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793A -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793A
KR20160013793A KR1020150036585A KR20150036585A KR20160013793A KR 20160013793 A KR20160013793 A KR 20160013793A KR 1020150036585 A KR1020150036585 A KR 1020150036585A KR 20150036585 A KR20150036585 A KR 20150036585A KR 20160013793 A KR20160013793 A KR 2016001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shaft
rotation restricting
transmission case
shaf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027B1 (ko
Inventor
히로타카 미야마루
마사히로 미야마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마루 어태치먼트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마루 어태치먼트 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마루 어태치먼트 겐큐쇼
Publication of KR2016001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4Attaching the tools to the rotating shaft, e.g. resiliently or flexibly-attache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edges of lawns or fields, e.g. for mowing close to trees or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관리기에 축 커버를 장착 가능하게 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축 커버(20)의 외주부에는,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타측에 장착된 축 커버(20)와 연결 가능하고, 미션 케이스(4)에 접촉함으로써 축 커버(20)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CAR AXLE MOUNTING STRUCTURE OF GRASS ELIMINATOR ROTOR}
본 발명은 관리기의 차축에 장착되고, 차축의 회전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풀베기 작업을 행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리기에 장착되는 풀베기 로터로서는, 차축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각각 연결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결축과 간격을 두고 연결축의 축 방향을 향해 연결축을 감도록 연장됨과 함께, 서로 연결축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예취 날과, 연결축의 미션 케이스측의 단부와 예취 날을 접속하는 접속부와, 연결축의 미션 케이스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연결축의 접속부가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미션 케이스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부를 갖는 소위 스파이럴 로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풀베기 로터를 관리기에 장착한 경우에는, 관리기의 미션 케이스와 풀베기 로터의 접속부 사이에, 연결 돌기부 및 차축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풀베기 로터가 장착된 관리기에서는, 풀베기 작업을 행하면, 예취한 풀이 회전하는 연결 돌기부나 차축에 권취되어 차축의 회전의 저항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풀베기 로터가 장착된 관리기에서는, 연결 돌기부나 차축에 권취되는 풀의 양이 많아지면, 차축이 회전하기 어려워져, 풀베기 작업의 계속이 곤란해진다. 이 경우에, 관리기의 사용자는, 연결 돌기부 및 차축의 상태를 감시하여, 연결 돌기부 및 차축에 권취된 풀을 제거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풀베기 작업 시의 연결 돌기부 및 차축에 대한 풀의 권취를 방지하기 위해, 차축에 연결축을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의, 미션 케이스와 접속부 사이에, 연결 돌기부 및 연결축의 외주측을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축 커버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 생각되고 있다.
상기 축 커버는, 풀베기 로터의 일부가 접촉하므로, 풀베기 로터가 회전하면, 축 커버에는 풀베기 로터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축 커버에는, 풀베기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3-16780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축 커버는, 미션 케이스의 외측의 요철 부분에 결합 가능한 회전 규제부를 설치하고, 이 회전 규제부를 미션 케이스의 요철 부분에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관리기의 미션 케이스는, 종류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미션 케이스의 형상마다 다른 형상의 회전 규제부를 구비한 축 커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양한 종류의 관리기에 축 커버를 장착 가능하게 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리기의 미션 케이스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차축의 각각에 장착되고, 차축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풀베기 작업을 행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이며, 풀베기 로터는, 차축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각각 연결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결축과 간격을 두고 연결축의 축 방향을 향해 직선 형상 또는 연결축을 감도록 연장됨과 함께, 서로 연결축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예취 날과, 연결축의 미션 케이스측의 단부와 예취 날을 접속하는 접속부와, 연결축의 미션 케이스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연결축의 접속부가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미션 케이스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부를 갖고, 차축에 연결축을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의, 미션 케이스와 접속부 사이에는, 차축과 연결 돌기부의 외주측을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축 커버가 설치되고, 축 커버의 외주부에는, 미션 케이스의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의 폭 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미션 케이스의 폭 방향 타측에 장착된 축 커버와 연결 가능하고, 미션 케이스에 접촉함으로써 축 커버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의 폭 방향 양측의 축 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 규제부가 미션 케이스에 접촉함으로써 축 커버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미션 케이스의 형상에 관계없이, 축 커버를 미션 케이스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션 케이스의 형상에 관계없이, 축 커버를 미션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관리기에 축 커버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스파이럴 로터를 장착한 관리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미션 케이스 및 차축을 설명하기 위한 관리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차축에 스파이럴 로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축 커버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관리기의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스파이럴 로터의 차축에 대한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스파이럴 로터의 차축에 대한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분해 단면도.
