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856A - 안료 제제 - Google Patents

안료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856A
KR20160018856A KR1020167002743A KR20167002743A KR20160018856A KR 20160018856 A KR20160018856 A KR 20160018856A KR 1020167002743 A KR1020167002743 A KR 1020167002743A KR 20167002743 A KR20167002743 A KR 20167002743A KR 20160018856 A KR20160018856 A KR 20160018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x
pigment
phosphite
ter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892B1 (ko
Inventor
볼커 빌헬름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1117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1885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1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81Composite particulate pigments or fillers, i.e. containing at least two solid phases, except those consisting of coated particles of one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1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core coated with only one layer having a high or low refractive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4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51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low and high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low refractive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4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inorganic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2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a special effect of the produced film, e.g. wrinkle, pearlescence, matt fin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6Pearl essence, e.g. coatings containing platelet-like pigments for pearl lustre
    • C09D7/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0Solid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1Powder tap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04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mprising at least one inorganic oxide, e.g. Al2O3, TiO2 or SiO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2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40Interference pigments comprising an outermost surface coating
    • C09C2200/402Organic protectiv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소판형 효과 안료,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 및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을 포함하는 안료 제제, 및 적용 매질(특히, 페인트, 코팅재, 분말 코팅재 또는 중합체)의 착색(pigmentation) 및 마스터배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료 제제{PIGMENT PREPARATIONS}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소판형 효과 안료를 포함하는 안료 제제, 및 적용 매질(특히, 페인트, 코팅재, 분말 코팅재 또는 중합체)의 착색(pigmentation) 및 마스터배치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소판형 기재, 예를 들어 운모 소판에 기초한 안료의 유동 거동은 종종 불만족스러웠다. 여러 가지의 적용례에서, 특히 인쇄 및 페인트 분야에서, 이는 중요한 문제점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중합체로의 도입의 경우, 이러한 안료들의 불량한 유동 거동은 문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진주광택 안료의 가공, 예를 들어 마스터배치의 제조는, 눈에 띄게 먼지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상기 먼지를 제거하고 기기를 청소하기 위해서 상당한 수준의 복잡한 장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 분말 코팅재, 토너 등으로의 안료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안료를 유기 성분들로 코팅할 수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독일특허 제 26 03 211 호,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2005/052076 호,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2005/019327 호, 미국 특허출원 제 2002/0098495 A1 호 및 독일특허 제 43 17 019 호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6,451,102 호에서는, 소판형 효과 안료의 유동 거동 및 특히 부피 밀도(bulk density)를 증가시키기 위해, 왁스에 진주광택 안료를 매립시키는 공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50% 초과의) 효과 안료 및 유기 중합체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안료 제제는, 이러한 제제가 (문헌[the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No. L 383 A/76 dated 29. 12. 1992]의 (고체) 인화성에 대한 시험 방법 A.10에 따라) 고도의 인화성 고체로 분류되지 않는 경우 조차, 종종 산화-안정적이지 못하며, 위험한 자가-발열(self heating)의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용 매질에 매우 효과적으로 도입될 수 있고, 동시에 위험한 자가-발열의 어떠한 경향도 나타내지 않는 안료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효과 안료 및 왁스를 포함하는 안료 제제에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면, 상기 안료 제제가 위험한 자가-발열과 관련하여 안정적임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소판형 효과 안료,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안료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효과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표면에서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산화 방지제와 접착제-결합되어 있거나 이들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코팅되어 있다.
이러한 안료 제제는 자가-발화에 대해 상당히 감소된 경향성을 나타내고, 그의 양호한 유동 특성 및 높은 부피 밀도로 인해, 중합체의 착색이나 마스터배치의 제조를 위해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의 안료 제제의 제조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소판형 효과 안료 및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를 열의 영향 하에서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과 혼합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중합체로 도입하는데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로,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무-분진성(non-dusting)이며 매우 양호한 자유 유동을 가능하게 하여, 그의 공정에서의 장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추가로,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사용되는 경우, 조건에 따라 처리량이 비제제(unprepared) 안료에 비해 적어도 2 내지 5배 증가할 수 있다. 게다가, 단일 스크류 압출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제제를 사용하면, 마스터배치 기준으로 50중량%까지의 효과 안료 함량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의 필수 구성요소는, 산화방지제 뿐만 아니라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상기 왁스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20℃에서는, 반죽가능하고, 취성 내지 경질의 고체이며, 조립질 내지 세립질이며, 투명하거나 불투명하지만 유리 같지는 않으며; 40℃ 초과에서는, 분해되지 않으면서 용융되며, 상기 융점보다 약간 초과된 온도에서조차 비교적 낮은 점도를 갖고 스트링화(stringing)가 발생하지 않고, 강한 온도-의존적 점조도 및 용해도를 갖고, 약한 압력하에서 연마가능하다(polishable). 왁스는, 일반적으로 50 내지 90℃, 예외적인 경우 조차도 200℃ 이하에서 용융된 저-점도 상태로 전환되고 사실상 회-형성 화합물(ash-forming compound)이 없다는 점에서, 유사한 합성 또는 천연 생성물(예를 들어, 수지, 가소성 물질, 금속 비누 등)과 이론적으로 구별된다. 왁스는 페이스트 또는 겔을 형성하고 일반적으로 그으름 화염(sooty flame)과 함께 연소된다.
사용되는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천연 왁스, 예를 들어 식물성 왁스(예를 들자면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와 동물성 왁스(예를 들자면 밀납); 개질된 천연 왁스,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왁스; 부분 합성 왁스, 예를 들어 몬탄 에스터 왁스; 또는 완전 합성 왁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왁스(예를 들자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사이클로올레핀 중합체 왁스; 아마이드 왁스, 예를 들어 N,N-다이스테아릴에틸렌다이아민, 지르코노센 왁스; 및 염소화되거나 불소화된 폴리올레핀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왁스 혼합물이다.
