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546A - 라이스 플래너 - Google Patents

라이스 플래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546A
KR20160011546A KR1020140092845A KR20140092845A KR20160011546A KR 20160011546 A KR20160011546 A KR 20160011546A KR 1020140092845 A KR1020140092845 A KR 1020140092845A KR 20140092845 A KR20140092845 A KR 20140092845A KR 20160011546 A KR20160011546 A KR 20160011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eight
main body
cooker
pla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일
Original Assignee
이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일 filed Critical 이병일
Priority to KR102014009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546A/ko
Publication of KR2016001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100)는, 전기밥솥(E)을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10)에 올려진 전기밥솥(E)의 중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중량감지센서(120)와, 상기 중량감지센서(12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중량을 연산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에 접속되어 상기 중량을 연산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밥솥(E)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밥의 종류에 따라 전기밥솥(E) 내부에 수용된 라이스 칼로리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밥을 퍼서 밥공기에 담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서 감량된 칼로리값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섭취하는 라이스 칼로리를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어트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수용된 밥의 중량을 밥그릇 수로 연산하여 밥그릇 수만큼 엘이디(150)를 발광하도록 하므로 원거리에서도 쉽게 수용된 밥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측판(160)의 홀(165)에 밥주걱이나 수저 등 주방 용품을 꽂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측판(160)은 분리가 가능하므로 세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라이스 플래너 {The rice planner}
본 발명은 라이스 플래너에 관한 것으로서, 밥솥을 올리면 밥솥 내부에 수용된 밥의 중량을 감지한 후 칼로리로 환산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플래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밥의 잔여량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밥의 잔여량 표시장치(1)의 구성을 살펴보면, 용기(容器) 형상의 본체(11) 내부에 밥을 수용하는 조리용기(13)가 구성된 전기밥솥(10)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11) 내부에서 조리용기(13)를 받치는 바닥에 중량감지센서(20)가 장착되며, 상기 중량감지센서(20)로부터 밥의 중량 데이터를 전송받아서 그릇 수로 환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마이콤(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밥의 잔여량 표시장치(1)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조리용기(13)에 밥이 수용되면 중량감지센서(20)가 밥의 중량 데이터를 마이콤(3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마이콤(30)은 밥의 중량을 한 그릇에 해당하는 밥의 중량으로 나누어서 그릇 수로 환산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밥솥(10)을 열어보지 않고서도 수용된 밥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이미 사용하고 있는 전기밥솥(10)에는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밥의 잔여량 표시장치를 새로 구비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둘째, 수용된 밥의 용량을 칼로리로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섭취한 밥의 칼로리를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셋째, 밥주걱이나 숟가락 등의 주방 용품을 수용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다.
넷째, 밥의 잔량을 밥그릇 수로 표시함에 있어서 마이콤에서 숫자로 표시하므로 원거리에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10-1999-0058790호 (1999년 07월 15일)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이미 사용되고 있는 전기밥솥에도 용이하게 적용하므로 전기밥솥을 새로 사야하는 부담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수용된 밥의 용량을 칼로리로 환산하여 표시하므로 섭취한 라이스 칼로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셋째, 밥주걱이나 숟가락 등의 주방 용품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밥의 잔량을 밥그릇 수로 표시함에 있어서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는, 전기밥솥을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에 올려진 전기밥솥의 중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중량감지센서와, 상기 중량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중량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중량을 연산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방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부에 수용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에 장착된 다수의 엘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밥솥의 중량을 제로로 인식한 상태에서 전기밥솥에 수용된 밥의 중량을 감지하고, 상기 중량을 밥 한 그릇의 중량으로 나누어서 산출되는 밥그릇 수만큼 상기 엘이디를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는, 기존에 사용하던 전기밥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경기술에 의한 무게를 감지하는 전기밥솥을 사야하는 부담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본원을 구비하기 위해서 비용이 소요되지만, 본원은 전기밥솥보다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무게를 감지하는 전기밥솥보다 저가로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밥의 종류에 따라 전기밥솥 내부에 수용된 라이스 칼로리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밥을 퍼서 밥공기에 담게 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감량된 칼로리값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섭취하는 라이스 칼로리를 쉽게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어트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수용된 밥의 중량을 밥그릇 수로 연산하여 밥그릇 수만큼 엘이디를 발광하도록 하므로 원거리에서도 쉽게 수용된 밥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측판의 홀에 밥주걱이나 수저 등 