도 7은 축 커버의 측면도.
도 8은 축 커버를 회전 규제부측에서 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축 커버의 측면도.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내는 기재는, 풀베기 로터로서의 스파이럴 로터가 장착되는 관리기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관리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2)과, 프레임(2)의 상부에 설치된 엔진(3)과, 프레임(2)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미션 케이스(4)와, 프레임(2)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핸들(5)과, 우측의 핸들(5)에 설치된 출력 조정 레버(6)와, 좌측의 핸들(5)에 설치된 클러치 레버(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관리기(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차축(8)을 구비하고 있다. 각 차축(8)에는, 스파이럴 로터(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엔진(3)은, 도 1에 도시하는 리코일 스타터(3a)를 조작함으로써 시동하고, 출력 조정 레버(6)의 조작에 의해 회전수가 조정된다. 또한, 엔진(3)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4)를 통해 차축(8)에 전달되고, 차축(8)을 회전시킨다. 차축(8)은, 출력 조정 레버(6)의 조작에 의해 조정된 엔진(3)의 회전수에 따라 회전수가 변화한다. 또한, 엔진(3)의 동력은, 클러치 레버(7)의 조작에 의해, 차축(8)에 대한 동력의 전달과 동력의 전달의 차단이 전환된다. 차축(8)에 장착된 스파이럴 로터(10)는, 차축(8)과 함께 회전한다.
스파이럴 로터(1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축(8)에 연결되는 연결축(11)과, 각각 연결축(11)의 직경 방향으로 연결축(11)과 간격을 두고 연결축(11)의 축 방향을 향해 연결축(11)을 감도록 연장됨과 함께, 서로 연결축(1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예취 날로서의 스파이럴 날(12)과, 연결축(11)의 미션 케이스(4)측과 스파이럴 날(12)의 미션 케이스(4)측을 접속하는 접속부로서의 차축측 접속부(13)와, 연결축(11)의 관리기(1)의 폭 방향 외측과 스파이럴 날(12)의 관리기(1)의 폭 방향 외측을 접속하는 외측 접속부(14)를 갖고 있다.
연결축(1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 방향의 미션 케이스(4)측에 차축(8)을 삽입 가능한 통 형상의 연결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차축(8) 및 연결 오목부(11a)에는, 각각 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결 구멍(8a, 11b)이 형성되어 있다. 스파이럴 로터(10)는, 연결 오목부(11a)에 차축(8)을 삽입하여 각 연결 구멍(8a, 11b)을 맞추어 연결 핀(15)을 삽입하고, 연결 핀(15)에 스냅 핀(15a)을 장착함으로써 차축(8)에 장착된다. 또한, 연결축(11)의 축 방향의 미션 케이스(4)측의 단부에는, 차축측 접속부(13)로부터 미션 케이스(4)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돌기부(11c)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1)의 미션 케이스(4)측의 단부와, 연결축(11)의 미션 케이스(4)측의 단부의 외주부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후술하는 축 커버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통 형상부(11d)와, 통 형상부(11d)의 차축측 접속부(13)측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둘레 방향에 걸쳐 연장되는 연장부(11e)가 설치되어 있다.
스파이럴 날(1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1)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스파이럴 날(12)은, 연결축(11)의 미션 케이스(4)측의 단부로부터 폭 방향 외측의 단부를 향해 회전 방향과 반대측을 향해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한쪽에 장착되는 스파이럴 로터(10)와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타단부측에 장착되는 스파이럴 로터(10)는, 미션 케이스(4)측의 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파이럴 날(12)의 권취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된다.
