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716A -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716A
KR20160016716A KR1020150109831A KR20150109831A KR20160016716A KR 20160016716 A KR20160016716 A KR 20160016716A KR 1020150109831 A KR1020150109831 A KR 1020150109831A KR 20150109831 A KR20150109831 A KR 20150109831A KR 20160016716 A KR20160016716 A KR 20160016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s
terminal
signals
time
transmiss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7434B1 (ko
Inventor
펭페이 쑨
빈 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1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64Dela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4Pulse-shaped multi-carrier, i.e. not using rectangular window
    • H04L27/26416Filtering per subcarrier, e.g. filterbank multicarrier [FBM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4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using feedback from receiver for adjusting OFDM transmission parameters, e.g. transmission tim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04L27/26534Pulse-shaped multi-carrier, i.e. not using rectangular window
    • H04L27/2654Filtering per subcarrier, e.g. filterbank multicarrier [FBM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과 같은 4세대(4th-Generation: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제공될 5세대(5th-Generation: 5G) 또는 프리-5G(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들 각각과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신호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상응하는 신호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말기들로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협력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기지국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 방식들을 사용하여,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의 비동기 도착의 문제점이 효율적으로 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더 양호한 상태에서 다른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고, 따라서 최대 유효 송신 레이트가 획득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
본 발명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세대(4th-Generation: 4G, 이하 "4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세대(5th-Generation: 5G, 이하 "5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 또는 프리-5G(pre-5G, 이하 " pre-5G"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밀리미터파(mmWave, 이하 " mmWave"라 칭하기로 한다)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 포밍(beam 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력 다중 출력(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이하 " massive MIMO"라 칭하기로 한다) 기술과, 전차원 다중 입력 다중 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이하 " FD-MIMO"라 칭하기로 한다) 기술과,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기술과, 아날로그 빔 포밍(analog beam-forming) 기술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Device to Device: D2D, 이하 "D2D"라 칭하기로 한다) 통신,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이하 " AC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인 하이브리드 주파수 쉬프트 키잉(Frequency Shift Keying: FSK, 이하 "FSK"라 칭하기로 한다) 및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이하 "QAM"이라 칭하기로 한다)( Hybrid FSK and QAM: FQAM, 이하 " FQAM"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및 슬라이딩 윈도우 중첩 코딩(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SWSC, 이하 " SWS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진보된 억세스 기술인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 Carrier: FBMC, 이하 "FBMC"라 칭하기로 한다) 기술과, 비직교 다중 억세스(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이하 " NOMA"라 칭하기로 한다) 기술 및 성긴 코드 다중 억세스(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이하 " SCMA"라 칭하기로 한다)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정보 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상기 무선 통신 기술은 미래의 전례없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가까운 미래에, 세계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성장할 것이다. 국제 전기 통신 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의 보고에 따르면, 무선 데이터 서비스는 2020년까지 최소 1000배 증가할 것이다. 특정 국가들 및 지역들에서, 그 수는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례없는 도전에 대응하여, 5G 통신 기술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시작되고 있다. 주파수 자원들의 새로운 할당 및 주파수 재사용 계수의 증가 뿐만 아니라 스펙트럼 효율 향상은 상기와 같은 1000배의 서비스 부스팅(boosting)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폭넓게 고려된다.
스펙트럼 효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한 기술들 중에서, 상기 분산 안테나 기술은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증명된 바 있다. 중앙 집중 멀티-안테나 시스템과 비교할 경우,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다른 공간 위치들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통해 상기 다수개의 안테나들간의 협력 송신을 플렉서블(flexible)하게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협력 빔-포밍(beam-forming)을 사용하는 다수 개의 사용자들간의 간섭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보다 높은 피크 송신 레이트(peak transmission rate)와, 보다 스마트(smart)한 간섭 관리 및 보다 신뢰성있는 셀-에지 데이터 송신(cell-edge data transmission)을 성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점들을 기반으로,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의해 정의되는 진보된 전세계 지상 무선 억세스(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프로토콜에 상응하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의 협력 멀티 포인트 송신 및 수신(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방법과 같은 최근의 무선 통신 스탠다드(standard)들에서 점차 도입되고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을 지라도,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또한 실제 배치 프로세스 동안 보다 엄격한 구현 조건들을 발생시킨다 [1]. 조인트 프로세싱(Joint Processing: JP)과 같은, 일부 멀티-안테나 협력 송신을 성취하기 위해서, 다른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이 상기 수신 엔드(end)에서 더 양호한 시간-주파수 컨시스턴시(consistency)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즉 상기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이 최소 시간 차이를 가지고서 상기 수신 엔드의 안테나들에 도착되어야만 하고, 상기 다수 개의 신호들간의 캐리어 주파수 오프셋들이 가능한 한 작아야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수 개의 안테나들이 높은 동기화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기 시간-주파수 컨시스턴시를 획득하기 위해서, 상기 기존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성능이 불완전한 시간-주파수 오프셋으로 인해 심각한 손실을 가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신호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디바이스들 및 배치에 관해 상응하는 요구 사항 스탠다드를 정의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변조를 기반으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 다른 신호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의 도착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 CP)의 길이에 제한될 수 있다. 즉, 안테나 시간 지연과 송신 시간 지연의 합은 상기 CP의 길이보다 작다.
