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055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055A
KR20180060055A KR1020160159093A KR20160159093A KR20180060055A KR 20180060055 A KR20180060055 A KR 20180060055A KR 1020160159093 A KR1020160159093 A KR 1020160159093A KR 20160159093 A KR20160159093 A KR 20160159093A KR 20180060055 A KR20180060055 A KR 2018006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source
iot
base station
l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하영
강진환
김종돈
이익범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055A/ko
Priority to US15/824,464 priority patent/US10555295B2/en
Priority to EP17873108.9A priority patent/EP3510821A4/en
Priority to PCT/KR2017/013687 priority patent/WO2018097696A1/en
Priority to CN201780073292.3A priority patent/CN110036678A/zh
Publication of KR2018006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1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involving interference determination or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제어 방법은, 제1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1 시스템에 대한 제1 자원, 및 제2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2 시스템에 대한 제2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제1 자원 및 제2 자원을 통해 제1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1 신호 및 제2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자원의 위치와, 제2 자원의 위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복수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할당된 자원을 통해 상기 복수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지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 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운용하는 기지국의 제어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 대한 자원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복수의 통신 시스템 서비스를 운용하는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1 시스템에 대한 제1 자원, 및 제2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2 시스템에 대한 제2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자원 및 제2 자원을 통해 제1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1 신호 및 제2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원의 위치와, 상기 제2 자원의 위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1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1 시스템에 대한 제1 자원, 및 제2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2 시스템에 대한 제2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자원 및 제2 자원을 통해 제1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1 신호 및 제2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원의 위치와, 상기 제2 자원의 위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 대한 자원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복수의 통신 시스템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통신 시스템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에 대해, 간섭을 제거함으로써, 수신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서로 다른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단말 및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으로 기지국에서 수신된 서로 다른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를 복호화하는 프로세서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멀티액세스 채널 레이트 영역(multi-access channel rate region)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수신된 서로 다른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를 복호화하는 프로세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은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시스템에 기가입되어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 받는 기기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같은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일 예시에 해당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의 필요성이 모든 영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기존 통신 시스템과의 역할 분담, 대역 할당, 서비스 영역 등 가능한 모든 영역에서의 융합과 상생이 필요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eMTC(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와 NB-IoT(Narrow band-IoT) 기술은 legacy LTE와의 물리적 레이어 (physical layer)에 대한 규격이 정리되었으며, 여러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서로 다른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단말(110, 120) 및 기지국(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시스템이 IoT 시스템 및 LTE 시스템인 경우, 기지국(100)은 제1 단말(110)로부터 LTE 시스템에 대한 자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제2 단말(120)로부터는 IoT 시스템에 대한 자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지국(100)에 의해, LTE 셀 및 IoT 셀은 동일한 위치에서 배치(deploy)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IoT 셀의 반경은 물리적 채널의 반복 전송을 통한 링크 성능의 개선으로 확장될 수 있으므로, 여러 개의 LTE 셀에 대해 중심 셀에서만 IoT를 지원하도록 하는 셀 배치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LTE 시스템과 함께 다른 시스템이 운용되는 경우, 일반적인 자원의 할당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다른 시스템이 eMTC의 경우, 상기 e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여섯 개의 자원 블록(6RB, Resource block, 1RB=180kHz)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밴드(band)를 기본 대역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legacy LTE가 차지하는 대역폭 내 일부를 eMTC 용 Band로 할당하여 운용될 수 있다.
