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016A -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 Google Patents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016A
KR20160020016A KR1020140104395A KR20140104395A KR20160020016A KR 20160020016 A KR20160020016 A KR 20160020016A KR 1020140104395 A KR1020140104395 A KR 1020140104395A KR 20140104395 A KR20140104395 A KR 20140104395A KR 20160020016 A KR20160020016 A KR 20160020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oller
roller
frame
re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경
임정혁
김동영
현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Priority to KR102014010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016A/ko
Publication of KR2016002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30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 B65H20/32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by making loops
    • B65H20/34Arrangements for accumulating surplus web by making loop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65H26/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sence of irregularities in running webs
    • B65H26/0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sence of irregularities in running webs for variation in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Landscapes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릴(1)로부터 공급된 평판형태로 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롤러(20);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로부터 낙하되도록 안내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제 1 고정롤러(30);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설치되는 동일선상의 상기 프레임(10) 상단부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제 2 고정롤러(40); 및 상기 제 2 고정롤러(40)에 의해 배출된 자재를 가공라인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롤러(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재의 단선 또는 자재 소진시 적재된 자재를 공급함으로써 자재의 연결작업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여 연속적으로 자재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Accumulating Apparatus for Rereeler System}
본 발명은,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릴투릴(Reel to Reel) 타입의 가공라인으로부터 가공완료된 자재 권취시 권취완료된 릴과 새로 권취할 릴 교체시 자재를 연속적으로 권취하기 위한 릴 교체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재를 축적하도록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릴러 시스템(Rereeler System)은 도금과 같은 가공라인에서 가공 완료된 자재를 보빈(릴)에 감고 커팅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리릴러 시스템(Rereeler System)은 리코일러(Recoiler) 시스템으로 불릴 수도 있다.
가공라인에서 가공 완료된 자재는 보빈에 다시 감고 커팅하게 되는데, 보빈에 권취가 완료되면 커팅하고 다시 새로운 보빈에 권취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보빈을 교체하여야 한다. 가공라인에서 가공 완료된 자재를 지속적으로 권취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빈 교체시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종래의 리릴러 시스템은 이러한 보빈 교체시에 가공라인을 중단시키고, 새로운 보빈을 설치한 후, 보빈 설치가 완료되면 가공라인을 가동시켜 자재를 권취하는 형태를 취하여 왔다.
따라서, 가공라인으로부터 가공완료된 자재를 지속적으로 권취되도록 하면서 새로운 보빈 교체를 위한 보빈교체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여야 한다.
보빈 교체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은 아니지만, 보빈 교체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보빈을 2개 이상의 다수열로 설치하여 하나의 보빈에 권취가 완료되면 미리 설치된 새로운 보빈에 권취되도록 하여 보빈의 교체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또한, 새로운 보빈이 미리 설치되었다고 할지라도 보빈 교체시에 가공라인을 중단시키고, 새로운 보빈에 감을 준비가 완료되면 가공라인을 가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가공라인으로부터 가공완료된 자재를 지속적으로 권취되도록 하면서 새로운 보빈 교체를 위한 보빈교체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일예로 자재의 연결작업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것으로서, 한국특허출원 제10-1994-0006821호(발명의 명칭: 리드 프레임의 공급 시간 지연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장치는 리릴러 시스템과 반대되는 개념인 디릴러 시스템의 일예이다.