차축측 접속부(1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11)의 외주부로부터 연결축(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13a)와, 각 스포크(13a)의 연결축(11)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원환상의 링(13b)을 갖고 있다. 각 스포크(13a)는, 연결축(11)의 외주부로부터 연결축(11)이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굴곡되어 연결축(11)의 축 방향의 연결 돌기부(11c)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링(13b)에 둘러싸인 공간의 중심부는, 연결축(11)의 축과 동축 상에 위치하고 있다. 링(13b)의 외주부에는, 스파이럴 날(12)의 미션 케이스(4)측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외측 접속부(1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연결축(1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출부(14a)가 형성된 원판 형상의 부재이다. 외측 접속부(14)는, 직경 방향 중심부가 연결축(11)에 고정되고, 돌출부(14a)의 회전 방향의 전방측에 스파이럴 날(12)의 폭 방향 외측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관리기(1)의 차축(8)에 스파이럴 로터(10)를 장착할 때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4)와 차축측 접속부(13) 사이에, 차축(8)의 기단부와 연결 돌기부(11c)의 외주측을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축 커버(20)가 장착된다.
축 커버(2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 본체(21)와, 커버 본체(21)의 외주부로부터 커버 본체(2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스파이럴 로터(10)의 회전에 수반하는 커버 본체(21)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 규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 본체(21)의 미션 케이스(4)측의 단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에 걸쳐 커버 본체(21)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플랜지(2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 본체(21)의 차축측 접속부(13)측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에 걸쳐 커버 본체(21)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 플랜지(21b)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플랜지(21a)는, 미션 케이스(4)와 스파이럴 로터(10) 사이에 축 커버(20)를 장착한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4)의 차축(8)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향한다. 또한, 내측 플랜지(21a)의 내주부에는, 미션 케이스(4)와 스파이럴 로터(10) 사이에 축 커버(20)를 장착한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4)의 차축(8)의 외주측을 둘레 방향에 걸쳐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상 볼록부(4a)가 끼워 맞추어진다. 축 커버(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플랜지(21a)의 내주부에 환상 볼록부(4a)를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차축(8)의 직경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외측 플랜지(21b)는, 미션 케이스(4)와 스파이럴 로터(10) 사이에 축 커버(20)를 장착한 상태에서, 스파이럴 로터(10)의 연결 돌기부(11c)의 연장부(11e)에 대향한다. 축 커버(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플랜지(21b)가 연장부(11e)에 접촉함으로써, 차축(8)의 축 방향 외측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 쌍의 회전 규제부(22)는, 각각 선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회전 규제부(22)는, 커버 본체(2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각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회전 규제부(22)는, 미션 케이스(4)와 스파이럴 로터(10) 사이에 축 커버(20)를 장착한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4)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됨과 함께, 선단측이 굴곡되어 미션 케이스(4)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을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회전 규제부(22)의 선단부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양측에 축 커버(20)가 배치된 상태에서, 폭 방향 한쪽의 축 커버(20)의 회전 규제부(22)와 폭 방향 다른 쪽의 축 커버(20)의 회전 규제부(2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2a)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22a)는, 서로 연결되는 회전 규제부(22)의 한쪽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22)의 선단부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22b)와,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22)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한쪽의 회전 규제부의 보유 지지부(22b)에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부(22c)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축 커버(20)에서는, 한쪽의 회전 규제부(22)에 보유 지지부(22b)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22)에 피보유 지지부(22c)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22b)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고, 선단부의 개구로부터 피보유 지지부(22c)가 삽입 가능하다.