또한, NB-IoT의 경우는 더욱 좁은 주파수 대역인, 1RB가 기본 대역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상기 NB-IoT를 위해 legacy LTE 내 일부 주파수를 할당할 수도 있고(In-band), 사용 주파수 바깥 대역을 할당할 수도 있다(guard band). 한편, legacy LTE가 사용하는 주파수 외에 여분의 주파수가 있다면, 기지국은 NB-IoT을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NB-IoT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 및 legacy LTE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NB-IoT 시스템을 위해, 도 2의 (a)와 같이 기지국은 GSM 캐리어(200) 들 중에서 임의의 밴드에 NB-IoT를 위한 주파수 대역(205)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도 2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LTE band width (210) 의 가장자리의 바깥 주파수 대역 또는, LTE band width (210) 내의 일부 주파수 대역을 NB-IoT를 위한 주파수 대역(215)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
도 2는 NB-IoT의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eMTC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In-band 모드로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 In-Band 방식으로 LTE 시스템 및 IoT 시스템을 동시에 운용하는 경우, IoT 시스템에 상응하는 주파수 대역의 할당으로 인해,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LTE에 대한 용량의 감소가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표 1은 다운 링크(downlink) 채널의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 자원 감소율을 산출한 것이고 표 2는 업 링크(uplink) 채널의 physical layer 자원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Case
Cell Tput Single UE Peak Tput
eMTC(1) NB-IoT In-band(2) eMTC(1) NB-IoT In-band(2)
3 MHz 40.0 % 6.7 % 46.7% 13.3 %
5 MHz 24.0 % 4.0 % 27.0 % 8.0 %
10 MHz 12.0 % 2.0 % 17.8 % 6.0 %
15 MHz 8.0 % 1.3 % 11.9 % 5.3 %
20 MHz 6.0 % 1.0 % 8.0 % 4.0 %
(1) eMTC : 6 RB 점유
(2) NB-IoT In-band : 1 RB 점유
(3) Single UE peak는 RBG 할당 제약되어, RBG 단위로 손실 발행
Case
Cell Tput Single UE Peak Tput
eMTC(1) NB-IoT In-band(2) eMTC(1) NB-IoT In-band(2)
3 MHz 46.2 % 7.7 % 50.0 % 16.7 %
5 MHz 26.1 % 4.3 % 20.0 % 0 %
10 MHz 13.0 % 2.2 % 16.7 % 10.4 %
15 MHz 8.5 % 1.4 % 0 % 0 %
20 MHz 6.3 % 1.0 % 6.3 % 6.3 %
(1) PUCCH RB수는 반영하고, PRACH RB 수는 미반영
(2) eMTC : 6 RB 점유
(3) NB-IoT In-band : 1 RB 점유
(4) LTE Single UE peak는 2,3,5 배수 단위 할당 제약되며, 5MHz 와 15MHz는 NB-IoT in-band 적용해도 추가 손실 없음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eMTC 또는 NB-IoT 할당을 시간 영역에서 시간 분할(Time division) 방식으로 LTE 와 번갈아 할당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LTE 시스템을 위한 자원의 영역이, LTE 통신 시스템만을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 감소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도 3은 일반적으로 기지국에서 수신된 서로 다른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를 복호화하는 프로세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IoT 시스템 및 LTE 시스템을 동시에 운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세서(300)를 통해, 각 시스템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자원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각각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IoT 시스템에 대응하는 신호 및 LTE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가 부반송파간의 간격(subcarrier spacing)이 동일한 경우, FFT 및 demapping 수행 버퍼(310)를 통해 수신 신호에 대해 FFT를 수행하고, demapping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반면, IoT 시스템에 대응하는 신호 및 LTE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의 subcarrier spacing이 상이하다면,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 및 FFT 사이즈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도 3과 달리, 각각에 해당하는 FFT 및 demapping 블록을 통과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IoT 시스템에 대응하는 신호 및 LTE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의 subcarrier spacing가 동일한 경우, 일반적인 신호 복호화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프로세서(300)는 신호 처리 프로세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320)는 LTE 신호 처리 프로세서(330) 및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320)의 LTE 신호 처리 프로세서(330) 및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340)는 각각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인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320) 내의 각각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LTE 신호 처리 프로세서(330)는 수신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부(331)를 통해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퀄라이저 유닛(332)은 상기 채널 추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이퀄라이징할 수 있다. 디코더(333)는 상기 이퀄라이징된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디코딩된 LTE 신호(334)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과 유사하게,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340)는 수신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부(341)를 통해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퀄라이저 유닛(332)에 의해 채널 추정 결과에 기반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가 이퀄라이징되면, 디코더(333)는 상기 이퀄라이징된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디코딩된 IoT 신호(344)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동일한 자원을 통해 상기 LTE 신호 및 IoT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각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양은 증가할 수 있다. 반면, 도 3의 프로세서(300)를 통해 상기 동일한 자원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각각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신된 신호들은 서로에게 간섭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섭을 physical layer에서 해결하는 방안으로, 간섭 제거(IC, interference cancellation)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IC 기법은 도 3의 프로세서(300)와 같이 서로 다른 스트림(stream)으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된 결과를 바탕으로 신호를 재생성하여 다른 신호에서 제거하고, 상기 재생성된 신호를 제거한 다른 신호를 디코딩함으로써 개선된 성능 이득을 얻는 기법이다.
