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104A - 기능 유닛, 아날로그 입력 유닛,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 유닛, 아날로그 입력 유닛,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104A
KR20160014104A KR1020167001462A KR20167001462A KR20160014104A KR 20160014104 A KR20160014104 A KR 20160014104A KR 1020167001462 A KR1020167001462 A KR 1020167001462A KR 20167001462 A KR20167001462 A KR 20167001462A KR 20160014104 A KR20160014104 A KR 20160014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meter
unit
control
convers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489B1 (ko
Inventor
요시유키 구보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4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0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2Linking several PLC'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1개의 기능 유닛 내의 다른 기능을 복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능 유닛은, 파라미터를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를 분류하는 파라미터 접수부와, 분류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제1 파라미터 해석부와, 분류된 상기 제2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제2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제1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제2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2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제2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제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1 처리부와, 상기 제2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2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2 처리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Description

기능 유닛, 아날로그 입력 유닛,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FUNCTION UNIT, ANALOG INPUT UNIT, AND PROGRAMMABLE CONTROLLER SYSTEM}
본 발명은 기능 유닛, 아날로그 입력 유닛,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치나 전압치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LC)가 취득하는 경우, 입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인 A/D 변환 유닛이 이용된다. 그리고 PLC의 CPU 유닛은,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입력치에 기초하여 각종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한편으로, 아날로그 입력 유닛이 A/D 변환한 결과인 디지털값은, CPU 유닛이 행하는 제어 처리에 대한 입력 정보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품질 정보의 트레이서빌리티(traceability) 등을 목적으로 하여 데이터 수집, 이른바 로깅(logging)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의 로깅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링 버퍼 구성의 로그 격납 영역을 공용 메모리에 확보하고, 로그 격납 영역에 격납되어 있는 로그 데이터 중 최신(最新) 로그 데이터와 최구(最舊) 로그 데이터의 경계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선두 포인터(head pointer)를 공용 메모리에 격납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 입력 유닛이 제시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는, 일정 점수(点數) 로깅 검출 수단이, 제1 기억 수단에 격납되는 로깅 데이터의 수를 감시하여, 로깅 데이터의 수가 소정의 수에 이르면 인터럽트(interrupt) 발생 수단이 CPU 유닛에 대해서 인터럽트 발생 요구를 행하도록 구성된 아날로그 변환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모두, 아날로그 입력 유닛을 관리·제어하는 CPU 유닛이, 아날로그 입력 유닛이 수집한 디지털값열을 판독하고, 보존한다. 그러나 CPU 유닛이 복수대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을 관리·제어하고, 다채널의 로깅을 행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수집 처리가 따라 잡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본래 행해야 할 제어의 제어 주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으로, 복수의 CPU 유닛에 의해 1대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을 관리·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는, CPU 유닛으로서, 주로 데이터의 입출력에 관한 처리에 관여하는 제1 전자 제어 장치와, 주로 데이터에 기초한 각종 연산의 실행에 관여하는 제2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한 CPU 시스템이 나타내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512200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530106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평 8-249021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2대째의 CPU 유닛인 제2 전자 제어 장치는, 1대째의 CPU 유닛인 제1 전자 제어 장치 경유로 A/D 변환 장치에 액세스한다. 이 경우, A/D 변환 장치의 동작 설정은 제1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행해지고, 제2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A/D 변환 장치의 동작 설정을 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2 전자 제어 장치는, 제1 전자 제어 장치가 A/D 변환 장치에 설정한 동작 설정의 범위 내에서밖에 A/D 변환 장치를 동작시킬 수 없다. 이 결과, 제1 전자 제어 장치 및 제2 전자 제어 장치의 양쪽이 독자적인 설정으로 독립한 제어를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1개의 기능 유닛 내의 다른 기능을 복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한 기능 유닛, 아날로그 입력 유닛,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유닛은 제어 기능이 다른 복수의 컨트롤러를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구비되는 기능 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기능 유닛에 입력된 파라미터를,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1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기능 유닛에 있어서의 제1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제1 파라미터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 2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기능 유닛에 있어서의 제2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제2 파라미터를 분류하는 파라미터 접수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제1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제2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제2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제1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제2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2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제2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제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1 처리부와, 상기 제2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2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1개의 기능 유닛 내의 다른 기능을, 복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PLC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PLC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아날로그 입력 유닛이 파라미터 접수부에서 주컨트롤러 및 부컨트롤러로부터 파라미터를 접수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유닛, 아날로그 입력 유닛,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PLC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PLC 시스템(100)은, PLC 기능 유닛(130)과, 그 PLC 기능 유닛(130)을 관리·제어하는 복수의 CPU 유닛으로서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를 구비한다.
PLC 기능 유닛(130)은 PLC 시스템에 장착되는 유닛으로서, 유닛간 버스(150)를 통해서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에 접속되어 있다. PLC 기능 유닛(130),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는, 각각 PLC 시스템(10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PLC 시스템(100)에는, PLC 기능 유닛(130),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 외에, 목적에 맞추어 각종 기능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유닛간 버스(150)를 통해서 장착된다.
