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455A -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455A
KR20160014455A KR1020140096723A KR20140096723A KR20160014455A KR 20160014455 A KR20160014455 A KR 20160014455A KR 1020140096723 A KR1020140096723 A KR 1020140096723A KR 20140096723 A KR20140096723 A KR 20140096723A KR 20160014455 A KR20160014455 A KR 2016001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supply voltage
threshold voltag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455A/ko
Priority to US14/659,779 priority patent/US20160033984A1/en
Publication of KR2016001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는, 기준 전압과 피드백 전압과의 차 전압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오차 증폭부; 상기 게이트 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전원전압단과 접지간의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 상기 전류 조절부와 접지간의 피드백노드에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검출하는 피드백 회로부;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과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과전압 보호부; 및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부족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부족전압 보호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 WITH SOURCE VOLTAGE PROTECTION}
본 발명은 전원전압의 과전압(Over-voltage) 및 부족전압(Under-voltage)에 대한 보호기능을 갖는 LDO(Low Drop Output) 타입의 전압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의 동작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에는 전압 레귤레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전압 레귤레이터중에서, 전원 전압을 하향 변환할 수 있고, 간단히 설계 가능하고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LDO 타입의 전압 레귤레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LDO 타입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외부의 전원전압이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과전압으로 되거나 정상범위에 미달하는 부족전압으로 되는 경우에, 이러한 과전압이나 부족전압으로부터 시스템 보호를 위해, 과전압 보호회로 및 부족전압 보호회로 등이 필요하다.
기존 LDO 타입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전원전압의 하향변환을 수행하며, 추가적인 과전압 및 부족전압에 대한 보호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LDO 타입의 전압 레귤레이터는, 그 내부에 과전압 및 부족전압 보호부(600)전압 보호회로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LDO 타입의 전압 레귤레이터와는 별도로 그 외부에 과전압 보호회로 및 부족전압 보호회로가 마련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에서의 보호 동작을 위한 별도의 제어 과정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어의 복잡성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전압 레귤레이터가, 직접 보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과전압이나 부족전압 등과 같이 안정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과전압이나 부족전압을 직접 공급받게 되므로 보호 기능에 대한 취약성이 존재하며, 그로 인해 회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은, 저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동작 전압에 대하여 과전압 및 부족전압의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적 사항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0083871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전원전압의 과전압 및 부족전압에 대한 보호기능을 갖는 LDO(Low Drop Output) 타입의 전압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 전압과 피드백 전압과의 차 전압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오차 증폭부; 상기 게이트 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전원전압단과 접지간의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 상기 전류 조절부와 접지간의 피드백노드에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검출하는 피드백 회로부;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과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과전압 보호부; 및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부족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부족전압 보호부; 를 포함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가 제안된다.
상기 과전압 보호부 및 부족전압 보호부 각각은 서로 다른 임계전압을 기초로 보호동작 및 그 보호동작의 해제동작을 수행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전압에 대한 과전압 및 부족전압에 대한 보호기능을 자체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보호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기존의 외부에 구비되던 별도의 보호회로에 비하여, 간단한 사이즈와 적은 전류 소모 및 간단한 내부 동작을 통해서 보호기능이 직접적이면서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기능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보이는 제1 블록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보이는 제2 블록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보이는 제3 블록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드갭 기준전압 생성부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주요부에 대한 제1 구현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주요부에 대한 제2 구현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히스테리시스 곡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족전압 보호부의 히스테리시스 곡선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각각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서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보이는 제1 블록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는, 오차 증폭부(100), 전류 조절부(200), 피드백 회로부(300), 과전압 보호부(500) 및 부족전압 보호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가, 내부에 과전압 보호부(500) 및 부족전압 보호부(600)를 포함하여, 전원전압의 과전압 및 부족전압에 대해 직접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설명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모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오차 증폭부(100)는, 기준 전압(Vref)과 피드백 전압(Vfb)과의 차 전압에 따라 게이트 신호(SG)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오차 증폭부(100)는,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피드백 전압(Vfb)을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과, 상기 게이트 신호(SG)를 제공하는 출력단을 갖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차 증폭부(100)와 상기 전류 조절부(200)는 게이트 라인(GL)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오차 증폭부(100)에서 출력되는 게이트 