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449A -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449A
KR20160013449A KR1020140094878A KR20140094878A KR20160013449A KR 20160013449 A KR20160013449 A KR 20160013449A KR 1020140094878 A KR1020140094878 A KR 1020140094878A KR 20140094878 A KR20140094878 A KR 20140094878A KR 20160013449 A KR20160013449 A KR 2016001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cara composition
mascara
soap base
present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972B1 (ko
Inventor
주영란
최석원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972B1/ko
Priority to CN201510411099.9A priority patent/CN105287241A/zh
Publication of KR2016001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과 N-메틸-D-글루카민(N-methyl-D-glucamine)을 먼저 반응시킨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수상부 및 필름형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마스카라 조성물의 경우, 색소 분산력이 우수하여 흑도가 높고, 가루떨어짐이 적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도가 상승하는 경시변화가 적어 안정도가 우수하고 분산성 또한 우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Mascara composition comprising soap-b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지방산과 N-메틸-D-글루카민(N-methyl-D-glucamine)을 먼저 반응시킨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수상부 및 필름형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속눈썹에 도포 되어 눈썹 형태의 단점을 보완하거나 눈에 아름다움을 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마스카라가 갖추어야 할 조건들은 볼륨력, 컬링력, 롱래쉬력, 워터프루프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과 땀, 눈물, 및 유분에 쉽게 번지지 않으면서, 가루날림이 없도록 균일하게 발리며, 사용시 부담감이 없으며, 미생물에 대한 오염 가능성이 적고, 세안시 쉽게 지워져야 한다.
이와 같은 마스카라는 제형에 따라 유중수형, 수중유형이 있는 유화형과 분산 제형으로 구분되고, 분산 제형은 오일에 안료 및 필름형성제를 분산시킨 유분산 타입이 있다. 이 중에서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수중유형 마스카라가 주를 이루어 개발되고 있다.
유중수형 마스카라는 외상이 오일이기 때문에 건조가 느려 오래 발라도 균일하게 발리는 장점이 있으나 물에서 쉽게 지우기 어렵고 피지에 의한 눈 밑 번짐 현상이 심한 단점이 있다. 반면에 외상이 물인 수중유형 마스카라는 간편한 클렌징, 가벼운 사용감, 적은 번짐 등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마스카라 사용기간이 오래된 경우 왁스의 결정화에 의하여 마스카라 액이 굳어져 균일하게 발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 사용되어지는 비누의 경우 수상에 알칼리를 혼합하고 유상에 지방산을 녹여 유화 시 혼합되어 에스터화 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미리 물에 두 원료를 반응시킨 후 수분을 건조시켜 고체화한 후 그 원료를 유상에 같이 혼합함으로써 유화제를 유상에 혼합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종래에 사용되어지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같이 일반적인 마스카라 유화 타입의 경우 유상과 수상을 분류하여 칭량하고, 수상에 점증제를 넣고, 카본블랙이나 산화철을 분산하고, 이어서 유상을 수상에 투입하면서 분산하여 유화를 완성하는데, 이때 유상성분에서 여러 가지 식물계나 하이드로카본계 왁스를 포함할 경우 경시변화가 크고, 내용물이 빨리 굳어지며, 유화 시 컬러감의 분산성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마스카라 제조방법은 알칼리와 산을 따로 섞어 제조하는데 이때 알칼리는 수상에, 산은 유상에 넣고 유화시 반응이 일어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원발명과 같이 비누베이스를 만들게 되면 유상에 유화제를 넣는 효과가 발생하며, 유화제를 유상에 넣고 유화를 하게 되면 유화 입자가 고르게 된다(T.J.Lin , H.Kurihara, H. hta , J. Soc. Cosmet. Chem., 26,121(1975). 따라서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와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마스카라는 물성이나 안정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수중유형 마스카라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지방산과 N-methyl-D-glucamine을 먼저 반응시킨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수상부 및 필름형성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마스카라 조성물의 경우, 색소 분산력이 우수하여 흑도가 높고, 가루떨어짐이 적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도가 상승하는 경시변화가 적어 안정도가 우수하고 분산성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색소 분산력이 우수하여 흑도가 높고, 가루떨어짐이 적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도가 상승하는 경시변화가 적어 안정도가 우수하고 분산성이 우수한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비누베이스를 포함한 마스카라 제조방법을 이용한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비누베이스를 포함한 오일부를 80 내지 90℃로 가열하면서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오일부에 안료를 넣고 교반하는 단계;
c) 별도의 용기에 필름형성제를 제외한 수상부를 혼합한 후 60 내지 7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혼합한 수상부를 b) 단계의 오일부에 첨가하여 유화시킨 후 40 내지 50℃로 냉각하는 단계; 및
e) 상기 d) 혼합물에 필름형성제를 첨가하여 교반 후 25 내지 35℃로 냉각하는 단계.