각종 기능 유닛으로서는, 예를 들면, 서보 앰프 등에 의해 다축(多軸)에 있어서의 위치 제어를 실행하는 모션 컨트롤러 유닛, 주컨트롤러(110)로부터 지령된 온도에 이르도록 가열 및 냉각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컨트롤러 유닛 등이, PLC 시스템(100)에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PLC 기능 유닛(130),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 이외의 유닛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PLC 기능 유닛(130)은 통신부(131), 주제어용 처리부(132), 부제어용 처리부(133), 파라미터 접수부(134),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 주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6),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 부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8), 내부 버스(139), 연산부(140), 공용 메모리(141)를 구비한다. 각 구성부는, 내부 버스(139)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31)는 유닛간 버스(150)를 통해서,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주제어용 처리부(132)는 PLC 기능 유닛(130)의 주된 역할인 주제어를 실행한다. 또, 주제어용 처리부(132)는 통신부(131) 및 유닛간 버스(150)를 통해서, 주제어에 있어서의 입출력 정보를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제어용 처리부(133)는, PLC 기능 유닛(130)이 행하는 제어 중에서 보조적인 역할인 부제어를 실행한다. 또, 부제어용 처리부(133)는 통신부(131) 및 유닛간 버스(150)를 통해서, 부제어에 있어서의 입출력 정보를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부제어용 처리부(133)는 주제어용 처리부(132)의 실행 결과의 출력을, 내부 버스(139)를 통해서 직접 수취할 수 있다. 부제어용 처리부(133)는 주제어용 처리부(132)로부터 직접 수취한 출력의 내용을 이용하여, PLC 기능 유닛(130)의 부제어를 실행한다.
파라미터 접수부(134)는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로부터 출력된 PLC 기능 유닛(130)의 동작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유닛간 버스(150) 및 통신부(131)를 통해서 접수한다. 파라미터 접수부(134)는 접수한 파라미터가 주제어용 파라미터인지 부제어용 파라미터인지를 판정하여 분류하여, 주제어용 파라미터를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에 출력하고, 부제어용 파라미터를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에 출력한다. 접수한 파라미터가 주제어용 파라미터와 부제어용 파라미터 중 어느 것도 아닌 경우에는, 파라미터 접수부(134)는 그 파라미터를 파기한다. 주제어용 파라미터는, 주제어용 처리부(132)가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 조건이다. 부제어용 파라미터는, 부제어용 처리부(133)가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 조건이다.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는 파라미터 접수부(134)로부터 입력된 주제어용 파라미터의 해석 처리를 행한다.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는, 예를 들어 입력된 주제어용 파라미터의 종류나 주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6)에 있어서의 격납 장소 등의 파라미터의 조건에 대한 해석을 행한다.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는, 해석이 완료된 주제어용 파라미터를 주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6)에 출력한다.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는 파라미터 접수부(134)로부터 입력된 부제어용 파라미터의 해석 처리를 행한다.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는, 예를 들어 입력된 부제어용 파라미터의 종류나 부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8)에 있어서의 격납 장소 등의 파라미터의 조건에 대한 해석을 행한다.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는, 해석이 완료된 부제어용 파라미터를 부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8)에 출력한다.
주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6)는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로부터 출력된, 해석이 완료된 주제어용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주제어용 처리부(132)는 주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6)로부터 판독한 주제어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주제어를 실행한다. 또,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는, 해석이 완료된 주제어용 파라미터를 주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6)에 출력하여 격납시켜, 주제어용 파라미터를 변경, 설정한다. 그리고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가 해석을 행할 때, 주제어용 처리부(132) 및 부제어용 처리부(133)는 제어 처리를 정지한다.
부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8)는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로부터 출력된, 해석이 완료된 부제어용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부제어용 처리부(133)는 부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8)로부터 판독한 부제어용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부제어를 실행한다. 또,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는 해석이 완료된 부제어용 파라미터를 부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8)에 출력하여 격납시켜, 부제어용 파라미터를 변경, 설정한다. 그리고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가 해석을 행할 때, 부제어용 처리부(133)는 부제어 처리를 정지한다.
연산부(140)는 PLC 기능 유닛(130)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공용 메모리(141)는 주제어용 처리부(132) 및 부제어용 처리부(133)로의 연산 결과 등, PLC 기능 유닛(130) 내의 처리에서 발생한 데이터 등을 격납한다. 공용 메모리(141)는 연산부(140)에 의한 판독 및 기입이 이루어지는 것 외에,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에 의한, 유닛간 버스(150)를 통한 판독 액세스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컨트롤러(110)는, PLC 시스템(100)이 구비하는 다양한 유닛을 동작시켜 산업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 실행 결과의 출력, 유저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값 등의 입력치의 취득 등의, PLC 시스템(100)이 행하는 제어 중에서 주된 역할인 주제어를 실행한다. 주컨트롤러(110)는 통신부(111), 주제어부(112), 내부 메모리(113)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부는, 내부 버스(114)를 통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11)는 유닛간 버스(150)를 통해서, PLC 기능 유닛(130)과의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주제어부(112)는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주컨트롤러(110) 전체의 제어를 실행하여 주제어를 행한다. 또, 주제어부(112)는 주제어용 파라미터를 통신부(111)를 통해서 PLC 기능 유닛(130)에 출력한다.
