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403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403A
KR20160009403A KR1020140089910A KR20140089910A KR20160009403A KR 20160009403 A KR20160009403 A KR 20160009403A KR 1020140089910 A KR1020140089910 A KR 1020140089910A KR 20140089910 A KR20140089910 A KR 20140089910A KR 20160009403 A KR20160009403 A KR 20160009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shing water
hollow tube
switching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086B1 (ko
Inventor
한신우
이재철
우세영
김대규
표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086B1/ko
Priority to US14/794,221 priority patent/US10226160B2/en
Priority to EP15176426.3A priority patent/EP2974644B1/en
Priority to CN201510419720.6A priority patent/CN105286745B/zh
Publication of KR2016000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구분되어 유동하는 다수의 채널 및 각 채널로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대상 방향으로 배출되는 분사홀을 구비한 분사암, 상기 다수의 채널과 연통하고, 상기 다수의 채널과 연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는 격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척수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분사암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유로가이더, 상기 유로가이더를 통해 상기 챔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로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전환부바디, 상기 전환부바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만을 개방시키는 채널개방홀, 상기 채널개방홀과 이웃하여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에 의해 부력을 받아 상기 전환부바디를 승강시키는 부력형성부, 상기 부력형성부 및 상기 채널개방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사암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치합부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상부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뭍은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을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dish rack),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에 따라 랙에 수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대상으로부터 오물을 제거하며, 오물제거가 완료된 세척대상은 열풍을 통해 건조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세척력이 향상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암에 다수의 세척수 유로(채널)가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분사암에 구비된 다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유로전환부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암으로의 세척수 공급시 세척수 유입의 쏠림에 의한 분사암에의 세척수 공급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유로전환부의 승강 불안정에 의한 분사암에서의 세척수 분사 불균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구분되어 유동하는 다수의 채널 및 각 채널로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대상 방향으로 배출되는 분사홀을 구비한 분사암, 상기 다수의 채널과 연통하고, 세척수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부를 구비하는 챔버, 상기 분사암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유로가이더, 상기 유로가이더를 통해 상기 챔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로전환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전환부바디, 상기 전환부바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만을 개방시키는 채널개방홀, 상기 전환부바디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사암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치합부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상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가이더는 일측이 상기 분사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환부바디를 관통하며 상기 분사암에서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 이격되는 높이까지 연장되는 중공관 및 상기 중공관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로 세척수를 배출하는 토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중공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공관을 유동하는 세척수를 상기 챔버 내부 공간으로 배분하는 배출가이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더의 중심은 상기 중공관의 중심과 일치하게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중공관 내부로 소정높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뿔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환부바디는 상기 전환부바디가 상기 중공관의 외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공관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 및 부력에 의해 상기 중공관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환부바디는 상기 중공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중공관 삽입홀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상부치합부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부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전환부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채널개방홀에 이웃하여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 의해 부력을 받는 부력형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력형성부 및 상기 채널개방홀은 상기 전환부바디의 상면에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부력형성부 및 상기 채널개방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상부치합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상부치합부의 하측면과의 접촉이 시작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상부치합부의 접촉이 종료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전환부바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로 단면적의 높이가 증가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제2 접촉부로 단면적의 높이가 감소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중공관 삽입홀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중공관 삽입홀과의 이격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치합부는 상기 상부돌기가 상기 전환부바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치합부에 안착될 수 있는 상부치합부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수 저장공간은 상기 챔버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홀에서 토출되는 세척수를 소정시간 저장하여 상기 유로전환부의 승강을 위한 균일한 부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챔버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는 하부치합부, 상기 전환부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치합부에 치합하여 상기 전환부바디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하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상기 중공관의 외경보다 더 크고, 상기 챔버의 내주면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챔버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격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는 상기 챔버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저장수 배출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챔버를 외기와 연통시키는 잔수배출홀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구분되어 유동하는 다수의 채널 및 각 채널로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대상 방향으로 배출되는 분사홀을 구비한 분사암, 상기 다수의 채널과 연통하는 챔버, 상기 분사암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유로가이더, 상기 유로가이더를 통해 상기 챔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유로전환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유로전환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만을 개방시키는 채널개방홀 및 상기 채널개방홀과 이웃하여 상기 전환부바디 상면에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전환부를 승강시키는 부력형성부를 상면에 구비하는 전환부바디와, 상기 분사암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치합부에 슬라이딩 안착되고 상기 상부치합부의 개수에 대응되어 상기 부력형성부 및 상기 채널개방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세척력이 향상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암에 다수의 세척수 유로(채널)가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하나의 분사암에 구비된 다수의 채널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유로전환부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분사암으로의 세척수 공급시 세척수 유입의 쏠림에 의한 분사암에의 세척수 공급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유로전환부의 승강 불안정에 의한 분사암에서의 세척수 분사 불균형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공급유로, 분사암, 유로전환부 및 챔버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분사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공급유로, 분사암, 유로전환부 및 챔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챔버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사암, 유로전환부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사암, 유로전환부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분사암, 챔버 및 유로전환부에서의 세척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터브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3, 터브 내부의 세척수를 회수하는 수단), 섬프의 상부에 위치하여 터브와 섬프를 구분하는 커버(15),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척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16)를 포함한다.