피보유 지지부(22c)는, 회전 규제부(22)의 직경 방향 치수와 동일한 직경 방향 치수를 갖는 선 형상 부재이며, 보유 지지부(22b)의 선단부의 개구에 삽입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관리기(1), 스파이럴 로터(10) 및 축 커버(20)에 있어서, 관리기(1)에 스파이럴 로터(10)를 장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관리기(1)의 미션 케이스(4)의 환상 볼록부(4a)에 내측 플랜지(21a)의 내주부에 끼워 맞춤시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축 커버(20)를 장착한다.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양측에 축 커버(20)를 장착할 때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축 커버(20)의 보유 지지부(22b)에 다른 쪽의 축 커버(20)의 피보유 지지부(22c)를 삽입하고, 한쪽의 축 커버(20)의 피보유 지지부(22c)를 다른 쪽의 축 커버(20)의 보유 지지부(22b)에 삽입함으로써, 폭 방향 한 쌍의 축 커버(20)를 서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각 축 커버(20)의 커버 본체(21)에 스파이럴 로터(10)의 연결 돌기부(11c)를 삽입하여, 차축(8)의 연결 구멍(8a)과 연결 오목부(11a)의 연결 구멍(11b)을 맞추고, 연결 구멍(8a, 11b)에 연결 핀(15)을 삽입하여 연결 핀에 스냅 핀(15a)을 장착한다.
스파이럴 로터(10) 및 축 커버(20)가 장착된 관리기(1)로 풀베기 작업을 행하면, 스파이럴 로터(10)는, 관리기(1)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지면에 자라고 있는 풀은, 회전하는 스파이럴 로터(10)의 스파이럴 날(12)에 의해 예취된다. 이때, 축 커버(20)에는, 스파이럴 로터(10)의 연결 돌기부(11c)의 연장부(11e)가 접촉하고, 스파이럴 로터(10)의 회전하는 힘이 전달된다. 그러나, 축 커버(20)는, 미션 케이스(4)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회전 규제부(22)가 미션 케이스(4)에 접촉함으로써, 회전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회전하는 스파이럴 로터(10)의 연결 돌기부(11c) 및 차축(8)의 기단부측이, 회전이 규제된 축 커버(2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고, 예취한 풀이 연결 돌기부(11c)나 차축(8)의 기단부측에 대해 권취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에 따르면, 축 커버(20)의 외주부에는,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타측에 장착된 축 커버(20)와 연결 가능하고, 미션 케이스(4)에 접촉함으로써 축 커버(20)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4)의 형상에 관계없이, 축 커버(20)를 미션 케이스(4)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관리기(1)에 축 커버(2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본체(21)의 외주부에는, 서로 커버 본체(21)의 외주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회전 규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양측의 커버 본체(21)를, 커버 본체(21)의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에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커버 본체(21)의 장착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 본체(21)의 외주부에는, 서로 커버 본체(21)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회전 규제부(22)가 설치되고, 한 쌍의 회전 규제부(22)는, 커버 본체(2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항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양측의 커버 본체(21)를, 한 쌍의 회전 규제부(22)에 의해, 커버 본체(21)의 장착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축 커버(20)의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커버 본체(21)의 장착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로 연결되는 회전 규제부(22)의 한쪽에는,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22)를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부(22b)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22)에는, 보유 지지부(22b)에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부(22c)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 규제부(22)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 사용하는 일 없이 회전 규제부끼리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져, 부품 개수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서로 연결되는 회전 규제부(22)의 한쪽에는,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22)를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부(22b)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22)에는, 보유 지지부(22b)에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부(22c)가 설치되고, 축 커버(20)에는, 보유 지지부(22b)가 설치된 회전 규제부(22)와, 피보유 지지부(22c)가 설치된 회전 규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양측의 각각에 동일한 축 커버(2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축 커버(20a, 20b)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 한쪽의 축 커버(20a)의 한 쌍의 회전 규제부(22)의 양쪽에 보유 지지부(22b)가 설치되고, 폭 방향 다른 쪽의 축 커버(20b)의 한 쌍의 회전 규제부(22)의 