하지만,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엄격한 시간-주파수 동기화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셀 고밀화를 사용하는, 상기 엄격한 시간-주파수 동기화는 큰 대역폭 및 낮은 레이턴시(latency) 광 섬유 백본(backbone) 네트워크에 대한 큰 스케일 요구(large scale demand)로 인해 높은 배치 비용들을 초래할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에어-인터페이스(air-interface)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 구조 [2]는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심각하게 제한할 것이다. 일 예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고주파 통신은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통신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OFDM 시스템은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에 대해 보다 더 민감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신호의 길이를 단축시켜 보다 큰 캐리어 간격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일 예로, 28GHz를 사용하는 고주파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그 캐리어 간격은 270 kHz가 되도록 설계되어 이동 통신에 의해 초래되는 상기 도플러 쉬프트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길이는 3.70μs이고, 상기 CP의 길이는 0.46μs이다.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조 하에서 사용될 경우,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이 엄격하게 동기화될 지라도, 상기 사용자로부터 다수 개의 안테나들 각각으로의 거리들 간의 차이는 심각한 시간 비동기화를 초래할 것이다. 일 예로, 사용자로부터 한 안테나로부터의, 그리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다른 안테나로의 두 개의 거리들간의 차이가 140m일 경우, 상기 두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의 TDOA는 상기 CP의 길이(0.47μs) 보다 길 것이다. 상기 멀티-패스(multi-path) 효과가 고려될 경우, 다수 개의 경로들의 채널들을 통해 통과되는 TDOA는 보다 길어질 것이다.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CP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수신된 멀티 패스 신호들은 심각한 캐리어간 간섭(Inter-Carrier Interference: ICI) 및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을 겪을 것이고, 따라서 신호 수신의 신뢰성은 심각하게 저하될 것이다. 상기 고주파 통신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한 시나리오일 뿐이며, 상기 저주파 통신은 또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2]. 게다가, 보다 긴 서브-프레임 구조가 상기 저주파 통신에서 사용될 지라도, 신호들을 수신하는 시간 차이는 상기 백본 네트워크의 시간 지연 및 불완전한 컴포넌트(component)들로부터 초래되어 매우 길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CP의 사용이 채널 지연 확산의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지라도, 상기 CP는 또한 상기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을 감소시킨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시간 지연 차이로 인해서, 상기 시스템은 신호 수신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의 스펙트럼 효율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확실한, 보다 긴 CP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참조 문서들:
[1]Section 29.5.1, “LTE-The UMTS long term evolution”;
[2]METIS Deliverable D2.1: requirement analysis and design approaches for 5G air interface
https://www.metis2020.com/wp-content/ uploads/ deliverables/ METIS_D2.1_v1.pdf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을 고려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안테나들의 신호 수신 시점들을 동기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펙트럼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효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의 비동기 도착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상기 사용자가 보다 양호한 상태에서 다른 안테나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고, 최대 유효 송신 레이트를 획득하기 위해,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한 협력 송신 방법과, 기지국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상기 안테나들 각각간의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된 신호 송신 모드가 적용된 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변조 방법이 적용된 신호이며,
상기 변조 방법은: 프로토타입 필터(prototype filter) 기반 단일-캐리어 변조 방법과, 필터 뱅크 멀티-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변조 방법과, 프로토타입 필터 기반 멀티-캐리어 변조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대한 공간 분산 정보 및 기준 신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의 시간 지연들간의 차이와, 다른 시간-지연 차이들 하에서의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적용되는 신호 송신 모드는 상기 시간-지연 차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 송신 시간과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는 빔 포밍과, 공간 다이버시티와, 공간 멀티플렉싱 중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들 각각의 신호 송신 시간에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가 존재하며,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이 동일한 단말기에 도착하는 시간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대한 동기 채널 및 비동기 채널을 설정하고, 단말기 특정하지 않은 기준 시간에서 상기 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고, 단말기 특정 시간에서 상기 비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다른 단말기들에 대한 동기 채널 신호들 및/혹은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각각 송신하는 능력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동기 채널 신호들 및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능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상기 단말기 특정 기준 시간이 아닌 시간에서 채널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상기 단말기 특정 시간에서 데이터 변조를 위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의 시간 지연들 간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과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적용되는 신호 송신 모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적용되는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은: 변조 파형 길이, 멀티-캐리어 공간 및 변조 신호들에 의해 사용되는 반복 계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상기 안테나들 각각간의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된 신호 송신 모드가 적용된 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변조 방법이 적용된 신호이며,
상기 변조 방법은: 프로토타입 필터(prototype filter) 기반 단일-캐리어 변조 방법과, 필터 뱅크 멀티-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변조 방법과, 프로토타입 필터 기반 멀티-캐리어 변조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지국은:
수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대한 공간 분산 정보 및 기준 신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의 시간 지연들간의 차이와, 다른 시간-지연 차이들 하에서의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적용되는 신호 송신 모드는 상기 시간-지연 차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 송신 시간과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는 빔 포밍과, 공간 다이버시티와, 공간 멀티플렉싱 중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들 각각의 신호 송신 시간에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가 존재하며,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이 동일한 단말기에 도착하는 시간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대한 동기 채널 및 비동기 채널을 설정하고, 단말기 특정하지 않은 기준 시간에서 상기 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고, 단말기 특정 시간에서 상기 비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다른 단말기들에 대한 동기 채널 신호들 및/혹은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각각 송신하는 능력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동기 채널 신호들 및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능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상기 단말기 특정 기준 시간이 아닌 시간에서 채널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상기 단말기 특정 시간에서 데이터 변조를 위한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의 시간 지연들 간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과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적용되는 신호 송신 모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적용되는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은: 변조 파형 길이, 멀티-캐리어 공간 및 변조 신호들에 의해 사용되는 반복 계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와 기준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에 따라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도착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TDOA를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안테나들 각각간의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된 신호 송신 모드가 적용된 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과정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TDOA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로 간주하고, 상기 채널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과정; 혹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TDOA에 따라 상응하는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로 간주하고, 상기 채널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포함하는 안테나들에 대한 공간 분산 정보 및 기준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도착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를 획득하는 제어기와;
