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392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392B1
KR102352392B1 KR1020150102345A KR20150102345A KR102352392B1 KR 102352392 B1 KR102352392 B1 KR 102352392B1 KR 1020150102345 A KR1020150102345 A KR 1020150102345A KR 20150102345 A KR20150102345 A KR 20150102345A KR 102352392 B1 KR102352392 B1 KR 10235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ump
connection part
bas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564A (ko
Inventor
이상수
박동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392B1/ko
Priority to EP16827995.8A priority patent/EP3324814B1/en
Priority to PCT/KR2016/007650 priority patent/WO2017014491A1/en
Priority to US15/742,669 priority patent/US10820778B2/en
Publication of KR2017001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9Insulation arrangements, e.g. for sound damping or heat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터브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베이스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펌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에 거치 된 상기 펌프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장치이다.
종래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종래 식기세척기는 펌프에서 발생된 진동을 차단하는 장치가 없어 상기 펌프에서 발생한 진동이 캐비닛이나 터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소음과 진동을 유방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독일 특허공보 DE000001628488A0 (1970.04.2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펌프에서 발생한 진동이 캐비닛이나 터브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터브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베이스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펌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며, 상기 펌프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에 거치 된 상기 펌프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한부는 상기 펌프의 수직방향 이동과 상기 펌프의 수평방향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펌프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와 상기 지지바디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연결부를 지지하는 제1제한부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제2연결부를 지지하는 제2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1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2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의 자유단은 상기 제1연결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의 자유단은 상기 제2연결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1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2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일단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지지바디에 지지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섬프에 연통하는 제1챔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연통하며, 상기 분사암에 연통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열전달부; 상기 열전달부에 고정되어 상기 열전달부를 가열하며,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쇄하는 제3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제1연결부가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연결부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연결부가 결합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가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고정된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1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가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결합부에 고정된 제2연결바디; 및 상기 제2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부가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디 슬릿의 길이는 상기 제1체결부가 상기 제1연결바디 슬릿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바디 슬릿의 길이는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2연결바디 슬릿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관통홀; 상기 제2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바디 관통홀의 길이는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1연결바디 관통홀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바디 관통홀의 길이는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제2연결바디 관통홀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펌프에서 발생한 진동이 캐비닛이나 터브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3, 5),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3),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3, 5)으로 공급하는 펌프(8)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191, 193)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랙은 제1랙(191, 상부랙), 제1랙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랙(193, 하부랙)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터브(11)를 개폐시키는 도어(16)가 구비되며, 상부랙(191)과 하부랙(193)은 상기 도어(16)가 터브(11)를 개방한 때 캐비닛(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1)의 내주면에는 상기 랙(191, 193)들이 상기 도어(16)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레일(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랙들에는 상기 레일(미도시)에 지지되는 롤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3)는 상기 터브(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를 지지하는 베이스(1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3)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31), 상기 저장부(13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유로(135), 상기 저장부(131)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유로(1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유로(135)는 저장부(131)와 급수원(미도시)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급수유로(135)는 급수밸브(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로(137)에는 배수펌프(13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섬프(13)는 상기 터브(11) 내부에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부(131)는 격벽(111)을 통해 상기 터브(11)와 구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격벽(111)에는 상기 터브(11)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저장부(131)로 이동시키는 회수홀(1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상기 터브(11)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랙(193)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하부암(5), 상부랙(191)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상부암(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암(5) 및 상부암(3)은 펌프(8) 및 공급유로(7)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게 되는데, 상기 공급유로(7)는 상부암(3)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71), 하부암(5)에 연결된 제2공급유로(73), 각 공급유로(71, 7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전환밸브(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암(5)이 상기 터브(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하부암(5)은 커버(15)에 구비된 홀더(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공급유로(73)는 상기 홀더(17)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암(3)이 상기 터브(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면, 상기 상부암(3)은 제1공급유로(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펌프(8)는 베이스(12)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H), 상기 하우징(H)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섬프(13)에 연통하는 제1챔버(81), 상기 제1챔버(81)와 상기 공급유로(7)를 연통시키는 제2챔버(83),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85), 상기 하우징(H)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8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챔버(81)와 제2챔버(83)는 하우징(H)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챔버격벽(82)에 의해 서로 구분되나 상기 챔버격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격벽 관통홀(821)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챔버(81)는 유입구(81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고, 상기 제2챔버(83)는 배출구(831)를 통해 세척수를 배출한다. 이 경우, 상기 유입구(811)와 섬프(13)는 유입구 연결관(957, 제4연결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831)와 전환밸브(75)는 배출구 연결관(959, 제5연결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87)에 전력이 공급되어 임펠러(85)가 회전하면,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는 제1챔버(81)로 유입된 뒤 제2챔버(83)로 이동한다. 제2챔버(83)로 유입된 세척수는 배출구(831) 및 배출구 연결관(959)을 통해 전환밸브(75)로 이동하고, 전환밸브(75)에 공급된 물은 전환밸브(75)에 의해 개방되는 공급유로(71, 73)를 따라 상부암(3)이나 하부암(5)에 공급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챔버(81)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8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제1챔버(8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열전달부(891), 상기 열전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89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891)는 상기 하우징(H)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893)는 상기 열전달부(891)에 고정되어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며, 전류가 공급되면 발열하는 발열체로 구비될 수 있다.
