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332A -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332A
KR20160016332A KR1020140100248A KR20140100248A KR20160016332A KR 20160016332 A KR20160016332 A KR 20160016332A KR 1020140100248 A KR1020140100248 A KR 1020140100248A KR 20140100248 A KR20140100248 A KR 20140100248A KR 20160016332 A KR20160016332 A KR 20160016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filler
building
tubular refractory
tubula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언
Original Assignee
노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필 filed Critical 노상필
Priority to KR102014010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6332A/ko
Publication of KR20160016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관통부 틈새에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관통부 틈새에 허용하는 폭이 5배 이상 넓어지므로 한가지의 규격으로 대부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관통부 틈새의 최대 넓이와 최소 넓이의 차가 15배까지 가능하여 시공성에 있어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관통부에 파이프의 설치에 따른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므로 내화충전재의 작업이 수월해지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제조한 내화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므로 완벽한 내화충전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구 또는 고정틀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구와 튜브형의 내화충전재에 지지하는 요철을 만들어 고정구 일체형 튜브타입의 내화충전재를 만들 수 있으며,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벽면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벽체 양면을 두께10mm 이내의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을 사용하여 마감하여 줌으로써, 편심에 따른 공간을 커버하여 실란트로 마감할 때보다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고,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바닥 슬라브에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으로 덮어 마감하여 줌으로써, 편심에 따른 공간을 커버하여 실란트로 마감할 때보다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Construction structure of fireproof filling element which is applied in penetration department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관통부 틈새에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관통부 틈새에 허용하는 폭이 5배 이상 넓어지므로 한가지의 규격으로 대부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관통부 틈새의 최대 넓이와 최소 넓이의 차가 15배까지 가능하여 시공성에 있어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관통부에 파이프의 설치에 따른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므로 내화충전재의 작업이 수월해지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제조한 내화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므로 완벽한 내화충전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구 또는 고정틀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구와 튜브형의 내화충전재에 지지하는 요철을 만들어 고정구 일체형 튜브타입의 내화충전재를 만들 수 있으며,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벽면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벽체 양면을 두께10mm 이내의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을 사용하여 마감하여 줌으로써, 편심에 따른 공간을 커버하여 실란트로 마감할 때보다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고,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바닥 슬라브에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으로 덮어 마감하여 줌으로써, 편심에 따른 공간을 커버하여 실란트로 마감할 때보다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건축 관련 법규(예, 법 제40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154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 등)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이상 화염(1,049℃ 이상)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실제 건축물에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관통부의 밀폐는 중요하다. 이에 관통부를 해당 내화구조의 성능에 맞게 밀폐시켜 주는 공사를 하는데, 이를 내화충전공사라고 하며, 내화충전구조를 국가가 시험·증명해 주고 관리하는 '인정제도'를 유지하고 한다. 관통부를 법정 내화충전구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열성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인정기관에서 소정의 내열성시험을 거쳐서 내화성능 등급을 부여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에서 내화 충전재로 사용되고 있는 무기계인 암면(MINERALWOOL), 세라믹울(Ceramic wool) 등과 유기재료 계통인 실리콘 폼 재료는 널리 알려져 있는 제품으로 내화 충전구조에 중간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충전재료 자체는 제품에 따라 난연성, 신축성, 경량성 등에서는 우수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열화성, 흡수성, 마모성이 크고 분진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밀도가 높은 방화용 단열재는 비신축적이기 때문에 방화구획처리용 채움재로 단독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파이프가 관통부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규격화된 내화충전재를 관통부에 삽입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탄성이 있는 내화충전재를 사용한다.
