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773A -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 Google Patents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773A
KR20160015773A KR1020140098461A KR20140098461A KR20160015773A KR 20160015773 A KR20160015773 A KR 20160015773A KR 1020140098461 A KR1020140098461 A KR 1020140098461A KR 20140098461 A KR20140098461 A KR 20140098461A KR 20160015773 A KR20160015773 A KR 20160015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jection needle
jig
injection
al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322B1 (ko
Inventor
백우인
Original Assignee
백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우인 filed Critical 백우인
Priority to KR102014009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8Needles arranged in parall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바늘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커팅면이 항상 일정한 방향을 지향하도록 주사바늘의 위치를 정렬시켜 주는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100)는 주사바늘이 놓여지는 홈부(111a)가 상부에 형성된 이동지그(110)와, 상기 이동지그와 함께 일측으로 이동하는 주사바늘(A)의 선단과 구름접촉되는 주사바늘 활주면(121)을 구비한 고정지그(120)로 구성되어, 주사바늘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커팅면(B)이 항상 주사바늘 활주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Jig for adjustmening needle of syringe}
본 발명은 주사바늘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커팅면이 항상 일정한 방향을 지향하도록 주사바늘의 위치를 정렬시켜 주는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바늘의 선단에는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커팅하여 형성된 경사커팅면이 존재한다.
이 경사커팅면은 주사바늘에 예리한 선단을 제공하여 주사시 피부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돕기도 하지만, 주사시 주사액이 특정방향(경사커팅면이 형성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주사액의 배출방향을 특정방향으로 유도해야 하는 이유는, 국부마취를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마취액이 마취가 요구되는 부위를 향하도록 주사되어야 정확하고 효율적인 국부마취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처럼 주사액이 목표로 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주사되어야 정확한 약효가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주사바늘을 주사기의 실린더(1)에 조립할 때, 실린더(1)에 주사바늘(10)을 고정시켜 주는 허브(2)에 미리 표식부(3)를 형성시키고, 이 표식부(3)와 경사커팅면(11)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주사바늘(10)의 위치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주사바늘(10)을 허브(2)에 결합하여 주사시 표식부(3)를 통해 주사바늘의 정렬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주사바늘(10)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미세한 경사커팅면(11)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고 불량확률도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20-0130769 Y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사바늘의 경사커팅면을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자동 정렬시켜 주는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는 주사바늘이 놓여지는 홈부가 상부에 형성된 이동지그와, 상기 이동지그와 함께 일측으로 이동하는 주사바늘의 선단과 구름접촉되는 주사바늘 활주면을 구비한 고정지그로 구성되어, 주사바늘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커팅면이 항상 주사바늘 활주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활주면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하향경사면과, 상기 하강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하강경사면을 경유한 주사바늘의 선단이 안착되는 주사바늘의 직경보다 협소한 폭을 가진 안착홈을 더 구비하여, 주사바늘 활주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주사바늘의 경사커팅면이 하향경사면과 연장되는 안착홈 내벽면과 항상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정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지그에 주사바늘을 공급해 주는 주사바늘 공급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공급유닛은 주사바늘을 픽업하는 진공흡착리프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동지그에 정렬이 완료된 주사바늘을 픽업하여 대기 중인 허브에 꽂아 넣어 주는 주사바늘 배출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배출유닛은 주사바늘의 양측을 잡아서 픽업하는 클램핑리프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사바늘이 놓여지는 홈부가 상부에 형성된 이동지그와 상기 이동지그와 함께 일측으로 이동하는 주사바늘의 선단과 구름접촉되는 주사바늘 활주면을 구비한 고정지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지그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주사바늘이 주사바늘 활주로를 활주하면서 자동으로 선단에 형성된 경사커팅면이 항상 아래를 향하게 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고정지그에 상기 활주면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하향경사면과 상기 하강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하강경사면을 경유한 주사바늘의 선단이 안착되는 주사바늘의 직경보다 협소한 폭을 가진 안착홈이 더 구비되는 경우, 정렬된 주사바늘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주사바늘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주사바늘의 회전이 불가하므로 주사바늘의 정렬상태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지그에 주사바늘을 공급해 주는 주사바늘 공급유닛과 주사바늘 배출유닛이 더 구비되면, 주사바늘의 공급과 정렬 그리고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입방향이 표시되는 주사바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지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지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지그의 사시도로서, 고정지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지그의 사용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지그에 주사바늘 공급유닛과 주사바늘 배출유닛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사시도.