양쪽에 피보유 지지부(22c)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축 커버(20a, 20b)에 있어서는, 한쪽의 축 커버(20a)의 보유 지지부(22b)에 다른 쪽의 축 커버(20)의 피보유 지지부(22c)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폭 방향 한 쌍의 축 커버(20a, 20b)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파이럴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에 있어서도, 축 커버(20a)의 외주부에는,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타측에 장착된 축 커버(20b)와 연결 가능하고, 미션 케이스(4)에 접촉함으로써 축 커버(20a, 20b)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미션 케이스(4)의 형상에 관계없이, 축 커버(20)를 미션 케이스(4)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관리기(1)에 축 커버(2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 커버(20, 20a, 20b)에 한 쌍의 회전 규제부(22)를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션 케이스(4)의 폭 방향 양측의 한 쌍의 커버 본체(21)가 서로 연결되는 것이라면, 1개의 회전 규제부(22)라도, 3 이상의 회전 규제부(22)라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미션 케이스(4)의 형상에 관계없이, 축 커버(20)를 미션 케이스(4)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규제부(22)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2a)를, 통 형상의 보유 지지부(22b)와 선 형상의 피보유 지지부(22c)로 구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규제부(22)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면, 예를 들어 별도의 부재로 회전 규제부(22)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축(11)의 축 방향을 향해 연결축(11)을 감도록 연장되는 예취 날로서의 스파이럴 날(12)을 구비한 스파이럴 로터(10)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연결축(11)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예취 날을 구비한 풀베기 로터여도 적용 가능하다.
1 : 관리기
4 : 미션 케이스
8 : 차축
10 : 스파이럴 로터
11 : 연결축
11c : 연결 돌기부
12 : 스파이럴 날
13 : 차축측 접속부
20 : 축 커버
21 : 커버 본체
22 : 회전 규제부
22a : 연결부
22b : 보유 지지부
22c : 피보유 지지부

Claims (5)

  1. 관리기의 미션 케이스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차축의 각각에 장착되고, 차축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풀베기 작업을 행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이며,
    풀베기 로터는, 차축에 연결되는 연결축과, 각각 연결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결축과 간격을 두고 연결축의 축 방향을 향해 직선 형상 또는 연결축을 감도록 연장됨과 함께, 서로 연결축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예취 날과, 연결축의 미션 케이스측의 단부와 예취 날을 접속하는 접속부와, 연결축의 미션 케이스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연결축의 접속부가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미션 케이스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부를 갖고,
    차축에 연결축을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의, 미션 케이스와 접속부 사이에는, 차축과 연결 돌기부의 외주측을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는 축 커버가 설치되고,
    축 커버의 외주부에는, 미션 케이스의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미션 케이스의 폭 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미션 케이스의 폭 방향 타측에 장착된 축 커버와 연결 가능하고, 미션 케이스에 접촉함으로써 축 커버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축 커버의 외주부에는, 서로 축 커버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회전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축 커버의 외주부에는, 서로 축 커버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회전 규제부가 설치되고,
    한 쌍의 회전 규제부는, 축 커버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회전 규제부의 한쪽에는,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를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부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에는,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회전 규제부의 한쪽에는,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를 보유 지지 가능한 보유 지지부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회전 규제부에는,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피보유 지지부가 설치되고,
    축 커버에는, 보유 지지부가 설치된 회전 규제부와, 피보유 지지부가 설치된 회전 규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KR1020150036585A 2014-07-28 2015-03-17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KR101700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3107A JP6190776B2 (ja) 2014-07-28 2014-07-28 草刈ロータの車軸取付構造