기지국에서 IC 기법을 적용하려면, 간섭 신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디코딩된 간섭 신호를 재생성하여, 수신 신호에서 상기 재생성된 신호를 제거한 후, 상기 수신 신호에서 재생성된 신호를 뺀 신호를 디코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LTE와 IoT 시스템을 동시 지원하는 기지국은, 도 3의 프로세서(300)를 통해 각 시스템에 대해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IC 기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의 프로세서(300)는 디코딩된 간섭 신호를 재생성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서로 다른 서비스를 목표로 하는 통신 시스템이 동시 운용되는 경우, 서로 간 IC를 해서 자기 신호를 복호 하면 성능 면에서는 좋을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시스템에 대응하는 신호를 각각 IC 하여 자기 신호를 복호 하는 과정에서, 복잡도가 증가하고, 프로세싱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면, LTE의 경우는 HARQ 재전송 주기 등으로 디코딩 프로세싱 시간의 제약이 존재하여, 추가적인 IC 처리가 부담될 수 있다. 한편, 반면 IoT는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신호가 반복 전송되므로, 모뎀이 처리해야 할 프로세싱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IoT 신호에 대해 LTE 신호를 IC 하는 방향이 실용성이 클 수 있다.
성능 이득 관점에서, 서로 상이한 전력을 가지는 두 신호를 중첩 전송하는 경우 IC를 적용함으로써 용량(capacity), 즉 데이터 레이트(data rate)가 증가하는 특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신호에 대비하여 IoT 신호는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 및 커버리지 측면에서 송수신 전력이 더 낮게 된다. 따라서, 두 시스템 간의 전력 차를 이용한 중첩 코딩(superposition coding) 기법과 유사하게, 동일 자원으로 다중 접근(multi-access) 방식을 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주어진 자원을 시간 분할, 주파수 분할 및 코드 분할(code division)하여 전송하는 경우, 얻을 수 있는 capacity, 즉 rate region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두 개의 동시 전송 신호에 대한 capacit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B는 신호 대역폭,
Figure pat00005
는 신호의 전력, n은 수신기의 가산 가우시안 노이즈 파워(additive Gaussian noise power) 이다. 도 4에서
Figure pat00006
지점은 제1 단말의 신호를 최대 전송률로 보내고 제2 단말은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반대로, 제2 단말의 신호를 최대 전송률로 보내고 제1 단말은 신호를 보내지 않는 경우는
Figure pat00007
지점이 된다. Rate region에서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는 중첩된 단말 간 code division하는 경우, Successive IC 를 적용하여 얻어지는 rate 지점이다. 제1 단말이 최대 데이터전송률
Figure pat00010
으로 보낸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1 단말이 전송한 신호는 제2 단말의 입장에서는 간섭 신호로 작용한다. 따라서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은 간섭 상황에서 에러 확률이 낮아지도록 데이터 전송률
Figure pat00011
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수신기는 제2 단말의 신호를 제거하게 되면 수신 신호에서 남은 성분은 제1 단말의 신호와 노이즈 성분이므로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은 매우 작은 에러 확률로 rate
Figure pat00012
이 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4는 시간 분할(time division)과 주파수 분할(frequency division)을 이용하여 자원을 배분하는 경우의 rate region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간의 코드 분할 후 IC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는 서로 간 간섭 성분이 있는 상태로 디코딩 가능한 데이터 전송률이 되므로 capacity 가 감소하게 된다.