도 8a 내지 도 8e는 도 6 및 도 7에 따른 주사바늘 고정지그의 사용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100)는 이동지그(110)와 고정지그(12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지그(110)는 주사바늘(A)을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지그(110)는 상부에 주사바늘(A)이 놓여지는 홈부(111a)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지그몸체(111)와 지그몸체(111)를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112)를 구비한다. 상기 홈부(111a)에는 지그몸체(111)의 전방으로 선단이 돌출되게 주사바늘(A)이 놓여지며, 주사바늘(A)은 상기 홈부(111a)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실린더(112)의 동작에 따라 지그몸체(111)와 함께 좌우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상기 홈부(111a)가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면 복수의 주사바늘(A)을 동시에 왕복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고정지그(120)는 이동지그(110)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지그(120)는 이동지그(110)의 홈부(111a)에 위치한 주사바늘(A)의 선단과 구름 접촉되는 주사바늘 활주면(121)을 구비한다. 상기 주사바늘 활주면(121)은 고정지그(120)의 상면을 이루는 수평면으로서 주사바늘(A)의 선단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그(11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주사바늘(A)이 이동지그(110)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주사바늘 활주면(121)과 주사바늘(A) 선단과의 마찰로 인하여 주사바늘(A)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주사바늘(A)은 이동지그(110)의 홈부(111a)내에서 좌우로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므로 주사바늘 활주면(121)으로부터 선단이 이탈되지 않고 매우 안정적으로 활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사바늘(A)의 선단이 회전하면서 주사바늘 활주면(121)을 활주하게 되면 주사바늘(A)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커팅면(B)이 주사바늘 활주면(121)과 접촉하게 되는데, 일단 주사바늘활주면(121)에 경사커팅면(B)이 접촉되면 경사커팅면(B)의 모서리가 첨예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구름접촉(주사바늘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주사바늘(A)의 선단이 주사바늘 활주면(121)을 따라 한 바퀴를 회전하기만 하면 어떠한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주사바늘(A)은 경사커팅면(B)이 주사바늘 활주면(121)을 향하는 방향(아래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정렬된다.
한편, 정렬이 완료된 주사바늘(A)은 후속공정을 위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정렬된 주사바늘(A)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주사바늘(A)에 강한 외력이 가해져 정렬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지그(120)는 상기 주사바늘 활주면(121)의 좌측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하향경사면(122)과, 상기 하강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하강경사면을 경유한 주사바늘(A)의 선단이 안착되는 주사바늘(A)의 직경보다 협소한 좌우폭을 가진 안착홈(12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A)이 활주면(12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A)의 경사커팅면(B)이 활주면(121)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정렬되는데, 이동지그(110)가 계속해서 이동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A)의 선단은 활주면(121)의 좌측단부를 지나 하향경사면(12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주사바늘(A)의 정렬방향이 하향경사면(122)을 따라 전환된다. 그리고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A)은 하향경사면(122)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안착홈(123)의 수직 내벽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정렬방향이 90° 전환된 상태로 안착홈(123) 내부로 인입된다. 이때, 주사바늘(A)의 선단은 경사커팅면(B) 90°방향이 전환되면서 주사바늘(A) 선단의 좌우폭이 주사바늘(A)의 외경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주사바늘(A)의 외경보다 작은 좌우폭을 가진 안착홈(123) 내부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주사바늘(A)의 선단이 안착홈(123)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주사바늘(A)의 회전이 불가하므로 주사바늘(A)에 큰 외력이 인가되어도 주사바늘(A)의 정렬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물론, 주사바늘(A)의 선단이 안착홈(123)의 바닥까지 완전하게 하강할 수 있도록 이동지그(110)에 형성된 홈부(111a)의 바닥은 상기 안착홈(123)의 바닥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이동지그(110)에 주사바늘(A)을 공급해 주는 주사바늘 공급유닛(2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공급유닛(200)은 주사바늘(A)이 놓여지는 주사바늘 로딩선반(210)과, 상기 주사바늘 로딩선반(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사바늘 로딩선반(210)에 정렬된 진공흡착하여 들어올리고 이동지그(110)측으로 접근하는 주사바늘 리프트로 구성된다.