종래 식기세척기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가 세척수를 저장하는 챔버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식기세척기의 제어부는 히터가 세척수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챔버 내부의 수위를 제어해야만 히터의 과열을 막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챔버(81)의 바닥면 전체가 열전달부(891, 전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달부는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된 가열부(893)에 의해 가열되므로 제1챔버 내의 수위를 제어하지 않아도 본 발명은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펌프(8)는 지지부(9)를 통해 베이스(12)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는 펌프(8)에 발생된 진동이 터브(11), 베이스(12), 또는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지지부(9)는 상기 베이스(12) 내부에 고정되되 상기 펌프(8)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91), 상기 지지바디(91)와 상기 펌프(8)를 연결하되 상기 펌프(8)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95), 상기 베이스(12)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95)에 거치 된 펌프(8)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97)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디(91)는 상기 펌프(8)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한 어디에나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바디(91)는 베이스(12), 격벽(111), 저장부(131) 등에 고정되어 펌프(8)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데, 도면은 상기 지지바디(91)가 저장부(131)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95)는 상기 펌프(8)를 지지바디(91)에 연결하는 제1연결부(951) 및 제2연결부(9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펌프(8)는 상기 제1연결부(951) 및 제2연결부(953)를 통해 지지바디(91)에 매달린 상태가 될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펌프(8)의 바닥면은 제1연결부(951) 및 제2연결부(953)에 의해 상기 베이스(12)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펌프(8)에 발생한 진동이 지지바디(91)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부(951)와 제2연결부(953)는 진동을 흡수 가능한 재질(탄성재질, 고무 등)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부(951)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제1연결바디(951a), 상기 제1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지지바디(91)에 결합하는 제1연결바디 관통홀(951b), 상기 제1연결바디에 구비되어 펌프의 하우징(H)에 결합하는 제1연결바디 슬릿(951c)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디(91)에는 상기 제1연결바디 관통홀(951b)에 삽입되는 제1결합부(91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H)에는 상기 제1연결바디 슬릿(951c)에 삽입되는 제1체결부(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953)는 제1연결부(951)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결부(953)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제2연결바디(953a), 상기 제2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지지바디(91)에 결합하는 제2연결바디 관통홀(953b), 상기 제2연결바디에 구비되어 펌프의 하우징(H)에 결합하는 제2연결바디 슬릿(953c)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디(91)에는 상기 제2연결바디 관통홀(953b)에 삽입되는 제2결합부(913)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H)에는 상기 제2연결바디 슬릿(953c)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8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바디 슬릿(951c)의 길이는 상기 제1체결부(88)가 상기 제1연결바디 슬릿(951c)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H)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바디 슬릿(953c)의 길이는 상기 제2체결부(89)가 상기 제2연결바디 슬릿(953c)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H)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각 체결부(88, 89)와 각 연결부(951, 953)에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터(87)의 회전 시 펌프(8)에 발생한 진동에너지를 펌프(8)가 각 슬릿 내부에서 운동할 때 필요한 운동에너지로 소모시킴으로써 지지바디(91)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바디 관통홀(951b) 및 제2연결바디 관통홀(953b) 역시 하우징(H)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각 결합부(911, 913)의 지름보다 긴 길이를 갖는 슬릿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바디 관통홀(951b)의 길이는 상기 제1결합부(911)가 상기 제1연결바디 관통홀(951b)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H)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바디 관통홀(953b)의 길이는 상기 제2결합부(913)가 상기 제2연결바디 관통홀(953b)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H)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연결부(95)는 모터(87)와 상기 지지바디(91) 사이에 구비되어 모터의 진동이 