본원발명에서 비누베이스는 지방산과 N-methyl-D-glucamine을 물에 미리 반응시킨 후, 수분을 건조시켜 고체화한 후 그 원료를 유상에 함께 혼합함으로써 유화제를 유상에 혼합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종래에 지방산과 알칼리성분을 각각 유상 및 수상 성분에 혼합하여 에스터화하여 제조한 마스카라에서 나타나는 큰 경시변화로 인한 안전성 저하, 분산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어 ‘유상부’는 일반적으로 오일에 용해되는 성분들로만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본원발명에서 유상부는 왁스, 유화제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상부는 상기 성분 외에 종래에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포함되는 유상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에서 왁스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카나우바왁스, 비즈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라이스왁스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에서 유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들은 폴리소르베이트 20, 소르비탄 스테이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 ‘수상부’는 일반적으로 조성물 제조 시에 물에 용해되는 성분들로만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본원발명에서 수상부는 점증제, 폴리올,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수상부는 상기 성분 외에 종래에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포함되는 수상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에서 점증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우스, 잔탄검, 몬모릴로나이트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에서 폴리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클, 프로필렌 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용어 ‘필름형성제’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 마스카라의 번짐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되는 성분이다. 본원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에서 필름형성제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크릴계 고분자를 주로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필름형성제는 50℃ 이상에서 첨가할 경우, 안전성에 문제가 생기므로, 가장 마지막 단계에 마스카라 조성물을 50℃ 이하로 냉각시킨 후, 필름형성제만을 따로 첨가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누베이스는 지방산 및 N-메틸-D-글루카민(N-methyl-D-glucamine)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방산은 탄소수 14~22개인 지방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18개인 지방산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팔미틱산, 스테아릭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방산의 탄소수가 14 미만이거나 22 초과하면 경도와 유화력, 사용감이 우수하지 않아 마스카라 제형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누베이스에 포함되는 N-메틸-D-글루카민(N-methyl-D-glucamine) 외에 사용할 수 있는 알칼리는 트로메타민, 아미노메칠프로판올, 아미노메칠프로판디올, 아르기닌, 트리에탄올아민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누베이스는 지방산 : N-메틸-D-글루카민의 몰비가 1 : 0.2 내지 1 :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메틸-D-글루카민 (N-methyl-D-glucamine)을 지방산에 대하여 0.2 몰비 미만으로 사용하면 중화비율이 낮아 유화제의 역할을 하기에 부적절하여지며 경도가 너무 높아 발림성이 저하되고 안정도가 약간 떨어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N-메틸-D-글루카민 (N-methyl-D-glucamine)을 지방산에 대하여 1.0 몰비를 초과하는 경우 마스카라가 겔화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N-메틸-D-글루카민 (N-methyl-D-glucamine)을 지방산에 대하여 0.2 몰비 미만으로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안정도 및 분산성 면에서 미미한 개선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N-메틸-D-글루카민 (N-methyl-D-glucamine)을 지방산에 대하여 0.2 몰비 미만으로 사용하여 유화력이 낮아져서 안전성이 약간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2 및 3 참조).
