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263A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12263A KR20160012263A KR1020140092986A KR20140092986A KR20160012263A KR 20160012263 A KR20160012263 A KR 20160012263A KR 1020140092986 A KR1020140092986 A KR 1020140092986A KR 20140092986 A KR20140092986 A KR 20140092986A KR 20160012263 A KR20160012263 A KR 201600122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ament
- medicine
- dispensing
- unit
- delive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gravity f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약제의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이송하는 약제이송부; 상기 약제의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하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아 상기 약제가 외부로 불출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를 외부로 불출하기 위한 불출상태가 되도록 제2 위치로 변화되는 약제적재부; 및 상기 약제적재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재부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 불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다양한 약제는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되게 되며,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이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상기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히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 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자동으로 구현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확성 및 효율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어,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약제를 불출한 후 소정의 수집공간에 효율적으로 수집되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약제의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이송하는 약제이송부; 상기 약제의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하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아 상기 약제가 외부로 불출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를 외부로 불출하기 위한 불출상태가 되도록 제2 위치로 변화되는 약제적재부; 및 상기 약제적재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재부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동부로부터 이탈되는 약제가 중력에 의한 자중에 의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이송경로가 상기 제1 이송경로와 이격된 채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이송경로가 상기 제1 이송경로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된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새로운 약제를 전달받지 못하도록 상기 약제이송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적재부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약제의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의 이탈되는 위치가 상기 약제의 상기 약제적제부로 안착되는 위치보다 상기 약제의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약제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안내부는, 상기 약제가 안착되는 부분과 상기 약제가 안착될 수 없는 부분으로 상기 제2 이송경로를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안내부는,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가 이탈되는 경우,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적재부에 안착되기 전에 미리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적재부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적재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약제적재부에 장착되는 약제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약제안내부는, 상기 약제적재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적재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이송부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적재부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제2 이송경로 상으로 전달하고,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2 이송경로 상으로 전달받은 상기 약제를 위치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는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 상에 안착된 상기 약제에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약제이송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안내부는,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에 따른 약제이송가압부의 회전 시 상기 약제이송가압부와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상기 약제이송가압부가 통과되는 통과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약제적재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의 외부로의 불출 여부를 조절하도록 하는 불출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불출조절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의 외부로의 불출을 차단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의 외부로의 불출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는, 약제적재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 벨트 상에 안착된 상기 약제에 상기 불출조절부를 향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약제적재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제1 이송경로 및 상기 제2 이송경로는, 상기 약제가 상기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약제의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이송하는 약제이송부; 상기 약제의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약제를 적재하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기 위한 대기위치 및 상기 전달받은 약제를 외부로 불출하기 위한 불출위치 간에 이동가능한 약제적재부; 및 상기 약제적재부를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불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재부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약제적재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불출위치로 변화되고,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불출위치로 변화된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새로운 약제를 전달받지 못하도록 상기 약제이송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약제이송부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적재부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제2 이송경로 상으로 전달하고,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2 이송경로 상으로 전달받은 상기 약제를 위치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하면, 약제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에 따라 약제 보관 박스로부터 약제를 불출한 후 소정의 수집공간에 