결합용 돌기(210a)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200);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농지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볼트유닛(400);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기초볼트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의 전체 면적은 상기 농지의 전체 면적 대비 70% 이하이고,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농지의 지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이며, 상기 기초볼트유닛은 지지부 및 스크류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농지에 고여있는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300)은, 최외각에 설치되는 제 1 결합용 몸체(310)와; 상기 제 1 결합용 몸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간부로 결합용 돌기가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여 결합용 돌기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용 몸체(320)와; 상기 제 1 결합용 몸체와 제 2 결합용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스프링(330)과; 상기 제 1 스프링 전단에 설치되어 제 1 결합용 몸체의 결합용 돌기가 진입하면 후퇴하여 제 1 스프링을 압박하고 결합용 돌기가 제 2 결합용 몸체의 결합용 홈에 삽입되면 제 1 스프링의 탄발에 의해 전진하여 결합용 돌기 상부에 위치되는 제 1 스프링 유동부(350)와; 상기 제 1 스프링 유동부 후단에 설치되며 탄발 기능을 갖는 제 2 스프링(340)과; 상기 제 2 스프링의 외측에 설치되어 제 2 스프링을 구동하는 원통형 형상의 구조체로서 뒤로 후퇴하면서 제 2 스프링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스프링 유동부(360)와; 상기 제 2 스프링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 2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스프링 지지부(3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2 스프링 유동부는, 손으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두리면에 다수개의 요철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의 결합용 돌기와 연결 프레임의 결합용 홈은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볼트유닛이 농지에 고여있는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기 때문에 기초볼트유닛의 부식에 의해 태양광 발전장치 구조물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기초볼트유닛의 부식에 의해 태양광 발전장치 구조물을 보수하거나 재시공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중간에 구조물을 다시 시공하지 않고 태양광패널의 사용연한인 20년에서 30년이 될 때까지 태양광 발전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사업의 수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설물의 고정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을 원터치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제작하기 때문에 조립과 유지 보수를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 부분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기초볼트유닛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이 농지에 매설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결합구조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결합의 제 1 동작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결합의 제 2 동작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들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벼농사를 위한 농지에 설치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는 태양광발전패널(100), 고정프레임(200), 기초볼트유닛(400), 연결프레임(300)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에는 농지에 고여 있는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 위한 부식방지부(430a)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0)은 상기 태양광발전패널(100)을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은 상기 고정프레임(200)을 상기 농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고정프레임(200)과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프레임(3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과 상기 기초볼트유닛(400) 사이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벼농사 농지용 영농형 태양광 발전정치이며, 벼농사와 함께 태양광 발전을 병행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벼농사에 필요한 일정량 이상의 일조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일반 태양광 발전장치와 같이 태양광발전패널(100)을 토지 위에 빽빽하게 배치할 수 없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패널에 의해 생기는 음영지역이 전체 농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태양광발전패널(100)의 전체 면적은 상기 농지의 전체 면적 대비 70% 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한, 벼농사를 위해서는 사람이 농지에서 작업을 하거나 또는 트랙터 등의 농기계가 농지에 진입하여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만약 태양광 발전패널이 너무 낮게 설치되면 사람이나 농기계가 작업하는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상기 태양광발전패널(100)이 일정 높이 이상에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태양광발전패널(100)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200)이 일정 높이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태양광발전패널(100)이 상기 고정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농지의 지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이 되도록 하여 벼농사를 위해 사람이나 농기계가 작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은 지지부(410) 및 스크류부(42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410)에는 상기 농지에 고여있는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부(430a)가 형성된다.
상기 부식방지부(430a)는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의 지지부에 방습/방수특성을 갖는 재질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410)에 코팅되는 방습/방수특성을 갖는 재질은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 어느 재질이건 방습/방수 특성을 갖는 재질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400)은 상기 지지부(410)에 부식방지부(430b)가 끼워지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에서는 상기 부식방지부(430b)를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실린더 타입의 링 형태로 만들어 이것을 상기 기초볼트유닛(400), 특히 상기 지지부(410)에 끼움방식으로 결합하여 기초볼트유닛(400)을 만든다.
