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377A -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377A
KR20160014377A KR1020140096515A KR20140096515A KR20160014377A KR 20160014377 A KR20160014377 A KR 20160014377A KR 1020140096515 A KR1020140096515 A KR 1020140096515A KR 20140096515 A KR20140096515 A KR 20140096515A KR 20160014377 A KR20160014377 A KR 20160014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ndering
belt
contact
roll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984B1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9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컨베이어 장치가 개시된다. 운송물을 이송시키는 벨트;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도록, 상기 벨트의 일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사행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제1 사행감지부; 상기 벨트 하측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에 대한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벨트의 사행을 교정하는 사행교정롤러; 및 상기 제1 사행감지부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배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 사행감지부와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장치{CONVEYOR DEVICE}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 장치는 산업체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되는데, 특히 제철공장에서 원료 또는 연료를 운송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이다. 원료 등의 운송물이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된다. 컨베이어 벨트의 운송물이 다른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될 때, 운송물이 편적되어 수용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때 벨트의 일측면의 균형이 맞지 않아 사행이 발생한다. 사행된 벨트는 컨베이어 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부품에 접촉되어 원활한 진행을 방해하고, 이는 컨베이어 장치의 손상 및 기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사행 가이드롤러로 사행을 감지하여, 별도의 모터로 리턴 롤러를 작동시켜 사행을 조절한다.
하지만, 양방향으로 작업이 가능한 가역벨트 컨베이어의 경우, 벨트의 진행방향에 따라 사행이 다르게 발생하는데, 리턴 롤러의 경우 사행 가이드 롤러가 벨트의 진행방향에 관계없이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사행조절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장치인 담파를 이용하여 조정한다. 그러나, 담파를 설치로 인해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사행에 수동으로 대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6436호(2010.08.09, 벨트 사행 방지형 컨베이어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구동력없이 와이어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을 교정할 수 있는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송물을 이송시키는 벨트;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도록, 상기 벨트의 일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사행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제1 사행감지부; 상기 벨트 하측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에 대한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벨트의 사행을 교정하는 사행교정롤러; 및 상기 제1 사행감지부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배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 사행감지부와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사행감지부 상단은 상기 벨트의 상기 일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벨트의 사행 시, 제1 사행감지부 상단은 상기 벨트의 사행에 따라 상기 벨트의 사행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사행감지부 하단은 상기 사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사행교정롤러는 상기 벨트 하측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롤링부; 상기 롤링부를 지지하고, 상기 벨트에 대한 배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탠드; 및 상기 벨트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탠드의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사행감지부 하단(122)와 상기 스탠드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로 전달되는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에는 상기 제1 사행감지부를 복원시키도록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행감지부는 상기 벨트의 양측면에 접촉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는, 각각의 상기 제1 사행감지부와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연결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사행감지부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도록, 상기 벨트의 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사행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제2 사행감지부; 및 상기 제2 사행감지부와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행감지부는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사행감지부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사행감지부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행 교정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키고, 사행에 의한 손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 요소의 위치 및 방향을 설명함에 있어, x, y 및 z 축을 부여하기로 한다. 특히,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의 벨트(110)가 y축의 정방향(+y)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는 벨트(110)가 y축의 역방향(-y)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는 벨트(110)와 사행교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110)는 운송물을 이송시키며 이동된다. 운송물은 벨트(110) 상부에서 낙하하여 벨트(110) 상면으로 수용된 후에, 벨트(110)로 이송되어 슈트로 낙하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물은 제철공정에서 사용되는 원료일 수 있다.
벨트(110)는 y축에 대해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역형 벨트일 수 있다.
벨트(110)에 수용되는 운송물이 일측으로 편적되면, 벨트(110)가 일측으로 밀리면서 진행하게 되고, 벨트(110)의 이동 방향은 틀어지게 되는데, 이를 벨트(110)의 '사행'이라고 한다. 또한, 후술하게 될 '사행방향'이란 벨트(110)가 밀리는 방향을 의미하며, 도 1에서 사행방향은 +x 또는 -x 방향이 될 수 있다.
