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273A -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273A
KR20160012273A KR1020140093078A KR20140093078A KR20160012273A KR 20160012273 A KR20160012273 A KR 20160012273A KR 1020140093078 A KR1020140093078 A KR 1020140093078A KR 20140093078 A KR20140093078 A KR 20140093078A KR 20160012273 A KR20160012273 A KR 2016001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vitamin
extraction method
extracts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욱
하선태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서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욱 filed Critical 서동욱
Priority to KR102014009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273A/ko
Publication of KR2016001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나무의 가지, 잎, 열매, 뿌리로부터 Catechin (polyphenol), Vitamin-C, phytosterols,seventeen carotenoids, all the isomers of Vitamin E and the essential omega 3, omega 6 and omega 7 등 항염효과가 뛰어난 유효성분의 소실이 없이 저온숙성추출법(Low Temperature Ripening Extracts Method)으로 숙성 후 추출하여 얻은 천연유래 추출물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항염 효과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 안정적이고 안전한 천연물유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Extraction method extracting Sea Buckthorn leaves extracts by low-temperature ripening extracts and cosmetic compositions with superior anti-inflammation effect and efficacy by the extraction method}
화장품제조,천연유래물질추출, 천연항염항균물질 추출 및 제조, 천연유래항염물질
추출 및 제조, 천연방부제화장료추출기술, 천연보존제추출기술
피부는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노화가 촉진되며 그 노화의 징후로 더욱 주름형성이 악화되며 피부의 윤기저하와 함께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누적으로 피부는 더욱 칙칙하고 색소침착이 증가하고, 부분적인 과색소침착이 악화되어 검버섯과 주근께로 발전한다.이에 본 발명에서는 색소침착을 막아주고 피부의 흑화를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미백 효능을 지닌 화장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어 활성 산소종을 만드는 광화학적 반응들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이들 활성산소종들은 피부에 염증이 생길 경우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하기도 한다. 이들은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함으로써 산화제/항산화제 균형을 산화 상태로 기울게 한다.
피부는 이러한 외인성 인자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vitamin E, vitamin C, ubiquinol과 glutathione 과 같은 항산화제와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glutathioneperoxidase : GPx), 카탈라아제(catalase: CAT)와 같은 항산화 효소가 존재하며 이들 항산화제가 피부속에 작동하여 피부를 보호하게 된다. 하지만 우리의 피부는 지속적인 환경파괴,오존층의 파괴로 인해 자외선증가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어 이들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자정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있어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비타민나무에 해결책이 숨어 있을 것으로 판단 하여 연구를 집중하게 되었다.특히, 비타민나무가 갖고 있는 영양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크게 산화되고 파괴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저온 숙성추출방법을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저온숙성추출방법은 6년 이상 생육된 신선한 지리산 비타민나무잎을 자연건조시킨 후, 에탄올40%~70% 수용액을 이용하여 15일 이상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숙성시킨 후 , 감압 여과하여 투명하면서 짙은 갈색의 최종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얻을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미백화장품 개발에 관하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수추출 및, 감압 추출하여 건조잔분을 얻고 이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의 방법인데, 이 경우 원래 그 식물이 지니고 있는 주요성분이 열에 의해 파괴되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반드시 추출물상태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비타민나무에는 비타민 A,B,C,E등 많은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재배 면적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중,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부위는 열매로 폴리페놀, 토코페놀, 카로테노이드?등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고(KimK. M. et al.,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2(2), 58-64, 2009), 항산화 효소인 SOD 동질효소(superoxide dismutase isoenzyme)의 작용으로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열매에서 추출한 오일은 인체 면역 기능을 높이고, 피부질환, 호흡질환, 소화기계통 질환에 사용되며, 칼에 베이거나, 화상, 염증치료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Ge X. Y. et al., Shanxi Med Res, 2, 9-14, 1985;Xing JF et al., Fitoterapia, 73, 644-650, 2002; Xu MY, et al., Hippophaё, 7(3), 32-40, 1994; Yang B.et al., The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11, 338-340, 2000).?나아가, 비타민나무 잎은 항산화, 항미생물, 항바이러스, 항종양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Geetha et al., J.Ethnopharmacol, 79, 373-378, 2002; Tsybikava et al., Biology,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Seabuckthorn. Novosibirsk., 107-109, 1983), 관절염 유도 처리된 래트 모델에서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 관절염 치료제로의 개발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Ganjua et al.,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5, 1675-1684, 2005).