그러나 편심이 있는 파이프의 관통부 틈새의 간격에 따라 내화충전재의 두께가 다른 여러 종류의 제품이 필요하여 현장에서 사용함에 있어 종류가 너무 많아 재고관리의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관통부 틈새에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므로 종래에 비해 관통부 틈새에 허용하는 폭이 5배 이상 넓어지므로 한가지의 규격으로 대부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관통부 틈새의 최대 넓이와 최소 넓이의 차가 15배까지 가능하여 시공성에 있어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관통부에 파이프의 설치에 따른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므로 내화충전재의 작업이 수월해지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제조한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므로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므로 완벽한 내화충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KR 10-2011-0061555(2011. 6. 24)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관통부 틈새에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관통부 틈새에 허용하는 폭이 5배 이상 넓어지므로 한가지의 규격으로 대부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관통부 틈새의 최대 넓이와 최소 넓이의 차가 15배까지 가능하여 시공성에 있어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관통부에 파이프의 설치에 따른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므로 내화충전재의 작업이 수월한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제조한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므로 완벽한 내화충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구 또는 고정틀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구와 튜브형의 내화충전재에 지지하는 요철을 만들어 고정구 일체형 튜브타입의 내화충전재를 만들 수 있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벽면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벽체 양면을 두께10mm 이내의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을 사용하여 마감하여 줌으로써, 편심에 따른 공간을 커버하여 실란트로 마감할 때보다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바닥 슬라브에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으로 덮어 마감하여 줌으로써, 편심에 따른 공간을 커버하여 실란트로 마감할 때보다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와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에 매설되는 슬리브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구(또는 고정틀)와; 상기 고정구(또는 고정틀) 하부부분의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슬리브 사이의 관통부의 틈새에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는 튜브형의 내화충전재;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고정구(또는 고정틀) 하부부분의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슬리브 사이의 관통부의 틈새에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는 튜브형의 내화충전재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벽면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벽체 양면을 두께 10mm 이내의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을 사용하여 마감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바닥 슬라브에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으로 덮어 마감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편심이 없는 파이프 또는 편심이 있는 파이프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는 고정구와 튜브형의 내화충전재에 지지하는 요철을 만들어 고정구 일체형 튜브타입의 내화충전재로 사용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는 관통부의 틈새에 허용하는 폭을 넓게 하며, 관통부의 틈새의 최대 넓이와 최소 넓이의 차가 5배 내지 15배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는 PVC, PE, 우레탄, 실리콘,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원료를 사용하고, 상기 합성수지 원료에 불연유와 무기재료를 첨가하며 제조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건축물의 관통부 틈새에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관통부 틈새에 허용하는 폭이 5배 이상 넓어지므로 한가지의 규격으로 대부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관통부 틈새의 최대 넓이와 최소 넓이의 차가 15배까지 가능하여 시공성에 있어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건축물의 관통부에 파이프의 설치에 따른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하므로 내화충전재의 작업이 수월하다.
셋째,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제조한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므로 완벽한 내화충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구 또는 고정틀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구와 튜브형의 내화충전재에 지지하는 요철을 만들어 고정구 일체형 튜브타입의 내화충전재를 만들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벽면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벽체 양면을 두께10mm 이내의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을 사용하여 마감하여 줌으로써, 편심에 따른 공간을 커버하여 실란트로 마감할 때보다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바닥 슬라브에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으로 덮어 마감하여 줌으로써, 편심에 따른 공간을 커버하여 실란트로 마감할 때보다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가 편심이 없는 파이프에 적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가 편심이 있는 파이프에 적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가 눌러지기 전과 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와 튜브형 내화충전재에 지지하는 요철을 만들어 고정구 일체형 튜브타입의 내화충전재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를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벽면에 사용하는 경우(a)와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b)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레싱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및 적용되는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가 편심이 없는 파이프에 적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가 편심이 있는 파이프에 적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가 눌러지기 전과 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와 튜브형 내화충전재에 지지하는 요철을 만들어 고정구 일체형 튜브타입의 내화충전재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를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벽면에 사용하는 경우(a)와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b)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레싱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면이다.
본 발명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고정구(또는 고정틀)(10), 요철(11),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 요철(21), 파이프(30), 슬리브(40), 후레싱(50), 바닥 슬라브(또는 벽체)(6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와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에 매설되는 슬리브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구(또는 고정틀)(10)와; 상기 고정구(또는 고정틀) 하부부분의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슬리브 사이의 관통부의 틈새에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는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 을 구비한다.