사행된 벨트(110)는 컨베이어 장치(100)를 구성하는 기타 부품에 접촉되어 원활한 진행을 방해하고, 이는 컨베이어 장치(100)의 손상 및 기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행교정기를 포함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벨트(110)가 +y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행교정기는 제1 사행감지부(120), 사행교정롤러(130), 제1 연결부(140)를 포함하고, 제2 사행감지부(160) 및 제2 연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행감지부(120)는 벨트(110)의 사행을 감지하는 부분으로, 벨트(110)의 사행이 없는 경우에 z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행감지부의 상단(121)은 벨트(110)의 일측면과 접촉된다. 제1 사행감지부의 상단(121)은 롤링 가능하게 형성되어, 벨트(110)의 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롤링될 수 있다.
벨트(110)의 사행 시, 제1 사행감지부(120)는 사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제1 사행감지부의 상단(121)은 사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하단은 사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벨트(110) 상에서 운송물이 +x 방향으로 편적되면 사행방향은 +x 방향이 된다. 제1 사행감지부(120)는 벨트(110)의 사행에 따라 +x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사행감지부의 상단(121)은 +x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사행감지부의 하단(122)은 -x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사행감지부(120)의 중앙측은 프레임(210)에 힌지결합 될 수 있으며, 제1 사행감지부(120)는 힌지결합 된 중앙측을 회전축(133)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 사행감지부(1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 사행감지부(120)는 벨트(110)의 양측면에 접촉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행감지부(120)는 벨트(110)의 좌우 사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사행감지부(120)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사행교정롤러(130)는 벨트(110) 하측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벨트(110)에 대한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벨트(110)의 사행을 교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치 각도란, 벨트(110)의 진행방향과 사행교정롤러(130)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벨트(110)의 사행이 없는 경우에는, 배치 각도는 수직일 것이나, 벨트(110)의 사행이 발생한 경우에는 사행교정롤러(130)가 벨트(110)의 진행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되어 벨트(110)의 사행을 교정하고, 이 경우 배치 각도는 수직이 아닌 각이 된다.
사행교정롤러(130)는 롤링부(131), 스탠드(132) 및 회전축(133)을 포함할 수 있다. 사행교정롤러(130) 전체를 지지하도록, 사행교정롤러(130) 하측에 사행교정롤러 지지대(220)가 설치될 수 있다.
롤링부(131)는 벨트(110) 하측에 접촉되어 벨트(110) 진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롤링부(131)는 벨트(110)의 사행이 없는 경우에 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132)는 롤링부(131)를 지지하고, 벨트(110)에 대한 배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xy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탠드(132)는 롤링부(131)의 단부와 결합되어 롤링부(131)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회전축(133)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탠드(1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133)은 스탠드(132)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40)는 제1 사행감지부(120)와 사행교정롤러(130)를 연결하여, 제1 사행감지부(120)의 이동에 따라 사행교정롤러(130)의 배치 각도가 변경되도록 사행교정롤러(130)를 회전시킨다.
제1 연결부(140)는 와이어(141) 및 전환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41)는 제1 사행감지부 하단(122)과 스탠드(132)에 연결될 수 있으며, 벨트(110)의 사행으로 제1 사행감지부(120)가 받는 힘을 스탠드(132)에 전달할 수 있다.
전환부재(142)는 와이어(141)로 전달되는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와이어(141)에 결합될 수 있다.
전환부재(142)는 시이브 지지대(281), 전달축(283), 와이어지지축(292) 및 도르래(144)를 포함하고, 전환부재를 지지하는 전환부재 지지대(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이브 지지대(281)는 제1 사행감지부(120)가 기울어질 때, 제1 사행감지부의 하단(122)부가 미는 힘을 받도록, 제1 사행감지부(120)에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
시이브 지지대(281)에는 시이브(sheave)(282)가 결합될 수 있다. 시이브(282)에 의하면, 제1 사행감지부(120)가 시이브 지지대(281)와 서로 다른 각도로 움직이기 용이하다. 또한, 제1 사행감지부(120)와 시이브(282)는 탈착이 가능하다.