이때, 상기 부식방지부(430b)가 상기 지지부(410)와 밀착되어 결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부식방지부(430b)와 상기 지지부(4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유격이 조금이라 발생할 경우 이러한 유격을 통해서 빗물이나 농지에 고인 물 등이 침투될 수 있고 이렇게 침투된 수분이나 물은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을 부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식방지부(430b)를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재질로 만들고,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에 끼움방식에 의해 결합한 후 고온으로 가열하여 상기 부식방지부(430b)가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에 밀착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처럼 열을 가해 상기 부식방지부(430b)를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에 밀착시켜 고정할 경우 상기 부식방지부(430b)와 상기 지지부(4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빗물이나 고인 물이 침투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이 농지에 매설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벼농사용 농지는 표면에 고여 있는 물의 높이 및 농지의 하부 깊이에 따라 물이 농지에 고여 있는 워터영역(93)과 농지의 하부영역(91)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상기 하부영역(91)에는 농지에 고여 있는 물이 농지의 일정 깊이까지 침투해있는 물침투영역(92)과 상기 물 침투영역(92)보다 더 깊어서 농지에 고여 있는 물이 침투해있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의 기초볼트유닛(400)은 농지에 매설되었을 때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의 스크류부(420)는 상기 물침투영역(92)보다 깊은 곳까지 박히게 되고 상기 지지부(410)는 상기 워터영역(93) 및 물침투영역(92)과 접하는 상태로 박히게 된다. 상기 지지부(410)에는 부식방지부(430a,430b)가 씌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워터영역(93) 및 물침투영역(92)의 수분에 의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초볼트유닛(400)을 농지에 매설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410)가 매설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상기 지지부(410)에 씌워져 있는 부식방지부(430a,430b)가 상기 상기 워터영역(93) 및 물침투영역(92)과 접하도록 매설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을 너무 얕게 매설할 경우 스크류부(420)가 상기 물침투영역(92)과 접하게 될 수 있고, 또 너무 깊이 매설할 경우 상기 지지부(41)에서 부식방지부가 씌워져 있지 않은 영역이 상기 워터영역(93)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부식방지부(430a,430b)를 형성할 때 상기 스크류부(420)를 제외한 지지부(410)의 전체 영역이 커버될 수 있도록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수물질을 코팅하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수커버를 씌워줘 상기 기초볼트유닛(400)이 매설되는 깊이에 관계없이 상기 지지부(410)는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결합구조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결합의 제 1 동작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결합의 제 2 동작도로서, 본 발명은 결합구조의 실시예로서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을 포함하되, 고정 프레임(200)은,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와, 결합용 돌기(2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300)은, 제 1 결합용 몸체(310)와, 제 2 결합용 몸체(320)와, 제 1 스프링(330)과, 제 2 스프링(340)과, 제 1 스프링 유동부(350)와, 제 2 스프링 유동부(360)와, 제 2 스프링 지지부(3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용 몸체(320)에는 결합용 홈(320a)을 포함하고, 제 2 스프링 유동부(360)는 제 2 스프링 작동편(360a)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 프레임(300)의 후단에는 제 2 스프링 지지부(37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스프링 유동부(360)는 테두리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의 결합 실시예로서 원터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결합이 가능하고, 아울러 사용도중에는 쉽게 분리되지 않토록하고, 필요에 따라 손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이 있어야만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하였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결합구조에서는 원터치에 의해서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을 쉽게 결합할 수 있고, 일단 한번 결합되면 결합이 쉽게 풀리지 않아서 사용도중에 분리되는일이 없도록하며, 아울러 유지 보수를 위해서 분리시에는 요철면을 손으로 잡아당기면서 분리시키므로 보다 쉽게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의 분리동작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하우징은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연결 프레임(300)와의 결합수단으로서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가 설치되고,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의 끝단에는 양측이 경사진 결합용 돌기(210a)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프레임(300)은 맨 외측에 제 1 결합용 몸체(310)가 설치되고, 그 아래엔 제 2 결합용 몸체(3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결합용 몸체(310)와 제 2 결합용 몸체(320)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공간부로 고정 프레임(200)의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가 삽입 결합된다.
