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0563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0563A
KR20170010563A KR1020150102344A KR20150102344A KR20170010563A KR 20170010563 A KR20170010563 A KR 20170010563A KR 1020150102344 A KR1020150102344 A KR 1020150102344A KR 20150102344 A KR20150102344 A KR 20150102344A KR 20170010563 A KR20170010563 A KR 20170010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hamber
washing water
wash water
arm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0563A/ko
Publication of KR2017001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세척수가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세척대상에 분사하는 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암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물을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분사하여 세척대상에 잔류하는 오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종래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분사암은 터브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경우 세척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데, 종래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분사암은 배출구를 통해 분사암에서 랙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반동(reaction)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였다.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분사암을 회전시키면, 분사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모터나 기어 등)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세척수의 반동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분사암은 분사암을 회전시키는 토크가 작은 단점이 있다. 분사암의 토크가 작으면, 분사암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분에 이물질이 잔류할 경우 분사암이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사암 내부로 이물질이 이동할 경우 분사암에 구비된 배출구가 막힐 수 있고, 이로 인해 분사암이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면 분사암의 토크를 크게 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세척대상이 없는 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큰 토크로 회전하는 분사암이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암과 분사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사이에 위치된 이물질에 의해 분사암의 회전이 중단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암에서 세척대상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반동이 아니라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암 내부의 세척수를 분사암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중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분사암의 회전을 유지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세척수가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세척대상에 분사하는 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암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와 충돌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암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로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암 바디; 및 상기 암 바디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암 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암 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로가 구비되는 지지부 바디; 상기 암 바디를 상기 지지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 상기 지지부 바디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며, 세척수가 상기 동력발생부를 향해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암 바디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지점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지지부와 상기 섬프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공급유로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챔버; 상기 공급유로에 연통하며,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상기 공급유로로 이동시키는 임펠러;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열전달부;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열전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동력발생부에 의해 상기 암 바디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암 바디가 회전되도록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큰 토크로 회전하는 분사암이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암과 분사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사이에 위치된 이물질에 의해 분사암의 회전이 중단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암에서 세척대상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반동이 아니라 분사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회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암 내부의 세척수를 분사암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중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분사암의 회전을 유지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분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분사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암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상기 세척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3), 상기 분사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펌프(8)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수납되는 랙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랙은 제1랙(191), 상기 제1랙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랙(19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는 도어(16)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브(11)를 개방한 뒤 각 랙(191, 193)을 상기 터브(11)에서 인출하거나 상기 터브(11)로 상기 각 랙을 삽입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펌프(8)는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부(3)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섬프(13)는 급수원(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분사부(3)를 통해 터브(11) 내부에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3)는 상기 터브(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섬프 커버(15)에 의해 터브(11)와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섬프(13)는 급수원과 연결된 급수유로(135)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섬프 커버(15)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회수홀(151)을 통해 터브(11) 내부의 세척수를 섬프(13)로 회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135)는 급수밸브(13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는 배수유로(137) 및 배수펌프(139)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랙이 제1랙(191)과 제2랙(193)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분사부(3)는 상기 제1랙(191)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제2랙(193)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3)는 공급유로(7)를 통해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받는데, 상기 공급유로(7)는 펌프(8)에 연결된 연결유로(77), 상기 연결유로(77)와 상기 제1랙(191)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연결하는 제1공급유로(71), 상기 연결유로(77)와 제2랙(193)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연결하는 제2공급유로(73)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공급유로(71)와 상기 제2공급유로(73)는 연결유로(77)가 분지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공급유로(71)와 상기 제2공급유로(73)의 분지점에는 각 공급유로(71, 73)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환밸브(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8)는 펌프 바디(81), 상기 펌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섬프(13)에 연통하는 제1챔버(83), 상기 제1챔버에 연통하며 상기 연결유로(77)에 연통하는 제2챔버(85),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는 임펠러(87, impelle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83)와 제2챔버(85)는 상기 펌프 바디(81) 내부에 구비된 격벽(811)에 의해서 서로 구분되는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통시키는 격벽관통홀(813)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챔버(83)는 챔버 유입구(831)를 통해서 상기 섬프(13)에 연결되고, 상기 제2챔버(85)는 챔버 배출구(851)를 통해서 상기 연결유로(77)에 연결된다.