내부 메모리(113)는 유저 프로그램,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나, 유저 프로그램의 입출력치 등을 격납한다.
부컨트롤러(120)는, PLC 시스템(100)이 구비하는 다양한 유닛을 동작시켜 산업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 실행 결과의 출력, 유저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값 등의 입력치의 취득 등의, PLC 시스템(100)이 행하는 제어 중에서 보조적인 역할인 부제어를 실행한다. 부컨트롤러(120)는 통신부(121), 부제어부(122), 내부 메모리(123)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부는, 내부 버스(124)를 통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121)는 유닛간 버스(150)를 통해서, PLC 기능 유닛(130)과의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부제어부(122)는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부컨트롤러(120) 전체의 제어를 실행하여 부제어를 행한다. 또, 부제어부(122)는 부제어용 파라미터를 통신부(121)를 통해서 PLC 기능 유닛(130)에 출력한다.
내부 메모리(123)는 유저 프로그램,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나, 유저 프로그램의 입출력치 등을 격납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PLC 시스템(100)에서는, 주컨트롤러(110) 및 부컨트롤러(120)로부터 출력된 PLC 기능 유닛(130)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PLC 기능 유닛(130)의 파라미터 접수부(134)가 일괄하여 접수한 후에 주제어용 파라미터와 부제어용 파라미터로 분류한다. 또, PLC 기능 유닛(130)은, 파라미터 접수부(134)가 접수한 후에 해석 처리를 행하는 해석 처리부와, 해석이 완료된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격납부를 양파라미터에 대해 각각 개별로 구비한다. 즉, PLC 기능 유닛(130)은 주제어용 파라미터용으로,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와 주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6)를 구비한다. 또, PLC 기능 유닛(130)은 부제어용 파라미터용으로,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와 부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8)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PLC 시스템(100)에서는, PLC 기능 유닛(130)은, PLC 시스템(100)이 행하는 주된 제어를 담당하는 주컨트롤러(110)로부터 기본적인 주제어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PLC 시스템(100)이 행하는 제어 중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컨트롤러(120)로부터 부제어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각각 독립하여 수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PLC 기능 유닛(130)은 복수의 컨트롤러의 관리·제어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술한 PLC 시스템(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PLC 시스템(2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PLC 시스템(200)은, 아날로그 입력 유닛인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과, 그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을 관리·제어하는 복수의 컨트롤러로서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 주컨트롤러(210), 부컨트롤러(220)는, 각각 PLC 시스템(100)의 PLC 기능 유닛(130), 주컨트롤러(110), 부컨트롤러(120)에 대응한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은 PLC 시스템(200)에 장착되는 유닛으로서, 유닛간 버스(250)를 통해서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에 접속되어 있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는, 각각 PLC 시스템(20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은 통신부(231), A/D 변환부(232), 데이터 수집부(233), 파라미터 접수부(234),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 내부 버스(239), 연산부(240), 공용 메모리(241),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부(242)를 구비한다. 각 구성부는 내부 버스(239)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부(231), A/D 변환부(232), 데이터 수집부(233), 파라미터 접수부(234),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 내부 버스(239), 연산부(240), 공용 메모리(241)는, 각각 PLC 기능 유닛(130)의 통신부(131), 주제어용 처리부(132), 부제어용 처리부(133), 파라미터 접수부(134),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5), 주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6),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137), 부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138), 내부 버스(139), 연산부(140), 공용 메모리(141)에 대응한다.
