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442A -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442A
KR20160020442A KR1020157035672A KR20157035672A KR20160020442A KR 20160020442 A KR20160020442 A KR 20160020442A KR 1020157035672 A KR1020157035672 A KR 1020157035672A KR 20157035672 A KR20157035672 A KR 20157035672A KR 20160020442 A KR20160020442 A KR 20160020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
activated
touch sensor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아오준 마
지강 장
준 슈
얀펭 장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60020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는 적어도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접하는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근처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이 인가될 때 압력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에 의해 감지되도록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에서는,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근처에 배치된 터치 센서의 활성화가 전기적으로 감지되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된다.

Description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SCREEN HOLD FROM SCREEN TOUCH}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크린 홀드(screen hold)와 스크린 터치(screen touch)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내의 터치스크린의 통합은 큰 성공을 이루었다. 터치스크린의 큰 장점은 스크린을 통해 훨씬 더 간편하게 디바이스와 상호작용을 행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디바이스들에서, 설계 트렌드는 스크린 둘레의 프레임을 최소화하여 스크린 크기를 최대화하고, 디바이스가 심미적으로 더 호감이 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최근의 설계는 단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큰 스크린 및 최소 프레임 크기를 갖는 그러한 터치스크린 디바이스를 홀드할 때, 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해 부주의하게 터치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터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비의도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결함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의 근처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의 활성화를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옵션으로서 스크린의 디스에이블된 부분 내에 위치하는 아이콘들을 스크린의 디스에이블된 부분 밖의 스크린 상의 영역으로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접하는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근처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이 인가될 때 압력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에 의해 감지되도록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에서는,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의 활성화가 전기적으로 감지되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된다.
본 발명의 교시 내용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고레벨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고레벨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개념들을 예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반드시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유일한 가능한 구성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능한 경우에, 도면들에 공통인 동일한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유리하게도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로 이동 통신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개념들은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인식되고 본 발명의 교시 내용에 의해 인지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전용 하드웨어는 물론,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들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라는 용어의 명시적인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암시적으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은 물론, 그들의 특정 예들을 상술하는 모든 설명들은 그들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게다가, 그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알려진 균등물들은 물론, 미래에 개발될 균등물들(즉, 구조에 관계없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될 임의의 요소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블록도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또는 회로의 개념도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흐름 차트들, 흐름도들, 상태 전이도들,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내에 실질적으로 표현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그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touch screen enabled device),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고레벨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프레임(210),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스크린(220), 및 터치 센서들(예를 들어, 2개의 터치 센서)(230, 232)을 포함하는 태블릿을 포함한다. 도 2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5개의 섹션(A, B, C, D, E)으로 분할된다. 도 2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의 실시예에서, 섹션 A는 예를 들어 프레임(210)의 좌측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B는 예를 들어 프레임(210)의 우측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C는 스크린(220)의 좌측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D는 스크린(220)의 우측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E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의 스크린(220)의 나머지 부분을 나타낸다.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의 섹션 A 및 B는 터치 센서들(230, 23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들(230, 232)은 터치, 힘 또는 압력에 민감한 트랜스듀서들, 예로서 촉각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의 섹션 A 및 B 내의 터치 센서들(230, 232)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가 섹션 A 및 B 중 적어도 한 섹션에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홀드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또는 손들을 이용하여 섹션 A 및/또는 섹션 B에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를 홀드하고 있을 때, 터치 센서(들)(230 및/또는 232)는 그러한 섹션들에 인가되고 있는 압력을 감지하며, 센서(들)(230 및/또는 232)는 활성화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으로 제공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도 2 및 다른 유사한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의 터치 센서들이 사용자 디바이스의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사용자 디바이스(touch screen enabled user device)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이 인가될 때 압력이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에 의해 감지되도록 터치스크린 가능 사용자 디바이스 내에 배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의 구성은 센서들(230, 