상기 섬프(13)는 섬프 급수유로(13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고, 섬프 내부의 세척수는 섬프 배수유로(133)를 통해 섬프의 외부로 배출되며, 후술할 분사암(5, 9)을 통해 터브(11)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는 커버(15)에 구비된 회수홀(151)을 통해 섬프(13)로 회수된다.
터브(11) 내부에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rack)이 구비되는데 상기 랙은 제1 랙(191), 제1 랙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랙(193)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편의상 제1 랙(191)은 상부랙, 제2 랙(193)은 하부랙으로 칭한다.
상부랙(191)과 하부랙(193)은 도어(16)가 세척공간을 개방한 때 터브(1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터브의 내주면에는 식기세척기의 후방면에서 도어(16)가 구비된 전방면을 향해 구비되는 레일(111)이 구비되고, 상부랙과 하부랙에는 레일(111)에 각 랙을 지지시키는 휠(1911, 19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되는 분사암은 터브(11)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랙(193)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하부암(9), 상부랙(191)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상부암(5), 상부암(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랙(191) 및 하부랙(193)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탑노즐(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암(9), 상부암(5) 및 탑노즐(4)은 급수펌프(18) 및 공급유로(2)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공급유로(2)는 암홀더(17)를 통해 하부암(9)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21), 탑노즐(4)과 상부암(5)에 연결된 제2 공급유로(23), 각 공급유로(21, 2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25)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펌프(18)는 임펠러(186)가 내부에 구비된 하우징(181), 하우징(181)을 섬프(13)와 연결하는 유입부(183), 하우징(181)과 공급유로 전환밸브(25)를 연결하는 배출부(182), 하우징(181)의 외부에 구비되어 임펠러(186)를 회전시키는 모터(187)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87)에 전력이 공급되어 임펠러(186)가 회전하면, 섬프(13)에서 하우징(181)으로 유입된 물은 배출부(182)를 통해 공급유로 전환밸브(25)로 이동하고, 공급유로 전환밸브(25)에 공급된 물은 공급유로 전환밸브(25)에 의해 개방되는 공급유로(21, 23)를 따라 분사암(5, 9)이나 탑노즐(4)에 공급된다.
공급유로 전환밸브(25)는 각 공급유로(21, 23)가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공급유로 전환밸브(25)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100)는 하부랙(19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부랙(191)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워유로(3), 하부암(9) 내부의 수압에 따라 하부암(9)에서 인출되어 상기 타워유로(3)에 연결(상기 타워유로(3)에 세척수를 공급)되는 타워착탈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암(5, 9)의 자세한 구조 및 세척수 분사과정은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분사암, 유로 전환부, 챔버 구조 및 세척수 분사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제2 공급유로, 분사암, 유로전환부, 챔버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분사암의 사시도, 도 4는 제2 공급유로, 분사암, 유로가이더 및 유로전환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세척수가 구분되어 유동하는 다수의 채널 및 각 채널로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대상 방향으로 배출되는 분사홀(511)을 구비한 분사암(5)과 상기 다수의 채널과 연통하는 챔버(55)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암(5)은 상부바디(51)와 하부바디(53)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암(5)을 관통하여 상기 챔버(55)에 연통하는 유로가이더(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가이더(6)는 착탈관(611)을 통해 제2 공급유로(23)에 연결되어 상기 챔버(55) 내부에 세척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55)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로전환부(8)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부(8)는 상기 챔버(55)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하며 상기 분사암(5)의 일부 채널만을 개방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 분사암(5)의 구조 및 유로전환부(8)에 의한 상기 분사암(5)으로의 세척수 공급과정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암(5)은 분사홀(511)이 구비된 상부바디(51), 상부바디(51)의 하부에 구비되되 세척수가 구분되어 유동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채널(531)이 구비된 하부바디(53), 상기 하부바디(53)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다수의 채널에 연통하는 챔버(55)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바디(53)의 내부에는 제1 채널(5331)과 제2 채널(5333)을 형성하는 격벽(531)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바디(53)는 상기 각 채널을 상기 챔버(55)와 연통시키는 챔버연통홀(535)이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바디(51)와 하부바디(53)는 유로가이더(6)가 관통하는 유로가이더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챔버연통홀(535)은 상기 유로가이더 관통홀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홀(511)은 상부바디(51)의 상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분사홀(511)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배출각이 상부바디의 상부면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세척수의 배출각이 상부바디(51)의 상부면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분사홀(511)이 구비되면 분사홀(511)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될 때 반발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분사암(5)을 착탈관(6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시키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도 분사암(5)의 회전이 가능하여 세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55)의 내부에는 수직방향 직선왕복운동 및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챔버연통홀(535) 중 일부만을 개방시키는 유로전환부(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챔버(55)는 상기 분사암(5)의 하부바디(53)의 하부에 구비되는 세척수 유동 공간인 상기 챔버연통홀(535)이 그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바디(53)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챔버바디(55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55)내부에는 상기 유로전환부(8)가 일정한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유로가이더(6)를 통해 상기 챔버(55)로 유입된 