또한,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고정구(또는 고정틀) 하부부분의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슬리브 사이의 관통부의 틈새에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는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인 것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를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구(또는 고정틀)(10)는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30)와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60)에 매설되는 슬리브(40)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30)는 편심이 없는 파이프 또는 편심이 있는 파이프인 것이다.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는 상기 고정구(또는 고정틀) 하부부분의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30)와 슬리브(40) 사이의 관통부의 틈새에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30)는 편심이 없는 파이프 또는 편심이 있는 파이프인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는 고정구(10)와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에 지지하는 요철(11, 21)을 만들어 고정구 일체형 튜브타입의 내화충전재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를 사용하면 관통부 틈새의 허용 폭이 기존 방법에 비해 5배 이상 넓어져 1가지 규격으로 대부분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두께3mm, 직경 Ø45mm 튜브는 튜브를 완전히 누르면 이론적으로 틈새가 6mm에서 45mm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통부 틈새 최대 넓이와 최소 넓이의 차가 7.5배까지 가능하여 시공성에 있어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의 두께가 얇으면 허용하는 폭은 더욱 커지게 되어 만일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 두께가 2mm, 직경이 Ø45mm인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를 사용할 경우에는 최소 넓이 4mm 내지 45mm까지 사용이 가능하여 최소 대비 최대넓이 차가 11.25배에 이르는 것이다.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의 두께는 얇을수록 적용성이 우수하나, 너무 얇으면 내화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0.5mm ∼ 20mm 이내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고정구 또는 고정틀(10)을 사용하지 않은 벽면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벽체(60) 양면을 두께 10mm 이내의 원형의 금속 후레싱(50)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50)을 사용하여 마감하는 것이며, 또한,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는 고정구 또는 고정틀(10)을 사용하지 않은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바닥 슬라브(60)에 원형의 금속 후레싱(50)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50)으로 덮어 마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금속 후레싱(50)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의 넓이는 편심을 완전히 가릴 수 있도록 30mm 이상 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는 관통부의 틈새에 허용하는 폭을 넓게 하며, 관통부의 틈새의 최대 넓이와 최소 넓이의 차가 5배 내지 15배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20)는 PVC, PE, 우레탄, 실리콘,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원료를 사용하고, 상기 합성수지 원료에 불연유와 무기재료를 첨가하며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첨가물이 너무 많이 혼합되면 탄성을 잃어버리게 되어 복원력과 유연성 없어지므로 첨가물의 양은 최대 4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는 케이블 관통부(cable penetration), 파이프 관통부(pipe penetration), 덕트(관) 관통부(duct penetration), 커튼 월 조인트(curtain wall joint), 외부(외벽) 조인트(perimeter joint) 등과 같은 방화구획 관통부용 또는 바닥 슬라브용 충전재료로서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고정구(또는 고정틀) 11 : 요철
20 : 튜브형의 내화충전재 21 : 요철
30 : 파이프 40 : 슬리브
50 : 후레싱 60 : 바닥 슬라브(또는 벽체)

Claims (8)

  1.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파이프와 건축물의 바닥 슬라브에 매설되는 슬리브 사이인 관통부의 틈새의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구(또는 고정틀)와;
    상기 고정구(또는 고정틀) 하부부분의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슬리브 사이의 관통부의 틈새에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는 튜브형의 내화충전재;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2.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고정구(또는 고정틀) 하부부분의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슬리브 사이의 관통부의 틈새에 삽입되며, 탄성을 갖는 튜브에 팽창물질을 부가하여 플라스틱 슬리브 또는 파이프 보온재의 가연물이 관통부 안에 있을 때 가연물이 녹은 공간을 채워주는 튜브형의 내화충전재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3.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벽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벽체 양면을 두께 10mm 이내의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을 사용하여 마감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4.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고정구 또는 고정틀을 사용하지 않은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를 관통부 틈새에 삽입한 후에 바닥 슬라브에 원형의 금속 후레싱 또는 플라스틱 후레싱으로 덮어 마감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편심이 없는 파이프 또는 편심이 있는 파이프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는 고정구와 튜브형의 내화충전재에 지지하는 요철을 만들어 고정구 일체형 튜브타입의 내화충전재로 사용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는 관통부의 틈새에 허용하는 폭을 넓게 하며, 관통부의 틈새의 최대 넓이와 최소 넓이의 차가 5배 내지 15배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의 내화충전재는 PVC, PE, 우레탄, 실리콘, 고무 중에서 선택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원료를 사용하고, 상기 합성수지 원료에 불연유와 무기재료를 첨가하며 제조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KR1020140100248A 2014-08-05 2014-08-05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KR20160016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248A KR20160016332A (ko) 2014-08-05 2014-08-05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248A KR20160016332A (ko) 2014-08-05 2014-08-05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332A true KR20160016332A (ko) 2016-02-15

Family

ID=5535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248A KR20160016332A (ko) 2014-08-05 2014-08-05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63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17U (ko) 2016-10-13 2018-04-23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내화 슬리브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17U (ko) 2016-10-13 2018-04-23 아그니코리아 주식회사 내화 슬리브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6811B2 (en) Insulating sealing element for head-of-wall joints
US10982435B2 (en) Joint-sealing element and sealing arrangement with such a joint-sealing element
US10663090B2 (en) Device for passing pipes or cables through an opening in a building
US20150275507A1 (en) Insulating sealing element for head-of-wall joints
US20150275506A1 (en) Insulating sealing element for head-of-wall joints
US20120304979A1 (en) Line Element Lead-Through with Support Structure
AU2012216560A1 (en) Fire protection element
JP5779435B2 (ja) 防火区画貫通部構造
KR101519816B1 (ko) 내화충전재 고정장치
KR101198390B1 (ko) 난연성 배관 지지용 마감재
KR101748979B1 (ko) 슬리브, 구획 관통 구조 및 구획 관통 구조의 시공 방법
JP7134426B2 (ja) 耐火部材及び耐火構造
US11072924B2 (en) System for providing a fire safe sealing in an aperture in a wall, a ceiling or a floor of a building, an element for a fire safe sealing system and a bulkhead for a fire safe sealing in the aperture
KR20160016332A (ko) 건축물의 관통부용 튜브형 내화충전재의 설치구조
JP6777427B2 (ja) 防火材及び区画貫通部の防火構造
JP2014239635A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遮音措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8044361A (ja) 耐火充填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の施工方法
JP5937902B2 (ja) 耐火処理具及び貫通部の耐火構造
JP2017227111A (ja)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に区画貫通孔を形成するためのスリーブ
JP2018044612A (ja) スリーブ、区画貫通構造、及び耐火充填構造
JP2023052087A (ja) 耐火部材
KR102338454B1 (ko) 건축물에 구획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슬리브
KR19980057357U (ko) 전선 및 통신케이블의 연소방지장치
JP2014109121A (ja) 隙間遮蔽充填材を備えた防火区画貫通部構造
JP2018179265A (ja) 区画貫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