상기 비누베이스는 마스카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5 중량%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의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너무 소량이어서 분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마스카라가 주는 기능이 저하되며 반면에 9 중량% 초과할 경우 도포량이 줄어들어 볼륨력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비누베이스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 실시예 4의 경우, 발림성, 볼륨력, 흑도, 가루떨어짐, 매끄러움과 같이 마스카라의 기능면에서 약간 떨어졌으며, 비누베이스를 9 중량% 초과하여 포함한 실시예 6의 경우 도포량이 줄어들어 볼륨력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비누베이스를 5중량% 함유한 실시예 5의 경우 마스카라의 기능이 최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원발명의 비누베이스의 함량은 2 내지 9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4 참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은 경도의 경시변화가 적어 안정도가 개선되고 분산성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경우, 비누베이스를 포함하지 않은 마스카라 조성물보다 경도변화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원발명의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경시변화에 안정한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발림성, 볼륨감, 흑도, 가루떨어짐 및 도포 후 표면의 매끄러움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실시예 5)의 경우 종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비교예 3)보다 발림성, 볼륨감, 흑도, 가루떨어짐 및 표면의 매끄러움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종래의 마스카라 조성물보다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어 마스카라 조성물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마스카라 조성물은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N-메틸-D-글루카민 (N-methyl-D-glucamine)과 지방산의 에스터, 구체적으로는 N-메틸-D-글루카민 (N-methyl-D-glucamine)과 지방산을 반응시킨 후 건조시켜 만든 비누베이스를 사용하여 분산성 및 경시변화를 제어하고 안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흑색도 및 가루떨어짐을 개선하고 부드럽고 균일한 도포가 가능한 마스카라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3: 비누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마스카라 조성물의 구성 성분 및 조성을 나타내었으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마스카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2
1 카나우바왁스 3.00 3.00 3.00 3.00 3.00
2 밀납 8.00 8.00 8.00 8.00 8.00
3 세테아릴알콜 1.00 1.00 1.00 1.00 1.00
4 폴리소르베이트60 0.50 0.50 0.50 0.50 0.50
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0 0.50 0.50 0.50 0.50
6 비누베이스1(1.0 : 0.1) 5.00 -  -  - -
7 비누베이스2(1.0 : 0.4) -  5.00 -  -  - 
8 비누베이스3(1.0 : 1.0) -  -  5.00 -  - 
9 스테아릭애씨드 - - - 3.80 -
10 산화철 10.00 10.00 10.00 10.00 10.00
1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2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50 0.50 0.50 0.50 0.50
13 D(-)-N-메틸글루카민 - - - 1.20 -
14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5.00
1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6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0.00 20.00 20.00 20.00 20.00
*비누베이스(지방산 : N-메틸-D-글루카민)
상기 표에서, 1-3은 왁스, 4-5는 유화제, 6-8은 비누베이스, 9는 지방산, 10은 안료, 11은 정제수, 12는 점증제, 13은 D(-)-N-메틸글루카민, 14는 폴리올, 15는 방부제, 16은 필름형성제이다.
<제조방법>
1) 성분 1~9의 오일부를 90℃로 가열하면서 용해시켰다.
2) 성분 10의 안료를 상기 1)에 넣고 교반하였다.
3) 성분 11~15의 수상부를 7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4) 상기 1)에 상기 3)을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킨 후 50℃로 냉각하였다.
5) 상기 4)의 조성물에 성분 16의 필름형성제를 가하면서 35℃로 냉각하였다.
비교예 1 및 2: 비누베이스를 포함하지 않은 마스카라 조성물
비교예 1은 종래에 알칼리와 지방산을 따로 녹여 제조한 것이다.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2는 비누베이스 혹은 비교예 1과 같이 기존의 비누를 만드는 성분이 없는 처방이다. 제조 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험예 1: 경도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경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내용물을 각각 200㎖ 플라스틱 원통형 용기에 담아 25℃ 항온조에서 보관하고 선사이언티픽사(SUN RHEOMETER)의 경도계를 이용하여 아답터 25번으로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2
즉시 110 98 70 50 32
1일 후 135 110 91 108 90
7일 후 140 109 92 119 129
30일 후 138 111 95 138 165
60일 후 145 115 92 150 203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누베이스를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경시변화가 안정하였으며, 지방산과 D(-)-N-메틸글루카민(D(-)-N-methylglucamine)을 유화하면서 반응시긴 비교예 1보다 경시변화에서 더욱 안정하였다.