상기 TDOA를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송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기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안테나들 각각간의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된 신호 송신 모드가 적용된 신호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동작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TDOA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로 간주하고, 상기 채널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동작; 혹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TDOA에 따라 상응하는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로 간주하고, 상기 채널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방식들로부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협력 송신 기술적 해결 방식들이,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들 각각과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신호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상응하는 신호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말기들로 신호들을 송신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의 비동기 도착의 문제점이 효율적으로 해결도리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보다 양호한 상태에서 다른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고, 따라서 최대 유효 송신 레이트가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게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게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과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것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을 고려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안테나들의 신호 수신 시점들을 동기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펙트럼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효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력 송신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FDM 변조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뱅크 멀티 캐리어(Filter Bank Multiple Carrier: FBMC)를 기반으로 하는 제1 프로액티브(proactive) 협력 송신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BMC를 기반으로 하는 제2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하에서 신호 충돌 방지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하에서 기준 신호 보호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발명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정용 기기(smart home appliance)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마트 가정용 기기는 텔레비젼과,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 DVD, 이하 ‘DVD’라 칭하기로 한다) 플레이어와, 오디오와, 냉장고와, 에어 컨디셔너와, 진공 청소기와, 오븐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과, 워셔와, 드라이어와, 공기 청정기와, 셋-탑 박스(set-top box)와, TV 박스 (일 예로, Samsung HomeSyncTM, Apple TVTM, 혹은 Google TVTM)와, 게임 콘솔(gaming console)과, 전자 사전과, 캠코더와, 전자 사진 프레임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의료 기기(일 예로,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이하 ‘MRA’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자기 공명 화상법(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이하 “MRI”라 칭하기로 한다)과,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이하 ‘CT’라 칭하기로 한다) 디바이스와, 촬상 디바이스, 혹은 초음파 디바이스)와,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와, 전세계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하 ‘GPS’라 칭하기로 한다) 수신기와, 사고 기록 장치(event data recorder: EDR, 이하 ‘ED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비행 기록 장치(flight data recorder: FDR, 이하 ‘FER’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바이스(automotive infotainment device)와, 항해 전자 디바이스(일 예로, 항해 네비게이션 디바이스, 자이로스코프(gyroscope), 혹은 나침반)와, 항공 전자 디바이스와, 보안 디바이스와, 산업용 혹은 소비자용 로봇(robot)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가구와, 빌딩/구조의 일부와, 전자 보드와, 전자 서명 수신 디바이스와, 프로젝터와, 다양한 측정 디바이스들(일 예로, 물과, 전기와, 가스 혹은 전자기 파 측정 디바이스들)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을 고려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안테나들의 신호 수신 시점들을 동기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안테나들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펙트럼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효 송신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상기 방법에서 적용 가능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다수 개의 안테나들이 다른 공간 위치들에 분산된다. 데이터 링크들을 통해서, 상기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의 데이터는 중앙 집중 프로세싱을 위해 기저 대역 유닛 풀(Baseband unit pool: BBU pool)에 도착될 수 있다. 상기 BBU 풀의 스케쥴링을 사용하여, 상기 다수 개의 분산 안테나들은 동일한 사용자를 서비스할 수 있다. 다른 채널 상태들에 따라서, 상기 BBU pool은 다른 송신 모드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BBU pool은 공간 멀티플렉싱을 사용하여 멀티-스트리밍(multi-streaming) 신호들을 송신하거나, 혹은 빔 포밍을 사용하여 단일-스트리밍(single-streaming) 신호들을 송신하여 보다 높은 송신 신뢰성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와 상기 안테나들 각각간의 거리들은 다르기 때문에, 신호들이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동시에 송신된다고 할지라도, 다른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이 상기 사용자 측에 도착하는 시간은 다를 것이다. 상기 시스템이 상기 OFDM 변조를 사용할 경우, 그리고 상기 사용되는 CP가 충분히 길 경우, 상기 신호들의 시간 차이는 상기 CP의 길이보다 작을 것이며, 따라서 상기 수신 엔드는 고정된 수신 윈도우를 사용하여 모든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유효 신호들을 완전하게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멀티-안테나 시스템은 수신된 신호들의 양호한 동기를 가진다.
하지만, 미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CP 보호만을 기반으로 수신된 신호들의 동기를 보장하는 것은 어렵다. 일 예로, 시스템이 고주파 통신을 사용할 경우, 상기 OFDM 심볼의 길이 및 상기 CP의 길이는 크게 단축되어 높은 캐리어 간격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멀티-안테나 시스템에서, 매우 작은 사용자-안테나 거리 차이는 상기 신호들의 TDOA가 상기 CP의 길이보다 크게 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다 짧은 송신 지연을 획득하기 위해서, 상기 미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보다 짧은 프레임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이는 상기 고주파 통신에서와 동일한 시간 차이 문제를 초래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 네트워크 배치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 혹은 안테나는 낮은 정확도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낮은 정확도 컴포넌트는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시간 동기를 보장할 수 없고, 이는 또한 상기 신호들이 상기 수신 엔드에 도착하는 시간 차이가 비교적 크게 되는 것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신호들의 TDOA가 매우 클 경우, OFDM 변조를 사용하는 신호들은 심각한 ICI 및 ISI를 겪게 될 것이고, 따라서 수신 성능이 크게 열화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신호들의 TDOA에 의한 ICI 및 ISI 영향이 극복되지 못할 경우, 전체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심각한 성능 손실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송신 신뢰성을 개선하는 프로액티브(proactive) 협력 송신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의 메인 아이디어는: 사용자와 다른 공간 위치들에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안테나들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신호 송신 모드가 결정되고, 신호들은 상기 상응하는 신호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각 안테나로부터 상기 사용자로 송신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 송신에 의해 사용되는 변조 기술은: 보다 양호한 시간-주파수 로컬리제이션(localization) 특성을 가지는 신호 파형을 생성할 수 있는 변조 방법이다. 상기 변조 기술은 프로토타입 필터(prototype filter) 기반 신호-캐리어 변조, 필터 뱅크 멀티-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변조, 혹은 프로토타입 필터 기반 멀티-캐리어 변조를 포함하며, 그렇다고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상기 신호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 송신 시간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거나; 혹은 안테나들 각각의 변조 파형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파라미터들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음과 같은 설명에서, 상기 FBMC 파형은 일 예로서 처리될 것이지만, 본 발명이 상기 FBMC 파형, 일 예로 필터 OFDM(Filtered OFDM)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 주파수 도메인 멀티플(Generalized Frequency Domain Multiple: GFDM), 단일 캐리어-FBMC 등이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201)에서, 기지국은 다수개의 안테나들과 사용자 간의 채널 상태를 획득한다.