이중, 주사바늘 리프트는 주사바늘(A)의 양측을 클램핑하여 집게방식으로 들어올리거나 전자석을 이용하여 주사바늘(A)을 들어올리는 등 다양한 리프트 방식이 적용 가능하나, 제어가 간편하고 미세한 주사바늘(A)을 정확하게 픽업할 수 있는 진공흡착리프트(220)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지그(110)에 정렬이 완료된 주사바늘(A)을 픽업하여 대기 중인 허브(400)에 꽂아 넣어 주는 주사바늘 배출유닛(3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사바늘 배출유닛(300)은 이동지그(110)에 정렬된 주사바늘(A)의 양측을 잡아서 들어올리고 허브(400)측으로 접근하는 클램핑리프트(310)가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리프트(310)는 자력이나 진공력과는 달리 허브(400)에 주사바늘(A)을 결합시키기 충분한 매우 강력한 클랭핑력을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주사바늘 배출유닛(300)은 클램핑리프트(310)가 픽업한 주사바늘(A)을 허브(400)에 정확하게 꽂아 넣을 수 있도록 클램핑리프트(31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해 주는 회전롤러(32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주사바늘 공급유닛(200)과 주사바늘 배출유닛(300)이 더 구비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A)을 일정한 방향으로 허브(400)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로딩선반(210)에 주사바늘(A)이 놓여지면, 상승된 상태로 대기 중인 진공흡착리프트(220)가 주사바늘 로딩선반(210)으로 하강하여 주사바늘(A)을 흡착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흡착리프트(220)가 이동지그(110)에 주사바늘(A)을 내려놓는다. 이때, 주사바늘 로딩선반(210)은 새로운 주사바늘(A)을 준비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그(110)에 주사바늘(A)을 올려놓은 진공흡착리프트(220)는 주사바늘 로딩선반(210)으로 복귀하여 새로운 주사바늘(A)을 픽업하게 됨과 함께 주사바늘(A)이 올려진 이동지그(110)가 동작하면서 주사바늘(A)을 일정방향으로 정렬시킨다.(도 5 참조)
이후, 주사바늘(A)이 일정방향으로 정렬되면, 클램핑리프트(310)가 이동선반으로부터 정렬이 완료된 주사바늘(A)을 픽업한다.
그리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이 완료된 주사바늘(A)을 픽업한 클램핑리프트(310)는 대기중인 허브(400)로 이동하게 되며, 진공흡착리프트(220)는 이동지그(110)에 새로 픽업한 주사바늘(A)을 내려놓는다.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리프트(310)가 하강하면서 대기중인 허브(400)의 상단에 주사바늘(A)을 수직으로 끼워 주사바늘(A)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진공흡착리프트(220)는 주사바늘 로딩선반(210)으로 복귀하여 다음 작업을 준비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110...이동지그
110...지그몸체 111a...홈부
120...고정지그 121...주사바늘 활주면
122...하향경사면 123...안착홈
200...주사바늘 공급유닛 210...주사바늘 로딩선반
220...진공흡착리프트 300...주사바늘 배출유닛
310...클램핑리프트 400...허브
A...주사바늘 B...경사커팅면

Claims (6)

  1. 주사바늘이 놓여지는 홈부가 상부에 형성된 이동지그와, 상기 이동지그와 함께 일측으로 이동하는 주사바늘의 선단과 구름접촉되는 주사바늘 활주면을 구비한 고정지그로 구성되어,
    주사바늘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커팅면이 항상 주사바늘 활주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활주면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하향경사면과, 상기 하강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하강경사면을 경유한 주사바늘의 선단이 안착되는 주사바늘의 직경보다 협소한 폭을 가진 안착홈을 더 구비하여,
    주사바늘 활주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주사바늘의 경사커팅면이 하향경사면과 연장되는 안착홈 내벽면과 항상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여 정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에 주사바늘을 공급해 주는 주사바늘 공급유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공급유닛은 주사바늘을 픽업하는 진공흡착리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그에 정렬이 완료된 주사바늘을 픽업하여 대기 중인 허브에 꽂아 넣어 주는 주사바늘 배출유닛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배출유닛은 주사바늘의 양측을 잡아서 픽업하는 클램핑리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KR1020140098461A 2014-07-31 2014-07-31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KR101610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461A KR101610322B1 (ko) 2014-07-31 2014-07-31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461A KR101610322B1 (ko) 2014-07-31 2014-07-31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773A true KR20160015773A (ko) 2016-02-15