효율적으로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소정의 수집공간에 수집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제의 이동 시 약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설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약제적재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약제적재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해 약제가 수집공간에 수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 내지 도 6은 약제적재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약제적재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해 약제가 수집공간에 수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설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설비(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수용 유닛(2), 상기 약제 수용 유닛(2)이 상기 약제 불출 설비(1)에 장착되도록 하는 카트리지(3), 상기 약제 수용 유닛(2)에 수용된 상기 약제를 불출시키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불출구동력제공부(4), 상기 불출구동력제공부(4)에 의해 상기 약제 수용 유닛(2)으로부터 불출된 약제가 안착된 후 수집을 위한 소정의 수집공간(S)에 수집되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10) 및 상기 불출구동력제공부(4) 및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를 상기 약제 불출 설비(1) 내에서 층별 이동시키는 층별이동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설비(1)는 카트리지(3) 상에 복수의 약제 수용 유닛(2)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3)는 상기 약제 불출 설비(1)의 층별 또는/및 열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3)는 상기 약제 불출 설비(1)의 각 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카트리지(3)에 장착될 수 있는 약제 수용 유닛(2)의 수는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 불출 설비(1)는 불출구동력제공부(4)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수용 유닛(2)의 불출부(2-1)를 구동, 즉, 회전시킴으로써 약제의 불출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 수용 유닛(2)은 상기 카트리지(3)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불출구동력제공부(4)에 의해 약제 수용 유닛(2)로부터 외부로 불출된 약제는 약제 불출 장치(10)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의 벨트 회전이동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 소정의 수집공간(S)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에 의한 약제의 수집공간(S)으로의 수집은 도 1에 도시된 제1 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된 제2 위치로 변화되는 약제적재부(200)에 의해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불출구동력제공부(4) 및 약제 불출 장치(10)의 층별 이동은 층별이동부(5)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층별이동부(5)는 외부신호에 의해 필요로 하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 수용 유닛(2)이 배치된 층으로 상기 불출구동력제공부(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신호가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설비(1)에 인가되면,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층별이동부(5)가 상기 불출구동력제공부(4) 및 약제 불출 장치(10)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고 이후에는 상기 불출구동력제공부(4)에 의한 약제 수용 유닛(2)의 불출부(2-1)의 회전에 의해 약제 수용 유닛(2)로부터 필요로 하는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다.
불출된 약제는 약제 불출 장치(10)에 안착될 수 있으며, 약제가 안착된 약제 불출 장치(10)는 상기 층별이동부(5)에 의해 기설정된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의 벨트 회전이동에 의해 안착된 약제를 소정의 수집공간(S)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의 벨트 회전이동은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가 기설정된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이후에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가 상기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기 전에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약제가 각 층에 배치되는 복수의 약제 수용 유닛(2) 및 여러층에 배치되는 약제 수용 유닛(2)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불출구동력제공부(4)는 층별이동부(5)에 의해 어느 한 층에 위치한 후 위치된 층에 배치된 복수의 약제 수용 유닛(2)로부터 순차적 또는 동시에 약제를 불출시킬 수 있으며, 어느 한 층으로부터의 불출이 완료되면 다른 층으로 이동하여 재차 약제의 불출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약제 수용 유닛(2)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약제의 불출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복수의 상기 약제가 안착된 약제 불출 장치(10)는 상기 층별이동부(5)에 의해 기설정된 불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약제 불출 장치(10)의 벨트 회전이동에 의해 안착된 복수의 약제를 소정의 수집공간(S)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약제 수용 유닛(2)로부터의 약제의 불출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불출구동력제공부(4)는 약제 수용 유닛(2)의 특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며, 다시 말해서, 상기 약제 수용 유닛(2)에 수용된 약제의 불출이 상기 약제 수용 유닛(2) 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불출구동력제공부(4)는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약제 수용 유닛(2)로부터의 약제의 불출을 위해 불출구동력제공부(4)가 필요한 경우, 상기 불출구동력제공부(4)에 의한 불출부(2-1)의 구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수용 유닛(2)로부터의 약제의 불출이 상기 약제 수용 유닛(2) 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약제의 불출이 제어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약제적재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약제적재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약제 수용 유닛(2)으로 불출된 약제의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약제이송부(100), 상기 약제의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약제적재부(200) 및 상기 약제적재부(2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재부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이송부(100)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컨베이어의 일종인 약제이송 컨베이어부(110) 및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110)의 무한궤도의 양 축을 담당하는 이송궤도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110)는 이송구동부(13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구동부(130)는 이송구동모터(132) 및 상기 이송구동모터(132)의 구동력을 이송궤도축(120)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송타이밍벨트(134) 및 이송타이밍풀리(13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제적재부(200)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컨베이어의 일종인 약제적재 컨베이어부(210) 및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210)의 무한궤도의 양 축을 담당하는 적재궤도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210)는 