국내 특허 동향으로 특허등록 10-1045011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기능성음료가 있고 , 공개특허 10-2011-0101743
"비타민나무잎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내 지질 개선 조성물", 등록특허 10-1150870 "줄기로부터 베타시토스테롤을 분리하는 방법 및 상기의 방법에 의해 분리된 산자나무 줄기의 베타시토스테롤을 포함하는 항염활성 조성물" ,공개특허 10-2010-0037847 "비타민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주 제조 방법", 등록특허 10-2010-0009045 "비타민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록특허 10-1121590 "비타민나무잎으로부터 분리한 이소람네틴-3-글루코시드-7-람노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공개특허 10-2012-0060258 "비타민나무 추출물과 생약제가 함유된 기능성 오메가 - 3 제조방법", 공개특허 10-2012-0018011 "비타민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음료 제조방법", 등록특허 10-1045011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공개특허 10-2011-0101743 "비타민나무잎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내 지질 개선 조성물" ,공개특허 10-2009-0085876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공개특허 10-2012-0137794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등 많은 특허가 있으며 연구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된 것으로 조사 되었다. 특허 조사에 의하면, 식품과 건강기능성제품 그리고 음료, 항생제를 비롯한 제약,화장품 등 많은 분야에서 연구활동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6년 이상 생육된 깨끗한 자연환경을 갖고 있는 지리산 비타민나무잎을 15일 이상 저온숙성추출방법으로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안전하게 추출하는 것으로서, 고온스트레스를 적게 주는 방법으로 추출건조물을 얻는 방법이 아니고 맑고 투명하지만, 짙은 농축갈색 추물물을 얻어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비타민나무잎 천연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저온숙성추출방법은 6년 이상 생육된 신선한 지리산 등지 비타민나무잎을 자연건조시킨 후, 에탄올40%~70% 수용액에 자연건조 비타민나무잎 무게의 4배수 부피량을 넣고 가정용 푸드믹서로 잘게 분쇄한 후, 전체 에탄올 40-70% 수용액이 자연건조비타민나무잎 무게의 10배수가 되게 한후,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15일 이상 숙성시킨다. 숙성 기간중에 매일 10-12시간 간격으로 상온에서 agitater로 10분이상 믹싱을 시켜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성분들의 용출을 극대화 시켰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증류추출법,고온열수 추출법등은 고온(70℃)에서 장시간 노출되어 추출되기 때문에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항산화성분 특히 열에 약한 비타민C를 비롯한 유용한 물질이 파괴되어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미용성분을 충분하게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숙성종료후, 1차로 여과를 실시하여 혼탁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혼탁한 1차추출물은 수용성성분과 에탄올에 녹을 수 있는 분자량이 작은 지용성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료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문재가 있다. 따라서 1차 여과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반드시 60℃이하) 에탄올을 제거하고 지용성물질의 분획을 위해 n-Hexan을 가하고 agitater를 이용하여 10min 이상 믹싱을 하고 6시간 이상 암실 상온방치하여 n-Hexan층을 제거하고 수용액상의 2차 추출물을 얻는다. 이 2차 추출물은 미량의 n-Hexan이 있을 수 있으며 피부에 트러블을 야기하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감압증류하여(반드시 60℃이하) 미량의 n-Hexan을 제거하고그 수용액을 감압여과하여 투명하면서 짙은 갈색의 3차 최종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열수추출및, 감압추출하여 건조잔분을 얻고자 하는 경우가 대부분의 방법인데, 이 경우 원래 그 식물이 지니고 있는 주요성분이 열에 의해 파괴되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반드시 저온에서 피부에 불필요한 n-Hexan을 제거하여 추출물상태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을 조성물 전체중량의 0.01~95중량%,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0 중량% 범위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저온숙성추출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는 함염효과를 주는 화장료를 제공 한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6년 이상 생육된 지리산소재 비타민나무 잎 100gr을 에탄올 50%수용액 400gr에 넣고 침적 시킨 후, 가정용 푸드믹서를 이용하여 믹싱한 후, 별도의 준비된 용기에 넣고 추가로 에탄올 50% 수용액 600gr을 첨가하여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15일 이상 숙성시킨다. 숙성 기간중에 매일 10-12시간 간격으로 상온에서 agitater로 10분 이상 믹싱을 시켜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성분들의 용출을 극대화 시켰다. 숙성종료후, 여과를 실시하여 혼탁한 1차추출물 830gr 얻을 수 있었다. 이 1차 여과추출물 820gr을 감압증류하여(반드시 60℃이하) 에탄올을 제거하고 2차 추출물 433gr을 얻었다.