폴리올레핀 왁스, 및 극성기를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왁스의 후속적인 산화에 의해, 또는 카복실산, 카복실산 에스터, 카복실산 무수물 또는 하이드록실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와의 그래프트화 반응에 의해, 또는 카복실산, 카복실산 에스터, 카복실산 무수물 또는 하이드록실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와 올레핀의 공중합화에 의해 형성된 폴리올레핀 왁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왁스란, 왁스 특성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중축합, 중부가 또는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된 것보다 고분자량인 화합물,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에폭사이드-, 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다이엔 공중합체, 사이클로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높은 온도에서 유기 용매에 대한 충분한 용해도를 보유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왁스는 500 내지 20,000, 특히 1000 내지 15,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10,000의 분자량을 갖는다.
왁스의 용융 범위(DIN 51007에 따라 측정됨)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0℃의 범위, 특히 80 내지 150℃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30℃의 범위이다.
가장 특히 바람직한 왁스는, 안료가 도입되는 마스터배치와의 우수한 상용성을 갖는 것이다. 폴리올레핀 마스터배치에 도입하는 경우에는, 폴리올레핀 왁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은, 70 내지 200℃, 특히 90 내지 130℃의 용융 범위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왁스는, 폴리올레핀 왁스, 특히 폴리에틸렌 왁스이다. 몰탄 에스터 왁스와 그의 유도체, 및 아마이드 왁스가 추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내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의 함량은, 상기 제제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중량%, 특히 20 내지 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중량%이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의 사용 분야에 따르면, 적용 매질과의 상용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왁스의 양 및 형태는 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특성들의 구체적인 프로파일을 충족시키기 위해, 1종, 2종, 3종 이상의 상이한 왁스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1종의 왁스, 특히 폴리올레핀 왁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에서, 효과 안료, 산화방지제 및 왁스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혼합된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효과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왁스에 의해 코팅된다. 즉, 왁스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산화방지제-포함 왁스로 소판형 효과 안료를 완전히 둘러싸거나 접착제-결합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소판형 효과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진주광택 안료, 간섭 안료, 금속 효과 안료, 투명, 반투명 및/또는 불투명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안료, 홀로그래픽 안료, BiOCl 안료 및/또는 LCP 안료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가능한, 진주광택 안료, 간섭 안료, 금속 효과 안료, 또는 투명, 반투명 및/또는 불투명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안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소판형인 담체에 기초한다. 적합한 예로는 TiO2 소판, 합성 운모(예를 들어, 형광금운모(fluorophlogopite)) 또는 천연 운모, 도핑되거나 미도핑된 유리 소판, 금속 소판, SiO2 소판, Al2O3, 또는 철 옥사이드 소판이다. 금속 소판은 다른 물질들 중에 알루미늄, 티탄, 청동, 강 또는 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및/또는 티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소판은 적당한 처리법에 의해 부동태화될 수 있다. 유리 소판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유형의 유리, 예를 들어 A 글래스, E 글래스, C 글래스, ECR 글래스, 사용된 유리, 창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듀란(Duran, 등록상표) 유리, 실험실용 유리 또는 광학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소판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1.80, 특히 1.50 내지 1.70이다. 유리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C 글래스, ECR 글래스 또는 보로실리케이트 유리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담체는 금속 옥사이드,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 금속 서브옥사이드, 금속, 금속 플루오라이드, 금속 니트라이드, 금속 옥시니트라이드 또는 이들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투명, 반투명 및/또는 불투명 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옥사이드,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 금속 서브옥사이드, 금속, 금속 플루오라이드, 금속 니트라이드, 금속 옥시니트라이드 층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은 낮은 굴절률(1.8 미만) 또는 높은 굴절률(1.8 이상)일 수 있다. 적합한 금속 옥사이드 및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금속 옥사이드 또는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 예를 들어 알루미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수화물,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수화물, 철 옥사이드, 주석 옥사이드, 세륨 옥사이드, 아연 옥사이드, 지르코늄 옥사이드, 크롬 옥사이드, 티탄 옥사이드, 특히 티탄 다이옥사이드, 티탄 옥사이드 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티탄철석(ilmenite) 또는 슈도브루카이트이다. 사용되는 금속 서브옥사이드는 예를 들어 티탄 서브옥사이드일 수 있다. 적합한 금속은 예를 들어 크롬, 알루미늄, 니켈, 은, 금, 티탄, 구리 또는 합금이고; 금속 플루오라이드의 적합한 예는 마그네슘 플루오라이드이다. 사용된 금속 니트라이드 또는 금속 옥시니트라이드는 예를 들어 금속 티탄, 지르코늄 및/또는 탄탈륨의 니트라이드 또는 옥시니트라이드이다. 바람직하게, 금속 옥사이드, 금속, 금속 플루오라이드 및/또는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 층,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속 옥사이드 및/또는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 층이 상기 담체에 적용된다. 추가로,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의 금속 옥사이드,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 금속 또는 금속 플루오라이드 층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물이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 층이 번갈아 존재한다. 고굴절률 층과 저굴절률 층의 층 조립체가 특히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 하나 이상의 이러한 층 조립체가 상기 담체에 적용될 수 있다.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 층의 순서는, 다층 구조물내에 상기 담체를 포함하도록 상기 담체에 매칭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금속 옥사이드,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 금속 서브옥사이드, 금속, 금속 플루오라이드, 금속 니트라이드, 금속 옥시니트라이드 층은 혼합될 수 있거나 착색제 또는 다른 요소들로 도핑될 수 있다. 적합한 착색제 또는 다른 성분들은,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 칼라 안료, 예를 들자면 착색된 금속 옥사이드, 예를 들어 자철석, 크롬 옥사이드, 또는 칼라 안료, 예를 들어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 울트라마린(ultramarine), 비쓰무쓰 바나데이트, 테나드 블루(Thenard's blue), 또는 유기 칼라 안료, 예를 들어 인디고(indigo),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또는 카르민 레드(carmine red), 또는 원소들, 예를 들어 이트륨 또는 안티몬이다. 이러한 층들을 함유하는 효과 안료는 이들의 매스 톤(mass tone)과 관련하여 높은 색상 다양성을 나타내며, 많은 경우에 간섭 결과로서 색상의 각도-의존성 변화(색상-플롭(color flop))를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담체상의 외부층은 고굴절률 금속 옥사이드이다. 이러한 외부층은 전술한 층 조립체의 상부에 추가될 수 있거나, 고굴절율 담체인 경우에는, 층 조립체의 일부일 수 있고, 예를 들어 TiO2, 티탄 서브옥사이드, Fe2O3, SnO2, ZnO, ZrO2, Ce2O3, CoO, Co3O4, V2O5, Cr2O3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티탄철석 또는 슈도브루카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TiO2가 특히 바람직하고, Fe2O3도 마찬가지이다. 담체 소판이 TiO2로 코팅되면, 상기 TiO2는 바람직하게는 금홍석 다형체나 아나타제 다형체로 존재한다. 특히 바람직한 효과 완료는 하기 구조를 갖는다:
기재 소판+TiO2(금홍석),
기재 소판+TiO2(금홍석)+Fe2O3,
기재 소판+Fe2O3,
기재 소판+Fe3O4,
기재 소판+SiO2+TiO2(금홍석),
기재 소판+TiO2(금홍석)+SiO2+TiO2(금홍석),
기재 소판+TiO2(아나타제)+SiO2+TiO2(아나타제).