세척수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부(55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로가이더(6)는 상기 제2 공급유로(2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착탈관(61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가이더(6)는 일단은 상기 착탈관(6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챔버(55)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상부바디(51)와 하부바디(53)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중공관(61), 상기 중공관(61)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챔버(55) 내부로 배출시키는 토출홀(6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공관(61)은 일측이 상기 분사암(5)의 상부바디(51)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55)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 이격되는 높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홀(63)은 상기 중공관(61)의 타측 끝단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바디(8)는 상기 전환부바디(8)가 상기 중공관(6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관 삽입홀(811)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홀(63)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토출되는 세척수의 압력 및 부력에 의해 상기 중공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챔버 및 유로전환부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챔버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사암, 유로전환부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사암, 유로전환부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55)는 상기 하부바디(53)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챔버바디(551), 상기 챔버바디(551)의 하면으로 상기 유로전환부(8)가 일정한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챔버(55)로 유입된 세척수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세척수 저장부(55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55)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중공관(61) 내부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배출가이더(55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에는 상기 챔버(55)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저장수 배출홀(554)이 마련되고, 상기 챔버(55)의 바닥면에는 잔수제거를 위한 잔수배출홀(55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는 상기 중공관(61)의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챔버(55)의 내주면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챔버(55)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홀(63)로부터 토출된 세척수가 상기 챔버(55)의 바닥면에 부딪힌 후 발생된 수압(반발력)에 의해 상기 유로전환부(8)가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챔버(55)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의 수압이 불균일하지 못하면 상기 유로전환부(8)가 편측으로 기울어져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는 이러한 챔버(55) 내부의 수압 불균일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토출홀(63)에서 토출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되면서 세척수의 수압은 균일해 질 수 있다.
득,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에서 소정높이로 세척수가 저장되면 상기 유로전환부(8)는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에 저장된 세척수에서 발생된 부력에 의해 상기 중공관(61)의 높이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에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이 중단될 경우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에 세척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수 배출홀(5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수 배출홀(554)은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의 일측이 소정길이 개방되어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가 상기 챔버(55)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챔버(55)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중공관(61)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공관(61)을 유동하는 세척수를 상기 챔버(55) 내부 공간으로 배분하는 배출가이더(55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착탈관(611)의 일측 끝단은 상기 유로가이드(6)와 연결되기 위하여 굴곡된 형태의 굴곡관으로 형성되고, 이때 상기 착탈관(611) 내부를 수평으로 유동하는 세척수는 상기 착탈관(611)의 굴곡된 끝단에서 관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유속이 빨라지는 구역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관(611)과 연결되는 유로가이더(6)의 내부로 유속 분포가 불균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챔버(55)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 유동이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유로전환부(8)의 하측으로 가해지는 수압이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아 유로전환부(8)가 편측으로 기울어져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분사암(5)의 챔버연통홀(535)로의 세척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상기 챔버(55)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중공관(61) 내부로 소정 높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배출가이더(55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더(555)는 상기 중공관(61) 내부를 유동하는 세척수를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챔버(55) 내부로 세척수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더(555)는 챔버(55)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원뿔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중공관(61)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더(555)가 원뿔형상으로 구비될 경우 배출가이더(555)의 빗변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된 섬프 내부의 세척수는 급수펌프(18)를 통해 제2 공급유로(23), 착탈관(611), 중공관(61) 및 토출홀(63)을 거쳐 챔버(55)로 공급되고, 상기 중공관(6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배출가이더(555)의 안내를 받아 토출홀(63)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공관(6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배출가이더(555)에 의해 균일하게 챔버(55)로 유입되고, 상기 세척수 저장부(553)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되면서 수압이 일정하게 되며, 상기 유로전환부(8)는 일정한 부력을 받게 된다.