이 2차 추출물속에 있을 수 있는 지용성물질의 분획을 위해 2차 추출물 433gr에 n-Hexan 250gr을 가하고 agitater를 이용하여 10min 이상 믹싱을 하고 6시간 이상 암실에 상온 방치 하여 n-Hexan층을 제거하고 수용액상의 미량의 n-Hexan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증류(40℃이하)하고 여과하여 투명하면서 짙은 갈색의 3차 최종 비타민나무잎 추출물 247gr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6년 이상 생육된 지리산소재 비타민나무 잎 100gr을 에탄올 50%수용액 400gr에 넣고 침적 시킨 후, 가정용 푸드믹서를 이용하여 믹싱한 후, 별도의 준비된 용기에 넣고 추가로 에탄올 50% 수용액 600gr을 첨가하여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15일 이상 숙성시킨다. 숙성 기간중에 매일 10-12시간 간격으로 상온에서 agitater로 10분이상 믹싱을 시켜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성분들의 용출을 극대화 시켰다. 숙성종료후, 여과를 실시하여 혼탁한 1차 추출물 844gr 얻을 수 있었다. 이 1차 여과추출물 844gr을 감압증류(반드시 60℃이하) 에탄올을 제거하고 2차 추출물 428gr을 얻었다.
지용성물질의 분획을 위해 2차 추출물 428gr에 n-Hexan 250gr을 가하고 agitater를 이용하여 10min 이상 믹싱을 하고 6시간 이상 암실 상온방치하여 n-Hexan층을 제거하고 수용액상의 미량의 n-Hexan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증류(40℃이하) 하고 여과하여 투명하면서 짙은 갈색의 3차 최종 비타민나무잎 추출물 252gr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6년 이상 생육된 지리산소재 비타민나무 잎 100gr을 에탄올 50%수용액 400gr에 넣고 침적 시킨후, 가정용 푸드믹서을 이용하여 믹싱한후, 별도의 준비된 용기에 넣고 추가로 에탄올 50% 수용액 600gr을 첨가하여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15일 이상 숙성시킨다. 숙성 기간중에 매일 10-12시간 간격으로 상온에서 agitater로 10분이상 믹싱을 시켜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성분들의 용출을 극대화 시켰다. 숙성종료후, 여과를 실시하여 혼탁한 1차추출물 835gr 얻을 수 있었다. 이 1차 여과추출물 835gr을 감압증류하여(반드시 60℃이하) 에탄올을 제거하고 2차 추출물 440gr을 얻었다.
지용성물질의 분획을 위해 2차 추출물 440gr에 n-Hexan 250gr을 가하고 agitater를 이용하여 10min 이상 믹싱을 하고 6시간 이상 암실 상온방치하여 n-Hexan층을 제거하고 수용액상의 미량의 n-Hexan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증류(40℃이하)하고 여과하여 투명하면서 짙은 갈색의 3차 최종 비타민나무잎 추출물 258gr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맑고6년 이상 생육된 지리산소재 비타민나무 잎 100gr을 에탄올 50%수용액 400gr에 넣고 침적 시킨후, 가정용 푸드믹서을 이용하여 믹싱한후, 별도의 준비된 용기에 넣고 추가로 에탄올 50% 수용액 600gr을 첨가하여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15일 이상 숙성시킨다. 숙성 기간중에 매일 10-12시간 간격으로 상온에서 agitater로 10분이상 믹싱을 시켜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성분들의 용출을 극대화 시켰다. 숙성종료후, 여과를 실시하여 혼탁한 1차추출물 825gr 얻을수 있었다. 이 1차 여과추출물 825gr을 감압증류하여(반드시 60℃이하) 에탄올을 제거하고 2차 추출물 430gr을 얻었다.
지용성물질의 분획을 위해 2차 추출물 430gr에 n-Hexan 250gr을 가하고 agitater를 이용하여 10min 이상 믹싱을 하고 6시간 이상 암실 상온방치하여 n-Hexan층을 제거하고 수용액상의 미량의 n-Hexan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증류(40℃이하)하고 여과하여 투명
하면서 짙은 갈색의 3차 최종 비타민나무잎 추출물 226gr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6년 이상 생육된 지리산소재 비타민나무 잎 100gr을 에탄올 50%수용액 400gr에 넣고 침적 시킨후, 가정용 푸드믹서를 이용하여 믹싱한후, 별도의 준비된 용기에 넣고 추가로 에탄올 50% 수용액 600gr을 첨가하여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15일 이상 숙성시킨다. 숙성 기간 중에 매일 10-12시간 간격으로 상온에서 agitater로 10분이상 믹싱을 시켜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성분들의 용출을 극대화 시켰다. 숙성종료후, 여과를 실시하여 혼탁한 1차추출물 855gr 얻을수 있었다. 이 1차 여과추출물 855gr을 감압증류하여(반드시 60℃이하) 에탄올을 제거하고 2차 추출물 445gr을 얻었다.