동일한 자원에서 LTE 및 IoT 시스템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도 4의 code division 하는 rate region과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드 분할방식에 의해, 자원을 시간 영역이나 주파수 영역으로 나눠 운용하는 방식에 비해 증가된 capacity 를 얻을 수 있다. 어떤 IC 기법을 도입하느냐에 따라 성능 개선의 폭은 다르며, 구현 복잡도를 고려하여 여러 IC 기법 중 성능과 복잡도를 고려하여 임의의 IC 기법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3과 같은 일반적인 기지국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추가되는 요소를 최소화하는 IC 수신 구조를 제안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전력 차이를 가지는 LTE와 IoT 신호 특성을 이용해서 지연(latency) 제약 사항이 크고 신호 세기가 큰 LTE는 상대적으로 전력이 작아 간섭영향이 적은 IoT 신호를 제거하지 않고, 반대로 LTE의 간섭 영향이 크게 미치는 IoT 신호는 LTE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성능 gain을 얻는 단 방향 IC 구조를 이용하는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기지국은, 단계 S510에서, 복수의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1 자원 및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2 자원을 단말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통신 시스템은 LTE 통신 시스템 및 IoT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통신 시스템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S520에서, 기지국은 상기 복수의 통신 시스템 각각에 상응하는 복수의 신호를, 동일한 위치의 자원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 시스템에 및 제2 통신 시스템에 각각 대응하는 자원을 스케줄링할 때, 기지국은 자원을 중첩하여 단말로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자원에 대해, 기지국은 제1 단말로부터는 제1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제2 단말로부터는 제2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은 동일한 단말 또는 서로 다른 단말일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기지국은 수신된 복수의 신호 간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1 신호를 복호화하고 재생성하여, 수신 신호에서 제거함으로써, 간섭이 제거된 제2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은 제2 신호를 복호화하고 재생성하여, 수신 신호에서 제거함으로써, 간섭이 제거된 제1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제1 신호 및 제2 신호 모두에 대해 간섭으로 작용하는 반대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은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해서만 반대 신호를 제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이 큰 LTE 신호에 의해 간섭 영향을 받는 IoT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 신호에서 LTE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간섭이 제거된 IoT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체적인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610에서, 기지국은 제1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1 시스템에 대한 제1 자원, 및 제2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2 시스템에 대한 제2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임계 배수 이상 차이 나는 서로 다른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복수의 시스템에 대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620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1 자원과 위치가 동일한 제2 자원을 통해 제1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1 신호 및 제2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복수의 시스템에 대한 자원을 할당하지만, 상기 복수의 시스템에 대한 자원을 서로 다른 대역폭으로 구분하여 할당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지국은 동일한 위치의 자원을 통해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기지국은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의 동일 여부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할 때, 상기 단말에게 할당되는 자원의 subcarrier spacing을 알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자원을 할당받는 단말의 수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의 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기지국은 3.75kHz의 subcarrier spacing을 가지도록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제1 통신 시스템에 대한 자원을 할당받는 단말들에게는 15kHz의 subcarrier spacing을 가지도록 자원을 할당하면서, 제2 통신 시스템에 대한 자원을 할당받는 단말들에게는 3.75kHz의 subcarrier spacing을 가지도록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계 S630에서,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의 동일 여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반하여 단계 S640 또는 S670으로 진행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이 동일한 경우, 단계 S640에서 기지국은 상기 제1 자원을 통해 수신된 제1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3 신호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650에서, 기지국은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재생성된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에서 제거할 수 있다. 단계 S660에서, 기지국은 재생성된 상기 제3 신호가 제거된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한편,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S670에서, 기지국은 상기 제1 자원을 통해 수신된 제1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제4 신호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680에서, 기지국은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생성된 상기 제4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에서 제거할 수 있다. 단계 S690에서, 기지국은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생성된 상기 제4 신호가 제거된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이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은 경우 IC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이 동일한 경우, 기지국(700)에서 수신된 서로 다른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를 복호화하는 프로세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제1 시스템이 LTE 시스템이고 제2 시스템이 IoT 시스템인 경우, 수신된 LTE 신호 및 IoT 신호의 subcarrier spacing이 15kHz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의 프로세서(700)는 하나의 FFT 및 demapping 버퍼(710)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7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720)는 LTE 신호 처리 프로세서(730) 및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720)의 LTE 신호 처리 프로세서(730) 및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740)는 각각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인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720) 내의 각각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LTE 신호 처리 프로세서(730)는 수신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부(731)를 통해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퀄라이저 유닛(732)은 상기 채널 추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이퀄라이징할 수 있다. 디코더(733)는 상기 이퀄라이징된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디코딩된 LTE 신호(734)를 생성할 수 있다.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740)는 상기 디코딩된 LTE 신호(734)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재생성하고, 재생성된 신호를 FFT 출력 신호에서 제거해서, IoT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740)는 상기 디코딩된 LTE 신호(734)를 인코더(750)를 통해 인코딩하고, 변조부(76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변조된 신호 및 채널 추정부(731)를 통한 채널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LTE 신호가 재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성된 LTE 신호는 간섭 제거부(interference cancellation unit)(770)를 통해, FFT가 수행된 수신 신호에서 제거될 수 있다.