232)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변경되어,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의 홀드만을 의도하는, 홀딩 디바이스(holding device), 예컨대 사용자의 손(들)에 의해 스크린(220)의 일부에 인가되는 압력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에 의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기능의 제어를 의도하는 터치 또는 스크린(220) 상의 아이콘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의 개시를 의도하는 터치로서 해석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가 활성화될 때,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스크린(220)의 섹션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되며, 따라서 스크린(220)의 그러한 터치스크린 디스에이블된 섹션에서의 임의의 압력 또는 터치는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홀드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고,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임의의 응답을 야기하거나 임의의 액션을 유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이 프레임(210)의 좌측 부분을 통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를 홀드할 때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섹션 A 내의 센서(230)를 활성화하는 경우, 섹션 C 내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된다. 유사하게,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이 프레임(210)의 우측 부분을 통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200)를 홀드할 때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섹션 B 내의 센서(232)를 활성화하는 경우, 센서(232)가 활성화된 동안은 섹션 D 내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스크린의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은 각각의 센서의 활성화 동안은 디스에이블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들에서,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스크린의 일부 내의 터치스크린 기능은 활성화된 센서의 활성화와 부합하는 터치들에 대해서만 디스에이블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들에서,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스크린의 일부 내의 터치스크린 기능은 활성화된 센서의 활성화와 부합하는 터치들이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긴 경우에 활성화된 센서의 활성화와 부합하는 터치들에 대해서만 디스에이블된다(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됨).
도 2의 실시예에 도시된 섹션 A, B, C, D, E는 예시적일 뿐이며,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들에서 섹션 A, B, C, D, E는 스크린의 상이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것들과 다른 크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들에서, 섹션 A, B, C, D, E는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프레임 섹션과 그 프레임 섹션에 가장 가까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사이의 스크린 상의 공간에 따라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프레임 섹션 상의 센서가 활성화될 때,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프레임 섹션과 그 프레임 섹션에 가장 가까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사이의 스크린 상의 공간을 포함하는 그 섹션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도 2의 센서들(230, 232)과 같은 터치 센서 스위치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은 센서들의 트리거링이 애플리케이션 및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크기 또는 강도에 따라 더 또는 덜 민감해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일부 상의 둘 이상의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들과 관련된 대응하는 섹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고레벨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어 프레임(310),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스크린(320), 및 터치 센서들(예를 들어, 4개의 터치 센서)(330, 332, 334, 336)을 포함하는 태블릿을 포함한다. 도 3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는 설명의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9개의 섹션(A1, A2, B1, B2, C1, C2, D1, D2, E)으로 분할된다. 도 3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의 실시예에서, 섹션 A2는 예를 들어 프레임(310)의 좌상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A1은 예를 들어 프레임(310)의 좌하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B2는 예를 들어 프레임(310)의 우상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B1은 예를 들어 프레임(310)의 우하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C2는 스크린(320)의 좌상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C1은 스크린(320)의 좌하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D2는 스크린(320)의 우상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D1은 스크린(320)의 우하 부분을 나타내고, 섹션 E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의 스크린(320)의 나머지 부분을 나타낸다.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의 섹션 A1, A2, B1 및 B2는 터치 센서들(330, 334, 332, 336)을 포함한다.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의 섹션 A1, A2, B1 및 B2 내의 터치 센서들(330, 334, 332, 336)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가 섹션 A1, A2, B1 및 B2 중 적어도 한 섹션에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홀드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 또는 손들(또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을 이용하여 섹션 A1, A2, B1 및 B2 중 적어도 한 섹션에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를 홀드하고 있을 때, 터치 센서(들)(330, 334, 332, 336) 중 대응하는 한 센서는 그러한 섹션(들)에 인가되고 있는 압력을 감지하며, 센서(들)(330, 334, 332, 336)는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의 구성은 센서들(330, 334, 332, 336)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변경되어,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의 홀드만을 의도하는, 스크린(320)의 일부에 인가되는 압력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에 의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기능의 제어를 의도하는 터치 또는 스크린(320) 상의 애플리케이션의 개시를 의도하는 터치로서 해석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가 활성화될 때,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스크린(320)의 섹션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되며, 따라서 스크린(320)의 그러한 디스에이블된 섹션에서의 임의의 압력 또는 터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로부터의 임의의 응답을 야기하거나 임의의 액션을 유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이 프레임(310)의 좌하 부분을 통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를 홀드할 때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섹션 A1 내의 센서(330)를 활성화하는 경우, 섹션 C1 내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된다. 유사하게,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이 프레임(310)의 우하 부분을 통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를 홀드할 때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섹션 B1 내의 센서(332)를 활성화하는 경우, 섹션 D1 내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된다.