본 특허 출원에서, "고굴절률"이란 1.8 이상의 굴절률을 의미하는 반면, "저굴절률"이란 1.8 미만의 굴절율을 의미한다.
금속 옥사이드,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 금속 서브옥사이드, 금속, 금속 플루오라이드, 금속 니트라이드, 금속 옥시니트라이드 층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3 내지 300㎚이고, 금속 옥사이드, 금속 옥사이드 수화물, 금속 서브옥사이드, 금속 플루오라이드, 금속 니트라이드, 금속 옥시니트라이드 층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이다. 금속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0nm이다.
담체의 크기 및 이로 인한 효과 안료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 담체 소판 및/또는 하나 이상의 투명 또는 반투명 금속 옥사이드, 금속 또는 금속 플루오라이드 층으로 코팅된 담체 소판은 일반적으로 0.05 내지 5㎛, 특히 0.1 내지 4.5㎛의 두께를 갖는다. 길이 또는 폭은 전형적으로 1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특히 2 내지 100㎛이다.
특히 바람직한 효과 안료는 하기 층 구조를 갖는다:
운모 소판+TiO2,
운모 소판+TiO2+Fe2O3,
운모 소판+TiO2/Fe2O3,
운모 소판+Fe2O3,
운모 소판+Fe3O4,
운모 소판+티탄 옥시니트라이드,
운모 소판+TiO2+SiO2+TiO2,
운모 소판+TiO2/Fe2O3,
운모 소판+TiO2/Fe2O3+SiO2+TiO2,
운모 소판+TiO2/Fe2O3+SiO2+TiO2/Fe2O3,
운모 소판+TiO2+SiO2+TiO2/Fe2O3,
Al2O3 소판+TiO2,
Al2O3 소판+Fe2O3,
Al2O3 소판+티탄 옥시니트라이드,
SiO2 소판+TiO2,
SiO2 소판+Fe2O3,
SiO2 소판+티탄 옥시니트라이드,
유리 소판+TiO2,
유리 소판+Fe2O3,
유리 소판+TiO2+Fe2O3,
유리 소판+SiO2+TiO2,
유리 소판+SiO2+Fe2O3,
유리 소판+SiO2+TiO2+Fe2O3,
유리 소판+SiO2+TiO2+SiO2,
유리 소판+TiO2+SiO2+TiO2,
유리 소판+SiO2+TiO2+SiO2+TiO2,
유리 소판+티탄 옥시니트라이드,
Fe2O3 소판+TiO2,
Fe2O3 소판+Fe2O3,
Fe2O3 소판+티탄 옥시니트라이드,
금속 소판(선택적으로 부동태화됨)+TiO2,
금속 소판(선택적으로 부동태화됨)+Fe2O3.
TiO2/Fe2O3는 TiO2 및 Fe2O3가 혼합물로서 층 내에 존재하고/존재하거나 슈도브룩카이트(TiFe2O5)형 혼합 옥사이드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적합한 효과 안료는, 예를 들어 바스프 캐탈리스트(BASF Catalysts)(이전의 잉글하드 코포레이션(Engelhard Corporation))에서, 예를 들어 화이어미스트(Firemist, 등록상표), 라이트피트(Rightfit, 상표), 마그나펄(Magnapearl, 등록상표)의 상표명으로, 메르크 카게아아에서 상품명 이리오딘(Iriodin, 등록상표), 미라발(Miraval, 등록상표), 시랄릭(Xirallic, 등록상표), 피리스마(Pyrisma, 등록상표) 및 칼라스트림(Colostream; 등록상표)으로 시판중이다.
부가적으로 안료의 광-, 물-, 및 기후-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 분야에 따라 효과 안료를 후-코팅 또는 후-처리에 적용하는 것이 종종 권장할만 하다. 유용한 후-코팅 또는 후-처리로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제 22 15 191 호, 독일특허 제 31 51 354 호, 독일특허 제 32 35 017 호 또는 독일특허 제 33 34 598 호에 기술된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후-코팅은 추가로 화학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안료의 취급, 특히 상이한 매질로의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습윤성, 분산성 및 적용 매질과의 상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안료 표면에 기능성 코팅인 Al2O3 또는 ZrO2,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혼합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 0090259 호, 유럽특허 제 0 634 459 호,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99/57204 호,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96/32446 호,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99/57204 호, 미국특허 제 5,759,255 호, 미국특허 제 5,571,851 호,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01/92425 호 또는 문헌[J.J. Ponjee, Philips Technical Review, Vol. 44, No. 3, 81 ff.] 및 문헌[P.H.Harding J.C. Berg, J. Adhesion Sci. Technol. Vol. 11 No. 4, p.471-49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실란에 의한 유기 또는 유기/무기 조합물의 후-코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내 소판형 효과 안료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안료 제제를 기준으로 55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중량%이다. 최적의 함량은, 사용된 효과 안료의 입자 크기, 효과 안료의 형태 인자(form factor) 및 안료 구조의 유형에 따라 당업계의 숙련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전체 제제를 기준으로,
55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중량%의 효과 안료,
20 내지 45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중량%의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
0.03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8중량%의 산화방지제, 및
선택적으로, 10중량% 이하의, 통상적인 중합체 및/또는 코팅재 섹터 첨가제, 보조제, 충전제, 염료 및/또는 칼라 안료를 포함하며,
여기서 모든 성분들의 총 함량은 100중량% 이하이다.