한편, 상기 챔버(55)에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이 중단된 때 챔버(55) 내부에 세척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잔수배출홀(55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출홀(559)은 상기 챔버(55)를 관통하는 개구부로 상기 챔버(55)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될 때 챔버(55) 내부의 압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수배출홀(559)은 상기 챔버(55)의 바닥면에서 상기 챔버(55)의 높이방향으로 소정높이 개구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유로전환부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유로전환부(8)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의 전환부바디(81), 상기 전환부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관(61)이 삽입되는 중공관 삽입홀(811)을 포함한다.
상기 전환부바디(81)는 상면에 상기 챔버(55)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5)의 챔버연통홀(535)으로 공급하는 채널개방홀(813)과 상기 채널개방홀(813)에 이웃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환부바디(81)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형성부(8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개방홀(813)은 상기 전환부바디(81)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채널개방홀(813)과 부력형성부(815)는 상기 전환부바디(81) 상면에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형성부(815)는 상기 챔버(55) 내부의 세척수 저장부(553)에 저장된 세척수로부터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수평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8)는 상기 중공관(61)에 의해 챔버(55)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상기 부력형성부(815)에 의해 챔버(55)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챔버(55)로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챔버(55)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도록 세척수의 수압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로전환부(8)는 상기 챔버(55)의 상부방향으로 이동 시 소정각도 회전하여 다수의 챔버연통홀(535) 중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가이더(6)의 토출홀(63)은 상기 전환부바디(81)의 내부(전환부바디의 상부면과 챔버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채널개방홀(813)은 하부바디(53)에 구비된 다수의 챔버연통홀(535) 중 일부만을 개방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채널개방홀의 갯수와 상기 챔버연통홀의 갯수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는데 도 6 내지 도 8은 하부바디(53)에 90도 이격되어 구비되는 4개의 챔버연통홀(535)이 구비되고, 전환부바디(81)에 2개의 채널개방홀(813)과 2개의 부력형성부(815)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2개의 채널개방홀(813)은 서로 이웃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180도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자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함).
상기 채널개방홀(813)은 상기 전환부바디(81)의 상면에 생성된 개구부로 상기 전환부바디(81)의 상면의 소정영역만 개구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환부 바디(81)의 상면으로부터 측면까지 연장되어 개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환부바디(81)가 후술할 상부치합부(57) 및 하부치합부(557)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할 때 마다 다수의 채널(5331, 5333) 중 일부 채널에만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챔버(55) 내부에 세척수가 없으면 상기 전환부바디(81)는 상기 챔버(55)의 하부치합부(557)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나 챔버(55)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상기 전환부바디(81)는 상기 중공관(61)의 안내를 받아 상기 챔버(55)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환부바디(81)는 챔버의 상부방향으로 이동 시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채널개방홀(813)이 다수의 챔버연통홀(535) 중 일부를 개방한다. 따라서, 급수펌프(18)및 제2 공급유로(23)를 통해 챔버(55)로 유입된 세척수는 분사암(5)에 구비된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5331 또는 5333)에만 공급될 것이다.
또한, 상기 챔버(55) 내부로 세척수 공급을 중단하면 상기 전환부바디(81)는 챔버(55)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하면서 회전하고, 상기 챔버로 세척수 공급이 재게되면 이전에 개방되지 않았던 챔버연통홀(535)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면서 챔버(55) 상부면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하나의 분사암(5)에 구비된 다수의 채널에 세척수를 교번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세척대상에 분사되는 세척수 분사각도의 다양화가 가능하므로 식기세척기의 세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환부바디(81)의 회전운동은 다양한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지만 도 6 내지 도 8은 전환부바디(81)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부돌기(831), 분사암(5)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상부치합부(57), 전환부바디(81)의 하부면에 구비된 하부돌기(833), 챔버(55)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부치합부(557)에 의해 전환부바디(81)가 회전하는 구조를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유로전환부(8)는 상기 중공관(61)의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관(61)의 직경보다 소정길이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공관 삽입홀(811), 상기 챔버(55)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전환부바디(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바디(81)는 상기 토출홀(63)을 통해 상기 챔버(55) 내부로 토출되는 세척수의 압력 및 부력에 의해 상기 중공관(61)의 높이 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바디(81)는 상기 중공관 삽입홀(811)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817)에 의해 상기 중공관(61)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다.