상기 사용자와 단말기간에는 일대일 상응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 개의 안테나들과 사용자 간의 채널 상태"는 "다수 개의 안테나들과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다수 개의 안테나들과 사용자 간의 채널 상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사용자 간의 지연, 혹은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는: 빔 포밍(beam forming),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혹은 공간 멀티플렉싱(spatial multiplexing)을 포함한다.
블록(201) 전에,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와 기준 신호 정보를 통보하는 것이 필요로 되고, 이후 상기 사용자는 상기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신호들의 TDOA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TDOA는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되는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을 상기 기준 신호로 처리하고, 다른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의 도착 시간과 상기 기준 시간 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시간 차이가 획득된 후, 바람직한 방법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시간 차이를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 보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는 상기 시간 차이를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거나, 혹은 상기 시간 차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임계 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시간 차이를 보고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방법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시간 차이에 따라 바람직한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계산하고,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상기 네트워크 측으로 보고할 수 있다.
블록(202)에서, 획득된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의 신호 송신 시간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거나, 혹은 안테나들 각각의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한다.
블록(203)에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FBMC 변조를 사용하여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신호들을 송신한다. 상기 신호들은 사용자 데이터 및 기준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들 각각의 결정된 신호 송신 시간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에 따라 신호들을 송신할 경우,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채널을 정의하고, UE 특정 기준 시간이 아닌 시간에서 상기 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동기 채널은 사용자 데이터와, 제어 정보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비동기 채널을 정의하고, UE 특정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를 가지는 시간에서 상기 비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비동기 채널은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UE 특정 타이밍 어드밴스를 가지는 비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할 경우, 다수 개의 타이밍 어드밴스 값들이 사전 정의될 수 있으며, 한 사용자의 신호들이 송신될 경우, 값들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값은 상기 수신 엔드에서 상기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이 도착되는 시간 차이가 가능한 한 작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타이밍 어드밴스 값은 시간 오프셋에 대한 변조 파형의 허용 오차(tolerance) 및 통신 시스템 배치 시나리오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설계 원칙들은,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이 작은 시간 차이를 가지고 상기 수신 엔드에 도착하도록 하게 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가 항상 적합한 타이밍 어드밴스 값을 검출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다른 안테나들은 다른 사용자들에 대해서 동기 채널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거나, 혹은 다른 사용자들에 대해서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동일한 안테나가 동일한 시간에 동기 채널 신호들 및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신호들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송신할 경우,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들 각각은 다른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는 적합한 시간 및 방법을 선택한다; 안테나들 각각은 UE 특정 기준 시간이 아닌 시간에서 채널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기준 신호에 따라 다수 개의 안테나들의 TDOA를 측정할 수 있고; 안테나들 각각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동일한 송신 시간에서 데이터 복조를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즉 상기 복조 기준 신호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타이밍 어드밴스 값을 사용한다.
신호들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사용자들로 송신할 경우,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시간 혹은 천공 동작은 기준 송신 시간을 사용하는 이전의 서브-프레임과 타이밍 어드밴스를 사용하는 현재의 서브-프레임 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다른 서브-프레임들간에서 설정된다.
또한, 변조 파형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파라미터들은: 프로토타입 필터 (뱅크) 파라미터, 상기 변조 파형 길이, 상기 멀티-캐리어 간격 및 신호들에 의해 사용되는 반복 계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의 다수 개의 그룹들이 사전 정의될 수 있으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의 최적 그룹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선택 규칙은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의 그룹을 사용하는 신호들은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상기 사용자로부터 송신될 경우 상기 최대 시간 지연을 허용할 수 있고, 상기 수신 엔드에 의해 신뢰성있게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록(204)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신호들을 복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 개의 예제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첫 번째 예제에서, FBMC 변조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예제에서, 상기 FBMC 변조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특정 구현 방법이 주어진다.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이 기존의 OFDM 시스템과 비교된다. 상기 OFDM 시스템의 파라미터들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OFDM의 시간-도메인 신호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 1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M=1024는 상기 신호 길이이고;
Figure pat00003
는 변조된 QAM 신호이다.
이에 상응하게, 상기 FBMC의 시간-도메인 신호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 2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05
는 상기 프로토타입 필터의 시간-도메인 파라미터이고,
Figure pat00006
는 변조된 PAM 신호이다.
FBMC 송신 시스템에서, K개의 FBMC 심볼들은 서로 오버랩(overlap)되며, K는 반복 계수이다. K=4인 FBMC 시스템과 K=2인 다른 FBMC 시스템의 파라미터들은 각각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2개의 FBMC 시스템들은 동일한 대역폭 및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며, 다른 반복 계수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2개의 FBMC 시스템들의 FBMC 심볼 길이들은 다르다.