착색되는 적용 매질에, 예를 들어 중합체와 같은 외부 물질을 소량 도입하기 위해서는, 최대 함량의 효과 안료 및 최소 함량의 담체 물질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안료 제제의 바람직한 특성, 예를 들어 무-분진성, 개선된 자유 유동 또는 마스터배치 생산에서의 높은 처리량을 보장하기 위해서, 충분한 담체 물질이 사용되어야만 한다. 결국, 상기 입자들은 담체 물질에 의해 둘러싸일 뿐만 아니라 서로 접착제 결합되어 양호한 자유 유동성을 갖는 조립 "분말"을 제공한다.
왁스 및 효과 안료를 포함하는 안료 제제의 위험한 자가-가열은, 산화방지제를 첨가함으로써 감소하여, 문헌[The Recommendations on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Manual of Tests and Criteria]의 33. 3. 1. 6 장에서 기술한 시험 방법 N.4에 따라 더 이상 위험 물질로 분류되지 않는다.
당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에 적당하지만, 단 왁스와 혼화성이어야만 한다. 산화방지제는 적용 매질(예를 들어 코팅재 및 중합체)에서의 왁스의 열-유도된 산화를 방해 또는 억제한다. 이는 산소의 존재하에서 가열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유리 라디칼의 형성을 억제하고, 동시에 적용 매질(예를 들어 중합체, 코팅재)의 기계적 특성의 변색 및/또는 변화를 억제한다.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하기 물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락톤/포스파이트 혼합물,
-락톤/포스파이트/페놀 혼합물,
-페놀/포스파이트 혼합물,
-포스파이트,
-페놀.
특히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하기 물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n-옥타데실 β-(4-하이드록시-3,5-다이-3급-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N,N'-비스(3,5-다이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
N,N'-헥산-1,6-다이일비스[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트리스(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 아이소시아누레이트,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트라이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다이페닐 아이소데실 포스파이트,
다이아이소데실 페닐 포스페이트,
다이아이소옥틸 페닐 포스파이트,
다이페닐 아이소옥틸 포스페이트,
인산 알킬/아릴 에스터,
비스페놀 A 포스파이트,
다이라우릴 티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다이스테아릴 티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부틸- 및 옥틸다이페닐아민,
다이노닐다이페닐아민,
4,4'-비스(알파, 알파-다이메틸벤질)다이페닐아민,
4,4'-다이옥틸다이페닐아민,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중량비 1:1)의 혼합물,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중량비 1:2)의 혼합물,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중량비 1:3)의 혼합물,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중량비 1:4)의 혼합물,
n-옥타데실 β-(4-하이드록시-3,5-다이-3급-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중량비 1:1)의 혼합물.
이러한 화학 조성을 갖는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Ciba Specialty Chemicals)에서 시판중인,
이르가녹스(IRGANOX, 등록상표) 1010, 이르가녹스(등록상표) 1076, 이르가녹스(등록상표) 245: 페놀,
이르가녹스(등록상표) B 225: 페놀/포스파이트 혼합물,
이르가녹스(등록상표) XP 620: 페놀/포스파이트/페놀 혼합물,
이르가포스(등록상표) 168, 이르가포스(등록상표) 126: 포스파이트,
이르가포스(등록상표) XP 60: 락톤/포스파이트 혼합물, 또는
예를 들어 클라리언트(Clariant)에서 시판중인,
호스타녹스(Hostanox) 010(페놀계 산화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하이드로신나메이트))이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사용된 왁스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 특히 0.1 내지 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산화방지제를 함유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페인트, 코팅재, 분말 코팅재, 중합체의 분야로부터 적용 매질에 사용하는 것이 일상적인, 추가의 첨가제 및/또는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및/또는 보조제는 윤활제, 이형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염료, 유연제와 가소화제, 접착 증진제, 취입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무기 충전제, 유기 중합체-상용성 용매 및/또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다이아이소옥틸 프탈레이트, 페놀 유도체, 광유일 수 있다. 첨가제 및 보조제에 대한 검토는 문헌[Saechtling, Kunststoff Taschenbuch [Plastics Handbook], 27th Edition, Carl Hanser Verlag]에서 발견될 수 있거나, 문헌["Plastics, Additive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Internet edition, 7th Edition, 2003]에 의해 알 울프(R. Wolf)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비교적 제조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안료 제제의 제조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소판형 효과 안료를 열의 영향하에서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 및 산화방지제와 혼합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서, 효과 안료를 초기에 충전하고, 이를 왁스나 왁스의 용액(또는 수성 현탁액 또는 분산액) 및 산화방지제와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이 용액 형태로 첨가되는 경우, 이 용액에 상기 효과 안료 및 산화방지제를 분산시키고, 상기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매는, 사용된 안료 및 특히 사용된 왁스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한 방법으로 선택된다. pH 변경에 의한 수성 유화액 또는 분산액으로부터의 담체 물질의 석출도 유사하게 가능하다. 추가로, 안료 제제는 왁스를 융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왁스의 용융은 특히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데, 이는 용매의 사용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용융에 의한 본 발명의 안료 제제의 제조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5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상기 왁스의 용융 범위 보다 높은 온도에서 상기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료, 산화방지제 및 왁스가 특히 양호하게 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 실시양태에서, 코팅재 및 중합체의 가공에서 통상적인 추가의 첨가제 및/또는 보조제가, 소판형 효과 안료, 산화방지제 및 담체 물질의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 및/또는 보조제의 예는 상기 안료 제제의 설명에서 이미 언급되어 있다.
용융 동안 적용된 왁스의 냉각 후 또는 용매의 제거 후에, 안료 제제는 자유 유동하는 조립 분말로서 존재하며, 상기 분말은 효과적으로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된 효과 안료는, 이들의 광택 측면에서, 미처리된 순수 효과 안료에 비해 불량하지 않다. 이것은, 상기 안료가 비교적 대량으로 왁스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놀랍다. 예를 들어, 안료 제제 내 왁스의 함량은, 5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중량%일 수 있으며, 가공 후 감지되는, 어떠한 광택의 손상도 없었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의 부피 밀도는, 순수한(미처리된) 효과 안료의 부피 밀도 보다 50% 이상 크다.