통신부(231)는 유닛간 버스(250)를 통해서,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A/D 변환부(232)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의 주된 역할인 A/D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A/D 변환부(232)는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부(242)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으로의 아날로그값의 입력을 접수하고, 입력된 아날로그값을 차례로 디지털값으로 변환한다. PLC 시스템(200)이 제어 대상으로 하는 산업용 기기 등에 관련되는 다양한 계측치, 예를 들면 유량, 압력, 온도 등은, 아날로그값인 전류치나 전압치로 변환되어, 각종의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으로 입력된다. 또, A/D 변환부(232)는 통신부(231) 및 유닛간 버스(250)를 통해서, A/D 변환된 결과를 포함하는 A/D 변환 제어에 있어서의 입출력 정보를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데이터 수집부(233)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이 행하는 제어 중에서 보조적인 역할인 데이터 수집 처리, 즉 로깅 처리를 실행한다. 또, 데이터 수집부(233)는 통신부(231) 및 유닛간 버스(250)를 통해서, 데이터 수집 처리에 있어서의 입출력 정보를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데이터 수집부(233)는 A/D 변환부(232)의 실행 결과의 출력을, 내부 버스(239)를 통해서 직접 수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233)는 A/D 변환부(232)로부터 직접 수취한 데이터를 차례로 로깅한다. 데이터 수집부(233)는 A/D 변환부(232)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그 데이터 수집부(233) 내에 메모리를 구비하여 그 메모리에 로깅하는 형태가 되어도 좋고, 또 공용 메모리(241)에 로깅하는 형태가 되어도 좋다.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유닛간 버스(250) 및 통신부(231)를 통해서 접수한다.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접수한 파라미터가 A/D 변환 파라미터인지 로깅 파라미터인지를 판정하여 분류하여, A/D 변환 파라미터를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에 출력하고, 로깅 파라미터를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에 출력한다. 접수한 파라미터가 A/D 변환 파라미터와 로깅 파라미터 중 어느 것도 아닌 경우에는,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그 파라미터를 파기한다. A/D 변환 파라미터는, A/D 변환부(232)가 동작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다. 로깅 파라미터는, 데이터 수집부(233)가 동작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다.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는 파라미터 접수부(234)로부터 입력된 A/D 변환 파라미터의 해석 처리를 행한다.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는, 예를 들어 입력된 A/D 변환 파라미터의 종류나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에 있어서의 격납 장소 등의 파라미터의 조건에 대한 해석을 행한다.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는 해석이 완료된 A/D 변환 파라미터를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에 출력한다.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는 파라미터 접수부(234)로부터 입력된 로깅 파라미터의 해석 처리를 행한다.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는, 예를 들어 입력된 로깅 파라미터의 종류나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에 있어서의 격납 장소 등의 파라미터의 조건에 대한 해석을 행한다.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는, 해석이 완료된 로깅 파라미터를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에 출력한다.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는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로부터 출력된, 해석이 완료된 A/D 변환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A/D 변환부(232)는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로부터 판독한 A/D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A/D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또,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는, 해석이 완료된 A/D 변환 파라미터를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에 출력하여 격납시켜, A/D 변환 파라미터를 변경, 설정한다. 그리고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가 해석을 행할 때, A/D 변환부(232) 및 데이터 수집부(233)는 A/D 변환 처리 및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한다.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는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로부터 출력된, 해석이 완료된 로깅 파라미터를 격납한다. 데이터 수집부(233)는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로부터 판독한 로깅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수집 처리를 실행한다. 또,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는 해석이 완료된 로깅 파라미터를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에 출력하여 격납시켜, 로깅 파라미터를 변경, 설정한다. 그리고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가 해석을 행할 때는, 데이터 수집부(233)는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한다.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부(242)는, 외부로부터의 아날로그값의 입력을 접수하여 A/D 변환부(232)에 출력한다.
연산부(240)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공용 메모리(241)는 A/D 변환부(232)에 의한 연산 결과나 데이터 수집부(233)에 의해 수집한 데이터 등,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 내의 처리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격납한다. 공용 메모리(241)는 연산부(240)에 의한 판독 및 기입이 이루어지는 것 외에,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에 의한, 유닛간 버스(250)를 통한 판독 액세스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컨트롤러(210)는, PLC 시스템(200)이 구비하는 다양한 유닛을 동작시켜 산업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 실행 결과의 출력, 유저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값 등의 입력치의 취득 등의, PLC 시스템(200)이 행하는 제어 중에서 주된 역할인 주제어를 실행한다. 주컨트롤러(210)는, A/D 변환부(232)로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PLC 시스템(200)이 구비하는 다양한 유닛을 동작시켜 산업용 기기를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함과 아울러,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에 있어서의 A/D 변환 처리를 관리, 제어한다.
주컨트롤러(210)는 통신부(211), 제어 연산부(212), 내부 메모리(213)를 구비한다. 통신부(211), 제어 연산부(212), 내부 메모리(213)는, 내부 버스(214)를 통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부(211), 제어 연산부(212), 내부 메모리(213), 내부 버스(214)는, 각각 주컨트롤러(110)의 통신부(111), 주제어부(112), 내부 메모리(113), 내부 버스(114)에 대응한다.
통신부(211)는 유닛간 버스(250)를 통해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과의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제어 연산부(212)는 주제어나 A/D 변환 처리의 관리·제어를 위한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주컨트롤러(210)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또, 제어 연산부(212)는 A/D 변환 파라미터를 통신부(211)를 통해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에 출력한다.
내부 메모리(213)는 유저 프로그램,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나, 유저 프로그램의 입출력치 등을 격납한다.
부컨트롤러(220)는, PLC 시스템(200)이 구비하는 다양한 유닛을 동작시켜 산업용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 실행 결과의 출력, 유저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값 등의 입력치의 취득 등의, PLC 시스템(200)이 행하는 제어 중에서 보조적인 역할인 부제어를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부컨트롤러(220)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의 데이터 수집부(233)에 로깅된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로깅한다.
부컨트롤러(220)는 통신부(221), 데이터 수집부(222), 내부 메모리(223)를 구비한다. 통신부(221), 데이터 수집부(222), 내부 메모리(223)는, 내부 버스(224)를 통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통신부(221), 데이터 수집부(222), 내부 메모리(223), 내부 버스(224)는, 각각 부컨트롤러(120)의 통신부(121), 부제어부(122), 내부 메모리(123), 내부 버스(124)에 대응한다.