적재구동부(30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재구동부(300)는 적재구동모터(310) 및 상기 적재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을 적재궤도축(22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재타이밍벨트(320) 및 적재타이밍풀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이송부(100)는 약제 불출 요청(예: 처방전 등)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2)으로부터 약제가 불출되면, 상기 불출된 약제의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이송부(100)는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약제적재부(2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약제이송 컨베이어부(110)의 회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약제적재부(200)는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의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아 상기 약제가 외부로 불출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제적재부(200)는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를 외부로 불출하기 위한 불출상태가 되도록 제2 위치로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경로 및 상기 제2 이송경로는, 상기 약제가 상기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약제가 상기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위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경로로부터 제2 이송경로로 약제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약제적재부(200)의 특정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받은 약제를 외부로 불출하기 위한 불출위치, 즉, 상기 제1 이송경로로부터 상기 제2 이송경로로 약제가 전달될 수 없는 상기 약제적재부(200)의 다른 특정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이탈되는 약제가 중력에 의한 자중에 의해 상기 약제적재부(200)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110)에 안착된 약제, 즉,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는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약제적제 컨베이어부(21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적제 컨베이어부(210)로 이동된 약제는 상기 약제적제 컨베이어부(210)의 회전에 의해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약제적제 컨베이어부(210)로 이동된 약제는 상기 약제적제 컨베이어부(210)의 회전에 의해 불출조절부(500)에 접근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약제는 외부로 불출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110)에 안착된 약제는 약제이송가압부(114)에 의해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약제적제 컨베이어부(21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이송가압부(114)는 일종의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110) 상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110)는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112) 및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112) 상에 안착된 상기 약제에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210)를 향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21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약제이송가압부(11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이송가압부(114)는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열에 해당하는 약제이송가압부(114)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약제적제 컨베이어부(210)에 안착된 약제도 약제적재가압부(214)에 의해 약제적재 컨베이어 벨트(212) 상에서 공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적재가압부(214)로 인해 불출조절부(500)에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접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적재가압부(214)는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 벨트(212) 상에 안착된 상기 약제에 상기 불출조절부(500)를 향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 벨트(21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상태는 상기 약제적재부(200)의 위치에 따른 제1 위치와 대응되는 개념으로, 약제의 위치에 의해 정의된 상태개념이며,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적재부(200) 상에 위치하는 동시에 약제 불출 설비(1) 내에 위치한 상태를 의미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위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 놓여진 약제가 약제 불출 설비(1)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인 불출상태가 되도록 하는 약제적재부(200)의 특정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소정의 수집공간(S)까지 이동된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약제 불출 설비(1)의 내부에 있을 때가 제1 위치가 되는 것이고, 외부에 있을 때가 제2 위치가 되는 것이다.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2 이송경로는 상기 제1 이송경로와 이격된 채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약제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이송경로가 상기 제1 이송경로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된 경우, 상기 약제적재부(200)는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새로운 약제를 전달받지 못하도록 상기 약제이송부(10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S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제적재부(200)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은 적재부구동부(40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적재부구동부(4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재부구동모터(410), 상기 적재부구동모터(410)의 구동력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기어의 일종인 적재부구동전달부(420), 상기 적재부구동전달부(42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기어의 일종인 적재부피니언기어(430) 및 상기 적재부피니언기어(430)와 맞물리는 적재부랙기어(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랙기어(440)는 제1 연결부(450) 및 한 쌍의 제2 연결부(46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약제적재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적재부(200)는 상기 적재부구동모터(41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적재부구동전달부(420) 및 상기 적재부피니언기어(430)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적재부랙기어(440)를 통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약제적재부(200)는 상기 적재부구동부(40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약제 불출 설비(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위치에 있거나, 상기 약제 불출 설비(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적재부구동부(400)의 구동력에 의한 상기 약제적재부(200)의 위치 이동은 적제부이동감지부(472) 및 적제부이동피감지부(474)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적제부이동감지부(472)는 일종의 위치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적제부이동감지부(472)는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위치 