본원에서, 부피 밀도는 느슨한 층(loose bed)의 중량/체적 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중합체 및 코팅재의 직접적 착색이나 마스터배치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안료 제제의 용도도,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의 일부를 형성한다.
중합체로의 본 발명의 안료 제제의 직접적인 도입은, 상기 중합체 과립 및/또는 분말을 안료 제제와 혼합함으로써 수행된다. 후속적으로, 본 발명의 안료 제제에 의해 착색된 중합체는 열의 작용하에서 성형된다. 추가로, 상기 안료 제제의 도입 과정 중에 추가의 첨가제 및 안료가 중합체 과립 및/또는 분말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는 안료 제제에 관한 설명에서 이미 언급되었다. 적합한 안료는 당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모든 무기 또는 유기 안료이다.
중합체 과립 및/또는 분말 안료 혼합물은, 처음 상기 중합체 과립 및/또는 분말을 적합한 혼합기, 예를 들어 텀블링 또는 고속 혼합기에 충전시키는 단계, 이를 임의의 첨가제로 습윤화시키는 단계, 및 그다음 상기 안료 제제를 첨가하고 전체적으로 혼합하는 단계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조된다.
모든 시리즈의 중합체, 특히 열가소성 중합체는, 본 발명의 안료 제제와의 사용에 적합하다.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극성 중합체이지만, 적당하게 선택된 담체 물질의 경우에 비극성(올레핀계)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합한 중합체의 예는, 예를 들어 문헌[Saechtling, Kunststoff Taschenbuch 27th Edition, Carl Hanser Verlag]에서 발견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패인트, 코팅재(자동차 및 산업 코팅재), 분말 코팅재, 인쇄 잉크 및 토너에서의 용도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배치의 제조를 위해 본 발명의 안료 제제를 유리하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료 분산액에 대한 고도의 요구도 충족될 수 있다. 마스터배치는, 예를 들어 단일 스크류 또는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또는 배치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연속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마스터배치의 제조에 있어서, 특정 중합체의 칩 또는 분말을 사용하는 것도 유리하다.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본 발명의 안료 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조건에 따른 처리량은 미처리 안료에 비해 적어도 2 내지 5배로 개선될 수 있다. 추가로, 마스터배치에 기초하여 50중량% 이하의 안료 함량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기 위해서, 단일-스트류 압출기상에서 본 발명의 안료 제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스터배치를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안료 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 물질의 적합한 선택의 경우에, 극성 및 비극성 중합체 둘다가 마스터배치 베이스(masterbatch base)로서 적합하다. 예를 들어, 극성이나 비극성 (올레핀계) 중합체 둘다에서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효과 안료 제제의 담체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는 극성 중합체에서의 사용 및 비극성 중합체에서의 사용 둘다에 적합하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297g의 리코왁스(Licowax) PE 520(클라리언트로부터의 PE 왁스 분말) 및 3g의 이르가녹스(등록상표) 1010(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로부터의 산화방지제)를, 0.5시간 동안 텀블링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후속적으로, 700g의 이리오딘(Iriodin; 등록상표) 100(메르크 카게아아로부터의 진주광택 안료(TiO2-코팅된 운모 소판))을 첨가하고, 균일한 예비혼합물(premixture)이 존재할 때까지 추가로 0.5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주변 압력하에서 250ml들이의 측정 실린더에 상기 혼합물을 충전시키고, 상기 층의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의 부피 밀도를 측정하였다. 부피 밀도는, 부피에 대한 중량의 비이고, 상기 혼합물의 경우 290g/l였다.
주철팬(cast iron pan)을 220℃의 표면 온도까지 가열하였다.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상기 완전한 혼합물을 상기 팬에 서서히 넣고, 상기 왁스가 진주광택 안료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때까지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후속적으로,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강욕(steel bath)에 넣고 추가로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수득된 안료 제제는 분진이 나지 않았고, 자유롭게 유동하였으며, 단일 스크류 압출기상에서 상기 총량을 기준으로 약 50중량% 이하의 안료를 갖는 마스터배치로 가공될 수 있었다.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동일한 안료 함량을 갖고도, (미처리 안료에 비해) 적어도 2배 내지 5배로 이러한 제제에 의한 처리량을 개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비극성 (올레핀계) 중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수득된 안료 제제의 부피 밀도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유사하게 측정되고 470g/l이다.
실시예 2:
이르가녹스(등록상표) 1010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안료 제제를 제조하였다.
여기서는, 이미 냉각 조작 도중에 불타오르는 곳(smouldering nest)이 형성되었고, 이는 단지 드라이 아이스의 첨가에 의해서만 억제될 수 있었다.
수득된 안료 제제의 부피 밀도는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시 480g/l이었고, 사용된 상기 혼합물의 부피 밀도는 285g/l이었다.
자가-가열 거동의 평가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제제의 자가-가열 거동을 시험하기 위해서, 문헌[The Recommendations on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Manual of Tests and Criteria]의 33. 3. 1. 6 장에서 기술한 시험 방법 N.4을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은, 자발적인 자가-발화 또는 위험한 자가-가열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서, 140℃의 온도에서 25mm 및 100mm의 가장자리 길이를 갖는 와이어 바스켓(wire basket)에서 수행하였다. 제한 기준(limiting criterion)은, 24시간 동안 오븐 온도 보다 60K 이상의 온도 상승이다.
시험 1:
100mm 와이어 바스켓 내 140℃에서의 실시예 1에 따른 제제의 시험: 음성
시험 2:
25mm 와이어 바스켓 내 140℃에서의 실시예 1에 따른 제제의 시험: 음성
시험 3:
100mm 와이어 바스켓 내 140℃에서의 실시예 2에 따른 제제의 시험: 양성
시험 4:
25mm 와이어 바스켓 내 140℃에서의 실시예 2에 따른 제제의 시험: 양성
결과:
실시예 2에 따른 안료 제제가 부류 4.2인 위험 물질로서 분류된 반면, 실시예 1의 안료 제제는 부류 4.2 미만으로서 위험 물질로서 분류되지 않았다.