전달축(283)은 시이브 지지대(281)에 전달된 힘을 와이어(141)로 전달하도록, x축 방향에 연장된 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달축(283)의 상부는 시이브 지지대(281)와 결합될 수 있다.
전달축(283)의 하부에는 와이어(141)를 조절하도록 돌출된 터치롤러(291)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지지축(292)의 상측은 전달축(283)의 터치롤러(291)와 접촉될 수 있으며, 하측은 와이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지지축(292)은 전환부재 지지대(2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와이어지지축(292)은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지지축(292)이 'ㄷ'자 형상이 경우, 전달축(283)이 이동하면, 와이어지지축(292) 'ㄷ'자의 세로획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전환부재 지지대(220)은 와이어지지축(292)의 세로획을 지지할 수 있으며, 사행교정롤러 지지대(220)와 결합할 수 있다.
도르래(144)에는 와이어지지축(292)의 와이어(141)가 감기며, 도르래(144)에 의하여, 와이어(141)의 힘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도르래(144)는 사행교정롤러 지지대(2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환부재(142)에는 제1 사행감지부(120)를 복원시키도록 탄성부재(143)를 포함한 복수의 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143)는 전달축(283)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143)는 전달축(283)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원력을 가진 재질일 수 있으며, 스프링일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벨트(110)의 사행 조절이 이루어지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벨트(110)가 +y 방향으로 진행되는 도중 +x 방향으로 사행이 일어날 시, 벨트(110)는 제1 사행감지부의 상단(121)을 밀 수 있다.
이 때, 제1 사행감지부(120)가 기울어지면서 제1 사행감지부 하단(122)은 시이브 지지대(281)를 밀어낼 수 있다. 시이브 지지대(281)가 밀려남에 따라 시이브 지지대(281)에 결합된 전달축(283)이 당겨질 수 있고, 전달축(283) 상측에 결합된 터치롤러(291)가 함께 당겨지며 와이어지지축(292)의 하측에 결합된 와이어(141)가 당겨질 수 있다.
당겨진 와이어(141)는 도르래(144)를 통해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와이어(141)로 전달된 힘과 회전축(133)에 의해, 스탠드(132)가 xy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스탠드(132)의 회전에 의해, 사행교정롤러(130)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조절됨으로써, 벨트(110)의 사행을 교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사행감지부(120), 제1 연결부(140) 및 사행교정롤러(130)는 벨트(110)가 +y 방향으로 이동할 때 벨트(110)의 사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벨트(110)가 -y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작동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사행감지부(160), 제2 연결부(170), 사행교정롤러(130)는 벨트(110)가 -y 방향으로 이동할 때, 벨트(110)의 사행을 조절하며, 작동원리는 제1 사행감지부(120), 제1 연결부(140) 및 사행교정롤러(130)에 대응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벨트(110)가 -y 방향으로 진행할 시, 제2 사행감지부(160), 제2 연결부(170) 및 사행교정롤러(130)가 작동될 수 있으며, 제1 사행감지부(120) 및 제1 연결부(140)는 작동하지 아니한다.
이를 위해 컨베이어 장치(100)는 판(230), 봉(270) 및 연결바(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230)은 벨트(110) 상측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벨트(110)의 이동에 따라 일정 간격 내에서 +y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판(230)은 벨트(110)를 세척하도록, 판(230)의 하측에 고무 재질로 형성된 러버(240)(rubber)를 포함할 수 있다.
봉(270)은 판(230)에 결합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연결바(250)는 봉(270)과 결합되며, 제1 연결부(140)와 제2 연결부(17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바(250)는 판(230)과 봉(27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0)는 벨트(110)가 +y 방향으로 이동할 시, 판(230)이 +y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사행감지부(120)가 제1 연결부(140)가 결합되고, 제2 사행감지부(160)와 제2 연결부(170)는 해체될 수 있다.