신호(SG)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을 통해 상기 전류 조절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조절부(200)는, 상기 게이트 신호(SG)에 따라 전원전압(VDD)을 공급받는 전원전압(VDD)단과 접지간의 전류(I)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류 조절부(200)는, 상기 게이트 신호(SG)를 입력받는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과 상기 피드백 회로부(300) 각각에 연결된 소스 및 드레인을 갖는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OS 트랜지스터는 PMOS 또는 NMOS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회로부(300)는, 상기 전류 조절부(200)와 접지간의 피드백노드(NF)에서 상기 피드백 전압(Vfd)을 검출하여 상기 오차 증폭부(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피드백 회로부(300)는, 상기 전류 조절부(200)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저항간의 접속노드가 상기 피드백노드(NF)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류 조절부(200)와 상기 피드백 회로부(300) 사이의 접속노드인 출력노드(NO)가 출력단(OUT)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노드(NO)와 출력단(OUT) 사이에는 출력전압(Vout)의 안정화를 위한 회로부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는,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과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여기서 셧다운(Shutdown)은 전류 조절부(2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는, 상기 기준 전압(Vref)에 기초해서 초과 임계전압(VH)을 생성하고, 상기 전원전압(VDD)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과전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전압(VDD)이 초과 임계전압(VH)을 초과하면 과전압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600)는,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부족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600)는, 상기 기준 전압(Vref)에 기초해서 부족 임계전압(VL)을 생성하고, 상기 전원전압(VDD)과 상기 부족 임계전압(VL)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부족전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전압(VDD)이 부족 임계전압(VL)에 미달하면 부족전압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에 도시한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 및 부족전압 보호부(600) 각각은 서로 다른 임계전압을 기초로 보호동작 및 그 보호동작의 해제동작을 수행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보이는 제2 블록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는, 오차 증폭부(100), 전류 조절부(200), 피드백 회로부(300), 임계전압 생성부(410), 전원전압 검출부(420), 과전압 보호부(500) 및 부족전압 보호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오차 증폭부(100), 전류 조절부(200) 및 피드백 회로부(300)에 대한 동작중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그 중복되는 동작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가, 외부로부터 임계전압과 검출전압을 제공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임계전압을 직접 생성하고 전원전압을 직접 간단히 검출할 수 있는 임계전압 생성부(410), 전원전압 검출부(420)를 포함함으로써, 보다 간결한 구현 및 동작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른 사이즈 및 가격 측면에서 잇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명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모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임계전압 생성부(410)는, 상기 기준 전압(Vref)에 기초해서 초과 임계전압(VH) 및 부족 임계전압(VL)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임계전압 생성부(410)는, 복수의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분할하여, 초과 임계전압(VH) 및 부족 임계전압(VL)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420)는, 상기 전원전압(VDD)을 검출하여 전원 검출전압(Vdd)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420)는, 복수의 저항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전압(VDD)을 분할하여,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과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초과 임계전압(VH)보다 높으면 상기 전원전압(VDD)을 과전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60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부족 임계전압(VL)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부족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60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부족 임계전압(VL)보다 낮으면 상기 전원전압(VDD)을 부족전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2에 도시한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 및 부족전압 보호부(600) 각각은 서로 다른 임계전압을 기초로 보호동작 및 그 보호동작의 해제동작을 수행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보이는 제3 블록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는, 오차 증폭부(100), 전류 조절부(200), 피드백 회로부(300), 임계전압 생성부(410), 전원전압 검출부(420), 과전압 보호부(500) 및 부족전압 보호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임계전압 생성부(410), 전원전압 검출부(420), 과전압 보호부(500) 및 부족전압 보호부(600)에 대한 동작중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동작과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는, 그 중복되는 동작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오차 증폭부(100)는, 일 예로,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입력받는 반전 입력단과, 상기 피드백 전압(Vfb)을 입력받는 비반전 입력단과, 상기 게이트 신호(SG)를 제공하는 출력단을 갖는 연산 증폭기(COM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차 증폭부(100)는, 상기 기준 전압(Vref)과 상기 피드백 전압(Vfb)과의 차 전압의 크기에 따른 레벨을 갖는 상기 게이트 신호(SG)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조절부(200)는, 일 예로, 상기 게이트 신호(SG)를 입력받는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피드백 회로부(300)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PMOS 트랜지스터(PM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1)는 상기 게이트 신호(SG)의 전압레벨 크기에 따라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1)의 소스-드레인을 통해 흐르는 전류(I)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회로부(300)는, 일 예로, 상기 전류 조절부(200)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저항(R31,R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저항(R31,R32)간의 접속노드가 상기 피드백노드(NF)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오차 증폭부(100), 상기 전류 조절부(200) 및 상기 피드백 회로부(300) 각각에 대한 구현 회로 예를 설명하였으며,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오차 증폭부(100), 상기 전류 조절부(200) 및 상기 피드백 회로부(300)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기본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한, 