FFT가 수행된 수신 신호에서 상기 재생성된 LTE 신호가 IC 되면, 남은 성분은 IoT 신호 및 잡음 성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자원을 통해 LTE 신호 및 IoT 신호가 수신되는 일반적인 경우와 같은 방법, 예를 들면 도 3에서 설명한 방법, 으로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740)는 간섭 제거부(770)를 통과한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IoT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TE 신호가 제거된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740)는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부(741)를 통해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퀄라이저 유닛(742)은 상기 채널 추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이퀄라이징할 수 있다. 디코더(743)는 상기 이퀄라이징된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디코딩된 IoT 신호(744)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과 같은 프로세서(700)를 통해, 기지국은 디코딩된 LTE 신호(734) 및 간섭제거 후 디코딩된 IoT 신호(744)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이 상이한 경우, 기지국(800)에서 수신된 서로 다른 시스템에 상응하는 신호를 복호화하는 프로세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제1 시스템이 LTE 시스템이고 제2 시스템이 IoT 시스템인 경우, IoT 신호의 subcarrier spacing은 LTE 신호의 15kHz와 달리 3.75kHz일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의 프로세서(800)는 각 신호의 sampling rate 에 맞는 FFT 및 demapping 버퍼를 이용하여 LTE 신호 및 IoT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신호가 신호 처리 프로세서(800)에 입력되면, LTE 신호 처리 프로세서(810)는 FFT 및 demapping 버퍼(811)를 통해 LTE 신호에 대한 FFT 및 demapping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LTE 신호 처리 프로세서(810)는 수신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부(812)를 통해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퀄라이저 유닛(813)은 상기 채널 추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이퀄라이징할 수 있다. 디코더(814)는 상기 이퀄라이징된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디코딩된 LTE 신호(815)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820)는 상기 디코딩된 LTE 신호(815)를 시간 도메인에서 재생성하고, 재생성된 신호를 수신 신호에서 제거해서, IoT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820)는 상기 디코딩된 LTE 신호(814)를 인코더(830)를 통해 인코딩하고, 변조부(84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변조된 신호 및 채널 추정부(812)를 통한 채널 추정 결과를 이용하여, IFFT 수행부(850)에서 IFFT를 수행함으로써, LTE 신호가 재생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LTE 신호 및 IoT 신호는 subcarrier spacing이 상이하여, FFT를 거친 후의 주파수 도메인 신호가 상이하다. 따라서, IC 수행을 위해, 상기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820)는 IFFT 수행부(850)에서 IFFT를 수행하여 디코딩된 LTE 신호를 시간 도메인 신호로 재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성된 LTE 신호는 간섭 제거부(interference cancellation unit)(860) 를 통해, 수신 신호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820)는 IoT 신호의 subcarrier spacing에 따른, FFT 및 demapping 버퍼(821)를 통해 IC가 수행된 IoT 신호에 대한 FFT 및 demapping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신호에서 상기 재생성된 LTE 신호가 IC 되면, 남은 성분은 IoT 신호 및 잡음 성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740)는 FFT 및 demapping을 수행하고, 다른 자원을 통해 LTE 신호 및 IoT 신호가 수신되는 일반적인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IoT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820)는 FFT 및 demapping이 수행된 IoT 신호에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부(822)를 통해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퀄라이저 유닛(823)은 상기 채널 추정의 결과에 기반하여,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이퀄라이징할 수 있다. 디코더(824)는 상기 이퀄라이징된 신호를 복호화함으로써, 디코딩된 IoT 신호(825)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과 같은 프로세서(700)를 통해, 기지국은 디코딩된 LTE 신호(815) 및 간섭제거 후 디코딩된 IoT 신호(825)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들에 의해 설명된 프로세서는 기지국에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CA를 통해 지원하는 셀의 개수만큼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IoT 신호의 간섭량이 적으므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그리고 LTE 시스템은 커버리지가 제한되지 않는 사용자 신호와 IoT 자원을 겹치도록 스케줄링함으로써 성능이 일부 열화 되는 문제가 해결 가능하다.