주방 용품을 꽂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측판은 분리가 가능하므로 세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밥의 잔여량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에 밥솥을 올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에서 일측 측판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에 밥솥을 올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에서 일측 측판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100)는 전기밥솥(E)에 수용된 밥의 중량을 연산하여 칼로리로 연산하여 다이어트에 도움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밥솥(E)에 수용된 밥의 양을 밥그릇 수로 표시할 때 원거리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전기밥솥(E)을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110)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10)에 올려진 전기밥솥(E)의 중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중량감지센서(1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량감지센서(12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중량을 연산하는 제어부(1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에 접속되어 상기 중량을 연산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일례로서 내부가 비어 있고 폐색된 상자 모양으로서 상판(113)이 평평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전기밥솥(E)이 올려지면 하방으로 휘어지도록 두께가 설정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체(110) 내부에 상기 중량감지센서(120)가 수용되고 상판(113)에 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중량감지센서(120)는 일례로서 로드셀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에 의해서 상판(113)이 휘어지면서 중량감지센서(120)는 압축되면서 중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110)의 좌우 측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측판(160)이 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판(160)의 상부에 수용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홀(165)이 구성된다.
상기 측판(160)이 탈착되는 일례로서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구(H)와 상기 삽입구(H)에 끼워지는 돌출부(S)가 측판(160)에 형성되므로 가능하다. 또는 삽입구(H)가 측판(160)에 형성되고 돌출부(S)가 본체(1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측판(160)을 관통하여 본체(110)에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본체(110)와 측판(160)에 부착되어 상호 탈착되는 자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엘시디창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본체(11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4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입력부(170)가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70)는 제어부(130)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일례로서 쌀밥, 보리밥, 현미밥 등의 곡물의 종류를 제어부(130)에 신호로 입력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에 접속되고 상기 본체(110)의 전면(前面)에 장착된 다수의 엘이디(150)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기밥솥(E)의 중량을 제로로 인식한 상태에서 전기밥솥(E)에 수용된 밥의 중량을 감지하고 상기 입력부(170)를 통해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기밥솥(E)의 내부에 수용된 밥의 종류를 인식한다. 그리고, 칼로리로 연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서 표시되도록 한다. 즉, 동일 중량이더라도 쌀밥, 보리밥, 현미밥 여부에 따라서 칼로리는 상이하게 계산된다.
또는, 밥을 덜어내게 되면 전체밥의 중량에서 현재 밥의 중량을 차감하여 덜어낸 밥의 중량을 인식한다. 그리고, 덜어낸 밥의 중량을 통해서 칼로리 연산을 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섭취하는 밥의 열량을 쉽게 알 수 있으므로 다이어트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중량을 밥 한 그릇의 중량으로 나누어서 산출되는 밥그릇 수만큼 상기 엘이디(150)를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 중량감지센서(120), 디스플레이부(140), 엘이디(150)에는 전기가 공급되는 것으로서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자체 수용되는 축전지에 의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공급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라이스 플래너(100)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130)는 밥이 수용되지 않은 전기밥솥(E)의 중량을 제로로 인식하도록 셋팅된다. 그리고, 입력부(170)를 통해서 수용된 밥의 종류를 인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밥이 수용된 전기밥솥(E)을 본체(110)의 상판(113) 위에 올려놓으면 상판(113)이 휘어지면서 중량감지센서(120)를 압박하게 되므로 중량감지센서(120)는 밥의 중량을 신호로서 제어부(130)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30)는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칼로리로 연산하여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서 칼로리 수치를 표시한다. 이때, 입력부(170)를 통해서 인식한 밥의 종류를 감안하여 칼로리 연산을 실시한다.
따라서, 밥을 퍼서 밥공기에 담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서 감량된 칼로리값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섭취하는 라이스 칼로리를 쉽게 알 수 있다. 또는, 밥을 먹기 위해서 밥을 덜어내었을 때 덜어낸 밥의 칼로리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전체 밥의 중량에서 밥을 덜어내고 난 현재의 밥의 중량을 제함으로써 덜어낸 밥을 중량을 알 수 있고, 이 중량을 통해서 열량을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어트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30)는 수용된 밥의 중량을 밥그릇 수로 연산하여 밥그릇 수만큼 엘이디(150)를 발광하도록 하므로 원거리에서도 쉽게 수용된 밥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가정집은 물론이고 식당 특히 뷔페 식당에 사용할 경우, 용이하게 밥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밥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일일이 전기밥솥(E)의 뚜껑을 열어보지 않아도 되므로 뚜껑의 잦은 개방으로 인해 밥맛이 떨어지고 전기가 소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측판(160)의 홀(165)에 밥주걱이나 수저 등 주방 용품을 꽂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측판(160)은 분리가 가능하므로 세척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라이스 플래너 110: 본체
113: 상판 120: 중량감지센서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엘이디 160: 측판
165: 홀 170: 입력부
H: 삽입구 S: 돌기