Figure pat00007
두 번째 예제에서, 상기 멀티-안테나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먼저, OFDM 변조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네트워크에서, 두 개의 사용자들의 데이터는 OFDMA 방법을 사용하여 두 개의 안테나들 안테나 1 및 안테나 2를 통해 동시에 송신된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두 개의 안테나들 각각으로의 거리들간의 거리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수신 엔드에서 (사용자 A와 같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신되는 (안테나 1 및 안테나 2로부터의) 신호들의 두 개의 경로들 간의 시간 차이가 존재하고, 상기 시간 차이는 시간-지연 차이라고 칭해진다. 상기 사용자들 및 안테나들의 분산이 도 3에서와 같이 나타내질 경우, 상기 사용자 A에서의 시간 지연 차이는 τ =(D2-D1)/3*108=0.46μs이고, 여기서 3*108m/s는 광속이다. 상기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이 표 1에서와 같이 나타내질 경우, 상기 시간-지연 차이는 상기 CP 길이를 초과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이 도 3의 우측에서와 같이 나타내진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상기 OFDM 특징들에 따라, 상기 수신된 신호들이 심각한 ICI 및 ISI를 겪게 될 것이고, 이는 상기 OFDM 시스템 성능의 심각한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신호들이 상기 수신 엔드에서 적은 간섭을 생성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자의 신호들을 송신하는 송신 시간을 다이나믹하게 변경할 수 있거나, 혹은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을 다이나믹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탁월한 시간-주파수 로컬리제이션을 사용하는 FBMC 변조가 사용된다. 상기 FBMC 변조는 인접 주파수 비동기 송신을 보다 잘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구현은: 상기 네트워크 측이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사용자로의 보다 큰 시간-지연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검출할 경우, 한 개의 안테나의 송신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예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멀리 존재하는 안테나는 미리 상기 사용자 신호들을 송신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A에 대해서, 상기 예제에서, 상기 안테나 2의 송신 시간이 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테나 2의 송신 시간은 τ =(D2-D1)/3e8=0.46μs로 어드밴스(advance)될 수 있고, 상기 조정 후에, 상기 두 개의 안테나들에서 각각 송신되는 사용자 A의 신호들은 상기 사용자 A의 수신기에 동시에 도착할 것이다. 유사하게, 사용자 B에 대해서, 상기 예제에서, 상기 안테나 1의 송신 시간이 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테나 1의 송신 시간은 τ =(D3-D4)/3e8=0.6μs로 어드밴스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들 각각의 사용자의 송신 시간이 사용자를 기반으로 조정될 경우, (사용자 A와 같은) 한 사용자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 B와 같은)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는 큰 시간-지연 차이를 가지고 상기 사용자의 수신기에 도착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4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A는 사용자 B의 데이터의 두 개의 경로들을 수신할 것이고, 상기 데이터의 두 개의 경로들간의 TDOA는 상대적으로 더 크다. 상기 시스템이 상기 OFDM 변조 기술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 A의 데이터가 사용자 A의 수신기에 동기적으로 도착할 수 있고 ICI 및 ISI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지라도, 사용자 B의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A의 수신기에 비동기적으로 도착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 B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A의 데이터에 대한 ICI를 생성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제가 상기 FBMC 변조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탁월한 시간-주파수 로컬리제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B의 비동기적으로 도착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사용자 A의 데이터로 유출되는 간섭은 매우 작을 것이며, 사용자 A는 할당된 자원들에서 상기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로액티브 송신 방법을 사용할 경우,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항상 동기 방식으로 다른 안테나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시스템이 FBMC 변조 모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각 사용자는 인접한 주파수들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신호들에 의해 초래되는 간섭을 지속적으로 겪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안테나의 송신 시간을 프로액티브하게 조정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현은: 상기 시스템이 프로액티브하게 사용되는 FBMC 파형 파라미터들을 조정한다. 상기 구현은 상기 FBMC 파형의 내재하는(inherent) 안티(anti)-ISI 특징을 사용한다. 다수 개의 신호들의 지연 확산 하에서, 상기 FBMC는 상기 생성된 ISI를 미세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FBMC 파형의 안티-ISI 특징은 상기 채널의 특정 지연 확산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하며, 상기 최대 시간 지연이 상기 심볼 길이에 비해서 더 작을 경우, 상기 FBMC는 상기 수신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최대 시간 지연이 상기 심볼 길이에 비해 더 클 경우, 상기 FBMC는 더 높은 ISI와 직면하게 될 것이고, 이는 상기 수신 실패를 초래할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 위치가 랜덤(random)하기 때문에, 상기 다수 개의 안테나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의 시간-지연 차이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에서, 다른 길이들을 가지는 FBMC 파형의 다수 개의 그룹들은 일 예로 K=2 및 K=4로 정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는 사용되는 안테나 시간-지연 차이에 따라 매칭되는 파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안테나들간의 상기 시간-지연 차이가 작을 경우: τ =(D1-D2)/3e8=0.06μs일 경우, 상기 시스템은 보다 짧은 FBMC 파형 (일 예로, K=2)을 사용한다. 두 개의 안테나들간의 상기 시간-지연 차이가 클 경우, τ =(D2-D1)/3e8=1.33μs일 경우, 상기 시스템은 도 5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FBMC 파형을 다이나믹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K = 4). 두 개의 안테나들간의 상기 시간-지연 차이가 여전히 1.33μs라고 할지라도, K = 4인 FBMC 파형이 K = 2인 FBMC 파형보다 보다 양호한 안티-지연-확산 능력(anti-delay-spread capacity)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방법은 상기 다수 개의 안테나들의 시간-지연 차이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
세 번째 예제에서, 안테나 지연에 대한 상기 측정, 피드백 및 조정이 설명될 것이다.
상기 세 번째 예제에서, 상기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방법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로의 시간 지연에 따라 안테나의 송신 시간 혹은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을 조정한다.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가 먼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로의 시간-지연 차이를 획득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상기 시간-지연 차이를 획득하는 다수 개의 방법들이 존재하며, 사용자 측정 및 피드백을 사용하는 방법이 상기 예제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네트워크는 각 안테나에 대해 독립적인 기준 신호를 할당하고, 일 예로,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LTE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가 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는 모든 사용자들에 대해 동일한 기준 시간에서 송신되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기준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안테나에 상응하는 송신 시간 지연을 항상 획득할 수 있다. 시간-지연 차이 임계값들의 그룹은 사전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다른 안테나들간의 시간-지연 차이가 시간-지연 차이 임계 값을 초과할 경우, 피드백이 개시되고, 양자화된 시간-지연 차이가 상기 네트워크로 피드백된다. 상기 시간-지연 차이가 계산되어야만 할 경우, 상기 최소 시간 지연을 가지는 안테나가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고, 다른 안테나들과 상기 기준 안테나간의 시간-지연 차이가 계산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간-지연 차이를 피드백할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기준 안테나의 인덱스 및 다른 관련 안테나(들) (즉, 상기 피드백을 트리거(trigger)하는 안테나(들))의 인덱스(들)을 동시에 지시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일 예로, 듀얼-안테나(dual-antenna)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상기 두 개의 안테나들간의 물리적인 거리는 500m이고, 상기 최대 시간-지연 차이는 τ =500/3e8=1.67μs이다. 상기 임계값들은 0.6μs 및 1.2μs이다. 상기 사용자 피드백 및 네트워크 송신 타임 조정은 하기의 표 3을 참조할 수 있다. 표 3에는, 상기 안테나 시간 지연 측정, 피드백 및 조정이 나타내져 있다. 상기 방법을 기반으로,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시간-지연 차이는 항상 0.6μs 이내에서 제어될 것이다.