위의 도 2 및 도 3에서는 터치 센서들 및 섹션들이 수 및 위치에서 대응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들에서 터치 센서들 및 섹션들은 일대일 관계를 가질 필요가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센서들보다 많은 섹션들 또는 섹션들보다 많은 센서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센서들 및 섹션들은 위치에서 대응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도 2 및 도 3에서는 사용자가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홀드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동일한 원리들은 사용자의 손(들)이 아닌 다른 무언가가 이동 통신 디바이스를 안정화하거나 홀드하기 위해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프레임에 압력을 인가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다른 부분들 근처의 위치들에 터치 센서들 및 관련 섹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는 섹션 F, G, H 및 I를 더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섹션 F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의 프레임(310)의 상부를 나타내고, 섹션 G는 예를 들어 프레임(310)의 하부를 나타내고, 섹션 H는 예를 들어 스크린(320)의 상부를 나타내고, 섹션 I는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의 스크린(320)의 하부를 나타낸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300)의 섹션 F 및 G는 터치 센서들(338, 339)을 포함한다. 도 3에서 섹션 H 및 I는 예를 들어 섹션 C2, D2, C1, D1 및 E와 중복되지 않는 스크린의 일부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섹션들은 중복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구성은 터치 센서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변경되어,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홀드만을 의도하는,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일부에 인가되는 압력은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에 의해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기능의 제어를 의도하는 터치 또는 스크린 상의 아이콘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의 개시를 의도하는 터치로서 해석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가 활성화될 때,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섹션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되며, 따라서 스크린의 그러한 디스에이블된 섹션에서의 스크린의 임의의 압력 또는 터치는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로부터의 임의의 응답을 야기하거나 임의의 액션을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가 활성화될 때,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구성은 애플리케이션들을 개시하거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활성화하도록 의도된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아이콘들을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영역으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그러한 아이콘들의 부주의한 트리거링을 방지하고 그러한 아이콘들을 스크린의 활성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가 전술한 바와 같이 활성화될 때, 애플리케이션들을 개시하거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활성화하도록 의도된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아이콘들은 스크린의 일부 밖으로 이동되며, 거기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들)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된다.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들에서,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일부 내의 터치스크린 기능은 활성화된 센서의 활성화와 부합하는 터치들에 대해서만 디스에이블된다. 즉, 그러한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센서의 활성화와 부합하는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스크린의 일부 내의 임의의 터치들은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홀드와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며, 그러한 터치들은 어떠한 액션도 유발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스크린의 그 부분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본 발명에 따라 디스에이블되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일부에 대한 터치스크린 기능은 센서가 활성화되는 순간에 디스에이블되거나,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서는 센서가 활성화되는 순간으로부터 그리고 센서가 활성화된 후 짧은 기간 동안, 예를 들어 센서가 활성화된 후 1초 또는 2초 동안 디스에이블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처음 설명된 실시예에서 센서가 활성화된 순간 이후에 또는 두 번째로 설명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센서가 활성화된 후 1초 또는 2초를 초과한 후에 행해지는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부분들 상의 터치들은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터치들이 통상적으로 기능하는 바와 같이 기능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스크린의 일부 내의 터치스크린 기능은 활성화된 센서의 활성화와 부합하는 터치들이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긴 경우에 활성화된 센서의 활성화와 부합하는 터치들에 대해서만 디스에이블된다. 즉, 본 발명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센서의 활성화와 부합하는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스크린의 일부 내의 임의의 터치들은 그러한 터치들이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길게 유지되는 경우에만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홀드 또는 개별 홀드들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일부에 대한 터치스크린 기능은 터치가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길게 스크린 상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만 센서가 활성화된 순간에 발생하는 터치들에 대해 디스에이블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터치 센서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프레임을 홀드하는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경우,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스크린의 일부 내의 터치는 터치가 예를 들어 1초 또는 2초보다 길게 스크린의 그 부분에서 감지되는 경우에만 홀드로서 간주된다. 터치가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짧은 기간 동안 스크린의 그 부분에서 감지되는 경우, 그 터치는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홀드와 관련되지 않은 터치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그 터치에 대한 터치스크린 기능은 디스에이블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대안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의 터치 응답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지연되며, 따라서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터치가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오래 감지되는 경우에, 터치는 홀드로서 간주되며, 이동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가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오래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터치의 영역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섹션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에이블된다. 본 발명의 대안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가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오래 감지되는 것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들을 개시하거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을 활성화하도록 의도된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의 아이콘들이 활성화된 센서 근처의 영역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의 방법(400)은 예를 들어 단계 402에서 시작되고, 그 단계 동안,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의 활성화가 전기적으로 감지된다. 이어서, 방법(400)은 단계 404로 진행한다.
