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444A -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444A
KR20160015444A KR1020140097186A KR20140097186A KR20160015444A KR 20160015444 A KR20160015444 A KR 20160015444A KR 1020140097186 A KR1020140097186 A KR 1020140097186A KR 20140097186 A KR20140097186 A KR 20140097186A KR 20160015444 A KR20160015444 A KR 2016001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call button
elevator
land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863B1 (ko
Inventor
이태룡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8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비스 대기 중인 층에서 승장 부름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 발생 시 해당 층 승강장에 구비된 모션 감지센서를 매개로 승장 부름 버튼의 임의적인 끼임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은, 임의의 승강장에서 승장 부름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한 후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와; 해당 층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카가 도착한 상태에서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이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계속적인 온(ON) 상태 유지 여부의 판단 결과, 승장 부름 버튼이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해당 층 승강장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동작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층 승강장의 감지센서 동작 여부 판단 결과, 승장 감지센서가 동작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 발생으로 판단하여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 여부 판단결과,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폐쇄 후 서비스 요청 발생 층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폐쇄 후 해당 층에서의 대기가 진행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DETECTION AND CONTROL METHOD FOR HALL BUTTON JAM USING BY MOTION SENSOR}
본 발명은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모션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서비스 대기 중인 층에서 승장 부름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 발생 시 실제로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이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 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해당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승강장으로부터 탑승하는 승객을 승객의 버튼입력에 따른 목적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각 층 승강장에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승장 부름 버튼에 있어서, 특정 층에서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상승 버튼 또는 하강 버튼이 임의로 눌린 상태로 협착되어 버튼의 끼임이 현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엘리베이터는 버튼 끼임이 발생한 층에서 장시간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는 다른 층에서 대기 중인 승객들의 평균 서비스 대기시간을 증가시켜 승객의 불편 발생 및 엘리베이터 운행 효율의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승강장에서 버튼의 협착이 발생한 승장 부름 버튼은 해당 버튼의 수리 전까지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이용 승객에서 큰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290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비스 대기 중인 층에서 승장 부름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 발생 시 해당 층 승강장에 구비된 모션 감지센서를 매개로 승장 부름 버튼의 임의적인 끼임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은, 임의의 승강장에서 승장 부름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한 후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와; 해당 층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카가 도착한 상태에서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이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계속적인 온(ON) 상태 유지 여부의 판단 결과, 승장 부름 버튼이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해당 층 승강장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동작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층 승강장의 감지센서 동작 여부 판단 결과, 승장 감지센서가 동작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 발생으로 판단하여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 여부 판단결과,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폐쇄 후 서비스 요청 발생 층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폐쇄 후 해당 층에서의 대기가 진행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후,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없음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폐쇄 후 해당 층에서의 대기가 진행되는 상태에서는, 대기 층에서 정상적인 승장 부름 버튼의 입력이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정상적인 입력 발생 시 버튼에 응답하는 한편,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정상적인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해당 승강장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동작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승강장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동작된 경우, 타임 카운터의 셋팅 시간의 경과를 확인한 후, 해당 층 승강장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고장 버튼에 응답하는 단계가 진행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대기 중인 층에서 승장 부름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 발생 시 해당 층 승강장에 구비된 모션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발생 여부를 판단하므로서, 엘리베이터 승장 부름 버튼의 임의적인 끼임발생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다른 층에서 대기중인 승객의 평균 서비스 대기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승장 호출 버튼의 끼임발생에 따라 해당 층 승장장에서 대기중인 엘리베이터의 고장 발생 버튼에 대한 응답이 가능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짐에 따라, 승장 부름 버튼의 고장 발생 시 해당 버튼의 수리 시까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에서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 시 엘리베이터가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에서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 시 엘리베이터가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은, 서비스 대기 중인 층에서 승장 부름 버튼의 지속적인 입력 발생 시 해당 층 승강장에 구비된 모션 감지센서를 매개로 승장 부름 버튼의 임의적인 끼임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발생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 해당 건물의 각 층 승강장(10)에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30)를 호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승장 부름 버튼(12)과 함께 승강장에 위치하는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모션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센서(14)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에, 엘리베이터 제어반(20)은 각 승강장(10)으로부터 전송되는 승장 부름 버튼(12) 및 감지센서(14)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임의의 승장 부름 버튼(12)의 끼임발생 여부를 판단한 후, 승장 부름 버튼(12)의 끼임발생 시에도 엘리베이터 카(30)가 효율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해당 건물의 각 층 승강장(10)에 승장 부름 버튼(12) 및 감지센서(14)가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임의의 승장강(10)에서 상기 승장 부름 버튼(12)의 입력에 따른 엘리베이터 호출발생 시, 엘리베이터 제어반(20)의 제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30)는 해당 층 승강장(10)에 도착한 후,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100).
그 후, 단계 110에서는 해당 층 승강장(10)에 엘리베이터 카(30)가 대기중인 상태에서, 해당 층 승강장(10)의 승장 부름 버튼(12)이 계속해서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그 판단 결과 해당 층 승강장(10)의 승장 부름 버튼(12)이 계속적으로 온(ON) 상태 유지하는 경우에는 단계 120으로 진행하여 해당 층 승강장(10)에 구비된 감지센서(14)가 동작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 단계 120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층 승강장(10)에 구비된 감지센서(14)가 동작된 경우에는 단계 110으로 복귀하는 한편, 상기 감지센서(14)가 동작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20)은 해당 층 승강장(10)의 승장 부름 버튼(12)에 끼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단계 130으로 진행하여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 여부 판단결과,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즉시 엘리베이터 카(30)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 후 서비스 요청 발생 층으로의 이동하여 호출 승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단계 140).
그러나, 상기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 여부 판단결과,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30)의 도어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면서 해당 층에서 대기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단계 150).
그리고, 상기 단계 150에서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없음에 따른 해당 층에서의 대기상태에서는 대기 층에서의 정상적인 승장 부름 버튼(12)의 입력이 발생되었는가를 체크하게 되며(단계 160), 그 판단결과 상기 승장 부름 버튼(12)의 정상적인 입력 발생 시에는 단계 162로 진행하여 승장 부름 버튼(12)의 정상적인 입력에 응답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 160의 판단결과, 상기 승장 부름 버튼(12)의 정상적인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단계 170으로 진행하여 해당 층 승강장(10)에 구비된 감지센서(14)가 동작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진행되게 되며, 그 판단결과 해당 층 승강장(10)에 구비된 감지센서(14)가 동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130으로 복귀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한편, 해당 층 승강장(10)에 구비된 감지센서(14)가 동작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기설정한 타임 카운터(Time counter)의 세팅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된다(단계 180).
또, 상기 타임 카운터의 셋팅 시간의 경과를 확인한 후, 타임 카운터의 셋팅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60으로 복귀하게 되며, 상기 타임 카운터의 셋팅 시간이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190으로 진행하여 해당 층 승강장(10)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고장 버튼에 응답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을 통해서는 각 층 승강장(10)에 구비된 감지센서(14)를 이용하여 서비스 대기 중인 층에서의 승장 부름 버튼(12)의 입력 지속 시 실제로 승장 부름 버튼(12)의 끼임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버튼 끼임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엘리베이터 승강장, 12: 승장 부름 버튼,
14: 감지센서, 20: 엘리베이터 제어반,
30: 엘리베이터 카.