실험예 2: 안정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의 조성물의 안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조성물을 온도별 조건에 따라 4℃, 37℃, 45℃ 및 50℃에서의 안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각각 40㎖ 프라스틱 용기 안에 20㎖씩 채운 후 각 온도별 항온조에 두고 한 달간 관찰한다.
2)내용물 분리가 없으면 아주 양호, 분리층이 1㎜이하이면 양호, 1~2㎜이면 보통, 2㎜이상일 경우 나쁨으로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2
4℃
37℃
45℃ X
50℃ X
◎: 매우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쁨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누베이스를 함유한 실시예 1내지 3과 비교예 1에서는 안정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약간의 분리가 있는 것은 몰비가 0.2 미만일 경우 유화력이 낮아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3: 분산성 측정
실험예 2에서의 1)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를 현미경으로 관찰시 피그먼트(안료) 응집현상이 전체 도포면적의 5% 이내면 매우양호, 10 ~ 20%이면 보통 20% 이상 있으면 나쁨으로 판단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1 비교예2
분산성 X
◎: 매우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쁨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내지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분산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내지 6 : 비누베이스 함량에 따른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
비누베이스의 원료들의 비율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실시예 2의 비누베이스(1.0 : 0.4)의 함량에 따른 마스카라 조성물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표 5의 조성으로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3
1 카나우바왁스 5.00 5.00 5.00 5.00
2 밀납 8.00 8.00 8.00 8.00
3 세테아릴알콜 1.00 1.00 1.00 1.00
4 폴리소르베이트60 1.00 1.00 1.00 1.00
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0 1.00 1.00 1.00
6 비누베이스2(1.0 : 0.4) 1.00 5.00 10.00 -
7 산화철 10.00 10.00 10.00 10.00
8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9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50 0.50 0.50 0.50
10 부틸렌글라이콜 5.00 5.00 5.00 5.00
11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2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0.00 20.00 20.00 20.00
상기 표에서, 1-3은 왁스, 4-5는 유화제, 6은 비누베이스, 7은 안료, 8은 정제수, 9는 점증제, 10은 폴리올, 11은 방부제, 12는 필름형성제이다.
<제조방법>
1) 성분 1 ~ 6의 오일부를 90℃로 가열하면서 용해시킨다.
2) 성분 7의 안료(피그먼트)를 상기 1)에 넣고 교반한다.
3) 성분 8 ~ 11의 수상부를 70℃로 가열하면서 교반한다.
4) 상기 1)에 상기 3)을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킨 후 50℃로 냉각한다.
5) 상기 4)의 조성물에 성분 12인 필름형성제를 가하면서 35℃로 냉각한다.
6) 이를 마스카라 용기에 충진 한다.