통신부(221)는 유닛간 버스(250)를 통해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과의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데이터 수집부(222)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의 데이터 수집부(233)에 로깅된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로깅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233)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의 데이터 수집부(233)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그 데이터 수집부(233) 내에 가지는 메모리에 로깅하는 형태가 되어도 좋고, 또 내부 메모리(223)에 로깅하는 형태가 되어도 좋다. 또, 데이터 수집부(222)는,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부컨트롤러(220)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또, 데이터 수집부(222)는 로깅 파라미터를 통신부(221)를 통해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에 출력한다.
내부 메모리(223)는 유저 프로그램, 유저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나, 유저 프로그램의 입출력치 등을 격납한다. 또, 내부 메모리(223)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의 데이터 수집부(233)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로깅한다.
다음으로, PLC 시스템(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이 파라미터 접수부(234)로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로부터 파라미터를 접수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새로운 파라미터를 접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 새로운 파라미터를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스텝 S10, No),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본 판정 처리를 속행한다. 새로운 파라미터를 접수했을 경우는(스텝 S10, Yes),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수취한 파라미터가 A/D 변환 파라미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
수취한 파라미터가 A/D 변환 파라미터인 경우는(스텝 S20, Yes), 파라미터의 해석으로 이행(transition)할 준비로서, 데이터 수집부(233)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하고(스텝 S21), 이어서 A/D 변환부(232)에 있어서의 A/D 변환 처리를 정지한다(스텝 S22).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시키려면, 예를 들어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A/D 변환 파라미터를 수취했다는 취지의 A/D 변환 파라미터 수신 정보를 연산부(240)에 출력한다. 연산부(240)는 A/D 변환 파라미터 수신 정보를 수취하면,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시키는 데이터 수집 처리 정지 지시 정보를 데이터 수집부(233)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집부(233)는 데이터 수집 처리 정지 지시 정보를 수취하면,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한다.
또, A/D 변환부(232)에 있어서의 A/D 변환 처리를 정지시키려면, 예를 들어 연산부(240)가 데이터 수집부(233)에 데이터 수집 처리 정지 지시 정보를 출력한 후에, A/D 변환 처리의 정지를 지시하는 A/D 변환 처리 정지 지시 정보를 A/D 변환부(232)에 출력한다. A/D 변환부(232)는 A/D 변환 처리 정지 지시 정보를 수취하면, A/D 변환 처리를 정지한다.
다음으로,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수취한 A/D 변환 파라미터를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에 출력한다.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는 A/D 변환 파라미터를 수취하면, 그 A/D 변환 파라미터를 해석하고, 해석한 A/D 변환 파라미터를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 내에 있어서의 적절한 에어리어에 격납한다(스텝 S23). 이것에 의해, 새로운 A/D 변환 파라미터가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에 설정된다.
그 후, A/D 변환부(232)에 있어서의 A/D 변환 처리를 재개하고(스텝 S24), 이어서 데이터 수집부(233)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처리를 재개한다(스텝 S25). A/D 변환부(232)에 있어서의 A/D 변환 처리를 재개시키려면, 예를 들어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가 해석한 A/D 변환 파라미터를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에 격납했다는 취지의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 정보를 연산부(240)에 출력한다. 연산부(240)는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 정보를 수취하면, A/D 변환 처리의 재개를 지시하는 A/D 변환 처리 재개 지시 정보를 A/D 변환부(232)에 출력한다. A/D 변환부(232)는 A/D 변환 처리 재개 지시 정보를 수취하면, A/D 변환 처리를 재개한다.
또, 데이터 수집부(233)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처리를 재개시키려면, 예를 들어 연산부(240)가, A/D 변환 처리 재개 지시 정보를 A/D 변환부(232)에 출력한 후에, 데이터 수집 처리의 재개를 지시하는 데이터 수집 처리 재개 지시 정보를 데이터 수집부(233)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집부(233)는 데이터 수집 처리 재개 지시 정보를 수취하면, 데이터 수집 처리를 재개한다. 그 후는, 재차 스텝 S10으로 돌아간다.
스텝 S20으로 돌아가서, 수취한 파라미터가 A/D 변환 파라미터가 아닌 경우는(스텝 S20, No),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그 파라미터가 로깅 파라미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 수취한 파라미터가 로깅 파라미터가 아닌 경우는(스텝 S30, No), 재차 스텝 S10으로 돌아간다.
한편, 수취한 파라미터가 로깅 파라미터인 경우는(스텝 S30, Yes), 파라미터의 해석으로 이행할 준비로서, 데이터 수집부(233)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한다(스텝 S31).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시키려면, 예를 들어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로깅 파라미터를 수취했다는 취지의 로깅 파라미터 수신 정보를 연산부(240)에 출력한다. 연산부(240)는 로깅 파라미터 수신 정보를 수취하면,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시키는 데이터 수집 처리 정지 지시 정보를 데이터 수집부(233)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집부(233)는 데이터 수집 처리 정지 지시 정보를 수취하면,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한다.