실시예 3:
295.5g의 루왁스(등록상표) AH3 분말(바스프로부터의 저분자량의 PE 왁스) 및 4.5g의 호스타녹스 010(클라리안트로부터의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0.5시간 동안 텀블링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후속적으로, 700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7205(메르크 카게아아로부터의 간섭 안료(TiO2/SiO2/TiO2-코팅된 운모 소판))을 첨가하고, 균일한 예비혼합물이 존재할 때까지 추가로 0.5시간 동안 상기 혼합물을 혼합하였다.
주철팬을 220℃의 표면 온도까지 가열하였다.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상기 완전한 혼합물을 상기 팬에 서서히 넣고, 상기 왁스가 간섭 안료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때까지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후속적으로,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강욕에 넣고 추가로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수득된 안료 제제는 분진이 나지 않았고, 자유롭게 유동하였으며, 단일 스크류 압출기상에서 상기 총량을 기준으로, 약 50중량% 이하의 안료를 갖는 마스터배치로 가공될 수 있었다.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동일한 안료 함량을 갖고, (미처리 안료에 비해) 적어도 2배 내지 5배로 이러한 제제에 의한 처리량을 개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비극성 (올레핀계) 중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실시예 4:
295.5g의 루왁스(등록상표) AH3 분말(바스프로부터의 저분자량의 PE 왁스) 및 4.5g의 호스타녹스 010(클라리안트로부터의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0.5시간 동안 텀블링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후속적으로, 700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305 솔라 골드(Iriodin 305 Solar gold)(메르크 카게아아로부터의 금 안료: 운모 위에 Fe2O3- 및 TiO2- 및 SiO2-코팅된 다층 안료)를 첨가하고, 균일한 예비혼합물이 존재할 때까지 추가로 0.5시간 동안 상기 혼합물을 혼합하였다.
주철팬을 220℃의 표면 온도까지 가열하였다.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상기 완전한 혼합물을 상기 팬에 서서히 넣고, 상기 왁스가 간섭 안료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때까지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후속적으로,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강욕에 넣고 추가로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수득된 안료 제제는 분진이 나지 않았고, 자유롭게 유동하였으며, 단일 스크류 압출기상에서 상기 총량을 기준으로, 약 50중량% 이하의 안료를 갖는 마스터배치로 가공될 수 있었다.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동일한 안료 함량을 갖고도, (미처리 안료에 비해) 적어도 2배 내지 5배로 이러한 제제에 의한 처리량을 개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비극성 (올레핀계) 중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실시예 5:
295.5g의 루왁스(등록상표) AH3 분말(바스프로부터의 저분자량의 PE 왁스) 및 4.5g의 호스타녹스 010(클라리안트로부터의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0.5시간 동안 텀블링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후속적으로, 700g의 메르크 카게아아로부터의 미라발 5311 세닉 화이트(Scenic White)를 첨가하고, 균일한 예비혼합물이 존재할 때까지 추가로 0.5시간 동안 상기 혼합물을 혼합하였다.
주철팬을 220℃의 표면 온도까지 가열하였다.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상기 완전한 혼합물을 상기 팬에 서서히 넣고, 상기 왁스가 간섭 안료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때까지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후속적으로,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강욕에 넣고 추가로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수득된 안료 제제는 분진이 나지 않았고, 자유롭게 유동하였으며, 단일 스크류 압출기상에서 상기 총량을 기준으로, 약 50중량% 이하의 안료를 갖는 마스터배치로 가공될 수 있었다.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동일한 안료 함량을 갖고도, (미처리 안료에 비해) 적어도 2배 내지 5배로 이러한 제제에 의한 처리량을 개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비극성 (올레핀계) 중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실시예 6:
295.5g의 루왁스(등록상표) AH3 분말(바스프로부터의 저분자량의 PE 왁스) 및 4.5g의 호스타녹스 010(클라리안트로부터의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0.5시간 동안 텀블링 혼합기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후속적으로, 700g의 칼라스트림 오톰 미스테리(Colorstream Autumn Mystery)(메르크 카게아아로부터의 칼라 플롭 안료: F2O3-코팅된 SiO2 소판)를 첨가하고, 균일한 예비혼합물이 존재할 때까지 추가로 0.5시간 동안 상기 혼합물을 혼합하였다.