다양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3에 도시한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 및 부족전압 보호부(600) 각각은 서로 다른 임계전압을 기초로 보호동작 및 그 보호동작의 해제동작을 수행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밴드갭 기준전압 생성부의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준 전압(Vref)은, 밴드갭 기준전압 생성부(5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갭 기준전압 생성부(50)는, 일 예로 통상의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주지된 밴드 캡 레퍼런스 전압원((BAND GAP REFERENCE VOLTAGE source)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주요부에 대한 제1 구현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임계전압 생성부(410)는, 일 예로, 상기 기준전압(Vref)단과 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3개의 저항(R41,R42,R43)을 갖는 제1 전압 분할 회로(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 분할 회로(411)는,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분할하여, 상기 3개의 저항중 2개의 저항(R41,R42) 사이의 접속노드에서 상기 초과 임계전압(VH)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3개의 저항중 2개의 저항(R42,R43) 사이의 접속노드에서 상기 부족 임계전압(VL)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420)는, 일 예로, 상기 전원전압(VDD)을 입력받는 전원전압(VDD)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저항(R51,R52)을 갖는 제2 전압 분할 회로(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 분할 회로(421)는, 상기 전원전압(VDD)을 분할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저항(R51,R52) 사이의 접속노드에서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는, 일 예로,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과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을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1 비교기(510)와, 상기 제1 비교기(510)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과 상기 게이트 라인(GL) 각각에 연결된 드레인 및 소오스를 갖는 제1 스위치 소자(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교기(51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입력받는 비반전 입력단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을 입력받는 반전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연산 증폭기(OP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520)는, 상기 제1 비교기(510)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된 소오스를 갖는 NMOS 트랜지스터(NMOS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치 소자(52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초과 임계전압(VH)보다 높으면 하이레벨을 갖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전류 조절부(200)의 PMOS 트랜지스터(PM1,도 3 참조)의 소오스-게이트가 동일한 전위가 되므로 상기 전류 조절부(200)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60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부족 임계전압(VL)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부족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600)는, 상기 부족 임계전압(VL)을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부족 임계전압(VL)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2 비교기(610)와, 상기 제2 비교기(510)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과 상기 게이트 라인(GL) 각각에 연결된 소오스 및 드레인을 갖는 제2 스위치 소자(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비교기(610)는, 상기 부족 임계전압(VL)을 입력받는 비반전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입력받는 반전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부족 임계전압(VH)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연산 증폭기(OP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소자(620)는, 상기 제2 비교기(610)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PMOS 트랜지스터(PMOS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스위치 소자(62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부족 임계전압(VL)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을 갖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전류 조절부(200)의 PMOS 트랜지스터(PM1,도 3 참조)의 소오스-게이트가 동일한 전위가 되므로, 상기 전류 조절부(200)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 레귤레이터의 주요부에 대한 제2 구현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임계전압 생성부(410)는, 상기 기준 전압(Vref)에 기초해서 사전에 서로 다르게 설정된 초과 임계전압(VHH),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 부족 임계전압(VLL) 및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예, 1V)은, 상기 전원전압(VDD)의 정상범위(예, 2V-5V)의 초과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이 될 수 있고,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예, 0.9V)은, 상기 전원전압(VDD)이 초과전압으로 판단된 이후에, 다시 상기 정상범위 내로의 복귀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으로,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보다는 낮은 전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예, 0.5V)은, 상기 전원전압(VDD)의 정상범위에 대한 미달을 판단하기 위한 전압이 될 수 있고, 상기 부족 임계전압(VLL)(예, 0.4V)은, 상기 전원전압(VDD)이 부족전압으로 판단된 이후에, 다시 상기 정상범위내로의 복귀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으로, 상기 부족 임계전압(VHH)보다는 높은 전압이 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예로, 상기 임계전압 생성부(410)는, 적어도 5개의 저항(R41,R42,R43,R44,R45)을 갖는 제1 전압 분할 회로(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압 분할 회로(411)는,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분할하여 전술한 초과 임계전압(VHH),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 부족 임계전압(VLL) 및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5개의 저항(R41-R45)중 두 개의 저항(R41,R42)의 접속노드에서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을 제공하고, 상기 5개의 저항(R41-R45)중 두 개의 저항(R42,R43)의 접속노드에서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을 제공하고, 상기 5개의 저항(R41-R45)중 두 개의 저항(R43,R44)의 접속노드에서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을 제공하며, 상기 5개의 저항(R41-R45)중 두 개의 저항(R44,R45)의 접속노드에서 상기 부족 임계전압(VLL)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준전압(V)이 1.2V이고, 상기 5개의 저항(R41-R45) 각각이 상대적인 저항값으로 2R, R, 4R, R 및 4R을 갖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은 1V,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은 0.9V,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은 