지용성물질의 분획을 위해 2차 추출물 445gr에 n-Hexan 250gr을 가하고 agitater를 이용하여 10min 이상 믹싱을 하고 6시간 이상 암실 상온방치하여 n-Hexan층을 제거하고 수용액상의 미량의 n-Hexan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증류(40℃이하) 하고 여과하여 투명하면서 짙은 갈색의 3차 최종 비타민나무잎 추출물 260gr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6년 이상 생육된 지리산소재 비타민나무 잎 100gr을 에탄올 50%수용액 400gr에 넣고 침적 시킨후, 가정용 푸드믹서을 이용하여 믹싱한후, 별도의 준비된 용기에 넣고 추가로 에탄올 50% 수용액 600gr을 첨가하여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15일 이상 숙성시킨다. 숙성 기간중에 매일 10-12시간 간격으로 상온에서 agitater로 10분이상 믹싱을 시켜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성분들의 용출을 극대화 시켰다. 숙성종료후, 여과를 실시하여 혼탁한 1차추출물 860gr 얻을 수 있었다. 이 1차 여과추출물 860gr을 감압증류(반드시 60℃이하) 에탄올을 제거하고 2차 추출물 445gr을 얻었다.
지용성물질의 분획을 위해 2차 추출물 445gr에 n-Hexan 250gr을 가하고 agitater를 이용하여 10min 이상 믹싱을 하고 6시간 이상 암실 상온방치하여 n-Hexan층을 제거하고 수용액상의 미량의 n-Hexan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증류(40℃이하) 하고 여과하여 투명하면서 짙은 갈색의 3차 최종 비타민나무잎 추출물 254gr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6년 이상 생육된 지리산소재 비타민나무 잎 100gr을 에탄올 50%수용액 400gr에 넣고 침적 시킨 후, 가정용 푸드믹서를 이용하여 믹싱한 후, 별도의 준비된 용기에 넣고 추가로 에탄올 50% 수용액 600gr을 첨가하여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15일 이상 숙성시킨다. 숙성 기간 중에 매일 10-12시간 간격으로 상온에서 agitater로 10분 이상 믹싱을 시켜 비타민나무잎에 함유된 성분들의 용출을 극대화 시켰다. 숙성종료후, 여과를 실시하여 혼탁한 1차추출물 850gr 얻을수 있었다. 이 1차 여과추출물 820gr을 감압증류하여(반드시 60℃이하) 에탄올을 제거하고 2차 추출물 440gr을 얻었다.
지용성물질의 분획을 위해 2차 추출물 420gr에 n-Hexan 250gr을 가하고 agitater를 이용하여 10min 이상 믹싱을 하고 6시간 이상 암실 상온방치하여 n-Hexan층을 제거하고 수용액상의 미량의 n-Hexan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증류(40℃이하) 하고 여과하여 투명하면서 짙은 갈색의 3차 최종 비타민나무잎 추출물 250gr 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차 추출물 2차추출물 최종 추출물
실시예 1 830gr 433gr 247gr
실시예 2 844gr 428gr 252gr
실시예3 835gr 440gr 258gr
실시예4 825gr 430gr 226gr
실시예5 855gr 445gr 260gr
실시예6 860gr 445gr 254gr
실시예7 850gr 440gr 250gr
실험 1. 항염증 실험
상기 실시예 3에 대하여 항염 효과를 측정 하였다.
실험 방법
마우스 좌측귀를 대조부위, 우측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혼합 식물 추출물을 적용 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시료 20㎕를 1일 1회 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1시간 후에 좌측귀에 에탄올을 우측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2㎎/ear을 도포하여 1시간 후 귀의부종(ear 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 억제율(%) = (A―B) / A × 100
A : 대조군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귀의 두께-비처리 귀의두께)
B : 혼합 식물 추출물 도포군 귀의두께(시료처리귀의 두께-비처리귀의 두께)
[도 1] 실시예 3의 항염 효과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실험 3. 세포막 보호 실험
상기 추출 혼합물 실시예 9에 대하여 세포막 보호 효과를 측정 하였다.