주철팬을 220℃의 표면 온도까지 가열하였다.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상기 완전한 혼합물을 상기 팬에 서서히 넣고, 상기 왁스가 간섭 안료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때까지 일정하게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후속적으로, 상기 균일한 혼합물을 강욕에 넣고 추가로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수득된 안료 제제는 분진이 나지 않았고, 자유롭게 유동하였으며, 단일 스크류 압출기상에서 상기 총량을 기준으로 약 50중량% 이하의 안료를 갖는 마스터배치로 가공될 수 있었다. 트윈 스크류 압출기에서, 동일한 안료 함량을 갖고도, (미처리 안료에 비해) 적어도 2배 내지 5배로 이러한 제제에 의한 처리량을 개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안료 제제는,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모든 비극성 (올레핀계) 중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Claims (13)

  1. 진주광택 안료, 간섭 안료, 금속 효과 안료, 투명, 반투명 및/또는 불투명 층들을 포함하는 다층 안료, 홀로그래픽 안료, BiOCl 안료 및/또는 LCP 안료인 하나 이상의 소판형 효과 안료; 500 내지 20,000의 분자량을 갖는 왁스 또는 이의 왁스 혼합물; 및 락톤/포스파이트 혼합물, 락톤/포스파이트/페놀 혼합물, 페놀/포스파이트 혼합물, 포스파이트 또는 페놀인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윤활제, 이형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유연제, 가소화제, 접착 증진제, 취입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유기 중합체-상용성 용매 및/또는 계면활성제, 페놀 유도체, 광유, 무기 충전제, 염료 및/또는 칼라 안료인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효과 안료가 안료 제제를 기준으로 55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안료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 제제가 전체 제제를 기준으로 20 내지 45 중량%의 왁스 함량을 갖는, 안료 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이 천연 왁스, 개질된 천연 왁스, 부분 합성 왁스, 완전 합성 왁스, 아마이드 왁스, 또는 염소화되거나 불소화된 폴리올레핀 왁스인, 안료 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완전 합성 왁스인, 안료 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산화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산화된 폴리올레핀 왁스인, 안료 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인, 안료 제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이 DIN 51007에 따라 측정시 70 내지 200℃의 용융 범위를 갖는, 안료 제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안료 제제를 기준으로 효과 안료의 비율이 65 내지 75 중량%인, 안료 제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된 왁스를 기준으로 산화방지제의 비율이 0.01 내지 5 중량%인, 안료 제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안료 제제의 첨가제가 윤활제, 이형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유연제, 가소화제, 접착 증진제, 취입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유기 중합체-상용성 용매 및/또는 계면활성제, 페놀 유도체 또는 광유인, 안료 제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가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n-옥타데실 β-(4-하이드록시-3,5-다이-3급-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N,N'-비스(3,5-다이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하이드라진,
    N,N'-헥산-1,6-다이일비스[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드],
    트리스(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벤질)아이소시아누레이트,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트라이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다이페닐 아이소데실 포스파이트,
    다이아이소데실 페닐 포스페이트,
    다이아이소옥틸 페닐 포스파이트,
    다이페닐 아이소옥틸 포스페이트,
    인산 알킬/아릴 에스터,
    비스페놀 A 포스파이트,
    다이라우릴 티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다이스테아릴 티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부틸- 및 옥틸다이페닐아민,
    다이노닐다이페닐아민,
    4,4'-비스(알파, 알파-다이메틸벤질)다이페닐아민,
    4,4'-다이옥틸다이페닐아민,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중량비 1:1)의 혼합물,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중량비 1:2)의 혼합물,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중량비 1:3)의 혼합물,
    테트라키스[메틸렌-3-(3,5-다이-3급-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중량비 1:4)의 혼합물, 및
    n-옥타데실 β-(4-하이드록시-3,5-다이-3급-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트라이(2,4-다이-3급-부틸페닐)포스파이트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인, 안료 제제.
  12. 하나 이상의 소판형 효과 안료 및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를 열의 영향 하에서 왁스 또는 왁스 혼합물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안료 제제의 제조방법.
  13. 제 1 항의 안료 제제를 포함하는, 페인트, 코팅재, 분말 코팅재, 인쇄 잉크, 중합체, 토너 또는 마스터배치.
KR1020167002743A 2008-04-23 2009-04-09 안료 제제 KR101722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0442A DE102008020442A1 (de) 2008-04-23 2008-04-23 Pigmentpräparationen
DE102008020442.0 2008-04-23
PCT/EP2009/002681 WO2009129941A2 (de) 2008-04-23 2009-04-09 Pigmentpräparation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070A Division KR20110005885A (ko) 2008-04-23 2009-04-09 안료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856A true KR20160018856A (ko) 2016-02-17
KR101722892B1 KR101722892B1 (ko) 2017-04-03

Family

ID=411117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743A KR101722892B1 (ko) 2008-04-23 2009-04-09 안료 제제
KR1020107026070A KR20110005885A (ko) 2008-04-23 2009-04-09 안료 제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070A KR20110005885A (ko) 2008-04-23 2009-04-09 안료 제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13800B2 (ko)
EP (1) EP2268746B1 (ko)
JP (1) JP2011518903A (ko)
KR (2) KR101722892B1 (ko)
CN (2) CN104194413A (ko)
CA (1) CA2722208A1 (ko)
DE (1) DE102008020442A1 (ko)
MX (1) MX2010011455A (ko)
TW (1) TWI473861B (ko)
WO (1) WO20091299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9225B1 (fr) * 2004-12-15 2007-02-16 Honnorat Rech S & Services Sar Papier brillant
DE102008064202A1 (de) 2008-12-22 2010-06-24 Merck Patent Gmbh Pigmentgranulate
JP4775460B2 (ja) * 2009-03-09 2011-09-21 Basfコーティングスジャパン株式会社 塗料組成物、それを用いた塗膜形成方法及び塗膜
DE102009016089A1 (de) * 2009-03-20 2010-09-23 Merck Patent Gmbh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DE102010049375A1 (de) * 2010-10-26 2012-04-26 Merck Patent Gmbh Pigmente
US9309372B2 (en) 2012-03-01 2016-04-12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ompositions including a functionalized wax
US10131808B2 (en) * 2012-03-14 2018-11-20 Basf Coatings Gmbh Solventborne pigment pastes comprising metallic pigments and use thereof for producing solventborne effect coating materials
DE102012102165A1 (de) * 2012-03-14 2013-10-02 Eckart Gmbh Kompositpartikel,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CN102746717A (zh) * 2012-07-12 2012-10-24 杭州弗沃德精细化工有限公司 含聚乙烯蜡的球形珠光颜料的制备工艺
US8961682B2 (en) * 2012-07-26 2015-02-2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Hydrophilic paints using pigments coated with anti-oxidants
US20140099459A1 (en) * 2012-10-05 2014-04-10 Ticona Llc Liquid Crystalline Composition for Use in a Foodstuff Article
FR3031296B1 (fr) * 2015-01-06 2018-05-11 L'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charges enrobees d'un materiau thermofusible