0.5V, 그리고, 상기 부족 임계전압(VLL)은 0.4V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420)는, 상기 전원전압(VDD)을 검출하여 전원 검출전압(Vdd)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420)는, 적어도 2개의 저항(R51,R52)을 갖는 제2 전압 분할 회로(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압 분할 회로(421)는, 상기 전원전압(VDD)을 분할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저항(R51,R52) 사이의 접속노드에서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 및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을 비교하여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과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정상전압으로의 복귀가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의 셧다운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과전압 보호부(500)는,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을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을 입력받는 제3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 및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1 히스테리시스 비교기(510)와, 상기 제1 히스테리시스 비교기(510)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과 상기 게이트 라인 각각에 연결된 드레인 및 소오스를 갖는 제1 스위치 소자(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써, 상기 제1 히스테리시스 비교기(510)는,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을 입력받는 트리거 로우 전압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입력받는 입력단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을 입력받는 트리거 하이전압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 및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1 슈미트 트리거 회로(Schmitt-Trigger circuit)(ST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소자(520)는, 상기 제1 히스테리시스 비교기(510)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에 연결된 드레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소오스를 갖는 NMOS 트랜지스터(NMOS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스위치 소자(52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보다 높으면 하이레벨을 갖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전류 조절부(200)의 PMOS 트랜지스터(PM1,도 3 참조)의 소오스-게이트가 동일한 전위가 되므로, 상기 전류 조절부(200)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결국,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초과 임계전압(VHH)보다 높으면 과전압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H)보다 낮아지면 다시 정상전압으로 복귀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200)의 셧다운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60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제1 및 제2 부족 임계전압(VL)을 비교하여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부족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전압(VDD)에 대한 정상전압으로의 복귀가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200)의 셧다운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600)는, 상기 부족 임계전압(VLL)을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과,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을 입력받는 제3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 상기 부족 임계전압(VLL) 및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2 히스테리시스 비교기(610)와, 상기 제2 히스테리시스 비교기(610)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과 상기 게이트 라인 각각에 연결된 소오스 및 드레인을 갖는 제2 스위치 소자(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 예로써, 상기 제2 히스테리시스 비교기(610)는, 상기 부족 임계전압(VLL)을 입력받는 트리거 로우 전압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을 입력받는 입력단과,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을 입력받는 트리거 하이전압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과 상기 부족 임계전압(VLL) 및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2 슈미트 트리거 회로(ST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 소자(620)는, 상기 제2 히스테리시스 비교기(610)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VDD)단에 연결된 소오스와, 상기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 PMOS 트랜지스터(PMOS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스위치 소자(620)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부족 임계전압(VLL)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을 갖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전류 조절부(200)의 PMOS 트랜지스터(PM1,도 3 참조)의 소오스-게이트가 동일한 전위가 되므로, 상기 전류 조절부(200)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결국,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부족 임계전압(VLL)보다 낮으면 부족전압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200)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 보다 높아지면 다시 정상전압으로의 복귀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200)의 셧다운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히스테리시스 곡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족전압 보호부의 히스테리시스 곡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슈미트 트리거 회로(ST1)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로써,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초과 임계전압(VHH)(예, 1V)보다 높으면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VHL)(예, 0.9V)보다 낮아지면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슈미트 트리거 회로(ST2)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비교기로써,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부족 임계전압(VLL)(예, 0.4V)보다 낮으면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원 검출전압(Vdd)이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VLH)(예, 0.5V)보다 높아지면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100: 오차 증폭부
200: 전류 조절부
300: 피드백 회로부
410: 임계전압 생성부
420: 전원전압 검출부
500: 과전압 보호부
600: 부족전압 보호부

Claims (19)

  1. 기준 전압과 피드백 전압과의 차 전압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오차 증폭부;
    상기 게이트 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전원전압단과 접지간의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