상기 중공관 삽입홀(811)이 상기 중공관(6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중공관(61)과 최소 공차만 가지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중공관(61)과의 마찰에 의하여 승강에 큰 힘이 필요하거나 승강이 안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공관 삽입홀(811)이 상기 중공관(61)에 비해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전환부바디(81)가 편측으로 기울어져 승강하거나 승강시 수직변위가 교번하며 변화되는 롤링(Rolling) 현상이 발생하여 상부치합부(57)에 제대로 안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관 삽입홀(811)에 상기 중공관(61)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지지돌기(817)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중공관(61)과 점접촉된 상태로 상기 전환부바디(81)가 승강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전환부바디(81)는 접촉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안정되게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로전환부(8)는 전환부바디(81)의 상부면에 상부돌기(83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돌기(831)는 상기 상부치합부(57)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831)가 상부치합부(57)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돌기(831)와 상부치합부(57)가 맞물리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환부바디(81)가 상기 상부치합부(57)에 제대로 안착되지 않아 상기 챔버연통홀(535)과 채널개방홀(813)이 동일한 면적으로 개방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돌기(831)는 상기 전환부바디(81)의 상기 부력형성부(815) 및 상기 채널개방홀(813)의 상측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831)가 서로 이웃하며 교번하여 위치되는 상기 전환부바디(81)와 상기 부력형성부(815)의 상측에 각각 형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돌기(831)는 상기 상부치합부(57)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로전환부(8)는 전환부바디(81)의 하부면에 하부돌기(8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돌기(833)는 상기 유로전환부(8)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55) 바닥면에 구비되는 상기 하부치합부(557)에 치합하여 상기 회전바부바디(8)를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돌기(833)는 상기 하부치합부(557)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유로전환부(8)의 제1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로전환부(8)는, 상기 전환부바디(8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만을 개방시키는 채널개방홀(813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암(5)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치합부(57)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상부돌기(83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5)의 하부바디(53)는 개구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기 챔버연통홀(535)과 상기 챔버연통홀(535)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치합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치합부(57)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선의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돌기(831a)는 상기 상부치합부(57)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환부바디(81)의 상면과 상기 채널개방홀(813a)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개방홀(813a)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상부돌기(831a)는 상기 부력형성부(815)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상부돌기(831a)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나 상기 채널개방홀(813a)에서 토출되는 세척수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내부는 중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돌기(831a)는 상기 상부치합부(57)에 맞닿게는 안착부(8311a)와 상기 상부치합부(57)의 하측면과의 접촉이 시작되는 제1 접촉부(8313a)와 상기 상부치합부(57)의 접촉이 종료되는 제2 접촉부(83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831a)는 상기 전환부바디(81)의 회전방향을 따라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다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돌기(831a)는 상기 안착부(8311a)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8313a)로 높이가 증가하다 상기 제1 접촉부(8313a)에서 제2 접촉부(8315a)로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돌기(831a)는 상기 전환부바디(81)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8311a)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8313a)로 단면적의 높이가 증가하는 제1 경사면(8312a)과 상기 제1 접촉부(8313a)로부터 제2 접촉부(8315a)로 단면적의 높이가 감소하는 제2 경사면(8314a)을 구비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챔버(55)의 바닥으로 하강한 상기 전환부바디(81)가 상승하면 상기 상부돌기(831a)의 꼭지점인 상기 제1 접촉부(8313a)에서 상기 상부치합부(57)의 하측면과의 접촉이 시작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2 경사면(8314a)을 따라 상기 전환부바디(81)가 회전하며 상기 제2 접촉부(8315a)에서 상기 상부치합부(57)의 하측면과의 접촉이 완료된 후 상기 상부돌기(831a)가 상기 챔버연통홀(535)로 상승하며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8311a)가 상기 상부치합부(57)의 측면에 맞닿으면서 소정시간 안착되고, 상기 유로전환부(8)의 채널개방홀(813)과 상기 분사암(5)에 구비된 상기 챔버연통홀(535)이 대응되게 개방되면서 상기 챔버(55) 내부의 세척수가 상기 분사암(5)의 복수개의 채널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돌기(831a)의 개수를 상기 상부치합부(57)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함에 따라 상기 상부치합부(57)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상부돌기(831a)와 상부치합부(57)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상기 채널개방홀(813a)의 상측으로는 형성되는 상부돌기(831a)는 상기 제1 경사면(8312a) 및 제2 경사면(8314a)을 프레임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돌기(831a)는 상기 채널개방홀(813)로 토출되는 세척수의 토출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상부치합부(57)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개방홀(813a)의 상측으로는 형성되는 상부돌기(831a)에 의해 상기 채널개방홀(813a)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유로전환부(8)의 