아울러, 원터치 결합을 위해서 제 1 스프링(330)과 제 1 스프링 유동부(350)가 설치되는바, 제 1 스프링 유동부(350)는 제 1 결합용 몸체(310)의 내측에 설치하되 단턱(310a)에 지지되고, 제 1 스프링(330)은 제 1 스프링 유동부(350)의 후단에 위치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정 프레임(200)의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를 제 1 결합용 몸체(310)와 제 2 결합용 몸체(320) 사이로 진입시키면 제 1스프링 유동부(350)가 결합용 핀에 접면되면서 뒤로 밀리고, 이어 제 1 스프링 유동부(350)가 제 1 스프링(330)을 압축하면서 후퇴한다.
이후 제 1 스프링 유동부(350)가 일정거리 후퇴되면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의 결합용 돌기(210a)가 제 2 결합용 몸체(320)의 결합용 홈(320a)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 1 스프링 유동부(350)의 압축이 해제되어 제 1 스프링(330)의 탄발력에 의해서 원위치되고 이에 따라 제 1 스프링 유동부(350)가 고정 프레임(200)의 결합용 돌기(210a)를 압박하여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고정 프레임(200)의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를 연결 프레임(300)에 삽입시키면 제 1 결합용 몸체(310)와 제 2 결합용 몸체(320)의 틈새로 진입하면서 제 1 스프링 유동부(350)를 밀쳐서 후퇴시키고, 제 1 스프링 유동부(350)의 후퇴에 따라 제 1 스프링(330)이 압축되며, 이후 제 2 결합용 몸체(320)의 결합용 홈(320a)에 결합용 돌기(210a)가 삽입되면 제 1 스프링 유동부(350)가 원위치되면서 제 1 스프링 유동부(350)가 결합용 돌기(210a)의 상부를 압박하여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이 강력하게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원터치에 의해서 고정 프레임(200)와 연결 프레임(300)의 결합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2 스프링 유동부(360)를 손으로 파지하여 후퇴시킨다. 이때 제 2 스프링 유동부(360)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손의 파지가 용이하다.
그러면, 제 2 스프링 작동편(360a)이 후퇴되면서 제 2 스프링(340)을 압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스프링 유동부(360)와 결합된 제 1 결합용 몸체(310)가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결합용 몸체(310)의 단턱(310a)에 지지된 제 1 스프링 유동부(360)가 후퇴하여 고정 프레임(200)의 결합용 돌기(210a)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면 고정 프레임(200)의 결합용 돌기(210a)를 자연스럽게 연결 프레임(3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결합용 돌기(210a)가 경사면을 형성하고, 결합용 홈(320a) 역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분리할 수 이다.
