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839B1 -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839B1
KR101763839B1 KR1020150097330A KR20150097330A KR101763839B1 KR 101763839 B1 KR101763839 B1 KR 101763839B1 KR 1020150097330 A KR1020150097330 A KR 1020150097330A KR 20150097330 A KR20150097330 A KR 20150097330A KR 101763839 B1 KR101763839 B1 KR 10176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arts
weight
egg shape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589A (ko
Inventor
권태수
전춘배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15009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8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수,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및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고,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HICH CAN FORM AN EGG SHAPE IMMEDIATELY}
본 발명은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넓어지고 한류가 진행되면서, 한국의 화장품들이 국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화장 시작 연령이 낮아지면서 성인 뿐 아니라 청소년들도 화장품의 주요 고객이 되고 있다(청소년의 피부에 관련된 기초지식과 화장품 사용 실태 및 구매행동, 김동은, 2013). 이에 효능뿐 아니라 아이디어가 참신한 화장품들이 각광받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효능이 좋으면서도 재미있는 화장품 제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특정 성분들을 일정 비율로 이용 시 빠른 시간 내에 계란 형상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 및 복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제수,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및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고,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흔들기 전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10회 흔든 후 용기를 개봉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30회 흔든 후 용기를 개봉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정제수,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및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고,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유상 성분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정제수,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및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고,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구연산 또는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을 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이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 도포가 불편할 정도로 경도가 증가하게 되며, 계란 형상 형성능이 열화된다. 또한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복원력이 낮아져 계란 형상 형성을 하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0.1 내지 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가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계란 형상이 잘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점도가 너무 낮아져 계란 형상 형성을 하지 못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구연산을 포함함으로써 계란 형상 형성능이 즉각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티타늄디옥사이드를 포함함으로써 일시적으로 피부 화이트닝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pH 5.5 내지 6.5의 pH를 갖는다. 상기 pH 범위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다.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이란 일반적인 미백 화장품들이 장기간 사용 시 멜라닌 색소 형성 또는 색소 침착 등을 방해하여 피부 톤을 밝게 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에 피부가 밝아지며, 세수를 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서 지우면 원래의 피부색이 돌아오는 것을 가리킨다.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이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흔든 후 용기를 개봉하였을 때 화장료 조성물이 편평하지 않고 계란 형상으로 한 방향이 뾰족한 구 형상, 즉 럭비공 또는 계란 형상을 하는 기능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30회 흔든 후 10초 이내에 용기를 개봉하였을 때, 계란 형상을 형성하고 있게 된다. 이 때, 용기 부피 100 부피부에 대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부피는 30 내지 40 부피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화장료 조성물이 계란 형상을 형성하기에 적절한 공간적 여유를 주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을 흔들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 즉,평소에는 계란 형상을 하고 있지 않으며, 일반적인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들과 마찬가지로 중력에 따라 편평한 상부 표면을 갖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흔든 후 용기를 개봉하면, 화장료 조성물이 편평하지 않고 계란 형상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0.010 N 내지 0.030 N의 경도를 갖는다. 