Figure pat00008
다른 바람직한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방법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에 의해 선택되는 전략은 다른 반복 계수K와 같은, 정확한 FBMC 파라미터가 상기 피드백을 기반으로 선택된다는 것이다. 상기 임계 값들의 설정은 오직 예제일 뿐이며, 상기 특정한 임계값들은 선택된 FBMC 파라미터 및 배치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상기 임계값 선택 규칙은 신호 수신의 신뢰성이 가장 작은 피드백 오버헤드 (더 큰 임계 값 간격)를 반드시 보장해야만 한다는 것이고, 즉 상기 시간-지연 차이에 의해 초래되는 간섭은 항상 상기 수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어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임계 값들의 개수의 설정은 네트워크 구현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노력해야만 한다.
네 번째 예제에서, 상기 신호 충돌 방지를 어떻게 수행하는지가 설명될 것이다.
프레임을 기본 유닛으로 간주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의 상기 데이터 송신 유닛은 송신 블록이고, 1개의 송신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점유하고, 1개의 프레임은 다수 개의 변조 심볼들 (OFDM 혹은 FBMC)로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는 다른 프레임들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사용자들을 스케쥴할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들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프로액티브 협력 송신 방법(송신 시간을 조정하는)이 사용되기 때문에, 두 개의 프레임들에서 스케쥴되는 사용자들은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두 개의 프레임들에서 하나의 안테나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시간은 다를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가 상기 현재의 프레임 동안 사용되고, 상기 이전의 프레임 동안 타이밍 어드밴스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현재의 프레임은 상기 이전의 프레임과 충돌할 것이다. 상기 현재의 프레임 및 상기 이전의 프레임은 다른 주파수들을 사용할 경우, 상기 충돌은 간섭을 초래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현재의 프레임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들이 상기 이전의 프레임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들과 동일할 경우, 혹은 상기 현재의 프레임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들 중 일부가 상기 이전의 프레임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들의 일부와 동일할 경우, 상기 충돌은 간섭을 초래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현재의 프레임을 천공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현재의 프레임의 신호들 중 일부를 폐기할 것이고, 상기 이전의 프레임들의 신호들을 유지할 것이다.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를 사용하는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현재의 프레임을 천공함으로써 초래되는 영향은 상기 이전의 프레임을 천공함으로써 초래되는 영향보다 작을 것이다. 다른 해결 방식은 두 개의 프레임들간에 보호 대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타이밍 어드밴스를 가지고 송신되는 신호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상기 보호 대역에서는 어떤 신호도 송신되지 않는다. 상기 두 개의 방법들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은 상기 신호 충돌 방지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다섯 번째 예제에서, 채널 측정 기준 신호 보호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세 번째 예제에서의 설명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모든 사용자들에 대해서 동일한 기준 시간에 채널 측정 기준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채널 측정 기준 신호가 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멀티플렉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 신호는 상기 채널 측정 기준 신호와 충돌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채널 측정 기준 신호가 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데이터 신호가 타이밍 어드밴스를 가지고 송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신호가 상기 채널 측정 기준 신호와 충돌할 경우, 상기 예제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의 상응하는 심볼은 천공되어 상기 기준 신호를 보호할 것이다. 상기 FBMC의 각 캐리어가 인접 캐리어에 의해 초래되는 간섭을 겪을 것이라는 것으로 인해, 시간 도메인에서 상기 기준 신호에 인접하는 데이터 신호가 먼저 천공될 것이고, 그리고 나서 상기 기준 신호의 인접 캐리어가 상기 인접 캐리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천공될 것이다.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천공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네트워크 측은 안테나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 값을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천공될 데이터 심볼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상응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기를 더 제공하며,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800)은 송신 모드 결정 모듈(811)과, 분산 안테나 시스템(813)을 포함한다.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813)은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모드 결정 모듈(811)은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813)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 각각과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신호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813)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안테나들 각각은 상기 송신 모드 결정 모듈(811)에서 결정한 신호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말기들로 신호들을 송신한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기지국(800)이 상기 송신 모드 결정 모듈(811)과, 분산 안테나 시스템(813)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기지국(800)은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900)는 정보 획득 모듈(911)과, 측정 모듈(913)과, 피드백 모듈(915)과, 수신 모듈(917)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획득 모듈(911)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이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포함하는 안테나들에 대한 공간 분산 정보 및 기준 신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정 모듈(913)은 상기 안테나들에 대한 공간 분산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에 대한 TDOA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드백 모듈(915)은 상기 TDOA를 기반으로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900)간의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신 모듈(917)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들에 적용되는 송신 모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900)간의 채널 상태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한편, 도 9에는 상기 단말기(900)가 상기 정보 획득 모듈(911)과, 측정 모듈(913)과, 피드백 모듈(915)과, 수신 모듈(9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단말기(900)는 상기 정보 획득 모듈(911)과, 측정 모듈(913)과, 피드백 모듈(915)과, 수신 모듈(917) 중 적어도 두 개가 1개의 유닛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900)는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1000)은 송신기(1011)와, 제어기(1013)와, 수신기(1015)와, 저장 유닛(1017)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013)는 상기 기지국(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1013)는 상기 기지국(1000)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동작,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011)는 상기 제어기(10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엔터티, 일 예로 단말기 등으로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01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015)는 상기 제어기(10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엔터티, 일 예로 단말기 등으로부터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0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017)은 상기 기지국(1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017)은 상기 수신기(1015)가 상기 단말기 등으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을 저장한다.