비교예 3: 비누베이스를 포함하지 않은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3은 비누베이스 혹은 비교예 1과 같이 기존의 비누를 만드는 성분이 없는 처방이며,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험예 4: 비누베이스의 함량에 따른 마스카라 기능 비교
상기 제조한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3을 20~40세 여성을 대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20명의 피시험자로 하여금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게 한 후 1~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여 8점 이상인 경우 매우 양호, 6~8점인 경우 양호 3~6점인 경우 보통, 3점 미만인 경우 나쁨으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3
발림성
도포량(볼륨력)
흑도
가루떨어짐
도포 표면(매끄러움)
◎: 매우양호, ○: 양호, △: 보통, X: 나쁨
그 결과,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누베이스를 함유하는 마스카라의 조성은 비누베이스의 함량변화에 따라 발림성, 흑도, 가루떨어짐, 표면 매끄러움이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특히 흑도 및 가루떨어짐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실시예 4에서도 흑도, 가루떨어짐은 약간 개선되었으나 발림성, 표면 매끄러움의 개선은 크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분산제 및 계면활성제로서 비누베이스의 양이 작아 효과를 보지 못하기 때문으로 비누베이스를 2중량% 이상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누베이스의 함량이 10% 중량인 경우 도포량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이는 비누베이스의 무른 성질로 인하여 전체적인 조성물이 무르게 제조되어 도포량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Claims (8)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방법:
    a) 비누베이스를 포함한 오일부를 80 내지 90℃로 가열하면서 용해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오일부에 안료를 넣고 교반하는 단계;
    c) 별도의 용기에 필름형성제를 제외한 수상부를 혼합한 후 60 내지 7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혼합한 수상부를 b) 단계의 오일부에 첨가하여 유화시킨 후 40 내지 50℃로 냉각하는 단계; 및
    e) 상기 d) 혼합물에 필름형성제를 첨가하여 교반 후 25 내지 35℃로 냉각하는 단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베이스는 지방산 및 N-메틸-D-글루카민(N-methyl-D-glucamine)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지방산은 팔미틱산, 스테아릭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베이스는 지방산 : N-메틸-D-글루카민의 몰비가 1 : 0.2 내지 1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베이스는 마스카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9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은 경도의 경시변화가 적어 안정도가 개선되고 분산성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발림성, 볼륨감, 흑도, 가루떨어짐 및 도포 후 표면의 매끄러움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20140094878A 2014-07-25 2014-07-25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78A KR101604972B1 (ko) 2014-07-25 2014-07-25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510411099.9A CN105287241A (zh) 2014-07-25 2015-07-14 包含皂基的睫毛膏组合物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78A KR101604972B1 (ko) 2014-07-25 2014-07-25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449A true KR20160013449A (ko) 2016-02-04
KR101604972B1 KR101604972B1 (ko) 2016-03-22

Family

ID=5518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878A KR101604972B1 (ko) 2014-07-25 2014-07-25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4972B1 (ko)
CN (1) CN1052872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0358A (zh) * 2017-08-25 2017-11-07 安庆徽云博冠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艾香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102022238B1 (ko) 2018-10-31 2019-09-18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1895B1 (ko) * 2019-05-10 2021-02-04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누화 베이스를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4200A (en) 1994-11-22 1997-03-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scara compositions
EP0898953B1 (en) * 1997-08-29 2004-08-04 Shiseido Company, Ltd. Eyelash cosmetic composition
JP3660901B2 (ja) * 2001-10-17 2005-06-15 株式会社ノエビア ケラチン繊維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CN104666190A (zh) * 2013-11-26 2015-06-03 刘幼芝 一种具有增长效果的抗水性睫毛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972B1 (ko) 2016-03-22
CN105287241A (zh)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JP2006306829A (ja) 油性化粧料
CN114224753A (zh) 一种油包水型乳化组合物、粉底液及其制备方法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1604972B1 (ko)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21689A1 (zh) 一种油包水型粉底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00043453A (ko)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수형 립메이크업 조성물
CN109248113A (zh) 一种乳化唇彩及其制备方法
KR20110035245A (ko) 저온 분산 제조 공정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80047530A (ko)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063927A (ja) 非水系化粧料
JP6293345B1 (ja) 睫毛化粧料
CN114306155B (zh) 一种乳化唇膏及制备方法和双乳化系流纹唇膏及制备方法
CN115154366A (zh) 具有悬浮油珠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805218B2 (ja) スティック化粧料
JPH0525845B2 (ko)
KR20100008815A (ko)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3839B1 (ko)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S6033084B2 (ja) W/o型のスチツク化粧料
TWI830806B (zh) 液狀化妝料及其製造方法
KR102539384B1 (ko) 안정성이 극대화된 안료 캡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0570A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856A (ko) 발림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39387B1 (ko) 광택감과 보습감 및 슬라이딩감이 뛰어난 유중수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품 조성물
JP2004359572A (ja) 2製剤充填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