상기 리드 프레임의 공급시간 지연장치는 리드 프레임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1)과, 이 프레임(111)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서포트(112)와, 이 서포트(112)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가이드 휠(115)(115')이 설치된 승강부재(113)와, 상기 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승강부재(113)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20)과, 상기 서포트(112)에 설치되어 승강부재(113)에 상승력을 제공하는 상승수단(130)과, 상기 가이드 휠(115)(115')의 수직 하부의 프레임(111)에 고정설치된 지지휠(116)과, 상기 프레임(1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고정휠(117)(117')과, 상기 입구측의 고정휠(117)과 인접되는 측에 설치되어 리드 프레임(160)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수단(140)과, 이 스토퍼 수단(140)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수단(120)을 제어하는 감지수단(15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승강수단인 로드레스 실린더(121)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부재(113)가 상승되어 가이드 휠(115)(115')과 제1고정휠(117)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휠(115)(115')(116)에 지지된 리드 프레임(160)은 우회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도금장치(170)의 체인 마스크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리드 프레임 감김릴(161)에 감긴 리드 프레임(160)은 도금장치(170)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리드 프레임(160)이 공급된 과정에서 감김릴(161)에 감긴 리드 프레임(160)이 다 풀리거나 절단되어 상기 근접센서(162)에 리드 프레임(160)이 끝단부가 감지되면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공급되어 스토퍼 수단(140)의 실린더가 작동되고 그 단부에 설치된 제2스토퍼와 고정부재 사이에 리드 프레임(160)이 끼워짐으로써 고정되고 승강수단의 로드레스 실린더(121)의 하부 포트로부터 급격히 에어가 배기되면서 승강부재(113)의 하강하려는 힘과 무게추(132)의 균형이 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인마스크가 계속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리드 프레임(160)이 끌어당겨지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113)가 서서히 하강함과 아울러 무게추(132)가 상승되게 되면서 리드 프레임(160)은 연속적으로 도금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드 프레임의 공급 시간 지연장치는 리드 프레임(160)이 다 풀리거나 절단되어도 리드 프레임(160)은 연속적으로 도금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장치는 리드프레임(160)이 공급라인 전 구간에서 일정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롤러 형태로 된 고정휠(117)(117'), 가이드 휠(115)(115') 및 지지휠(116)에 감겨 지지되어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리드프레임(16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리드 프레임(160)이 느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장력으로 휠에 감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고장력에도 손상되지 않는 리드 프레임(160)에 적용가능하므로, 평평한 평판으로 된 2차원형상을 갖는 리드 프레임에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프레임(160)이 고장력으로 휠에 감겨 있게 되므로 단선되는 경우 작업자가 단선확인을 위해 리드 프레임(160)을 잡게 되면 고장력으로 감긴 리드 프레임(300)에 의해 상해를 입을 위험도가 매우 높게 된다.
하지만, 평판 상부로 형상이 추가된 3차원형상을 갖는 리드 프레임에 적용하면 리드 프레임(160)이 고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도금장치(170)로 공급되기 때문에 리드프레임(160)이 손상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승강부재(113)의 승하강 작동이 로드레스 실린더(121)와 무게추(132)를 이용하여 승강부재(113)가 하강 작동하기 때문에 복잡한 유압회로장치와 기구적인 메카니즘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장치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우며 제작비용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라인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가공라인으로부터 가공완료된 자재 권취시에 릴 교체시간을 확보하여 자재를 지속적으로 권취되도록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재에 걸리는 장력을 적게 하여 자재의 축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장치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공라인으로부터 가공완료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롤러(20);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로부터 낙하되도록 안내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제 1 고정롤러(30);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설치되는 동일선상의 상기 프레임(10) 상단부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제 2 고정롤러(40); 및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후단에 상기 프레임(10) 상부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롤러(40)에 의해 이송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릴(1)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롤러(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릴(1) 교체시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 자재를 U자형으로 유지하여 적재함으로써 릴(1)의 교체작업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여 연속적으로 자재를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위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가이드롤러(2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정지시키는 제 7 감지센서(91)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연직하부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정지시키는 제 8 감지센서(9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7 감지센서(91)와 상기 제 8 감지센서(92)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을 정지시키는 제 2 감지센서(60)와, 상기 제 2 감지센서(60)의 연직하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고정롤러(40)를 회전작동시키는 제 3 감지센서(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감지센서(60)와 상기 제 3 감지센서(70)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릴 교체시에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정지시키고,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회전작동시키도록 하는 제 1 