제2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분사암(5)과 상부치합부(57)의 구조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유로전환부(8)는 상기 분사암(5)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치합부(57)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상부돌기(831b)와 상기 전환부바디(8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만을 개방시키는 채널개방홀(81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개방홀(813b)은 상기 유로전환부(8)의 상면에서 측면까지 연장되어 개부됨에 따라 상기 채널개방홀(813b)을 통한 세척수 토출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돌기(831b)는 상기 상부치합부(57)에 맞닿게는 안착부(8311b)와 상기 상부치합부(57)의 하측면과의 접촉이 시작되는 제1 접촉부(8313b)와 상기 상부치합부(57)의 접촉이 종료되는 제2 접촉부(831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831b)는 상기 전환부바디(81)의 회전방향을 따라 높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다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돌기(831b)는 상기 안착부(8311b)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8313b)로 높이가 증가하다 상기 제1 접촉부(8313b)에서 제2 접촉부(8315b)로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돌기(831b)는 상기 안착부(8311b)와 상기 중공관 삽입홀(811)과의 이격거리(a)가 상기 제2 접촉부(8315b)와 상기 중공관 삽입홀(811)과의 이격거리(b)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부(8)의 회전방향(R)을 따라 상기 상부돌기(831b)의 단면적의 폭이 점차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로전환부(8)의 회전에 따라 토크가 점차 감소하여 상기 상부돌기(831b)와 상부치합부(57)와의 마찰력이 줄어들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유로전환부(8)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안착부(8311b)까지의 반경(r1)보다 상기 유로전환부(8)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접촉부(8315b)까지의 반경(r2)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전환부(8)의 토크는 상기 제2 접촉부(8315b)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돌기(831b)와 상기 상부치합부(57)의 개수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전환부바디(81)가 상승할 수 있고, 또한 회전에 따른 마찰력이 감소되면서 상기 상부돌기(831b)가 상기 상부치합부(57)에 안착하기 용이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부(8)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기 상부돌기(831b)와 상부치합부(57)와의 치합되는 거리가 점차적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상부돌기(831b)가 회전하면서 상부치합부(57)에 안착되는 위치를 찾아들어갈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상부치합부(57)에 안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유로전환부(8)의 제3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유로전환부(8)는 상기 분사암(5)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치합부(57)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상부돌기(831c)와 상기 전환부바디(8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만을 개방시키는 채널개방홀(81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돌기(831c)는 상기 상부치합부(57)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돌출부만 구비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기술된 상부돌기의 제1 경사면, 제1 접촉부, 제2 경사면 및 제2 접촉부에 대응되는 경사면(571)형상이 상기 상부치합부(57)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돌기(831c)의 돌출부는 전환부바디(81)가 상부치합부(57)로 이동할 때 상부돌기(831c)의 돌출부가 상부치합부(57)의 경사면(571)에 접촉한 뒤 상부치합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돌기(831c)에 형성된 돌출부만 상기 상부치합부(57)에 점접촉되므로 상기 상부돌기(831c)에서의 발생되는 마찰력을 줄여 상부돌기(831c)의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유동을 설명하고자 한다.
세척수 공급부(급수펌프(18)와 제2 공급유로(23))로부터 상기 유로가이더(6)를 통하여 챔버(55)로 세척수가 유입된다.
상기 챔버(55)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중공관(61) 내부로 소정높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배출가이더(555)에 의해 상기 중공관(61)을 유동하는 세척수는 분산되어 상기 챔버(55)에 균일하게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55)의 바닥에 구비된 세척수 저장부(553)에 의해 상기 챔버(55)로 유입된 세척수가 소정시간 저장되면서 상기 챔버(55) 내부의 세척수 높이가 일정해 지고 상기 유로전환부(8)를 상승시키는 부력 역시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8)는 상기 챔버(55)로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챔버(55)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치합부(557)에 의해 지지되다가 상기 챔버(55)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상기 중공관(61)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유도전환부(8)의 채널개방홀(813)이 180도 이격된 위치에 2개 구비되고, 분사암(5)에 90도 간격으로 4개의 챔버연통홀(535)이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8)는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돌기(831)의 경사면이 상부치합부(57)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환부바디(81)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전환부(8)는 하강 하면서 상기 하부돌기(833)의 경사면이 하부치합부(557)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환부바디(81)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전환부(8)는 하강하면서 상기 하부돌기(833)와 상기 하부치합부(557)의 치합에 의해 45도 회전하고 상부돌기(831)가 상기 상부치합부(57)에 치합될 때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45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챔버연통홀(535)이 한번 승강시 90도로 회전하는 상기 유로전환부(8)에 의해 순차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유로전환부(8)의 채널개방홀(813)이 180도 이격되어 형성될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8)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챔버연통홀(535)이 개방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유로전환부(8)에 의한 상기 챔버연통홀(535)의 개방과 폐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이웃하는 챔버연통홀(535)을 단면으로 도시된 것이다.