이동하는 경우 위치가 이동하지 않는 고정부재(471)의 일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5에서는 제1 적제부이동감지부(472a)와 제2 적제부이동감지부(472b)가 고정부재(471)에 고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제부이동피감지부(474)는 약제적재부(200)의 위치 이동과 연동되어 위치 이동되는 이동부재의 일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5에서는 제2 연결부(460)에 고정된 제1 적제부이동피감지부(474a) 및 적재부랙기어(440)의 일단에 고정된 제2 적제부이동피감지부(474b) 및 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제1 위치에서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약제적재부(200)로 약제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약제의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의 이탈되는 위치가 상기 약제의 상기 약제적재부(200)로 안착되는 위치보다 상기 약제의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약제안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안내부(6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상기 약제적재부(200)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적재부(200)로 안내하도록 상기 약제적재부(2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안내부(600)는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적재부(200)로 안내하는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상기 약제안내부(6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상기 약제적재부(200)로 약제가 전달되는 과정 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약제의 이탈 등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적재부(200)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안내부(600)는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상기 약제가 이탈되는 경우,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적재부(200)에 안착되기 전에 미리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상기 약제적재부(200)로 약제가 전달되는 과정 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약제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안내부(600)는 제2 이송경로를 약제가 안착되는 부분과 약제가 안착될 수 없는 부분으로 구획하는 일종의 구획벽일 수 있으며,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112)의 회전에 따른 약제이송가압부(112)의 회전 시 상기 약제이송가압부(114)와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112) 사이에 상기 약제이송가압부(114)가 통과되는 통과공간(S2)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약제안내부(600)는 상기 통과공간(S2)의 제공을 위해 상측에 상기 약제이송가압부(114)와 대응되는 개수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상기 약제적재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의 외부로의 불출 여부를 조절하도록 하는 불출조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출조절부(50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의 외부로의 불출을 차단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회동에 의해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의 외부로의 불출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불출조절부(500)는 제2 연결부(460)를 매개로 하여 약제적재부(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460)와 연결되는 지지부(510), 상기 지지부(510)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게이트(520), 상기 게이트(520)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게이트회동모터(530), 상기 게이트회동모터(53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기어(540) 및 상기 회전기어(540)와 맞물리는 회동기어(5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출조절부(500)는 상기 게이트(520)의 회동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일종인 회동감지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감지부(560)는 회동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동피감지부(570)의 상태를 감지하여 게이트(520)의 회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약제 수용 유닛(2)으로부터 약제가 약제이송부(110)로 불출되는 경우 상기 약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700)는 약제이송부(100)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700)는 약제적재부(20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100) 및 상기 약제적재부(200)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탈방지부(700)는 약제이송부(100)를 약제 불출 설비(1) 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는 높이보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외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약제가 약제이송부(100)에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낙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보강부는 바운스에 의해 약제가 튀어 올라 외측을 이탈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해 약제가 수집공간에 수집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에 의해 약제 불출 요청(예: 환자의 처방전 등)과 대응되는 약제(M)가 소정의 수집공간(S)에 수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약제(M)가 상기 수집공간(S)에 수집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약제(M)가 상기 수집공간(S)에 수집되는 과정은, 제1 위치에서 약제 수용 유닛(2)으로부터 불출된 약제(M)가 약제이송부(100)에 안착되는 제1 단계, 제1 위치에서 안착된 상기 약제(M)가 약제적재부(200)로 전달되어 불출조절부(500)에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제2 단계,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수집공간(S)과 대응되는 위치인 약제 불출 설비(1)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제2 위치로 변화되는 제3 단계, 제2 위치에서 불출조절부(500)가 회동되는 제4 단계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약제(M)가 상기 수집공간(S)에 투입되어 상기 수집공간(S)에 수집되도록 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약제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2)으로부터 불출된 약제는 약제이송부(10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제 수용 유닛(2)으로부터 불출된 약제는 상기 불출된 약제의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약제이송 컨베이버부(110)의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112)에 안착(제1 단계)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가 안착되는 위치는 약제 불출 설비(1) 내의 약제 수용 유닛(2)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약제이송부(110)에 안착된 약제(M)는 제1 위치에 위치한 약제적재부(2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는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112)의 회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약제이송부(100)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M)는 약제안내부(6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제1 위치에 위치한 상기 