EP3281991B1 (en) * 2015-04-06 2021-03-10 Kao Corporation Aqueous ink
EP3341444B1 (en) * 2015-12-11 2020-10-07 Hp Indigo B.V. Electrostatic ink composition
JP2018021100A (ja) 2016-08-02 2018-0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水性塗布組成物
BR112023017998A2 (pt) * 2021-03-09 2023-10-03 Basf Se Métodos para fabricar um pélete em uma peletizado-ra e um polímero estabilizado, pélete, uso de um péle-te, e, mistura para compactaçã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5288A (en) * 1994-01-26 1995-10-03 Needham; Donald G. Dustless color concentrate granules
US20050143493A1 (en) * 2003-10-01 2005-06-30 Manfred Kieser Pigment composition for plastics
WO2008019801A1 (de) * 2006-08-12 2008-02-21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Hochgefüllte farbmittelzusammensetzung zum einfärben olefinischer wie nicht-olefinischer kunststoff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3497A (en) 1955-02-23 1958-07-15 Eastman Kodak Co Wax coatings containing synergistic antioxidants
CA957108A (en) 1971-03-30 1974-11-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igments treated with methacrylatochromic chloride for improved humidity resistance
DE2603211A1 (de) 1976-01-29 1977-08-04 Merck Patent Gmbh Pulverfoermige perlglanzpigment-zubereitungen
US4173492A (en) * 1976-03-19 1979-11-06 Pollard Edward T Method of preparing coated pigment particles and the product produced thereby
DE2753136B2 (de) 1977-11-29 1981-04-02 Hoechst Ag, 6000 Frankfurt Feste Phosphorigsäureester-Zubereitungen mit verbesserter Stabilisatorwirkung in Kunststoffen
DE3151354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211166A1 (de) 1982-03-26 1983-09-29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ydrophobierung von perlglanzpigmenten
US4544600A (en) 1982-08-16 1985-10-01 Silberline Manufacturing Company, Inc.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metals such as aluminum
DE3235017A1 (de) 1982-09-22 1984-03-22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GB8320487D0 (en) 1983-07-29 1983-09-01 Silberline Ltd Metal pigment compositions
DE3334598A1 (de) 1983-09-24 1985-04-18 Merck Patent Gmbh Witterungsbestaendige perlglanzpigmente
DE4240694A1 (de) 1992-12-03 1994-06-09 Basf A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Polyethylengrieß
DE4323914A1 (de) 1993-07-16 1995-01-19 Merck Patent Gmbh Perlglanzpigment-Zubereitung
US5571851A (en) 1994-01-28 1996-11-05 J.M. Huber Corporation Reinforcing fillers for plastics systems
JP3577576B2 (ja) 1995-04-10 2004-10-13 メルク株式会社 表面処理剤、表面処理薄片状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5759255A (en) 1996-02-07 1998-06-02 Engelhard Corporation Pearlescent pigment for exterior use
US5951750A (en) 1997-06-19 1999-09-14 Engelhard Corporation Anti-yellowing polyolefin compositions containing pearlescent pigment to prevent yellowing and method therefore
DE69816322T2 (de) 1997-10-02 2004-04-22 Api Corp. Stabilisatorenzusammensetzung für organische polymermaterialien enthaltend 6-hydroxichromanverbindungen und organische polymermaterialzusammensetzungen
DE19820112A1 (de) 1998-05-06 1999-11-11 Eckart Standard Bronzepulver Mit reaktiven Orientierungshilfsmitteln beschichtete Effektpigmente
WO1998053017A1 (en) 1998-07-21 1998-11-26 Eastman Chemical Company Stabilized bronze (copper/zinc) printing ink powder
US6451102B1 (en) 2000-05-04 2002-09-17 Merck Patent Gmbh Pigment modification improving handling characteristics
US6245323B1 (en) 2000-05-26 2001-06-12 Engelhard Corporation Bonded metal hydroxide-organic composite polymer films on particulate substrates
DE50103646D1 (de) 2000-06-20 2004-10-21 Basf Ag Pigmentkonzentra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20020098495A1 (en) 2000-07-06 2002-07-25 Lifespan Biosciences, Inc. Proteins associated with aging
DE10054344A1 (de) * 2000-11-02 2002-05-29 Clariant Gmbh Verwendung von gecoateten Pigmentgranulaten in elektrophotographischen Tonern und Entwicklern, Pulverlacken und Ink-Jet-Tinten
DE10337188A1 (de) * 2003-08-13 2005-03-10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für Kunststoffe
US20050113487A1 (en) 2003-11-25 2005-05-26 Engelhard Corporation Masterbatch precursor
DE202004005474U1 (de) 2004-04-02 2004-07-08 Felix Schoeller Jr. Foto- Und Spezialpapiere Gmbh & Co. Kg Kunststoffkonzentrat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ungsmassen
DE102005025609A1 (de) * 2004-06-29 2006-02-09 Merck Patent Gmbh Nichtmetallische Pigmentmischung mit hohem Metallglanz
DE102005005876A1 (de) 2005-02-08 2006-08-10 Basf Ag Elektrisch leitfähige Thermoplast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5288A (en) * 1994-01-26 1995-10-03 Needham; Donald G. Dustless color concentrate granules
US20050143493A1 (en) * 2003-10-01 2005-06-30 Manfred Kieser Pigment composition for plastics
WO2008019801A1 (de) * 2006-08-12 2008-02-21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Hochgefüllte farbmittelzusammensetzung zum einfärben olefinischer wie nicht-olefinischer kunststoffe
US20100179256A1 (en) * 2006-08-12 2010-07-15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Highly Filled Colorant Composition For Coloring Olefinic And Also Nonolefinic Pla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29941A3 (de) 2010-01-14
CA2722208A1 (en) 2009-10-29
KR20110005885A (ko) 2011-01-19
US20110088595A1 (en) 2011-04-21
US8613800B2 (en) 2013-12-24
CN102015912A (zh) 2011-04-13
DE102008020442A1 (de) 2009-10-29
JP2011518903A (ja) 2011-06-30
TWI473861B (zh) 2015-02-21
WO2009129941A2 (de) 2009-10-29
KR101722892B1 (ko) 2017-04-03
MX2010011455A (es) 2010-11-09
CN102015912B (zh) 2016-04-20
TW201006892A (en) 2010-02-16
CN104194413A (zh) 2014-12-10
EP2268746A2 (de) 2011-01-05
EP2268746B1 (de)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892B1 (ko) 안료 제제
JP5846916B2 (ja) 顔料顆粒
US20060135670A1 (en) Thermoplastic powder formulation for coatings having a metallic colored appearance
EP2727967B1 (en) Interference pigment having higher color intens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20060223932A1 (en) Pigment composition for plastics
US7390842B2 (en) Pigment composition for plastics
JP4141597B2 (ja) 窒素ドープ炭素で被覆された効果顔料及びそれらの製造
JP2010536968A (ja) 窒素ドープした炭素コーティングを含む板状顔料の製造方法
EP0982376A2 (en) Nitrogen doped carbon-coated effect pigments and their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