상술한 세척수 분사를 위한 챔버(55), 유로가이더(6) 및 유로전환부(8)의 구조는 하부암(9)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분사암(6)의 상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하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다만 상술대로 실시예와 달리 분사암(6)의 하부로 세척수를 공급할 경우에는 유로가이더(6)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식기세척기 1: 캐비닛 2: 공급유로
3: 타워유로 4: 탑노즐 5: 분사암(상부암)
51: 상부바디 53: 하부바디 5331: 제1채널
5333: 제2채널 535: 챔버 연통홀 55: 챔버
553: 세척수 저장부 555: 배출가이더 557: 하부치합부
57: 상부치합부 6: 유로가이더 61: 중공관
611: 착탈관 8: 유로전환부 81: 전환부바디
811: 중공관 삽입홀 813: 채널개방홀 815: 부력형성부
817: 지지돌기 831: 상부돌기 833: 하부돌기
9: 하부암 18: 급수펌프 2, 18: 세척수 공급부

Claims (26)

  1.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구분되어 유동하는 다수의 채널 및 각 채널로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대상 방향으로 배출되는 분사홀을 구비한 분사암;
    상기 다수의 채널과 연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는 격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척수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분사암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유로가이더;
    상기 유로가이더를 통해 상기 챔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유로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전환부바디, 상기 전환부바디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만을 개방시키는 채널개방홀, 상기 채널개방홀과 이웃하여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 저장된 세척수에 의해 부력을 받아 상기 전환부바디를 승강시키는 부력형성부, 상기 부력형성부 및 상기 채널개방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사암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치합부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상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더는
    일측이 상기 분사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환부바디를 관통하며 상기 분사암에서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 이격되는 높이까지 연장되는 중공관; 및
    상기 중공관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로 세척수를 배출하는 토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중공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공관을 유동하는 세척수를 상기 챔버 내부 공간으로 배분하는 배출가이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가이더의 중심은 상기 중공관의 중심과 일치하게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중공관 내부로 소정높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뿔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바디는 상기 전환부바디가 상기 중공관의 외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공관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 및 부력에 의해 상기 중공관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바디는 상기 중공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상기 중공관 삽입홀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상부치합부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바디에는 상기 부력형성부와 상기 채널개방홀이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상부치합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상부치합부의 하측면과의 접촉이 시작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상부치합부의 접촉이 종료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전환부바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로 단면적의 높이가 증가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제2 접촉부로 단면적의 높이가 감소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중공관 삽입홀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중공관 삽입홀과의 이격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전환부바디의 상면에 소정높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치합부는 상기 상부돌기가 상기 전환부바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치합부에 안착될 수 있는 상부치합부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는 하부치합부;
    상기 전환부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치합부에 치합하여 상기 전환부바디를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하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상기 챔버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소정시간 저장하여 상기 유로전환부의 승강을 위한 균일한 부력을 형성시키는 세척수 저장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상기 중공관의 외경보다 더 크고, 상기 챔버의 내주면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는 상기 챔버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저장수 배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챔버를 외기와 연통시키는 잔수배출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구분되어 유동하는 다수의 채널 및 각 채널로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대상 방향으로 배출되는 분사홀을 구비한 분사암;
    상기 다수의 채널과 연통하는 챔버;
    상기 분사암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유로가이더;
    상기 유로가이더를 통해 상기 챔버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하는 유로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유로전환부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다수의 채널 중 일부 채널만을 개방시키는 채널개방홀 및 상기 채널개방홀과 이웃하여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전환부를 승강시키는 부력형성부를 구비하는 전환부바디와, 상기 분사암의 하측에 형성된 상부치합부에 슬라이딩 안착되고 상기 상부치합부의 개수에 대응되어 상기 부력형성부 및 상기 채널개방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더는
    일측이 상기 분사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환부바디를 관통하며 상기 분사암에서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서 소정높이 이격되는 높이까지 연장되는 중공관; 및