    상기 전류 조절부와 접지간의 피드백노드에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검출하는 피드백 회로부;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과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과전압 보호부; 및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부족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부족전압 보호부;
    를 포함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보호부는,
    상기 기준 전압에 기초해서 초과 임계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과전압을 판단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는,
    상기 기준 전압에 기초해서 부족 임계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부족 임계전압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부족전압을 판단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4. 기준 전압과 피드백 전압과의 차 전압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오차 증폭부;
    상기 게이트 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전원전압단과 접지간의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
    상기 전류 조절부와 접지간의 피드백노드에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검출하는 피드백 회로부;
    상기 기준 전압에 기초해서 초과 임계전압 및 부족 임계전압을 생성하는 임계전압 생성부;
    상기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전원 검출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전압 검출부;
    상기 전원 검출전압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과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과전압 보호부; 및
    상기 전원 검출전압과 상기 부족 임계전압에 기초해서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부족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부족전압 보호부;
    를 포함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전압 생성부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한 제1 전압 분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전압을 분할하여, 초과 임계전압 및 부족 임계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한 제2 전압 분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전압을 분할하여, 상기 전원 검출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보호부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초과 임계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전원전압을 과전압으로 판단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보호부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을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을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단과 상기 게이트 라인 각각에 연결된 드레인 및 소오스를 갖는 제1 스위치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초과 임계전압보다 높으면 하이레벨을 갖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부족 임계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전원전압을 부족전압으로 판단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는,
    상기 부족 임계전압을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을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과 상기 부족 임계전압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2 비교기; 및
    상기 제2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단과 상기 게이트 라인 각각에 연결된 소오스 및 드레인을 갖는 제2 스위치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 소자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부족 임계전압보다 낮으면 로우레벨을 갖는 상기 비교 결과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1. 기준 전압과 피드백 전압과의 차 전압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오차 증폭부;
    상기 게이트 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전원전압단과 접지간의 전류를 조절하는 전류 조절부;
    상기 전류 조절부와 접지간의 피드백노드에서 상기 피드백 전압을 검출하는 피드백 회로부;
    상기 기준 전압에 기초해서 사전에 서로 다르게 설정된 초과 임계전압,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 부족 임계전압 및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을 생성하는 임계전압 생성부;
    상기 전원전압을 검출하여 전원 검출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전압 검출부;
    상기 전원 검출전압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 및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과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정상전압으로의 복귀가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의 셧다운을 해제하는 과전압 보호부; 및
    상기 전원 검출전압과 상기 제1 및 제2 부족 임계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부족전압이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전압에 대한 정상전압으로의 복귀가 판단되면 상기 전류 조절부의 셧다운을 해제하는 부족전압 보호부;
    를 포함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전압 생성부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한 제1 전압 분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전압을 분할하여 상기 초과 임계전압,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 부족 임계전압 및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을 생성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는,
    복수의 저항을 포함한 제2 전압 분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전압을 분할하여 상기 전원 검출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 임계전압은, 상기 전원전압이 속하는 정상범위의 초과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이고,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은, 상기 전원전압이 초과전압으로 판단된 이후에, 상기 전원전압의 정상범위내로의 복귀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으로, 상기 초과 임계전압보다는 낮은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보호부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초과 임계전압보다 높으면 과전압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보다 낮아지면 다시 정상전압으로 복귀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의 셧다운을 해제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압 보호부는,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을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을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과, 상기 초과 임계전압을 입력받는 제3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 상기 초과 임계전압 및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1 히스테리시스 비교기; 및
    상기 제1 히스테리시스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단과 상기 게이트 라인 각각에 연결된 드레인 및 소오스를 갖는 제1 스위치 소자; 를 포함하고,