감지센서(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감지센서(80)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자재 배출측 외주연 단부 부위에서 연직하부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자재 유입측 외주연 단부 부위에서 연직하부로 각각 입설되어 릴 교체시에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는 자재의 유동을 제한하여 U자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판(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50) 후단에는 릴(1)로 권취되는 자재가 단선되는 것을 감지하며, 단선 감지시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을 정지시키는 단선감지센서(9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단선감지센서(95)에 의한 단선 감지시 작업자에게 알리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이 작동되도록 하는 경고장치(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고정롤러(40)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이격되는 거리가 일정하게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설치되는 동일선상의 상기 프레임(10) 상단부에 일렬로 다수개 이격 설치되며, 릴 교체시 각각의 상기 제 2 고정롤러(40)들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라인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가공라인으로부터 가공완료된 자재 권취시에 릴 교체시간을 확보하여 자재를 지속적으로 권취되도록 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릴 교체시간을 확보하여 줌으로써 한사람이 여러 라인을 관리할 수 있어 품질 및 인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승하강 부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자재의 하중에 의해서 자재를 축적시켜 릴 교체시까지 자재를 지속적으로 축적시키도록 함으로써 장치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자재 전체가 롤러에 팽팽하게 감기는 종래의 장치와는 달리 자재의 자체 하중에 의해서 자재를 축적시키고 권취시에 축적된 자재를 인접하는 롤러에 의해서만 이송시키므로, 자재에 작용하는 장력을 적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손상되기 쉽고 고장력에 사용할 수 없는 자재나, 심(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chip)류와 같이 평판 상부 또는 하부로 형상이 추가된 3차원형상을 갖는 자재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리드 프레임 공급 시간 지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는 가공라인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가공라인으로부터 가공완료된 자재를 지속적으로 권취되도록 자재를 축적하되, 자재의 자체 중량에 의해 축적되도록 하여 권취시 릴 교체작업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고, 자재의 자체 중량에 의해 자재가 축적되고 축적된 자재를 이송공급하므로 자재에 걸리는 장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저(低) 장력 리릴러 시스템은 프레임(10), 제 1 가이드 롤러(20), 제 1 고정롤러(30), 제 2 고정롤러(40) 및 제 2 가이드 롤러(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릴(1), 제 1 가이드 롤러(20), 제 1 고정롤러(30), 제 2 고정롤러(40) 및 제 2 가이드 롤러(50)가 설치된다.
상기 릴(1)은 평판형태로 된 자재가 감기며 회전되게 프레임(10)에 설치되어 감긴 자재를 공급한다. 상기 릴(1)로 자재(4)가 권취될 때 상기 릴(1)에 감긴 자재들 간의 엉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이터(2)가 개재되도록 한다. 페이퍼(2)는 상기 릴(1)과 근접하여 이격설치되는 페이퍼용 릴(3)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공라인으로부터 가공완료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하부로 낙하된 자재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 1 고정롤러(30)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 1 고정롤러(30)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로부터 낙하되도록 안내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자재는 상기 제 2 고정롤러(40)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상기 제 2 고정롤러(40)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설치되는 동일선상의 상기 프레임(10) 상단부에 이격 설치된다. 상기 제 2 고정롤러(40)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고정롤러(40)에 의해 이송된 자재는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50)에 의해 릴(1)에 권취되도록 안내되게 된다.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50)는 상기 제 2 고정롤러(40)에 의해 이송된 자재를 릴(1)에 권취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로부터 낙하되도록 안내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고정롤러(40)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배출되도록 하게 되면, 종래에서와 같이 자재 전체가 롤러에 팽팽하게 감기는 형태가 아니고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U자형을 이루면서 자재가 이송되게 되고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후단에 위치하는 롤러에 의해 자재를 이송시키므로, 자재에 작용하는 장력을 적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자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손상되기 쉽고 고장력에 사용할 수 없는 자재나, 심(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칩(chip)류와 같이 평판 상부 또는 하부로 형상이 추가된 3차원형상을 갖는 자재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장치로는 장력이 강하기 때문에 3차원형상을 갖는 자재에 적용할 수 없게 되나, 본 발명은 장력을 적게 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재에 작용하는 장력이 적게 되므로 자재의 단선이 발생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로부터 낙하되도록 안내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 위치한 자재에 걸리는 장력이 적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고정롤러(40)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이송되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 위치한 자재에 걸리는 장력이 적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자재 권취시와 릴 교체시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재권치시에는 가공라인에서 자재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에 의해 안내된다. 안내된 자재는 제 1 가이드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자재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상기 제 2 고정롤러(40)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상기 제 2 고정롤러(40)에 의해 이송된 자재는 상기 제 2 고정롤러(40)와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5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50)에 의해 상기 릴(1)로 안내되어 권취되게 된다.