    상기 중공관의 타측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챔버로 세척수를 배출하는 토출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는 격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세척수를 소정시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는 세척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저장부는 상기 중공관의 외경보다 더 크고, 상기 챔버의 내주면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저장부에는 상기 챔버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저장수 배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상부치합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상부치합부의 하측면과의 접촉이 시작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상부치합부의 접촉이 종료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전환부바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1 접촉부로 단면적의 높이가 증가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제2 접촉부로 단면적의 높이가 감소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전환부바디가 상기 중공관의 외측에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중공관 삽입홀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중공관 삽입홀과의 이격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는 상기 전환부바디의 상면에 소정높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치합부는 상기 상부돌기가 상기 전환부바디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치합부에 안착될 수 있는 상부치합부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40089910A 2014-07-16 2014-07-16 식기세척기 KR102288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10A KR102288086B1 (ko) 2014-07-16 2014-07-16 식기세척기
US14/794,221 US10226160B2 (en) 2014-07-16 2015-07-08 Dishwasher
EP15176426.3A EP2974644B1 (en) 2014-07-16 2015-07-13 Dishwasher
CN201510419720.6A CN105286745B (zh) 2014-07-16 2015-07-16 洗碗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10A KR102288086B1 (ko) 2014-07-16 2014-07-16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403A true KR20160009403A (ko) 2016-01-26
KR102288086B1 KR102288086B1 (ko) 2021-08-10

Family

ID=53673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910A KR102288086B1 (ko) 2014-07-16 2014-07-16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26160B2 (ko)
EP (1) EP2974644B1 (ko)
KR (1) KR102288086B1 (ko)
CN (1) CN10528674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1521B2 (en) 2016-02-11 2017-10-31 Yedo Choi Bowl-type dish washer
WO2018124650A1 (ko) * 2017-01-02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6555B2 (en) 2015-12-21 2021-06-0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Dishwasher comprising a wash arm arrangement
CN109414149B (zh) 2016-07-08 2022-03-22 伊莱克斯电器股份公司 洗涤臂组件和洗碗机
KR102622707B1 (ko) * 2016-08-29 202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TR201615841A2 (tr) 2016-11-07 2018-05-21 Arcelik As Su tüketi̇mi̇ azaltilan bi̇r bulaşik maki̇nasi
TR201617609A2 (tr) 2016-12-01 2018-06-21 Arcelik As Akiş yönlendi̇ri̇ci̇li̇ pervane i̇çeren bulaşik maki̇nasi
KR102394268B1 (ko) * 2017-03-22 2022-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N109394111B (zh) * 2017-08-18 2024-01-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
EP3703547B1 (en) 2017-10-31 2024-03-1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pray arm assembly
WO2019086107A1 (en) 2017-10-31 2019-05-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ash arm assembly
CN110269562A (zh) * 2018-03-16 2019-09-24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喷淋结构
CN110664346A (zh) * 2018-07-02 2020-01-1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喷淋装置
WO2020136256A1 (en) 2018-12-27 2020-07-02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N111864573B (zh) * 2020-08-18 2022-03-11 陈源洋 一种居民用室外配电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596A (ko) * 2011-05-12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40039747A (ko) * 2012-09-25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772B1 (ko) 2009-08-13 2010-02-23 김준호 식기 세척기용 온수공급장치의 세정장치 및 방법
US9462924B2 (en) * 2011-05-12 2016-10-11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KR101909028B1 (ko) 2012-04-23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3654666B (zh) 2012-09-19 2016-08-10 Lg电子株式会社 洗碗机
GB2506227B (en) 2012-09-19 2015-07-29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KR101964646B1 (ko) 2012-09-25 2019-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596A (ko) * 2011-05-12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40039747A (ko) * 2012-09-25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1521B2 (en) 2016-02-11 2017-10-31 Yedo Choi Bowl-type dish washer
WO2018124650A1 (ko) * 2017-01-02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180079697A (ko) * 2017-01-02 201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U2017389240B2 (en) * 2017-01-02 2020-11-05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11457792B2 (en) 2017-01-02 2022-10-04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15241A1 (en) 2016-01-21
EP2974644B1 (en) 2017-08-30
KR102288086B1 (ko) 2021-08-10
US10226160B2 (en) 2019-03-12
CN105286745A (zh) 2016-02-03
CN105286745B (zh) 2018-03-09
EP2974644A1 (en)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9403A (ko) 식기세척기
KR101667589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EP2522268B1 (en) Dishwasher
KR101764293B1 (ko) 식기 세척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150142948A (ko) 식기세척기
EP2710946A2 (en) Dishwashing machine
KR20160149675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9932702B2 (en) Washing machine
KR10124704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에어 브레이크
KR102431199B1 (ko) 식기세척기
CN110811340A (zh) 一种具备自清洁功能的蒸箱
CN105133250A (zh) 一种洗衣机上盖及洗衣机
KR101769378B1 (ko) 식기세척기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EP3703544B1 (en) Fan-shaped spray detergent nozzle
KR20170010550A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101769377B1 (ko) 식기세척기
JP4947071B2 (ja) 食器洗い機
CN203546433U (zh) 喷淋装置及滚筒洗衣机
KR101943323B1 (ko) 식기 세척기
KR20170010549A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20170010563A (ko) 식기세척기
JP2006175156A (ja) 食器用ラック
JP2011224233A (ja) 食器洗い機
CN219846476U (zh) 一种家用用水设备的分水器和家用用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