단계 404에서,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터치 센서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된다. 방법(400)은 옵션 단계 406으로 진행할 수 있거나, 이어서 종료될 수 있다.
옵션 단계 406에서, 스크린의 디스에이블된 부분 내에 위치하는 아이콘들이 스크린의 디스에이블된 부분 밖의 스크린의 영역에 재배치된다.
(한정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을 의도하는)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며, 위의 교시 내용에 비추어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수정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변경들이 개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과 관련되지만, 본 발명의 기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다른 그리고 추가적인 실시예들이 창안될 수 있다.

Claims (16)

  1.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touch screen enabled device)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의 근처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의 활성화(activation)를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는(disabling)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상기 디스에이블된 부분 내에 위치하는 아이콘들을 상기 스크린의 상기 디스에이블된 부분 밖의 상기 스크린 상의 영역으로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가 활성화된 동안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의 상기 활성화와 부합하는 상기 스크린의 터치들에 대해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의 상기 활성화와 부합하는 상기 스크린의 터치들에 대해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이 조정 가능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미리 결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상기 스크린의 터치들에 대해서만 디스에이블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의 터치스크린 응답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접하는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 압력이 인가될 때 상기 압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에 의해 감지되도록 상기 장치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며,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의 활성화를 전기적으로 감지하고;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터치스크린 가능 디바이스의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에이블된 부분 내에 위치하는 아이콘들이 상기 디스에이블된 부분 밖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에 재배치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가 활성화된 동안 디스에이블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의 상기 활성화와 부합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터치들에 대해 디스에이블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미리 결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의 상기 활성화와 부합하는 상기 스크린의 터치들에 대해 디스에이블되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이 조정 가능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이 미리 결정된 기간을 초과하는 상기 스크린의 터치들에 대해 디스에이블되는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터치 센서 근처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적어도 일부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터치스크린 응답을 지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57035672A 2013-06-19 2013-06-19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204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77505 WO2014201648A1 (en) 2013-06-19 2013-06-19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screen hold from screen tou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442A true KR20160020442A (ko) 2016-02-23

Family

ID=5210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672A KR20160020442A (ko) 2013-06-19 2013-06-19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041683A1 (ko)
EP (1) EP3011414A4 (ko)
JP (1) JP6594298B2 (ko)
KR (1) KR20160020442A (ko)
CN (1) CN105190501B (ko)
AU (1) AU2013393263B2 (ko)
BR (1) BR112015026726A2 (ko)
HK (1) HK1224059A1 (ko)
WO (1) WO2014201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2667B2 (en) 2007-06-13 2017-09-26 Apple Inc. Integrated multi-touch surface having varying sensor granularity
US9304575B2 (en) 2013-11-26 2016-04-05 Apple Inc. Reducing touch sensor panel power consumption
WO2018072023A1 (en) 2016-10-20 2018-04-26 Coldblock Technologies Inc. Digester system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samples for chemical analysis
KR20190027553A (ko) * 2017-09-07 2019-03-15 주식회사 하이딥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514729B1 (ko) * 2018-01-18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69170B1 (ko) 2018-08-09 2023-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DE102019208903A1 (de) 2019-06-12 2020-12-17 Siemens Healthcare Gmbh Bereitstellen eines Ausgabesignals mittels einer berührungssensitiven Eingabeeinheit und Bereitstellen einer trainierten Funktion