Claims (3)

  1. 전기밥솥(E)을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10)에 올려진 전기밥솥(E)의 중량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신하는 중량감지센서(120)와,
    상기 중량감지센서(12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중량을 연산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에 접속되어 상기 중량을 연산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플래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측방에 탈착되도록 구성된 측판(160)과,
    상기 측판(160)의 상부에 수용 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홀(16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플래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에 접속되고 상기 본체(110)의 전면(前面)에 장착된 다수의 엘이디(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기밥솥(E)의 중량을 제로로 인식한 상태에서 전기밥솥(E)에 수용된 밥의 중량을 감지하고, 상기 중량을 밥 한 그릇의 중량으로 나누어서 산출되는 밥그릇 수만큼 상기 엘이디(150)를 발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스 플래너.
KR1020140092845A 2014-07-22 2014-07-22 라이스 플래너 KR20160011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45A KR20160011546A (ko) 2014-07-22 2014-07-22 라이스 플래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45A KR20160011546A (ko) 2014-07-22 2014-07-22 라이스 플래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546A true KR20160011546A (ko) 2016-02-01

Family

ID=5535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845A KR20160011546A (ko) 2014-07-22 2014-07-22 라이스 플래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5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133A (ko) * 2017-03-27 201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밥솥
CN109691885A (zh) * 2017-10-24 2019-04-3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防溢出控制方法和装置
KR102116556B1 (ko) * 2019-01-23 2020-05-2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밥솥의 보조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046A (ko) 1999-12-17 2001-07-04 이형도 캐비티를 갖는 패키지 기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046A (ko) 1999-12-17 2001-07-04 이형도 캐비티를 갖는 패키지 기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9133A (ko) * 2017-03-27 201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밥솥
CN109691885A (zh) * 2017-10-24 2019-04-3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防溢出控制方法和装置
KR102116556B1 (ko) * 2019-01-23 2020-05-2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밥솥의 보조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5143B1 (en) Hanger-type cook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8127605B2 (en) Food product measuring vessel with integrated scale
US11178993B2 (en) Rice cooker with lid and body control panels
JP6062540B2 (ja) 調理装置、調理用鍋、および調理方法
KR20080037886A (ko) 열량정보 표시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기 및 열량정보표시방법
WO2009126237A3 (en) Food steamer
KR20160011546A (ko) 라이스 플래너
CN203873540U (zh) 具有称重功能的电饭煲
WO2009098077A1 (en) Measuring container with digital display
CN206504771U (zh) 一种智能定量仪
JP2006081641A (ja) 炊飯器
KR20120129681A (ko) 저울 기능을 갖는 보관함
KR102318715B1 (ko) 조리 기구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05949B1 (ko) 당도 및 염도 측정기능이 구비된 국자
CN101354281A (zh) 一种厨房用的勺子秤
KR20060020062A (ko) 밥솥의 잔량 표시 장치
CN206213843U (zh) 烹饪器具
CN203873538U (zh) 具有称重功能的新型电饭煲
KR20180115417A (ko) 다용도 키친툴
CN208837713U (zh) 一种自动检测和提醒油量的煎烤器
CN204032979U (zh) 一种便利勺子
CN213640607U (zh) 一种安全防护电烤箱
KR101999664B1 (ko) 조미료용 계량 국자
CN206119999U (zh) 一种商用炒菜锅
JP2020508705A (ja) 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