경도가 0.010 N 미만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이 계란 형상으로 형성이 되지 않고 평면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경도가 0.030 N을 초과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을 충분히 흔들어도 유동성이 부족하여 탄력감이 상실되며 화장료 조성물이 계란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능, 피부 보습 지속력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수성 겔 타입이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유상 성분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유상성분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및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상 성분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유상 성분과 혼합하고, 그 후 상기 혼합물을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2 유상 성분과 혼합한다. 이로써 재료들의 균일한 혼합이 가능하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품질이 안정적으로 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내지 5>
수상성분 (B)를 칭량하여 반죽한 후 실온에서 3단롤밀 반죽기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또한 수상성분(A)를 칭량하여 60 ℃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또한, 이와는 별개로 유상성분 (C)를 칭량하여 60 ℃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수상성분(A)를 수상성분(B)에 투입하고 호모믹서기를 이용하여 60 ℃에서 균일하게 교반하고, 그 후 균일하게 혼합된 결과물에 유상성분 (C)를 투입하고 60 ℃에서 계속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그리고 수상성분 (A), 수상성분 (B) 및 유상성분 (C)가 균일하게 혼합된 결과물에 유상성분 (D)를 투입하고 60 ℃에서 계속하여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이 때, 유상성분 (C) 및 유상성분 (D)는 교반을 계속하면서 투입하도록 한다. 그 후 수상성분 (A), 수상성분 (B), 유상성분 (C) 및 유상성분 (D)가 균일하게 혼합되면 교반을 중단하고, 상기 혼합물을 30 ℃로 냉각한 후 실온에서 저장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수상성분 (A), 수상성분 (B), 유상성분 (C) 및 유상성분 (D)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112015066286299-pat00001
<비교예 1 내지 7>
상기 수상성분 (A), 수상성분 (B), 유상성분 (C) 및 유상성분 (D)의 조성을 하기 표 2에 따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비교예 3 및 7의 경우, 유상성분 (D)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상성분 (D)의 투입 단계는 생략하고, 수상성분 (A), 수상성분 (B) 및 유상성분 (C)가 균일하게 혼합되면 교반을 중단하고, 상기 혼합물을 30 ℃로 냉각한 후 실온에서 저장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1 내지 7). .
Figure 112015066286299-pat00002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들을 대상으로 화장료 조성물들을 흔들지 않은 평상 시의 계란 형상의 형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화장료 조성물을 보관용기에 60 ml씩 넣고 1일 간 실온에서 보관한 후 보관 용기를 열고 화장료 조성물들이 계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들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모두 계란 형상을 하지 않고 편평한 표면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3).
Figure 112015066286299-pat00003
○: 계란 형상을 형성함
△: 계란 형상을 반쯤 형성함(둥그스름하나 아직 형태가 잡히지 않은 상태).
×: 계란 형상을 형성하지 않음.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들을 대상으로 계란 형상의 즉각적 형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들을 100 ml 보관용기에 35 ml씩 넣고 하루 동안 보관한 후 이를 30회 흔들었다. 이 때 상기 보관용기를 손으로 잡고 가로로 흔들어, 상기 보관용기가 약 30 cm 정도 거리를 반복적으로 흔들리도록 하였다. 그리고 30회를 흔든 후 흔드는 것을 중단하고 10초 이내에 보관용기의 뚜껑을 열어 계란 형상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모두 계란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들 중에는 계란 형상을 형성한 시료가 없었다(표 4).
Figure 112015066286299-pat00004
○: 계란 형상을 형성함
△: 계란 형상을 반쯤 형성함(둥그스름하나 아직 형태가 잡히지 않은 상태).
×: 계란 형상을 형성하지 않음.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성상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실온, 4 ℃, 45 ℃에서 2개월간 보관하면서 조성물의 분리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화장료는 모두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5).
Figure 112015066286299-pat00005
○: 양호, △: 보통, ×: 분리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도 및 pH를 평가하였다. 경도는 20 ℃, 10mm, 1N에서 측정하였고, pH는 20 ℃에서 화장료 조성물 2 g을 적당한 용기에 넣고 정제수 30 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배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경도 및 pH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6).
Figure 112015066286299-pat00006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화이트닝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20대 여성 10명을 패널들로 하고, 상기 패널들에게 세수 후 화장 단계에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고 화장을 마무리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으로 화장 피부가 환해지는지 여부 및 화장이 뜨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5점 척도법으로 나타내게 하고, 평균을 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화장료는 피부 화이트닝 효과를 가지며, 화장이 뜨지도 않고 피부에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은 어느 정도 피부가 환해지기는 하나, 화장이 뜨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7).
Figure 112015066286299-pat00007
피부 화이트닝 효과: 5점에 가까울수록 화이트닝 효과가 우수함.
화장의 밀착성: 5점에 가까울수록 밀착성이 우수함.