릴 교체시에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하부로 이동되어 적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적재되는 자재는 상기 릴(1)로 이송되지 않게 되므로, 결국, 릴(1)로 자재가 이송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릴 교체 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릴 교체 작업시간은 자재가 더 이상 적재되기 어렵게 되기 전까지이다. 즉,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적재되는 자재가 너무 많게 되어 프레임(10) 하단에서 U자형을 이루지 못하고 적층되기 전까지이다. 이 전까지 릴 교체 작업이 완료되면 자재권취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릴 교체작업이 완료되면 자재권취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데, 만약, 작업자에 의한 릴 교체작업이 적재되는 자재가 U자형을 이루지 못하고 적층되기 전까지도 완료되지 않으면 작업자가 정지버튼을 눌러 가공라인을 중단하여야 한다.
릴 교체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리셋버튼을 눌러 정상적인 자재 권취시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50) 후단에는 자재의 단선을 감지하는 단선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자재 권취시에 자재가 단선된 상태를 감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릴(1)에 자재권취가 완료되면 새로운 릴(1)에 권취되도록 하기 위한 릴 교체시에,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U자형을 이루어 하부로 이송되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고정롤러(30) 및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 및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은 제어부(5)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제 1 고정롤러(30)의 회전작동 제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는, 정상적으로 자재가 권취될 때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적재된 자재의 양을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보다 낮게 설치되므로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에서 안내되는 자재의 양보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되는 자재의 양이 많게 되면 자재가 U자형을 이루지 못하고 자재가 고장력이 걸려 팽팽하게 되어 자재가 단선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위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가이드롤러(2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정지시키는 제 7 감지센서(91)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제 7 감지센서(91)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에 의해 안내되는 자재의 양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되는 자재의 양보다 많으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에 의해 안내되는 자재의 양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되는 자재의 양보다 적으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7 감지센서(91)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제 7 감지센서(91)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회전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자재가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자재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게 되므로 자재에 걸리는 장력을 적게 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로는, 릴 교체시에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된 상태를 이룰 때 자재의 굴곡부위가 일정범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적재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에서 안내되는 자재길이가 너무 길게 되면, 자재 하단 굴곡부위가 프레임 하단에서 자재끼리 서로 꼬여 U자형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3차원형상을 갖는 자재의 경우에는 서로 엉켜 쉽게 분리되지 않아 자재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에서 안내되는 자재길이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 8 감지센서(92)와 제 9 감지센서(93)를 설치하여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U자형을 이루고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일정범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적재되도록 한다.
상기 제 8 감지센서(92)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연직하부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9 감지센서(93)는 상기 제 8 감지센서(92)의 연직하부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a는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의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상기 제 8 감지센서(92)와 상기 제 9 감지센서(93)가 설치되는 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8 감지센서(92)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센서이며, 상기 제 9 감지센서(93)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또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 8 감지센서(92)와 상기 제 9 감지센서(93)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는 자재의 양을 일정량 확보하면서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로는, 정상적으로 자재가 권취될 때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U자형을 이루는 굴곡부위가 일정범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권취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서 제 2 고정롤러(40)로 이송되는 자재길이가 너무 길게 되면 U자형을 이루는 굴곡부위의 위치가 낮아지게 되므로, 릴 교체시에 적재되는 자재의 양이 적게 될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릴 교체시간이 짧게 되어 안정된 릴 교체가 어렵게 된다. 또한, 더 긴 릴 교체시간 확보를 위해서는 프레임(10)의 높이가 높아질 수 밖에 없게 되며, 프레임(10)의 높이가 높아지면 안정된 프레임(10)의 설치가 어렵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서 제 2 고정롤러(40)로 이송되는 자재길이가 너무 짧게 되면 자재가 U자형을 이루지 못하고 자재가 팽팽하게 되어 고장력이 걸리게 되므로 자재의 단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서 제 2 고정롤러(40)로 이송되는 자재길이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권취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 2 감지센서(60)와 제 3 감지센서(70)를 설치하여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일정범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서 제 2 고정롤러(40)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감지센서(60)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 감지센서(70)는 상기 제 2 감지센서(60)의 연직하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고정롤러(40)를 회전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릴 교체시에는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이 정지되어야 릴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릴 교체시에는 상기 제 3 감지센서(70)의 감지는 무시되며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은 정지되게 된다.