약제적재부(200)에 전달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약제적재부(200)의 약제적재 컨베이어 밸트(212)로 전달된 약제(M)는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 밸트(212)의 회전에 의해 불출조절부(500)에 근접되는 위치로 이동(제2 단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약제(M)는 외부로 불출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약제 불출 요청에 기초하여 불출되어야 할 약제 수용 유닛(2)의 위치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약제적재부(200)와 대응되는 위치인 경우, 상기 약제 수용 유닛(2)으로부터 불출된 약제는 바로 상기 약제적재부(200)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제1 단계가 생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위치에 위치한 약제적재부(200)에 안착된 약제(M)가 불출조절부(500)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고 나면, 상기 약제적재부(200)는 적재부구동부(400)에 의한 구동력에 의해 제2 위치(제3 단계)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약제(M)는 외부로 불출되기 위한 불출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수집공간(S)과 대응되는 위치이며, 약제 불출 설비(1)의 외측에 배치되는 위치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나면, 불출조절부(500)의 게이트(520)가 회동(제4 단계)되게 되며, 이로 인해 불출조절부(500)에 근접한 위치에 있던 약제(M)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적재 컨베이어 밸트(2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집공간(S)에 불출되게 된다(제5 단계).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수집공간(S)과 대응되는 위치인 제2 위치로 약제적재부(200)가 이동되기 전에 이미 수집공간(S)에 수집되어야 할 약제(M)가 제1 위치에 있는 약제적재부(200) 상의 불출조절부(50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약제(M)가 수집공간(S)에 수집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0)는 수집공간(S)으로 수집되어야할 약제(M)를 최종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약제적재부(200)에 위치시킴에 있어서,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하기 이전인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약제적재부(200)가 제2 위치에 위치한 후 바로 상기 수집공간(S)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약제 불출 설비
2: 약제 수용 유닛
3: 카트리지
4: 불출구동력제공부
5, 층별이동부
10: 약제 불출 장치
100: 약제이송부
200: 약제적재부
300: 적재부구동부
500: 불출조절부
600: 약제안내부
2: 약제 수용 유닛
3: 카트리지
4: 불출구동력제공부
5, 층별이동부
10: 약제 불출 장치
100: 약제이송부
200: 약제적재부
300: 적재부구동부
500: 불출조절부
600: 약제안내부
Claims (20)
- 약제의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이송하는 약제이송부;
상기 약제의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하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아 상기 약제가 외부로 불출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를 외부로 불출하기 위한 불출상태가 되도록 제2 위치로 변화되는 약제적재부; 및
상기 약제적재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재부구동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동부로부터 이탈되는 약제가 중력에 의한 자중에 의해 안착되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이송경로가 상기 제1 이송경로와 이격된 채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이송경로가 상기 제1 이송경로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된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새로운 약제를 전달받지 못하도록 상기 약제이송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적재부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약제의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의 이탈되는 위치가 상기 약제의 상기 약제적제부로 안착되는 위치보다 상기 약제의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약제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안내부는,
상기 약제가 안착되는 부분과 상기 약제가 안착될 수 없는 부분으로 상기 제2 이송경로를 구획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안내부는,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가 이탈되는 경우,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적재부에 안착되기 전에 미리 접촉되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적재부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적재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약제적재부에 장착되는 약제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약제안내부는,
상기 약제적재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이탈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약제적재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상실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이송부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적재부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제2 이송경로 상으로 전달하고,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2 이송경로 상으로 전달받은 상기 약제를 위치 변화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는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 상에 안착된 상기 약제에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를 향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약제이송가압부를 구비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약제가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적재부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약제의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의 이탈되는 위치가 상기 약제의 상기 약제적제부로 안착되는 위치보다 상기 약제의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 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약제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약제안내부는,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에 따른 약제이송가압부의 회전 시 상기 약제이송가압부와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상기 약제이송가압부가 통과되는 통과공간을 제공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적재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의 외부로의 불출 여부를 조절하도록 하는 불출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조절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의 외부로의 불출을 차단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대기상태에 놓여진 상기 약제의 외부로의 불출을 허용하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적재부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는, 약제적재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 벨트 상에 안착된 상기 약제에 상기 불출조절부를 향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약제적재가압부를 구비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경로 및 상기 제2 이송경로는,
상기 약제가 상기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약제 불출 장치.