상기 임펠러(87)는 펌프 바디(81)의 외부에 위치한 구동부(89)에 의해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가 회전하면 섬프(13) 내부의 세척수는 제1챔버(82)로 유입되고, 제1챔버로 유입된 세척수는 격벽관통홀(813)을 통해서 제2챔버(85)로 유입된 뒤 챔버배출구(851)를 통해서 연결유로(77)로 공급된다.
상기 제1챔버(83)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제1챔버(83)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열전달부(881), 상기 열전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88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883)는 상기 열전달부(881)에 고정되어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며, 전류가 공급되면 발열하는 발열체로 구비될 수 있다.
종래 식기세척기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가 세척수를 저장하는 챔버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식기세척기의 제어부는 히터가 세척수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챔버 내부의 수위를 제어해야만 히터의 과열을 막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챔버(83)의 바닥면 전체가 열전달부(881, 전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달부는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된 가열부(883)에 의해 가열되므로 제1챔버 내의 수위를 제어하지 않아도 본 발명은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3)는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암(35), 상기 암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암(35)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지지부(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는 공급유로(7)에 연결된다. 즉, 제1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는 제1공급유로(71)에 연결되고, 제2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는 제2공급유로(73)에 연결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1)는 유로(312)가 구비된 지지부 바디(311), 상기 지지부 바디(311)를 상기 공급유로(7)에 고정시키는 착탈부(313), 상기 암(3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체결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35)은 상기 체결부(315)를 통해 상기 지지부 바디(311)에 결합하는 암 바디(351), 상기 암 바디(351)로 세척수를 유입시키는 유입부(353), 상기 암 바디(351)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암 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통홀(3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암 바디(351)에는 지지부 바디의 유로(312)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35)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5)는 지지부(31)에서 상기 암(35)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35)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동력발생부의 일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상기 동력발생부(5)가 암(53)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51)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유로(312) 및 상기 유입부(353)을 거쳐 암 바디(351)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상기 돌출부(51)에 충돌한 뒤 암 바디(351)의 양단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암(35)은 상기 암 바디(351)로 세척수가 공급되기만 하면 회전할 수 있다.
도 3(a)의 동력발생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51)가 암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면 충분하고, 각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규칙적으로 구비(동일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불규칙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동력발생부가 하나의 돌출부로 구비되면 암(35)의 회전각도에 따라 돌출부의 위치가 달라질 것이므로, 동력발생부가 하나의 돌출부로 구비된 분사암은 돌출부의 위치에 따라 세척수가 암 바디(351)로 유입됨에도 암 바디(351)가 즉각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51)는 암 바디(351)의 각도에 상관없이 암 바디(351)로 세척수가 유입되기만 하면 암(35)이 즉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도 3(b)는 상기 동력발생부가 암 바디(35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되 상기 암바디의 회전중심(C)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진 두 개의 돌출부(53)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각 돌출부(53)는 암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180도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분사부(3)는 상기 지지부(31)에서 암 바디(351)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암 바디(351)가 회전하므로 암 바디(351)에서 세척대상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반동에 의해 회전하는 암 바디(351)에 비해 큰 토크를 암 바디(351)에 공급할 수 있다.
암 바디(351)로 유입된 세척수가 관통홀(357)까지 이동하는 동안 세척수가 가진 운동에너지 중 일부는 상실된다. 따라서, 세척대상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반동에 의해 회전하는 암 바디(351)에 공급되는 토크는 본 발명에 구비된 암 바디(351)에 공급되는 토크보다 작을 수 밖에 없다.