도 2a는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의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상기 제 2 감지센서(60)와 제 3 감지센서(70)가 설치되는 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2 감지센서(60)와 상기 제 3 감지센서(70)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 2 감지센서(60)와 제 3 감지센서(70)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저 장력으로 권취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릴 교체시에는 가공라인으로부터 지속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 제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에 의한 릴 교체시에 가공라인의 작동정지 없이 가공라인으로부터 지속적인 이송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고정롤러(40)의 작동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릴교체시에 가공라인으로부터 지속적인 이송을 위해서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작동되어야 하며, 제 2 고정롤러(40)는 정지되어야 한다. 릴 교체시에 상기 제 2 고정롤러(40)가 정지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자재가 이송되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가 하강하면서 적재되게 된다(도 2b의 상태).
이와 같이, 릴 교체시에는 자재가 연속적인 가공라인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공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자재를 적재되도록 한다.
릴 교체시에는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가 자재가 하강하면서 적재되게 되는데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지속적인 작동에 의해 자재의 적재가 완료되게 된다(도 2c의 상태). 하지만, 자재의 적재가 완료된 후에도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지속적으로 작동되게 되면, 적재되는 자재가 너무 많게 되어 프레임(10) 하단에서 적층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지속적인 작동에 의해 적재된 자재가 너무 많게 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감지센서(80)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지속적인 작동으로 적재되는 자재가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 1 감지센서(80)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하강하는 것을 검출한다.
상기 제 1 감지센서(80)는 릴 교체시에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센서(80)는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회전작동시키도록 하여 자재의 권취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a의 상태에서처럼 상기 제 2 감지센서(60)와 제 3 감지센서(70)가 설치되는 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감지센서(80)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재가 단선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선감지센서(95)에 의해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이 정지되어야 자재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경우에는 전술한 릴 교체시와 마찬가지로 자재를 적재하도록 하여 자재 연결작업시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적재되는 자재는 자재의 자체하중에 의해 U자형으로 이루기 때문에 자재의 자체하중보다 큰 강도를 갖는 바람 등에 의해 자재가 유동될 수 있다. 이렇게 자재가 유동되면 자재가 꼬아 지거나 자재 끼리 서로 부딪쳐 자재의 손상을 가져 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재된 자재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가이드판(6)을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판(6)은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자재 배출측 외주연 단부 부위에서 연직하부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자재 유입측 외주연 단부 부위에서 연직하부로 각각 입설되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는 자재의 유동을 제한하여 U자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판(6)은 금속재로 된 자재로부터 정전기가 방지될 수 있는 절연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단선감지센서(95)에 의한 단선 감지시 작업자에게 알리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이 작동되도록 하는 경고장치(7)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제 2 고정롤러(40)가 하나인 경우이다. 상기 제 2 고정롤러(40)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 U자형으로 적재되는 자재의 양이 후술할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U자형으로 적재되는 자재의 양보다 적게 되며, 이에 따라, 릴 교체작업을 위해 확보되는 시간도 짧게 된다. 이 경우 숙련된 작업자가 릴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의 경우에는 릴 교체작업을 위해 확보되는 시간이 짧아 한 사람의 작업자가 여러 라인을 관리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사람의 작업자가 여러 라인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릴 교체작업을 위해 확보되는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a 내지 도 3e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의 상기 제 2 고정롤러(40)를 다수개 설치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U자형을 이루도록 감지하는 상기 제 7 감지센서(91)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 위치한 자재가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된 상태를 이룰 때 자재의 굴곡부위가 일정범위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 8 감지센서(92)와 제 9 감지센서(93)는 전술한 본 발명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고정롤러(41,42,43)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이격되는 거리가 일정하게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설치되는 동일선상의 상기 프레임(10) 상단부에 일렬로 다수개 이격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제 2 고정롤러(41,42,43)들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 2 고정롤러(41,42,43)가 3개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 2 고정롤러(41,42,43)의 개수는 가공라인의 길이, 작업자의 숙련도, 작업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어 질 수 있다. 가공라인의 길이가 길거나 작업자의 숙련도가 낮거나 작업장의 크기가 크면 제 2 고정롤러(41,42,43)의 개수를 많게 설치하도록 하고, 가공라인의 길이가 짧거나 작업자의 숙련도가 높거나 작업장의 크기가 작으면 제 2 고정롤러(41,42,43)의 개수를 적게 설치하도록 한다. 작업자의 숙련도와 가공라인의 길이를 고려할 때 통상적으로 제 2 고정롤러(41,42,43)의 개수는 3개 정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고정롤러(41,42,43)가 3개 설치된 상태이며, 각각의 상기 제 2 고정롤러(41,42,43)들 사이에는 전술한 상기 제 1 감지센서(81,82,83), 제 2 감지센서(61,62,63) 및 제 3 감지센서(71,72,73)가 각각 설치된다.