반면, IoT 시스템에 대해서는, LTE 신호를 제거하는 경우, 간섭 영향이 없게 만드나, IC 가 완벽하지 않는 경우는 잔여 간섭 성분이 남아 일부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IoT 시스템은 신호 레벨이 낮은, 예를 들면 노이즈가 큰 환경을 동작 영역으로 고려한 규격이다. 따라서, IoT 신호는 상기 잔여 간섭 성분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IoT 시스템은 셀 영역 확장을 위해 동일 자원을 repetition 전송함을 기본 운용 방식으로 고려하므로 성능 열화가 일부 발생하더라도 repetition 회수를 증가시키는 손쉬운 스케줄링 방식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LTE 신호만 수신 신호에서 제거하는 간단한 구조를 고려하였다. 그러나 IC 제거 성능 효과를 높이기 위해 LTE와 IoT 신호를 모두 IC 하는 양방향 IC 구조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다른 통신 시스템 간 IC 뿐 아니라 다수의 시스템 간 IC 로도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코더의 출력 결과를 재생성하여 IC 하는 간단한 구조를 고려하였다. 그러나 경판정(hard decision) 복호화된 decoded bits로 재생성하는 방법 외에도, 디코더 내부 출력인 연판정(soft decision) 값(value)으로 제거할 신호를 재생성하는 여러 다양한 기법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을 통해서 서로 다른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도입에도 시스템 대역폭(bandwidth)을 증가시키거나 legacy 시스템의 자원을 감소시키지 않는 운용 방법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 legacy 시스템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서비스를 모뎀 수신 단 구조의 변경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지국의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지국의 프로세서는 플래시 메모리나 기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의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프로세서는 CPU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의 CPU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술한 프로그램들을 RAM으로 복사한 후, 복사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지국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이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운용체제(operating system) 등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에 포함된 통신 모듈 등의 다른 기능부와 함께 단일칩 시스템 (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300: 프로세서 310: FFT 및 demapping 수행 버퍼
320: 신호 처리 프로세서 330: LTE 신호 처리 프로세서
340: IoT 신호 처리 프로세서

Claims (16)

  1. 기지국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1 시스템에 대한 제1 자원, 및 제2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2 시스템에 대한 제2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자원 및 제2 자원을 통해 제1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1 신호 및 제2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원의 위치와, 상기 제2 자원의 위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전력은 상기 제2 전송 전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전력이 상기 제2 전송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수신 신호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제거하여 제2 신호에 대한 간섭을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제1 신호를 이용하여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3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신호가 제거된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부반송파간의 간격(subcarrier spacing)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subcarrier spacing이 동일한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간섭 제거를 수행할 도메인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재생성된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재생성된 상기 제3 신호가 제거된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제4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생성된 상기 제4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에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생성된 상기 제4 신호가 제거된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디코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은 LTE(long time evolution) 통신 시스템이고, 상기 제2 시스템은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제1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1 시스템에 대한 제1 자원, 및 제2 전송 전력을 사용하는 제2 시스템에 대한 제2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자원 및 제2 자원을 통해 제1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1 신호 및 제2 시스템에 상응하는 제2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자원의 위치와, 상기 제2 자원의 위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전력은 상기 제2 전송 전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송 전력이 상기 제2 전송 전력보다 큰 경우, 상기 수신 신호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제거하여 제2 신호에 대한 간섭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1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1 신호를 이용하여 제3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제3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에서 제거하고, 상기 제3 신호가 제거된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부반송파간의 간격(subcarrier spacing)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subcarrier spacing이 동일한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간섭 제거를 수행할 도메인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3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재생성된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에서 제거하며, 상기 주파수 도메인에서 재생성된 상기 제3 신호가 제거된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원 및 상기 제2 자원의 subcarrier spacing가 상이한 경우, 상기 제1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제4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생성된 상기 제4 신호를 상기 수신 신호에서 제거하고, 상기 시간 도메인에서 생성된 상기 제4 신호가 제거된 상기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스템은 LTE(long time evolution) 통신 시스템이고, 상기 제2 시스템은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60159093A 2016-11-28 2016-1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60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93A KR20180060055A (ko) 2016-11-28 2016-1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US15/824,464 US10555295B2 (en) 2016-11-28 2017-11-28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7873108.9A EP3510821A4 (en) 2016-11-28 2017-11-28 BASE STATION AND ITS METHOD OF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CT/KR2017/013687 WO2018097696A1 (en) 2016-11-28 2017-11-28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780073292.3A CN110036678A (zh) 2016-11-28 2017-11-28 无线通信系统中的基站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93A KR20180060055A (ko) 2016-11-28 2016-1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055A true KR20180060055A (ko) 2018-06-07

Family