KR101610322B1 KR101610322B1 (ko) 2016-04-20

Family

ID=5535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461A KR101610322B1 (ko) 2014-07-31 2014-07-31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04B1 (ko) * 2016-05-12 2017-02-22 백우인 주사바늘 정렬 장치
KR20200081028A (ko) * 2018-12-27 2020-07-07 한국기계연구원 고세장비 미세니들 마스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367091B1 (ko) * 2021-07-27 2022-02-23 서광호 주사기의 침관 정렬 장치
CN114193781A (zh) * 2021-12-13 2022-03-18 湖南平安医械科技有限公司 一次性输液器瓶塞穿刺器、空气过滤器的自动组装机构
KR102546029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이중바늘 정렬 및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260B1 (ko) 2019-12-13 2021-09-15 유정열 주사 바늘 정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91356C (en) 2002-07-03 2011-02-22 Novo Nordisk A/S A needle mount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unting a needle assembly
KR100467957B1 (ko) 2003-04-01 2005-01-25 설재원 주사기 바늘의 유무 및 막힘 검사장치
JP6205303B2 (ja) 2014-04-18 2017-09-27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針整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304B1 (ko) * 2016-05-12 2017-02-22 백우인 주사바늘 정렬 장치
KR20200081028A (ko) * 2018-12-27 2020-07-07 한국기계연구원 고세장비 미세니들 마스터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367091B1 (ko) * 2021-07-27 2022-02-23 서광호 주사기의 침관 정렬 장치
CN114193781A (zh) * 2021-12-13 2022-03-18 湖南平安医械科技有限公司 一次性输液器瓶塞穿刺器、空气过滤器的自动组装机构
CN114193781B (zh) * 2021-12-13 2023-11-24 稳健平安医疗科技(湖南)有限公司 一次性输液器瓶塞穿刺器、空气过滤器的自动组装机构
KR102546029B1 (ko) * 2023-02-17 2023-06-22 주식회사 성우에프에이 주사기 이중바늘 정렬 및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322B1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322B1 (ko) 주사바늘 정렬용 지그
KR900008959B1 (ko) 피시험액체 분주장치
JP6398867B2 (ja) オートサンプラ
CN101150950B (zh) 部件供给器定位装置
US20200200717A1 (en) Autosampler and liquid chromatograph
US10843220B2 (en)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application device provided with same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 device
WO2016072014A1 (ja) ロータリーヘッド型部品実装機
EP3043630A1 (en) Work apparatus for substrate
WO2015079873A1 (ja) 自動試料注入装置
CN106081473B (zh) 一种静脉针翼片上料机构
JP2003159265A (ja) 注射装置及び注射方法
US20090117003A1 (en) Liquid delivery apparatus
US10952360B2 (en) Component mounter and component holder imaging method
CN107187068B (zh) 转盘式组装机不良品自动排除机构
WO2016189720A1 (ja) オートサンプラ
KR101715786B1 (ko) 멀티 주사 바늘의 조립 장치
TW201626964A (zh) 頭骨手術裝置
US5105532A (en) Mounting device
JP2010278408A (ja) ベルヌーイチャック
US10820458B2 (en)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nozzle exchange method used in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KR102578993B1 (ko) 배터리용 전극 공급장치
JP6232239B2 (ja) 塗布装置
KR20210075342A (ko) 주사 바늘 정렬 장치
JP5308253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用バックアップピン
EP126981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von elektrischen bauteilen in einer bestückvorrichtung für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