그리고,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을 분리한 다음에는 연결 프레임(300)의 제 2 스프링(340)의 탄발로 인하여 제 2 스프링 작동편(360a)과 제 1 결합용 몸체(310)가 원위치되어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을 원터치로 결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고정 프레임(200)과 연결 프레임(300)을 별도의 사전 동작없이 원터치로 결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입체 구조물을 제작시에 매우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0 : 태양광발전패널
200 : 고정프레임
300 : 연결프레임
400 : 기초볼트유닛
410 : 지지부
420 : 스크류부
430a, 430b : 부식방지부
92 : 물침투영역
93 : 워터영역

Claims (4)

  1. 벼농사를 위한 농지에 설치되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태양광발전패널(100);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을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가 설치되고, 원통형 케이스 연결체(210)의 끝단에는 양측이 경사진 결합용 돌기(210a)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200);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농지에 고정하기 위한 기초볼트유닛(400); 및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기초볼트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의 전체 면적은 상기 농지의 전체 면적 대비 70% 이하이고,
    상기 태양광발전패널이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농지의 지면으로부터 2미터 이상이며,
    상기 기초볼트유닛은 지지부 및 스크류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농지에 고여있는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300)은,
    최외각에 설치되는 제 1 결합용 몸체(310)와;
    상기 제 1 결합용 몸체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간부로 결합용 돌기가 진입되도록 하고, 일단에 결합용 홈을 형성하여 결합용 돌기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결합용 몸체(320)와;
    상기 제 1 결합용 몸체와 제 2 결합용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스프링(330)과;
    상기 제 1 스프링 전단에 설치되어 제 1 결합용 몸체의 결합용 돌기가 진입하면 후퇴하여 제 1 스프링을 압박하고 결합용 돌기가 제 2 결합용 몸체의 결합용 홈에 삽입되면 제 1 스프링의 탄발에 의해 전진하여 결합용 돌기 상부에 위치되는 제 1 스프링 유동부(350)와;
    상기 제 1 스프링 유동부 후단에 설치되며 탄발 기능을 갖는 제 2 스프링(340)과;
    상기 제 2 스프링의 외측에 설치되어 제 2 스프링을 구동하는 원통형 형상의 구조체로서 뒤로 후퇴하면서 제 2 스프링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스프링 유동부(360)와;
    상기 제 2 스프링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 2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기 위한 제 2 스프링 지지부(3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프링 유동부는,
    손으로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테두리면에 다수개의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결합용 돌기와 연결 프레임의 결합용 홈은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KR1020200045662A 2019-11-28 2020-04-16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KR102163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5566 2019-11-28
KR1020190155566 2019-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952B1 true KR102163952B1 (ko) 2020-10-13

Family

ID=7288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662A KR102163952B1 (ko) 2019-11-28 2020-04-16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075B1 (ko) * 2022-05-19 2022-10-24 주식회사 모든솔라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KR102473936B1 (ko) * 2022-05-19 2022-12-07 주식회사 모든솔라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8028A (ja) * 2013-09-28 2015-04-13 奥地建産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等の面状物品用支持架台及びその杭部材と支持位置調整部材
KR20160086729A (ko) * 2015-01-12 2016-07-20 김한식 논에 설치하는 태양광 모듈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8028A (ja) * 2013-09-28 2015-04-13 奥地建産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等の面状物品用支持架台及びその杭部材と支持位置調整部材
KR20160086729A (ko) * 2015-01-12 2016-07-20 김한식 논에 설치하는 태양광 모듈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075B1 (ko) * 2022-05-19 2022-10-24 주식회사 모든솔라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KR102473936B1 (ko) * 2022-05-19 2022-12-07 주식회사 모든솔라 시공성이 용이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구조물의 조인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952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US7530830B1 (en) Misalignment tolerant connector
WO2009048431A3 (en) Photovoltaic tile assembly
EP2164110A1 (en) A base tile
KR20110079677A (ko) 솔라 전기 패널
EP2164111A2 (en) A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JP2010015985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における電気端子に結合するための機械的ファスナー及び電気端子に結合するための方法
WO2006031296A3 (en) Ball grid array connector
US20120222718A1 (en) Photovoltaic grounding & bonding connector
CN212926133U (zh) 一种风塔电力输送电线用埋线支撑设备
US20110275232A1 (en) Solar module connector and method of use
KR101098931B1 (ko) 태양전지모듈 지지구조물
DE102012102214B3 (de) Solarmodul mit Anschlusselementen, Solarmodulsystem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Verbindung eines Solarmoduls
CN102844888A (zh) 用于太阳能瓦片的连接器组件
KR20180040161A (ko) 지붕설치용 태양광 발전기
KR20190092079A (ko) 영농형 태양광 발전장치의 기초 구조물
CN107872191B (zh) 一种太阳能防水发电瓦集成系统
KR101767502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CN207124826U (zh) 一种新型的控制屏结构
JP201116603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屋根構造
KR101301551B1 (ko) 태양광 발전모듈의 고정장치
KR101141288B1 (ko) 태양광모듈의 단자박스
CN219247023U (zh) 一种光伏电站用连接器
KR200282419Y1 (ko) 접지봉의 분기형 연결단자
KR20140126804A (ko)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