한편, 도 10에는 상기 기지국(1000)이 상기 송신기(1011)와, 제어기(1013)와, 수신기(1015)와, 저장 유닛(10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기지국(1000)은 상기 송신기(1011)와, 제어기(1013)와, 수신기(1015)와, 저장 유닛(1017) 중 적어도 두 개가 1개의 유닛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기지국(1000)은 1개의 프로세서로도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시하고 있는 개략적 다이아그램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기(1100)는 송신기(1111)와, 제어기(1113)와, 수신기(1115)와, 저장 유닛(1117)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어기(1113)는 상기 단말기(1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1113)는 상기 단말기(11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동작,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1111)는 상기 제어기(11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엔터티, 일 예로 기지국 등으로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1111)가 송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1115)는 상기 제어기(1113)의 제어에 따라 다른 엔터티, 일 예로 기지국 등으로부터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기(111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1117)은 상기 단말기(1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송신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작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1117)은 상기 수신기(1115)가 상기 기지국 등으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들 및 각종 메시지들 등을 저장한다.
한편, 도 11에는 상기 단말기(1100)가 상기 송신기(1111)와, 제어기(1113)와, 수신기(1115)와, 저장 유닛(1117)과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단말기(1100)는 상기 송신기(1111)와, 제어기(1113)와, 수신기(1115)와, 저장 유닛(1117) 중 적어도 두 개가 1개의 유닛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1100)은 1개의 프로세서로도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이하 ‘ROM’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이하 ‘RAM’라 칭하기로 한다)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협력 송신 방법에 있어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들 각각과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신호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신호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말기들로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조 방법은: 양호한 시간-주파수 로컬리제이션 특성(localization property)을 가지는 신호 파형을 생성할 수 있는 변조 방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방법은: 프로토타입 필터(prototype filter) 기반 단일-캐리어 변조, 필터 뱅크 멀티-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변조, 혹은 프로토타입 필터 기반 멀티-캐리어 변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게 상기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 및 기준 신호 정보를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의 시간 지연들간의 차이와, 다른 시간-지연 차이들 하에서의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신호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시간-지연 차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 송신 시간과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는 빔 포밍, 공간 다이버시티, 혹은 공간 멀티플렉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의 신호 송신 시간에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가 존재하며,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이 동일한 단말기에 도착하는 시간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8. 제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대한 동기 채널 및 비동기 채널을 설정하고, 단말기 특정하지 않은 기준 시간에서 상기 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고, 단말기 특정 시간에서 상기 비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다른 단말기들에 대한 동기 채널 신호들 및/혹은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각각 송신하는 능력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동기 채널 신호들 및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능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서 단말기 특정 기준 시간이 아닌 시간에서 채널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단말기 특정 시간에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데이터 변조를 위한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의 시간 지연들 간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10. 제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말기들로 신호들을 송신하는 과정은:
    인접 서브-프레임들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서브-프레임들간에 보호 시간 혹은 천공 동작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과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신호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은: 변조 파형 길이, 멀티-캐리어 공간 및 변조 신호들에 의해 사용되는 반복 계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13. 기지국에 있어서,
    송신 모드 결정 모듈과,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드 결정 모듈은 상기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들 각각과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신호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상기 결정된 신호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말기들로 신호들을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조 방법은: 양호한 시간-주파수 로컬리제이션 특성(localization property)을 가지는 신호 파형을 생성할 수 있는 변조 방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방법은: 프로토타입 필터(prototype filter) 기반 단일-캐리어 변조, 필터 뱅크 멀티-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변조, 혹은 프로토타입 필터 기반 멀티-캐리어 변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상기 단말기에게 상기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 및 기준 신호 정보를 통보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보고되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의 시간 지연들간의 차이와, 다른 시간-지연 차이들 하에서의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신호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시간-지연 차이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 송신 시간과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는 빔 포밍, 공간 다이버시티, 혹은 공간 멀티플렉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의 신호 송신 시간에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가 존재하며,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들이 동일한 단말기에 도착하는 시간간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동기 채널 및 비동기 채널이 설정되고,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단말기 특정하지 않은 기준 시간에서 상기 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고, 단말기 특정 시간에서 상기 비동기 채널에서 신호들을 송신하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다른 단말기들에 대한 동기 채널 신호들 및/혹은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각각 송신하는 능력을 가지며,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동기 채널 신호들 및 비동기 채널 신호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능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단말기 특정 기준 시간이 아닌 시간에서 채널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들 각각은 단말기 특정 시간에서 데이터 변조를 위한 기준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의 시간 지연들 간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2. 제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단말기들로 신호를 송신할 경우, 인접 서브-프레임들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서브-프레임들간에 보호 시간 혹은 천공 동작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과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드 결정 모듈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에 의해 사용될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상응하는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은: 변조 파형 길이, 멀티-캐리어 공간 및 변조 신호들에 의해 사용되는 반복 계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5. 협력 송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와 기준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에 따라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도착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TDOA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과정과;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들의 송신 모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과정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TDOA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로 간주하고, 상기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과정; 혹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TDOA에 따라 상응하는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로 간주하고, 상기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력 송신 방법.