<실험예 6>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탄력 개선 효과 및 보습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20대 여성 10명을 패널들로 하고, 상기 패널들에게 세수 후 화장 단계에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고 화장을 마무리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으로 피부 탄력이 개선되었는지 여부 및 피부 보습의 지속성 여부를 100점 만점으로 하여 하기 등급에 따라 평균을 구하여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화장 조성물은 탄력 개선 효과 및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보습 지속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8).
Figure 112015066286299-pat00008
100점:매우 좋다.
80점:좋다.
60점:보통
40점:나쁘다.
20점:매우 나쁘다.
<실험예 7>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계란 형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을 보관용기에 넣고, 흔들기 전, 10회 흔든 후, 30회 흔든 후 각각 용기를 개봉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형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흔들기 전에는 일반적인 크림의 형상이었으나(도 1), 10회 흔든 경우 계란 형상을 반쯤 형성하고 있었으며(도 2), 30회 흔든 경우 계란 형상이 완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Claims (11)

  1. 정제수,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구연산 및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고,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을 0.1 내지 3 중량부,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0.1 내지 5 중량부 포함하며,
    수성 겔 타입이고, 경도가 0.010 N 내지 0.030 N인,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넣고 30회 흔든 후 10초 이내에 용기를 개봉하였을 때, 계란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에 피부가 밝아지며, 세수를 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서 지우면 원래의 피부색이 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정제수, 구연산 및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사이클로헥사실록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유상 성분과 혼합하고, 그 후 상기 혼합물을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2 유상 성분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때,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을 0.1 내지 3 중량부 사용되고,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는 0.1 내지 5 중량부 사용되는,
    일시적 피부 화이트닝 기능 및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고, 수성 겔 타입이고, 경도가 0.010 N 내지 0.030 N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97330A 2015-07-08 2015-07-08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3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330A KR101763839B1 (ko) 2015-07-08 2015-07-08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330A KR101763839B1 (ko) 2015-07-08 2015-07-08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589A KR20170007589A (ko) 2017-01-19
KR101763839B1 true KR101763839B1 (ko) 2017-08-02

Family

ID=5799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330A KR101763839B1 (ko) 2015-07-08 2015-07-08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821A (ko) * 2019-10-02 2021-04-12 코스맥스 주식회사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754B1 (ko) * 2019-06-05 2021-02-04 (주)이미인 늘어나는 질감과 형상복원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2663A (ja) * 2011-09-30 2013-05-09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KR101394430B1 (ko) 2012-12-26 2014-05-14 시흥시 연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2663A (ja) * 2011-09-30 2013-05-09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KR101394430B1 (ko) 2012-12-26 2014-05-14 시흥시 연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821A (ko) * 2019-10-02 2021-04-12 코스맥스 주식회사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321531B1 (ko) 2019-10-02 2021-11-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589A (ko)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8504A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40044A (zh) 一种具有稳定拉丝效果的粉底霜及其制备方法
TWI733678B (zh) 包含水溶性聚合物的油包水型唇部化妝品組合物
JP2013506656A (ja) 剤形安定性を改善させたo/w型化粧料組成物
JP6026237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6022282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1763839B1 (ko) 즉각적 계란 형상 형성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7427447A (zh) 美妆用化妆品组合物
JP6254971B2 (ja) 固形化粧料
KR102117219B1 (ko) 분말상의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1586A (ko)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를 함유한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2B1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1659844B1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604972B1 (ko)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70845A (ko) 고점도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40274B1 (ko)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4415B1 (ko) 리포좀화된 헥사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26031A (ko) 유중수 유화물을 바인더로 사용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의제조방법
KR102163190B1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JP5658845B1 (ja) クリーム状化粧料用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化粧料
KR20130091036A (ko) 실리콘 겔 및 에스터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445099B1 (ko)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JP4262228B2 (ja) 毛髪化粧料
JPS61286316A (ja) 皮膚洗浄用化粧料
JP6498144B2 (ja) 固形粉末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