다음으로, 파라미터 접수부(234)는 수취한 로깅 파라미터를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에 출력한다.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는 로깅 파라미터를 수취하면, 그 로깅 파라미터를 해석하고, 해석한 로깅 파라미터를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 내에 있어서의 적절한 에어리어에 격납한다(스텝 S33). 이것에 의해, 새로운 로깅 파라미터가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에 설정된다.
그 후, 데이터 수집부(233)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처리를 재개한다(스텝 S35). 데이터 수집부(233)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처리를 재개시키려면, 예를 들어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가, 해석한 로깅 파라미터를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에 격납했다는 취지의 로깅 파라미터 격납 정보를 연산부(240)에 출력한다. 연산부(240)는 로깅 파라미터 격납 정보를 수취하면, 데이터 수집 처리의 재개를 지시하는 데이터 수집 처리 재개 지시 정보를 데이터 수집부(233)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집부(233)는 데이터 수집 처리 재개 지시 정보를 수취하면, 데이터 수집 처리를 재개한다. 그 후는, 재차 스텝 S10으로 돌아간다. 또한, 데이터 수집 처리 및 A/D 변환 처리를 정지 또는 재개시키는 방법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것처럼, PLC 시스템(200)에 있어서는, 수취한 파라미터가 A/D 변환 파라미터인 경우에는, 데이터 수집 처리와 A/D 변환 처리를 차례로 정지시킨 후에, 그 A/D 변환 파라미터를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에 격납하여 설정한다. 한편, 수취한 파라미터가 로깅 파라미터인 경우에는, 데이터 수집 처리를 정지시킨 후에, 그 로깅 파라미터를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에 격납하여 설정한다.
따라서 로깅 파라미터만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A/D 변환 처리를 정지시키는 일 없이 로깅 파라미터만의 해석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주제어인 A/D 변환 처리를 정지시키는 일 없이 계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A/D 변환 처리와 데이터 수집 처리가 독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로깅 처리는 A/D 변환 처리의 동작 범위 내에서밖에 동작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상술한 PLC 시스템(200)에서는,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의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의 파라미터 접수부(234)가 일괄하여 접수한 후에 A/D 변환 파라미터와 로깅 파라미터로 분류한다. 또,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은, 파라미터 접수부(234)가 접수한 후에 해석 처리를 행하는 해석 처리부와, 해석이 완료된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격납부를 양 파라미터에 대해 각각 개별로 구비한다. 즉,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은, A/D 변환 파라미터용으로,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235)와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236)를 구비한다. 또,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은 로깅 파라미터용으로,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237)와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238)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PLC 시스템(200)에서는, PLC 시스템(200)에 장착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은, PLC 시스템(200)이 행하는 주된 제어를 담당하는 주컨트롤러(210)로부터 기본적인 A/D 변환에 필요한 A/D 변환 파라미터를, PLC 시스템(200)이 행하는 제어 중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컨트롤러(220)로부터 로깅 처리에 필요한 로깅 파라미터를 각각 독립하여 수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PLC 시스템(200)에서는, 복수의 컨트롤러의 관리·제어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PLC 시스템(200)에서는, 파라미터 해석 처리부를 컨트롤러마다 개별로 구비하므로, 부컨트롤러(220)로부터 파라미터 변경 요구를 수취했을 때에서도, 주제어를 계속할 수 있어, 주컨트롤러(210)의 제어를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따라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은, 복수의 컨트롤러의 관리·제어를 독립하여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용 문헌 3에 기재된 CPU 시스템의 구성과 같이, 부컨트롤러에 대응하는 제2 컨트롤러가 주컨트롤러에 대응하는 제1 컨트롤러를 경유하여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액세스를 행하는 구성의 PLC 시스템의 경우에는, 제1 컨트롤러는 제2 컨트롤러로부터의 액세스가 발생할 때마다 그 액세스 처리를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결과, 제1 컨트롤러가 행해야 할 주제어인 제1 제어의 제어 주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PLC 시스템(200)에서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은, 파라미터 접수부(234)가 접수한 후에 해석 처리를 행하는 해석 처리부와, 해석이 완료된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격납부를, A/D 변환 파라미터와 로깅 파라미터의 양파라미터에 대해 각각 개별로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PLC 시스템(200)에서는,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의 양쪽이, 각각 독립하여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에 액세스하고,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에 있어서의 다른 기능을 독립하여 관리·제어할 수 있어, 인용 문헌 3에 기재된 CPU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추가로, 주컨트롤러(210)는 A/D 변환된 디지털값을 차례로 판독하여 제어의 입력 정보로서 사용하고, 부컨트롤러(220)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이 수집한 디지털값열을 판독하여, 보존함으로써, 제어와 데이터 수집의 처리를 분산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컨트롤러(210)의 처리 부하를 증대시키지 않고 제어를 계속함과 아울러, 부컨트롤러(220)에서 로깅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과 같은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있어서는, A/D 변환 처리와 로깅 처리에 요구되는 처리 속도가 다른 경우가 많이 생긴다. 그렇지만, 상술한 PLC 시스템(200)에서는, 주컨트롤러(210) 및 부컨트롤러(220)의 양쪽이, 각각 독립하여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에 액세스하여, 아날로그 입력 유닛(230)에 있어서의 A/D 변환 처리와 로깅 처리를 독립하여 관리·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PLC 시스템(200)에서는, A/D 변환 처리와 로깅 처리의 각각의 처리를, 각각의 제어에 필요한 처리 속도로 제어 가능하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PLC 시스템에 있어서의 1개의 기능 유닛 내의 다른 기능을 복수의 제어부에 의해 독립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유닛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1개의 기능 유닛 내의 다른 기능을, 복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100: PLC 시스템, 110: 주컨트롤러,
111: 통신부, 112: 주제어부,
113: 내부 메모리, 114: 내부 버스,
120: 부컨트롤러, 121: 통신부,
122: 부제어부, 123: 내부 메모리,
124: 내부 버스, 130: PLC 기능 유닛,
131: 통신부, 132: 주제어용 처리부,
133: 부제어용 처리부, 134: 파라미터 접수부,
135: 주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 136: 주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
137: 부제어용 파라미터 해석부, 138: 부제어용 파라미터 격납부,
139: 내부 버스, 140: 연산부,
141: 공용 메모리, 150: 유닛간 버스,
200: PLC 시스템, 210: 주컨트롤러,
211: 통신부, 212: 제어 연산부,
213: 내부 메모리, 214: 내부 버스,
220: 부컨트롤러, 221: 통신부,
222: 데이터 수집부, 223: 내부 메모리,
224: 내부 버스, 230: 아날로그 입력 유닛,
231: 통신부, 232: A/D 변환부,
233: 데이터 수집부, 234: 파라미터 접수부,
235: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 236: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
237: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 238: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