Claims (2)

  1. 임의의 승강장에서 승장 부름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승강장에 도착한 후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와;
    해당 층 승강장에 엘리베이터 카가 도착한 상태에서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이 계속하여 온(ON) 상태를 유지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계속적인 온(ON) 상태 유지 여부의 판단 결과, 승장 부름 버튼이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해당 층 승강장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동작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층 승강장의 감지센서 동작 여부 판단 결과, 승장 감지센서가 동작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 발생으로 판단하여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 여부 판단결과,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폐쇄 후 서비스 요청 발생 층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없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폐쇄 후 해당 층에서의 대기가 진행되는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끼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후, 다른 층의 서비스 요청이 없음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폐쇄 후 해당 층에서의 대기가 진행되는 상태에서는,
    대기 층에서 정상적인 승장 부름 버튼의 입력이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정상적인 입력 발생 시 버튼에 응답하는 한편, 상기 승장 부름 버튼의 정상적인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해당 승강장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동작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승강장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동작된 경우, 타임 카운터의 셋팅 시간의 경과를 확인한 후, 해당 층 승강장에서 도어를 개방하여 고장 버튼에 응답하는 단계가 진행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KR1020140097186A 2014-07-30 2014-07-30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KR101600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86A KR101600863B1 (ko) 2014-07-30 2014-07-30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186A KR101600863B1 (ko) 2014-07-30 2014-07-30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444A true KR20160015444A (ko) 2016-02-15
KR101600863B1 KR101600863B1 (ko) 2016-03-09

Family

ID=5535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186A KR101600863B1 (ko) 2014-07-30 2014-07-30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3376A (ja) * 2021-07-16 2023-01-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951A (ja) 1996-03-07 1997-09-16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呼び装置
JPH11139697A (ja) * 1997-11-07 1999-05-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呼び登録装置
JP2009256018A (ja) * 2008-04-15 2009-11-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951A (ja) 1996-03-07 1997-09-16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呼び装置
JPH11139697A (ja) * 1997-11-07 1999-05-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呼び登録装置
JP2009256018A (ja) * 2008-04-15 2009-11-0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3376A (ja) * 2021-07-16 2023-01-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863B1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4623B2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の地震管制運転方法
US7743889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which operates an elevator in an event of a fire
JP2008100796A5 (ko)
JP4973014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システム
KR20160064522A (ko) 손 움직임 감지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승장호출버튼 및 그 제어방법
JP6480045B1 (ja) 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025440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600863B1 (ko) 감지센서를 이용한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WO2011067848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04743414A (zh) 电梯运行控制方法及系统
JP2009292566A (ja) 乗場かご呼び自動登録システム
KR20130126021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누수 관제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JP6337747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行先階登録制御方法
AU2019351613B2 (en) Method and monitoring device for inferring a health status of call devices in an elevator arrangement
JP6158249B2 (ja) エレベータ
JP2014073888A (ja) エレベータの再戸開装置
JP6259369B2 (ja) エレベータ用呼び登録装置
KR101630641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 제어 시스템에서의 승장 부름 버튼 끼임 검출 및 제어 방법
KR20060100527A (ko) 승강기 호출명령 자동해지 장치 및 방법
JP2012030916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救出運転装置
JP201601691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06276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13006597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KR101428993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장난호출 자동소거 제어방법
JP4326057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