반면, 벨트(110)가 -y방향으로 이동할 시, 판(230)이 -y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사행감지부(160)가 제2 연결부(170)가 결합되고, 제1 사행감지부(120)와 제1 연결부(140)는 해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에 의하면, 사행교정기는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벨트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사행을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행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력과 노동력을 절감시키면서 사행을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가역벨트의 경우, 사행 교정을 위해 추가적인 장치가 사용 되었으나, 사행 교정 기능과 벨트의 방향에 따른 사행감지부 탈착 기능을 결합함으로써,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컨베이어 장치
110: 벨트
120: 제1 사행감지부
121: 제1 사행감지부 상단
122: 제1 사행감지부 하단
130: 사행교정롤러
131: 롤링부
132: 스탠드
133: 회전축
140: 제1 연결부
141: 와이어
142: 전환부재
143: 탄성부재
144: 도르래
160: 제2 사행감지부
170: 제2 연결부
210: 프레임
220: 사행교정롤러 지지대
230: 판
240: 러버
250: 연결바
260: 전환부재 지지대
270: 봉
281: 시이브 지지대
282: 시이브
283: 전달축
291: 터치롤러
292: 와이어지지축

Claims (7)

  1. 운송물을 이송시키는 벨트;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도록, 상기 벨트의 일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사행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제1 사행감지부;
    상기 벨트 하측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에 대한 배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벨트의 사행을 교정하는 사행교정롤러; 및
    상기 제1 사행감지부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배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 사행감지부와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행감지부의 상단은 상기 벨트의 상기 일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벨트의 사행 시, 상기 제1 사행감지부의 상단은 상기 벨트의 사행에 따라 상기 벨트의 사행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사행감지부의 하단은 상기 사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교정롤러는
    상기 벨트 하측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롤링부;
    상기 롤링부를 지지하고, 상기 벨트에 대한 배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탠드; 및
    상기 벨트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탠드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사행감지부의 하단부와 상기 스탠드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로 전달되는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제1 사행감지부를 복원시키도록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행감지부는 상기 벨트의 양측면에 접촉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는, 각각의 상기 제1 사행감지부와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연결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사행감지부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도록, 상기 벨트의 측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사행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제2 사행감지부; 및
    상기 제2 사행감지부와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행감지부는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사행감지부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사행감지부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사행교정롤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장치.
KR1020140096515A 2014-07-29 2014-07-29 컨베이어 장치 KR101633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515A KR101633984B1 (ko) 2014-07-29 2014-07-29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515A KR101633984B1 (ko) 2014-07-29 2014-07-29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377A true KR20160014377A (ko) 2016-02-11
KR101633984B1 KR101633984B1 (ko) 2016-06-27

Family

ID=5535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515A KR101633984B1 (ko) 2014-07-29 2014-07-29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1913A1 (it) * 2022-02-03 2023-08-03 System Ceramics S P A Sistema di guida per un nastro di trasport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412A (ko) 2020-01-08 2021-07-16 최성훈 무배선 컨베이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409A (ko) * 2011-06-29 2013-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409A (ko) * 2011-06-29 2013-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200001913A1 (it) * 2022-02-03 2023-08-03 System Ceramics S P A Sistema di guida per un nastro di trasporto
WO2023148622A1 (en) * 2022-02-03 2023-08-10 System Ceramics S.P.A. A guide system for a conveyor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984B1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984B1 (ko) 컨베이어 장치
KR101866625B1 (ko) 반송 장치 및 진공 장치
KR20150076018A (ko) 벨트 컨베이어
KR200352833Y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이송물 교정장치
KR101670124B1 (ko) 컨베이어 장치
KR10129154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481017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이송물 보정장치
KR20090049213A (ko) 벨트 컨베이어장치용 벨트 쏠림 교정장치
KR102201446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KR1013880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JP2008100826A (ja) ベルトコンベヤのベルト蛇行制御装置
KR101581545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20130002409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670125B1 (ko) 컨베이어 장치
JP4395449B2 (ja) 搬送ライン装置
KR10135554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675679B1 (ko) 하중 분산형 벨트 컨베이어장치
KR20150109090A (ko) 컨베어벨트 사행조정 비접촉감지 제어장치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388038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120132783A (ko) 손상방지형 벨트컨베이어장치
KR20130046569A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20090032468A (ko) 컨베이어 시스템
KR20150125081A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