JPJP-P-2014-153107 2014-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793A true KR20160013793A (ko) 2016-02-05
KR101700027B1 KR101700027B1 (ko) 2017-01-26

Family

ID=5535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585A KR101700027B1 (ko) 2014-07-28 2015-03-17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90776B2 (ko)
KR (1) KR1017000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9020S1 (en) 2023-05-19 2023-12-26 SpotOn Transact, LLC Set of electronic devices
USD1011337S1 (en) 2023-05-19 2024-01-16 SpotOn Transact, LLC Set of electronic devices
USD1012078S1 (en) 2023-05-19 2024-01-23 SpotOn Transact, LLC Electronic device
USD1016140S1 (en) 2023-05-19 2024-02-27 SpotOn Transact, LLC Set of electronic devices
USD1030741S1 (en) 2023-11-28 2024-06-11 SpotOn Transact, LLC Set of electronic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5757B2 (ja) * 2019-01-15 2022-04-18 株式会社クボタ 除草装置及び除草ロー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7803A (ja) 1986-12-29 1988-07-11 有限会社 ゴトウ熔接 カ−ブミラ−
JPH10164903A (ja) * 1996-12-13 1998-06-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正逆転ロータリ作業機
JP3562738B2 (ja) * 1995-10-24 2004-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同軸正逆転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22674Y1 (ko) * 1964-08-31 1968-09-25
JPS5554241Y2 (ko) * 1972-05-29 1980-12-16
JPS617905U (ja) * 1984-06-20 1986-01-1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管理機の畦切機
JP2007202409A (ja) * 2006-01-31 2007-08-16 Iseki & Co Ltd 大豆除草機
US8434563B2 (en) * 2010-02-26 2013-05-07 Schiller Grounds Care, Inc. Device for cultivating soil or brushing debris
JP2014027907A (ja) * 2012-07-31 2014-02-13 Miyamaru Attachment Kenkyusho:Kk スパイラルロ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7803A (ja) 1986-12-29 1988-07-11 有限会社 ゴトウ熔接 カ−ブミラ−
JP3562738B2 (ja) * 1995-10-24 2004-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同軸正逆転作業機
JPH10164903A (ja) * 1996-12-13 1998-06-2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正逆転ロータリ作業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9020S1 (en) 2023-05-19 2023-12-26 SpotOn Transact, LLC Set of electronic devices
USD1011337S1 (en) 2023-05-19 2024-01-16 SpotOn Transact, LLC Set of electronic devices
USD1012078S1 (en) 2023-05-19 2024-01-23 SpotOn Transact, LLC Electronic device
USD1016140S1 (en) 2023-05-19 2024-02-27 SpotOn Transact, LLC Set of electronic devices
USD1030741S1 (en) 2023-11-28 2024-06-11 SpotOn Transact, LLC Set of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90776B2 (ja) 2017-08-30
JP2016029907A (ja) 2016-03-07
KR101700027B1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027B1 (ko) 풀베기 로터의 차축 장착 구조
EP2805599B1 (en) Power cutting tool
EP2210467B1 (en) String head for a trimmer
EP2969330B1 (en) Quick-coupling for mower blades
US8341847B2 (en) Rotary cutter for mower
WO2015037030A1 (ja) 回転体、刈払機及び草刈り方法
WO2013100059A1 (ja) 草刈り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り機
JP6067385B2 (ja) スパイラルロータの車軸取付構造
EP3536140A1 (en) String trimmer attachment for a trimmer head
JP4886341B2 (ja) 刈払機、及び線状刃回転ユニット
JP3175261U (ja) 草刈り刃
JP2014027907A (ja) スパイラルロータ
JP6461889B2 (ja) 交換式のコードリールカセットを備える刈払機及びそれに用いる交換式コードリールカセット
KR101179141B1 (ko) 예초기의 칼날 고정홀더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07021A (ko) 예초기
JP6601954B2 (ja) 耕耘ロータの車軸取付構造
WO2020105200A1 (ja) コードカッターを装着可能な回転鋸及びそれを備える刈払機
JP6143328B2 (ja) 線状カッター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刈払機の接地体
JP2015012850A (ja) 草刈り機用回転刃のための接地体、この接地体の取付け構造、および草刈り機
JP2024054662A (ja) プラスチックコード取付治具、及びこれを備えた草刈り機
JP6249645B2 (ja) 農作業機
JP6321739B2 (ja) 携帯式草刈機のクラッチハウジングと操作桿との結合構造
CN113423265B (zh) 设置有阻尼元件的作业设备
JP2017104087A (ja) 刈払い用回転刃
JP2022065981A (ja) スパイラルロ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