  27. 단말기에 있어서,
    정보 획득 모듈과,
    측정 모듈과,
    피드백 모듈과,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획득 모듈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 및 기준 신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정 모듈은 상기 안테나들의 공간 분산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도착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드백 모듈은 상기 TDOA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들의 송신 모드는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동작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TDOA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로 간주하고, 상기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동작; 혹은
    상기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들의 TDOA에 따라 상응하는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변조 파형 파라미터들 및 멀티-안테나 송신 모드를 상기 안테나들 각각과 상기 단말기간의 채널 상태로 간주하고, 상기 채널 상태를 상기 기지국으로 리턴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50109831A 2014-08-04 2015-08-04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427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379869.1A CN105471790B (zh) 2014-08-04 2014-08-04 适用于分布式天线系统的协作传输方法、基站及终端
CN201410379869.1 2014-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716A true KR20160016716A (ko) 2016-02-15
KR102427434B1 KR102427434B1 (ko) 2022-08-01

Family

ID=5526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831A KR102427434B1 (ko) 2014-08-04 2015-08-04 분산 안테나 시스템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70496B2 (ko)
KR (1) KR102427434B1 (ko)
CN (1) CN105471790B (ko)
WO (1) WO20160219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718A (ko) *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품질 개선 방법
WO2022065780A1 (ko) * 2020-09-25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분산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6560B (zh) * 2015-12-29 202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帧同步方法、用户设备及基站
CN108834435B (zh) 2016-03-22 2021-01-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控制发送定时的方法、节点和计算机可读介质
US10708105B2 (en) * 2016-04-19 2020-07-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ster-than-Nyquist signaling for FBMC burst transmissions
US10728867B2 (en) 2016-06-23 2020-07-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val time control for 5G multi-connectivity
CN106230761B (zh) * 2016-07-22 2019-05-14 中南大学 一种基于零自相关码的fbmc系统的同步方法
CN107707279B (zh) * 2016-08-09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收定时的配置方法及通信设备
WO2018066781A1 (ko) * 2016-10-07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쟁 기반 비직교 다중 접속 방식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60055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027397B2 (en) 2016-12-07 2018-07-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10411914B2 (en) * 2016-12-14 2019-09-10 Intel IP Corporation Data detection in MIMO systems with demodulation and tracking reference signals
KR101891910B1 (ko) * 2017-01-05 2018-10-05 한국과학기술원 필터뱅크 기반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시간 영역의 지역성을 고려한 필터 디자인
CN108365997B (zh) * 2017-01-26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CN110999480B (zh) 2017-08-10 2023-05-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指示和确定信道结构信息的系统和方法
JP7035180B2 (ja) * 2017-10-25 2022-03-14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データ伝送モードの決定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EP3826385A4 (en) * 2018-07-18 2022-03-16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FR3091963B1 (fr) * 2019-01-17 2021-08-20 Zodiac Data Systems Procédé de réception d’un signal SOQPSK-TG en décomposition PAM
US11489562B2 (en) * 2019-08-02 2022-11-0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to assist waveform selection
US11696279B2 (en) * 2020-03-31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ng receive time difference when using a single beam in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CN113973040B (zh) * 2020-07-24 2023-02-0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多天线的信号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244477A1 (en) * 2022-06-13 2023-12-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Base station performance statistics collec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3113A1 (en) * 2009-10-28 2012-08-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hannel measurement
KR20120099433A (ko) * 2009-10-13 2012-09-1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타이밍 정보의 보고
JP2013507024A (ja) * 2009-10-02 2013-02-28 コンセルバトワール ナシオナル デ アール エ メティエ(セエヌアエム) デジタル・データをマルチキャリア送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送信方法
KR20140056357A (ko) * 2011-10-03 2014-05-0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입력-다중-출력 및 협력형 멀티포인트 송신들에서의 안테나 시간 오프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4507B2 (en) * 2004-04-13 2010-03-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select coding mode
JP5102355B2 (ja) * 2007-06-21 2012-12-1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適応アンテナ送信及びアンテナ較正
CN102118825B (zh) * 2009-12-31 2013-12-0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多点联合传输的方法、终端及系统
KR101761821B1 (ko) * 2010-07-2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다중 섹터 협력 전송을 위한 송신 빔포밍과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WO2012152993A1 (en) * 2011-05-10 2012-11-15 Nokia Corporation Delay feedback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KR101873596B1 (ko) * 2012-01-16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WO2013109111A1 (en) * 2012-01-20 2013-07-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asurement re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18362B2 (en) * 2013-07-12 2015-08-25 National Sun Yat-Sen University System for selecting transmission mode under multi-input multi-output based on scheduling number and method thereof
US9137074B2 (en) * 2014-02-13 2015-09-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guard band utilization for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7024A (ja) * 2009-10-02 2013-02-28 コンセルバトワール ナシオナル デ アール エ メティエ(セエヌアエム) デジタル・データをマルチキャリア送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送信方法
KR20120099433A (ko) * 2009-10-13 2012-09-1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타이밍 정보의 보고
US20120213113A1 (en) * 2009-10-28 2012-08-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channel measurement
KR20140056357A (ko) * 2011-10-03 2014-05-0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입력-다중-출력 및 협력형 멀티포인트 송신들에서의 안테나 시간 오프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718A (ko) *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품질 개선 방법
WO2022065780A1 (ko) * 2020-09-25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분산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71790B (zh) 2020-05-15
US10270496B2 (en) 2019-04-23
KR102427434B1 (ko) 2022-08-01
CN105471790A (zh) 2016-04-06
US20170230087A1 (en) 2017-08-10
WO2016021903A1 (en)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04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1601246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0029591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US95449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slo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US20170026156A1 (en) High Resolution Channel Sounding for FDD Communications
JP5065389B2 (ja) Ofdm通信環境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アクセス要求
JP6923558B2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9155721B (zh) 支持可缩放帧结构的无线通信系统中的发射和接收的方法和设备
WO2016033978A1 (zh) 准共位置的配置、确定方法及装置
US20160006586A1 (en) Zero insertion for isi free ofdm reception
JPWO2018123468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22022732A1 (zh) 一种qcl指示方法及相关设备
WO2017193874A9 (zh) 一种信息的发送方法、接收方法、用户设备及基站
WO2022135587A1 (zh) 导频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2041940A2 (en) Uplink timing control signal
WO2017047210A1 (ja) 装置及び方法
CN114221837B (zh) 帧结构指示方法、帧结构更新方法及相关设备
CN114450906A (zh) 用于自适应dmrs模式的网络接入节点和客户端设备
WO2022133698A1 (en) Uplink-based and downlink-based positionings
CN116671195A (zh) 用于生成在无线通信系统中的非周期性定位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KR101622218B1 (ko) 다중 셀 환경에서의 셀 간 동기화 방법
CN114070677A (zh) 通信方法及执行该通信方法的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