239: 내부 버스, 240: 연산부,
241: 공용 메모리, 242: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부,
250: 유닛간 버스.

Claims (10)

  1. 제어 기능이 다른 복수의 컨트롤러를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구비되는 기능 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기능 유닛에 입력된 파라미터를,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1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기능 유닛에 있어서의 제1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제1 파라미터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 2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기능 유닛에 있어서의 제2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제2 파라미터를 분류하는 파라미터 접수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제1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제2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제2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제1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제2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2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제2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제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1 처리부와,
    상기 제2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2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기능의 제어 및 상기 제2 처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기능의 제어의 실행시에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가 상기 제2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접수했을 경우에,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1 기능의 제어를 계속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제2 기능의 제어를 정지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유닛.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주된 기능의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인 것,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보조적인 기능의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유닛.
  4. 제어 기능이 다른 복수의 컨트롤러와 기능 유닛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1 컨트롤러는, 상기 기능 유닛에 있어서의 제1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제1 파라미터를 상기 기능 유닛에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제 2컨트롤러는, 상기 기능 유닛에 있어서의 제2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제2 파라미터를 상기 기능 유닛에 출력하고,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기능 유닛에 입력된 파라미터 중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상기 제2 파라미터를 분류하는 파라미터 접수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제1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제2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제2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1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제1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제2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2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제2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제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1 처리부와,
    상기 제2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제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제2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기능의 제어 및 상기 제2 처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기능의 제어의 실행시에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가 상기 제2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2 파라미터를 접수했을 경우에,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1 기능의 제어를 계속하고,
    상기 제2 처리부는 상기 제2 기능의 제어를 정지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제2 파라미터가 상기 제2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주된 기능의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인 것,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보조적인 기능의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7. 제어 기능이 다른 복수의 컨트롤러를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에 구비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입력된 파라미터를,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A/D 변환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1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있어서의 A/D 변환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A/D 변환 파라미터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 중 데이터 수집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2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있어서의 상기 A/D 변환 기능의 실행 결과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로깅 파라미터를 분류하는 파라미터 접수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로깅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로깅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A/D 변환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A/D 변환 처리부와,
    상기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로깅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 처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A/D 변환 기능의 제어 및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 수집 기능의 제어의 실행시에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가 상기 제2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로깅 파라미터를 접수했을 경우에,
    상기 A/D 변환 처리부는 상기 A/D 변환 기능의 제어를 계속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 기능의 제어를 정지하며,
    상기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로깅 파라미터가 상기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
  9.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의 제어를 행하는 제1 컨트롤러와 데이터 수집의 제어를 행하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 기능이 다른 복수의 컨트롤러와, 아날로그 입력 유닛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있어서의 A/D 변환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A/D 변환 파라미터를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컨트롤러는,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집 기능의 제어 설정에 이용되는 로깅 파라미터를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출력하며,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입력된 파라미터 중,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와 상기 로깅 파라미터를 분류하는 파라미터 접수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로 분류된 상기 로깅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와,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로깅 파라미터를 격납하는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와,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A/D 변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A/D 변환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A/D 변환 처리부와,