CN110908579B (zh) * 2019-10-31 2022-0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响应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7789B2 (en) * 2004-11-23 2010-12-07 Microsoft Corporation Reducing accidental touch-sensitive device activation
JP4699955B2 (ja) * 2006-07-21 2011-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20080278454A1 (en) * 2007-05-08 200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tting touch sensitivity in portable terminal
US20090174679A1 (en) * 2008-01-04 2009-07-09 Wayne Carl Westerma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KR101499546B1 (ko) * 2008-01-1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US8004501B2 (en) * 2008-01-21 2011-08-2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Hand-held device with touchscreen and digital tactile pixels
US20110001706A1 (en) * 2009-07-02 2011-01-06 Emery Sanford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display module
JP5669169B2 (ja) * 2009-07-28 2015-02-1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432368B2 (en) * 2010-01-06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force-sensitive input
JP5434700B2 (ja) * 2010-03-10 2014-03-05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8674959B2 (en) * 2010-06-28 2014-03-18 Intel Corporation Dynamic bezel for a mobile device
JP5133372B2 (ja) * 2010-06-28 2013-01-3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入力装置、その入力無効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5323010B2 (ja) * 2010-07-05 2013-10-23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入力装置、その画面配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8593418B2 (en) * 2010-08-08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display content
US20120038571A1 (en) * 2010-08-11 2012-02-16 Marco Susani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sizing an Active Screen of a Handheld Device
KR101685363B1 (ko) * 2010-09-27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5497722B2 (ja) * 2011-10-14 2014-05-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情報端末、入力制御方法、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20130102298A (ko) * 2012-03-07 2013-09-17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5922480B2 (ja) * 2012-04-25 2016-05-24 京セラ株式会社 表示機能を備える携帯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機能を備える携帯機器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1414A1 (en) 2016-04-27
JP6594298B2 (ja) 2019-10-23
HK1224059A1 (zh) 2017-08-11
EP3011414A4 (en) 2016-12-07
JP2016527606A (ja) 2016-09-08
AU2013393263B2 (en) 2019-09-26
CN105190501A (zh) 2015-12-23
CN105190501B (zh) 2019-11-08
BR112015026726A2 (pt) 2017-07-25
WO2014201648A1 (en) 2014-12-24
US20160041683A1 (en) 2016-02-11
AU2013393263A1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0442A (ko)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3217253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able by non-contact gesture
US20180203568A1 (en) Method for Enabling Function Module of Terminal, and Terminal Device
JP6283106B2 (ja) タッチ制御応答方法及び装置
US20160062545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touch detecting method thereof
KR20140139241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591992B2 (en) Simulation of control areas on touch surface using haptic feedback
WO2015096469A1 (zh) 一种移动终端的音量调控装置及方法、移动终端
US104889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eventing unintentional touch
CN103927096A (zh) 一种移动终端触摸屏分级别响应的方法及其系统
KR20180048158A (ko) 디스플레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TWI510976B (zh) 觸碰輸入來源的選擇方法與電子裝置
US102683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functional key on side surface
CA2897131C (en) Off-center sensor target region
KR102429521B1 (ko) 전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70351374A1 (en) Input device control using distance
WO2015002300A1 (ja) 携帯端末および制御方法
CN105487697B (zh) 一种防止触屏按键失效的方法与装置
WO2015100892A1 (zh) 一种触控方法、装置及终端
CN105190471A (zh) 基于触摸显示器的输入位置控制天线的发射功率
CN103631505B (zh) 信息处理设备以及字符输入显示方法
CN103631499B (zh) 一种模式切换方法及电子设备
CN105320386A (zh) 控制计算设备的输入形式
JP6367110B2 (ja) 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WO2014166236A1 (zh) 一种触摸屏悬浮对象在触摸屏边缘的排布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