- 약제의 제1 이송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이송하는 약제이송부;
상기 약제의 제2 이송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약제를 적재하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상기 약제를 전달받기 위한 대기위치 및 상기 전달받은 약제를 외부로 불출하기 위한 불출위치 간에 이동가능한 약제적재부; 및
상기 약제적재부를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불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적재부구동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적재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불출위치로 변화되고,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불출위치로 변화된 경우 상기 약제이송부로부터 새로운 약제를 전달받지 못하도록 상기 약제이송부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이송부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약제적재부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제이송 컨베이어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 이송경로의 일지점으로 반입되는 상기 약제를 상기 제2 이송경로 상으로 전달하고,
상기 약제적재 컨베이어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2 이송경로 상으로 전달받은 상기 약제를 위치 변화시키는 약제 불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2986A KR20160012263A (ko) | 2014-07-23 | 2014-07-23 | 약제 불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2986A KR20160012263A (ko) | 2014-07-23 | 2014-07-23 | 약제 불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2263A true KR20160012263A (ko) | 2016-02-03 |
Family
ID=5535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2986A KR20160012263A (ko) | 2014-07-23 | 2014-07-23 | 약제 불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12263A (ko) |
-
2014
- 2014-07-23 KR KR1020140092986A patent/KR2016001226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97497B2 (ja) | 薬剤払出し装置 | |
US7726095B2 (en) | Medicine dispensing/packaging apparatus | |
EP275354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ackaging dosed quantities of solid drug portions | |
US7866506B2 (en) | Devices useful i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prescriptions | |
WO2018128133A1 (ja) | 薬剤フィーダ | |
CN109310577B (zh) | 用于自动配药装置的给药罐 | |
TWI685335B (zh) | 藥劑配發裝置 | |
JP4546946B2 (ja) | 薬剤払出し装置 | |
US9796496B2 (en) | Apparatus for packaging dosed quantities of solid drug portions comprising moving collecting containers and an ancillary dosing station | |
JP2015532626A (ja) | 1用量の固形薬品ポーションを包装するための装置 | |
JP2000024087A (ja) | 調剤システム | |
KR20240027007A (ko) | 별개의 약제들을 디스펜싱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디스펜싱 장치 | |
WO2021192880A1 (ja) | 薬剤払出装置 | |
KR20120047716A (ko) | 약제 포장기 | |
KR20160012263A (ko) | 약제 불출 장치 | |
JP4546710B2 (ja) | 薬剤払出し装置 | |
JP4968314B2 (ja) | 薬剤払出し装置 | |
KR20150145859A (ko) | 약제 불출 장치 | |
JP3905096B2 (ja) | 薬剤自動包装装置 | |
KR200338658Y1 (ko) | 정제 및 산제 혼합 포장장치 | |
JPH0640402A (ja) | 錠剤収容容器 | |
JP2646142B2 (ja) | 薬品の供給装置 | |
KR20140090745A (ko) | 약제 불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