상기 암 바디(351)가 큰 토크를 공급받게 되면, 체결부(315)에 잔류하는 이물질에 의해 암 바디(351)가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홀(357) 중 일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암 바디(351)가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한편, 세척수의 반동에 의해 회전하는 암 바디에 큰 토크를 제공하려면 세척수의 분사각도를 조절해야만 한다. 그런데, 암 바디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분사각도는 암 바디에서 배출된 세척수가 세척대상에 공급되는 범위 내에서 조절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즉, 세척수의 반동에 의해 암 바디에 토크를 제공하는 분사부는 암 바디에 큰 토크를 공급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구비된 암 바디(351)는 동력발생부(5)만으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3591)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분사방향이 세척대상에 집중되도록 하여 세척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동력발생부(5)가 도 3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암 바디(351)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상기 암의 회전중심(C)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유입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 바디(351)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암의 회전중심(C)으로 유입되는 것보다 각 돌출부(51 또는 53)의 자유단에 충돌하도록 유입되는 것이 암 바디(351)를 회전시키는데 유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분사부(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부(3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17)는 상기 지지부 바디(311)와 체결부(315) 사이에 위치하여 유로(312)를 따라 이동하는 세척수가 암의 회전중심(C)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분사부(3)는 상기 암 바디(351) 내부에서 암 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 바디(351)를 회전시키는 노즐(3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359)은 암 바디의 관통홀(357)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분사방향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상기 노즐(359)에는 동력발생부에 의해 상기 암 바디(351)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암 바디(351)가 회전되도록 하는 배출구(359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터브 13: 섬프
135: 급수유로 137: 배수유로 151: 회수홀
16: 도어 191: 제1랙 193: 제2랙
3: 분사부 31: 지지부 311: 지지부 바디
312: 유로 313: 착탈부 315: 체결부
317: 경사부 35: 암 351: 암 바디
353: 유입부 357: 관통홀 359: 노즐
3591: 배출구 5: 동력발생부 7: 공급유로
8: 펌프 81: 펌프 바디 811: 격벽
813: 격벽관통홀 83: 제1챔버 831: 챔버 유입구
85: 제2챔버 851: 챔버 배출구 87: 임펠러
89: 구동부 88: 히터

Claims (9)

  1.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세척수가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세척대상에 분사하는 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암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암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와 충돌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암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로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암 바디; 및 상기 암 바디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암 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암 바디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로가 구비되는 지지부 바디;
    상기 암 바디를 상기 지지부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
    상기 지지부 바디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며, 세척수가 상기 동력발생부를 향해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암 바디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지점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4항에 있어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지지부와 상기 섬프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공급유로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1챔버;
    상기 공급유로에 연통하며, 상기 제1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상기 공급유로로 이동시키는 임펠러;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열전달부;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열전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동력발생부에 의해 상기 암 바디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암 바디가 회전되도록 세척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50102344A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KR20170010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44A KR20170010563A (ko)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44A KR20170010563A (ko)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63A true KR20170010563A (ko) 2017-02-01

Family

ID=5810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344A KR20170010563A (ko)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05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6399A (zh) * 2021-01-07 2021-05-2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控制方法、处理器、装置、洗碗机以及介质
CN113693533A (zh) * 2021-08-30 2021-11-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及其清洗控制方法及喷臂清洗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6399A (zh) * 2021-01-07 2021-05-2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控制方法、处理器、装置、洗碗机以及介质
WO2022148436A1 (zh) * 2021-01-07 2022-07-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控制方法、处理器、装置、洗碗机以及介质
CN113693533A (zh) * 2021-08-30 2021-11-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及其清洗控制方法及喷臂清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284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871270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9259137B2 (en) Mid-level spray arm assembly for dishwasher appliances
KR101667589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712913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10925461B2 (en) Dishwasher
KR102487867B1 (ko) 식기세척기
KR102366455B1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102570191B1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20170010563A (ko) 식기세척기
KR102352392B1 (ko) 식기세척기
EP3329827B1 (en) Dishwasher
US9307886B2 (en) Indexing passive diverter for an appliance
EP3598929B1 (en) Dishwasher
KR102390030B1 (ko) 식기세척기
KR102674532B1 (ko) 식기세척기
KR102390031B1 (ko) 식기세척기
US10912440B2 (en) Dishwasher
US20230284861A1 (en) Systems for liquid diversion in appliances
KR102394268B1 (ko)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503946B1 (ko)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