실험 방법
실험에 사용된 적혈구(백혈구 제거된 상태)는 뉴질랜드산 Albino 토끼로부터 채혈하여 사용하였다. 적혈구 현탁액은 700nm에서 O.D가 0.6이었고, 적혈구 수는 1.5×107cells/ml 이었다. 혼합 식물 추출물 50㎕을 적혈구 현탁액에 첨가하고 암소에서 30분간 pre-incubation 시킨 후, 광증감제(rose-bengal)를 가하고 광조사 하였다. 15분간 광조사 후 post-incubation에 의한 적혈구의 파괴정도를 15분 간격으로 700nm에서 투광도(% transmittance)로부터 구하였다. 혼합 식물 추출물의 광용혈에 미치는 효과는 post-incubation 시간과 용혈 정도를 나타내는 τ 50 으로 나타냈다. τ 50 값은 적혈구 세포가 50% 용혈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분)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1,3-부틸렌글리콜이다.
Figure pat00003
처방예 1.
저온숙성비타민나무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 로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비타민나무추출물은 실시예 7의 것이다.
Figure pat00004
<제조방법>
제형예 1: 1 - 6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7-12을 균일하게 한후, 1-6번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준비된 7-12내용물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교반 한 후 방치하여 숙성 시킨다.
비교제형예1: 제형예 1에 준하여 동일 공정으로 실시 하였다.
처방예 2.
저온숙성비타민나무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숀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비타민나무추출물은 실시예 7의 것을 말한다.
Figure pat00005
〈제조방법〉
제형예 2 : 11, 12, 13, 15, 18를 혼합교반하면서 72~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10을 72~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7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2 : 제형예 2의 공정순서에 준하여 동일 공정으로 실시 하였다.
처방예 3
비타민나무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중 영양크림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비타민나무추출물은 실시예 7의 것을 말한다.
Figure pat00006
〈제조방법〉
제형예 3 : 11, 12, 14, 17을 혼합교반하면서 72~7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3을 72~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3 : 제형예 3과 동일 공정으로 실시 하였다.
처방예 4.
비타민나무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 비타민나무추출물은 실시예 7의 것을 말한다.
Figure pat00007
<제조방법>
제형예 4 : 10-13,18을 혼합교반하면서 72℃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9을 72-7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까지 냉각한 뒤 15-17,1을 투입 2차 유화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4.제형예 4에 준하여 동일공정으로 실시 하였다.

Claims (4)

  1. 저온숙성비타민나무추출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내지 99.0 중량% 함유하는 피부보호 및항염효과를 갖고 있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숙성비타만나무추출물은 대한민국에서 재배되는 비타민나무잎을 포함하여 동종의 보리수과에 해당하는 비타민나무의 원산지는 국내에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해외 원산지 비타민나무도 포함하며 생육연도에 관계없이 비타민나무 잎이나 가지나 줄기 또는 뿌리를 이용한 추출물에도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타민나무추출물 제조방법
  3. 제1항,2항에 있어서, 비타민나무잎은 에탄올 40 -70% 수용액상에 침적시켜 10-20℃ UV가 차단된 암실에 15일 이상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화장료로는 화장수,로션,크림,에센스,앰플,마사지크림,클렌징크림등을 포함한다
KR1020140093078A 2014-07-23 2014-07-23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2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78A KR20160012273A (ko) 2014-07-23 2014-07-23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78A KR20160012273A (ko) 2014-07-23 2014-07-23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273A true KR20160012273A (ko) 2016-02-03

Family

ID=5535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078A KR20160012273A (ko) 2014-07-23 2014-07-23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2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5983A (zh) * 2023-02-15 2023-05-02 北京尚捷优蓝科技有限公司 五味子和沙棘组合物的超临界co2提取方法及其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5983A (zh) * 2023-02-15 2023-05-02 北京尚捷优蓝科技有限公司 五味子和沙棘组合物的超临界co2提取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17003B2 (en) Parthenolide free bioactive ingredients from feverfew (Tanacetum parthen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8668944B2 (en) Topical oil for treating physical ailments and method for making and applying the same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1001B1 (ko)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이용한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995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2198872B1 (ko)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1766553A (zh) 一种防晒、防黑植物化妆品组合物
KR20160011732A (ko)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1625A (ko) 혼합 식물 추출물
KR20150132754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초임계 함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584063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0859B1 (ko) 엉겅퀴 꽃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5055B1 (ko) 부용 및 뚝갈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기능강화 또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
KR20210013501A (ko) 피부 보호효과를 갖는 비파나무 잎 미네랄당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12273A (ko)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FR3013981A1 (fr) Composition comprenant des extraits de raisin tannat ou cannonau, procede d&#39;extraction et utilisations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2906B1 (ko) 로즈마리와 카모마일을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향균 및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3719A (ko) Nrf2 활성화제, Nrf2 인덕션 리바이탈라이징 제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0085B1 (ko)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150132753A (ko)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상엽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433055B1 (ko) 하눌타리의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