도 3a는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의 상태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1,42,43)들 사이에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각각 상기 제 2 감지센서(61,62,63)와 제 3 감지센서(71,72,73)가 설치되는 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가공라인으로부터 자재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에 의해 낙하되어 안내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에서 낙하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도록 하여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자재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 후단에 인접하는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에 의해 이송되는데, 자재의 자체 하중에 의해 U자형을 이루어 이송되게 된다.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에 의해 이송된 자재는 다시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 후단에 인접하는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에 의해 이송되는데, 자재의 자체 하중에 의해 U자형을 이루어 이송되게 된다.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에 의해 이송된 자재는 또 다시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 후단에 인접하는 마지막 상기 제 2 고정롤러(43)에 의해 이송된다. 마지막 상기 제 2 고정롤러(43)에 의해 이송된 자재는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50)에 의해 자재의 자체 하중에 의해 U자형을 이루어 릴로 이송되게 된다.
도 3b 내지 도 3e는 릴교체시를 나타낸 상태이다.
릴 교체시에는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1,42) 들에 의해 가공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자재를 지속적으로 적재하여 릴 교체작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릴 교체시에는 마지막 상기 제 2 고정롤러(43)의 회전작동이 정지되게 되게 된다(도 3b 참조).
이어서,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는 마지막 상기 제 2 고정롤러(43)와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 사이에 U자형을 이루는 자재를 하강시켜 적재되도록 한다. 또한,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는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와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 사이에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감지센서(62)와 제 3 감지센서(72)가 설치되는 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회전작동된다.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는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와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 이송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 2 감지센서(61)와 제 3 감지센서(71)가 설치되는 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회전작동된다. 아울러, 제 1 고정롤러(30)는 제 1 고정롤러(30)와 제 1 가이드 롤러(20) 사이에서 이송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제 8 감지센서(92) 및 제 9 감지센서(93)가 설치되는 위치 사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회전작동된다(도 3c 참조).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와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와 마지막 상기 제 2 고정롤러(43) 사이에 자재가 적재되게 되면,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와 마지막 상기 제 2 고정롤러(43)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 1 감지센서(83)에 의해 감지되게 되고, 이 감지에 의해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가 정지되게 된다(도 3c 참조). 이때,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는 지속적으로 회전되어 자재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와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 사이에 자재가 적재되게 되면,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와 두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2)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 1 감지센서(82)에 의해 감지되게 되고, 이 감지에 의해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가 정지되게 된다(도 3d 참조). 이때, 상기 제 1 고정롤러(30)는 지속적으로 회전되어 자재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에 의해 안내되는 자재를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 사이로 적재되도록 하며, 적재가 지속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첫 번째 상기 제 2 고정롤러(41) 사이 위치한 상기 제 1 감지센서(81)에 의해 감지되게 되고 이 감지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정지되게 된다. 이 상태는 도 3e의 상태로 가공라인으로부터 배출된 자재가 모두 적재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는 가공라인을 정지시키든지, 이 상태가 되기전에 릴을 교체시키고 리셋시켜 도 3a 상태로의 복귀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릴 교체작업은 도 3a의 상태에서 릴 교체시 마지막 상기 제 2 고정롤러(43)의 회전작동이 정지된 시점에서부터 자재가 모두 적재되어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작동이 정지되는 도 3e의 상태가 되기 전까지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릴 2: 페이퍼
3: 페이퍼용 릴 4: 자재
5: 제어부 6: 가이드판
7: 경고장치 10: 프레임
20: 제 1 가이드 롤러 30: 제 1 고정롤러
40: 제 2 고정롤러 50: 제 2 가이드 롤러
70: 제 2 감지센서
80: 제 3 감지센서 90: 제 1 감지센서
95: 제 4 감지센서 96: 제 5 감지센서
97: 제 6 감지센서

Claims (11)