    상기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된 상기 로깅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기능의 제어를 실행하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 처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A/D 변환 기능의 제어 및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데이터 수집 기능의 제어의 실행시에 상기 파라미터 접수부가 상기 제2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로깅 파라미터를 접수했을 경우에,
    상기 A/D 변환 처리부는 상기 A/D 변환 기능의 제어를 계속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 기능의 제어를 정지하며,
    상기 로깅 파라미터 해석부로 해석된 상기 로깅 파라미터가 상기 로깅 파라미터 격납부에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KR1020167001462A 2014-04-25 2014-04-25 기능 유닛, 아날로그 입력 유닛,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KR101627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1772 WO2015162792A1 (ja) 2014-04-25 2014-04-25 機能ユニット、アナログ入力ユニット、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04A true KR20160014104A (ko) 2016-02-05
KR101627489B1 KR101627489B1 (ko) 2016-06-03

Family

ID=5433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462A KR101627489B1 (ko) 2014-04-25 2014-04-25 기능 유닛, 아날로그 입력 유닛,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88812B2 (ko)
JP (1) JP5844013B1 (ko)
KR (1) KR101627489B1 (ko)
CN (1) CN105393179B (ko)
DE (1) DE112014003069T5 (ko)
WO (1) WO2015162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95441A1 (en) * 2016-02-15 2018-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oad distribution device
JP7183545B2 (ja) * 2018-02-27 2022-12-06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および機能ユニッ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2807A (ja) * 1985-05-16 1986-11-20 Seiko Eps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JPH05122000A (ja) 1991-10-29 1993-05-18 Murata Mfg Co Ltd 弾性表面波装置
JPH05173985A (ja) * 1991-12-24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5301060A (ja) 1992-04-24 1993-11-16 Hitachi Koki Co Ltd 細胞洗浄遠心機
JPH08249021A (ja) 1995-03-10 1996-09-27 Nippondenso Co Ltd マルチcpuシステムのデータ入出力処理装置
KR20110106944A (ko) * 2009-03-23 2011-09-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A/d 변환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52928T2 (de) * 1987-11-27 1995-10-05 Nec Corp Datenprozessor mit A/D-Umsetzer, um mehrere analoge Eingabekanäle in Digitaldaten umzusetzen.
JPH0744090A (ja) 1993-07-27 1995-02-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ルチcpuシステム
US5859847A (en) 1996-12-20 1999-01-12 Square D Company Common database system for a communication system
JP2001067107A (ja) * 1999-08-30 2001-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およびその情報伝送制御方法
US20080126497A1 (en) * 2006-08-10 2008-05-29 Shih-Chieh Laio Controller Apparatus with Shared Expansion Conne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10301719A1 (en) 2009-03-25 2011-12-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arameter setting device
CN103597416A (zh) * 2011-06-09 2014-02-19 三菱电机株式会社 可编程控制器系统
CN104756024B (zh) * 2012-10-26 2017-03-01 三菱电机株式会社 模拟变换装置以及可编程控制器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2807A (ja) * 1985-05-16 1986-11-20 Seiko Eps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JPH05122000A (ja) 1991-10-29 1993-05-18 Murata Mfg Co Ltd 弾性表面波装置
JPH05173985A (ja) * 1991-12-24 1993-07-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H05301060A (ja) 1992-04-24 1993-11-16 Hitachi Koki Co Ltd 細胞洗浄遠心機
JPH08249021A (ja) 1995-03-10 1996-09-27 Nippondenso Co Ltd マルチcpuシステムのデータ入出力処理装置
KR20110106944A (ko) * 2009-03-23 2011-09-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A/d 변환 장치 및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93179A (zh) 2016-03-09
DE112014003069T5 (de) 2016-03-17
US20160154387A1 (en) 2016-06-02
KR101627489B1 (ko) 2016-06-03
US10088812B2 (en) 2018-10-02
WO2015162792A1 (ja) 2015-10-29
JPWO2015162792A1 (ja) 2017-04-13
CN105393179B (zh) 2017-07-14
JP5844013B1 (ja)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dwan et al. Advanced CNC system with in-process feed-rate optimisation
US10078323B2 (en) Dynamically configurable intelligent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machine tools based on DSP/FPGA
JP6753278B2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CN108693822B (zh) 控制装置、存储介质、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6249703B (zh) 用于控制和/或分析工业的过程的系统和方法
CN106406253B (zh) 控制和/或分析工业过程的系统和方法
JP6493506B1 (ja) 産業用制御システムとその支援装置、制御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019436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10606246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with various command values in a shared memory providing access to various program execution and command value operation parts in each control cycle
US106938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relating to an object
US10493625B2 (en) System for generating sets of control data for robots
US9989940B2 (en) Method for engineering a distributed control system and an engineering tool thereof
KR101627489B1 (ko) 기능 유닛, 아날로그 입력 유닛,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시스템
US20210318661A1 (en) Process controller and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101593835B1 (ko) Plc 시스템
US20220402121A1 (en) Control and monitoring of a machine arrangement
WO2020100548A1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US20230359487A1 (en) Control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nd control method
JP6363639B2 (ja) 加工データ一括出力機能を備えた数値制御装置
JP7314620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561410B1 (ko) Ai 기반의 자율제어 통합 빌딩 자동제어 시스템
WO2020166004A1 (ja) 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05390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