    상기 과전압 보호부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초과 임계전압보다 높으면 과전압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제1 정상복귀 임계전압보다 낮아지면 다시 정상전압으로 복귀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의 셧다운을 해제시키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 임계전압은, 상기 전원전압이 속하는 정상범위의 미달을 판단하기 위한 전압이고,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은, 상기 전원전압이 부족전압으로 판단된 이후에, 상기 전원전압의 정상범위내로의 복귀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으로, 상기 부족 임계전압보다는 높은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부족 임계전압보다 낮으면 부족전압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보다 높아지면 다시 정상전압으로의 복귀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의 셧다운을 해제하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는,
    상기 부족 임계전압을 입력받는 제1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을 입력받는 제2 입력단과,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을 입력받는 제3 입력단과, 상기 전원 검출전압, 상기 부족 임계전압 및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과의 비교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2 히스테리시스 비교기; 및
    상기 제2 히스테리시스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게이트와 상기 전원전압단과 상기 게이트 라인 각각에 연결된 소오스 및 드레인을 갖는 제2 스위치 소자; 를 포함하며,
    상기 부족전압 보호부는,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부족 임계전압보다 낮으면 부족전압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를 셧다운시키고, 상기 전원 검출전압이 상기 제2 정상복귀 임계전압 보다 높아지면 다시 정상전압으로의 복귀로 판단하여 상기 전류 조절부의 셧다운을 해제시키는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KR1020140096723A 2014-07-29 2014-07-29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KR20160014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23A KR20160014455A (ko) 2014-07-29 2014-07-29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US14/659,779 US20160033984A1 (en) 2014-07-29 2015-03-17 Voltage regulator having source voltage prote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723A KR20160014455A (ko) 2014-07-29 2014-07-29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455A true KR20160014455A (ko) 2016-02-11

Family

ID=5517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723A KR20160014455A (ko) 2014-07-29 2014-07-29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033984A1 (ko)
KR (1) KR201600144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50A1 (ko) * 2022-08-10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압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2934A1 (de) * 2015-07-10 2017-01-12 Festo Ag & Co. Kg Signalwandlerschaltung und Verfahren zur Bewertung eines Sensorsignals einer sicherheitsgerichteten Einrichtung
CN105786073B (zh) * 2016-03-22 2017-08-25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调控装置
US9946284B1 (en) 2017-01-04 2018-04-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ingle event effects immune linear voltage regulator
DE102017201303A1 (de) * 2017-01-27 2018-08-02 Robert Bosch Gmbh Schal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Versorgungsspannung
US10503185B1 (en) 2018-07-12 2019-12-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upply voltage regulator
JP7132022B2 (ja) * 2018-08-08 2022-09-06 ローム株式会社 電圧監視回路
CN109147692A (zh) * 2018-08-31 2019-01-04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驱动电路、驱动系统及显示器
US11711874B2 (en) 2019-06-25 2023-07-25 ERP Power, LLC Load-dependent active gain control for power factor correction
US11277896B2 (en) * 2019-06-25 2022-03-15 ERP Power, LLC Active gain control for power factor correction
CN113721689A (zh) * 2021-09-08 2021-11-30 无锡力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提升电源抑制比的电源稳压芯片
CN117318684B (zh) * 2023-11-30 2024-05-07 深圳青铜剑技术有限公司 关断电路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871A (ko) 2009-01-15 2010-07-23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저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3871A (ko) 2009-01-15 2010-07-23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저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50A1 (ko) * 2022-08-10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압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33984A1 (en)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4455A (ko) 전원전압 보호기능을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US9547323B2 (en) Current sink stage for LDO
US8704578B2 (en) Protection circuit
US8547079B2 (en) Voltage regulator capable of enabling overcurrent protection in a state in which an output current is large
US7646188B2 (en) Voltage regulator for generating constant output voltage
US20100201331A1 (en) Voltage regulator
US8754628B2 (en) Voltage regulator for high speed switching of voltages
US10338617B2 (en) Regulator circuit
US9348350B2 (en) Voltage regulator
US9063558B2 (en) Current limiting circuit configured to limit output current of driver circuit
US9645593B2 (en) Voltage regulator
US20120194947A1 (en) Voltage regulator
US8693155B2 (en) Constant voltage power supply circuit
US20150188421A1 (en) Voltage regulator
US8576529B2 (en) Power stage control circuit
JP2012088987A (ja) レギュレータ用半導体集積回路
US9041367B2 (en) Voltage regulator with current limiter
JP5631918B2 (ja) 過電流保護回路、および、電力供給装置
US20130063121A1 (en) Short-circuit protection circuit and dc-dc converter
US10761549B2 (en) Voltage sensing mechanism to minimize short-to-ground current for low drop-out and bypass mode regulators
US7538529B2 (en) Power-supply apparatus
JP2009296714A (ja) 低電圧検出回路および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KR101030958B1 (ko) 저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101659901B1 (ko) 과전류 보호회로를 구비한 전원 레귤레이터
JP2014057404A (ja) 過電流検出回路及び電流制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