  1.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공라인으로부터 가공완료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롤러(20);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로부터 낙하되도록 안내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제 1 고정롤러(30);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설치되는 동일선상의 상기 프레임(10) 상단부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롤러(30)에 의해 이송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제 2 고정롤러(40); 및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후단에 상기 프레임(10) 상부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제 2 고정롤러(40)에 의해 이송된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릴(1)로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롤러(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릴(1) 교체시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 자재를 U자형으로 유지하여 적재함으로써 릴(1)의 교체작업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여 연속적으로 자재를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위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가이드롤러(2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정지시키는 제 7 감지센서(91)와,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연직하부 하단 일측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롤러(20)와 상기 제 1 고정롤러(3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정지시키는 제 8 감지센서(9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감지센서(91)와 상기 제 8 감지센서(92)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을 정지시키는 제 2 감지센서(60)와,
    상기 제 2 감지센서(60)의 연직하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는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고정롤러(40)를 회전작동시키는 제 3 감지센서(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센서(60)와 상기 제 3 감지센서(70)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사이 중간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는 자재의 굴곡부위를 검출하며, 릴 교체시에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작동정지시키고, 자재가 정상적으로 권취될 때 자재의 굴곡부위가 검출되면 상기 제 1 고정롤러(30)를 회전작동시키도록 하는 제 1 감지센서(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센서(80)는 자재의 굴곡부위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롤러(30)의 자재 배출측 외주연 단부 부위에서 연직하부와,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자재 유입측 외주연 단부 부위에서 연직하부로 각각 입설되어 릴 교체시에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제 2 고정롤러(40) 사이에서 U자형을 이루어 적재되는 자재의 유동을 제한하여 U자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판(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롤러(50) 후단에는 릴(1)로 권취되는 자재가 단선되는 것을 감지하며, 단선 감지시 상기 제 2 고정롤러(40)의 회전작동을 정지시키는 단선감지센서(9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단선감지센서(95)에 의한 단선 감지시 작업자에게 알리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이 작동되도록 하는 경고장치(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롤러(40)는 상기 제 1 고정롤러(30)와 이격되는 거리가 일정하게 상기 제 1 고정롤러(30)가 설치되는 동일선상의 상기 프레임(10) 상단부에 일렬로 다수개 이격 설치되며, 릴 교체시 각각의 상기 제 2 고정롤러(40)들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자재가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로 늘어져 U자형을 이루어 자재가 적재되도록 자재 간격을 유지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KR1020140104395A 2014-08-12 2014-08-12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KR20160020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395A KR20160020016A (ko) 2014-08-12 2014-08-12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395A KR20160020016A (ko) 2014-08-12 2014-08-12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16A true KR20160020016A (ko) 2016-02-23

Family

ID=5544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395A KR20160020016A (ko) 2014-08-12 2014-08-12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00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65231A (en) Unwinder of reels of web material
CN107310177B (zh) 贴胶片材的形成方法以及装置
JP2014076904A (ja) リング精紡機において製造された紡績コップを、後続の巻返し過程のために準備する方法
WO2010000944A2 (en) Fibrous-web unwinding arrangement, slitter-winder arrangement and method of unwinding fibrous web
CN102781794A (zh) 用于管状卷绕芯的存储单元
CN204917330U (zh) 一种自动放卷存储的装置
CN209794616U (zh) 一种用于有角度的纤维帘布裁断自动接头卷取装置
KR20140130418A (ko) 보관 릴을 감거나 및/또는 풀기 위한 시스템
KR20160020016A (ko) 리릴러 시스템용 축적장치
CN104944221A (zh) 纱管存放装置及纱线卷绕机
JP5618488B2 (ja) カレンダ設備
CN209918597U (zh) 钢丝放卷装置
CN112239104A (zh) 线缆输送装置、线缆加工系统和将线缆输送给线缆加工机的方法
KR20160020014A (ko) 저 장력 디릴러 시스템
KR20160020015A (ko) 저 장력 디릴러 시스템
CN105618509A (zh) 一种开卷送料机
KR101522165B1 (ko) 스트립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IT9047736A1 (it) Spolatrice automatica.
TWI729296B (zh) 膠帶類送出裝置以及膠帶類送出方法
CN107379593B (zh) 贴胶片材的形成方法以及装置
KR101887823B1 (ko) 엘리베이터 루퍼가 설치된 슬리팅 라인
EP2511209A1 (en) Arrangement for handling machine rolls and reeling shafts in connection with production of fiber webs
JP2005279724A (ja) 鋼帯コイルの巻戻し案内装置
JP5412094B2 (ja) カレンダ設備
CN219771425U (zh) 一种割丝机上的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