ID=6219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093A KR20180060055A (ko) 2016-11-28 2016-11-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55295B2 (ko)
EP (1) EP3510821A4 (ko)
KR (1) KR20180060055A (ko)
CN (1) CN110036678A (ko)
WO (1) WO2018097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432B1 (ko) 2018-02-21 2023-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2332999B (zh) * 2020-09-23 2023-08-0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带宽分配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885B1 (ko) 2007-04-03 2010-12-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의 할당 장치 및 방법
WO2009123163A1 (ja) * 2008-03-31 2009-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送信パラメータの決定方法
CN101997811A (zh) * 2009-08-26 2011-03-30 复旦大学 交织式单载波频分多址系统的载波频偏抵消方法
US8433015B2 (en) 2009-12-03 2013-04-30 Glowlink Communications Technology,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removing unwanted inband signals from a received communication signal
CN103179059A (zh) * 2011-12-21 2013-06-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子载波干扰ici消除方法及装置
US9723497B2 (en) 2013-04-04 2017-08-01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ssisted interference cancellation/suppression for multiple services
CN109495231B (zh) * 2013-04-25 2023-05-0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号的方法和设备
US9942013B2 (en) 2014-05-07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KR102244366B1 (ko) 2014-05-09 2021-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제거 및 억제를 위한 무선 자원 활용 방법 및 장치
CN105471790B (zh) * 2014-08-04 2020-05-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适用于分布式天线系统的协作传输方法、基站及终端
ES2644968T3 (es) 2014-09-30 2017-12-01 Telefónica S.A. Procedimiento y sistema de asistencia a dispositivos de usuario en la realización de una cancelación de interferencias en redes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de OFDMA
US9641272B2 (en) 2014-10-24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Inter-rat interference cancellation
WO2016122268A1 (ko) * 2015-01-30 201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대역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공용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19172B2 (en) * 2015-06-21 2019-09-17 Lg Electronics Inc. Downlink power allocation method for must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7051712A1 (ja) * 2015-09-24 2017-03-30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PL3434055T3 (pl) * 2016-03-23 2023-07-31 Nokia Technologies Oy Wspólny błąd fazy i/lub zakłócenia między nośnymi
CN107306425B (zh) * 2016-04-20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设备配置方法及装置
PL3920455T3 (pl) * 2016-05-13 2023-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elorozdzielcze przesyłanie zwrotne CSI
US10200994B2 (en) * 2016-05-20 2019-02-05 Qualcomm Incorporated Non-equal bit allocation for coexistence with scaled numerology systems
EP3468077A4 (en) * 2016-06-27 2019-06-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EP3488575B1 (en) * 2016-07-22 2022-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rotocol beacon operation
CA3033509C (en) * 2016-08-10 2022-07-12 Idac Holdings, Inc. Methods for flexible resource usage
WO2018030855A1 (ko) * 2016-08-11 2018-02-15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19171B2 (en) 2016-08-11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guard band for heterogeneous symbol lengths/subcarrier spacing
US10425971B2 (en) * 2016-11-02 2019-09-24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 reduction in contention-based access
US10334533B2 (en) * 2016-11-02 2019-06-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on-orthogonal design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for a 5G air interface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interfaces
CN115632686A (zh) * 2016-11-03 2023-01-20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Nr中的帧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0821A4 (en) 2019-09-04
EP3510821A1 (en) 2019-07-17
US10555295B2 (en) 2020-02-04
CN110036678A (zh) 2019-07-19
WO2018097696A1 (en) 2018-05-31
US20180152932A1 (en) 2018-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157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signal
US106817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existence of 4th and 5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s
US2024010661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tting signal
KR20190131381A (ko) V2x 시스템에서 dmrs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CN113261356B (zh) 无线系统中的资源分配和分段
CN107535000B (zh) 基站和通信方法
US201800912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ownlink to uplink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90957B2 (en) Cost effective network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networks
KR201601189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902808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r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2530235A (ja) 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中でのポジショニングのために使用される基準信号に対するパターン
CN115398849B (zh) 使用单天线端口进行叠加传输的时隙结构
US117438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of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different services
US20240064790A1 (en) Device and method for associating resource information with channel metric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12399630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6034556A (zh) 用于物理侧行链路反馈信道上的调度请求的资源映射
CN115004594A (zh) 同时的反馈信息和上行链路共享信道传输
EP3547578A1 (en) Control channel decoding device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903203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665927B (zh) 基地台及使用者裝置
JP6783441B2 (ja) スロット付きalohaの電信分割
KR2018006005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762430A (zh) 传输块的多时隙传输
KR10243762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5516787A (zh) 用于控制信道重复的解调参考信号增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