지지바디(9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3연결부(9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955)는 모터(87)와 지지바디(91)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재질의 제3연결바디(955a), 상기 제3연결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지지바디(91)에 접촉하는 바디돌출부(955b)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디(91)에는 상기 바디돌출부(955b)가 결합되는 제3결합부(9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바디돌출부(955b)의 단면적은 상기 제3연결바디(955a)의 단면적 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바디돌출부(955b)는 단면이 C자 형상인 바(bar)가 펌프(8)의 조립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돌출부(955b)는 제3연결부(955)를 고정하는 역할뿐 아니라 펌프(8)의 조립위치를 결정하는 역할, 및 펌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연결부(95)는 상기 펌프(8)에 발생한 진동이 상기 섬프(1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4연결부, 상기 펌프(8)에 발생한 진동이 상기 공급유로(7)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5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부는 유입구 연결관(957)이 탄성재질(고무 등)로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제5연결부는 배출구 연결관(959)이 탄성재질로 구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펌프(8)를 섬프(13), 공급유로(7), 및 지지바디(91)에 연결하는 연결부(95)가 모두 진동을 감쇠하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있어 펌프(8)에서 발생된 진동이 터브나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문제를 최소화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95)를 통해 지지바디(91)에 결합된 펌프(8)는 지지바디(91)에 매달린 상태이기 때문에, 펌프(8)는 모터(87)의 작동 시 베이스(12) 내부에서 흔들릴 수 있다.
펌프(8)가 지지바디(91)에 매달린 상태에서 흔들리면, 상기 펌프(8)의 진동이 가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9)가 연결부(95)에서 분리될 위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9)는 상기 베이스(12)에 구비되어 상기 펌프(8)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부(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97)는 상기 펌프(8)의 수직방향(캐비닛의 높이방향) 이동과 상기 펌프(8)의 수평방향(캐비닛의 너비방향)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한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도 3은 상기 제한부(97)가 상기 펌프(8)의 수직방향 이동 및 상기 펌프(8)의 수평방향 이동을 모두 제한 가능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97)는 상기 베이스(12)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951)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1제한부(971),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953)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제2제한부(97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한부(971)는 상기 베이스(12)에서 상기 제1연결부(951)를 향해 돌출된 제1바디(971a), 상기 제1바디(971a)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바디(951a)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97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971a)는 상기 제1연결바디(951a)의 자유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연결바디(951a)의 자유단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제1바디(971a)는 상기 펌프(8)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2제한부(975)는 제1제한부(971)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제한부(975)는 상기 베이스(12)에서 상기 제2연결바디(953a)를 향해 돌출된 제2바디(975a),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바디(953a)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97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975a)는 상기 제2연결바디(953a)의 자유단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연결바디(953a)의 자유단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스토퍼(971b)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바디(951a)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제1수용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스토퍼(975b)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바디(953a)의 자유단이 수용되는 수용홈(제2수용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식기세척기 1: 캐비닛 11: 터브
113: 회수홀 12: 베이스 13: 섬프
131: 저장부 135: 급수유로 137: 배수유로
16: 도어 3: 상부암 5: 하부암
7: 공급유로 8: 펌프 81: 제1챔버
811: 유입구 82: 챔버격벽 821: 격벽 관통홀
83: 제2챔버 831: 배출구 85: 임펠러
87: 모터 88: 제1체결부 89: 제2체결부
89: 히터 891: 열전달부 893: 가열부
9: 지지부 91: 지지바디 95: 연결부
951: 제1연결부 953: 제2연결부 955: 제3연결부
97: 제한부 971: 제1제한부 975: 제2제한부

Claims (12)

  1.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터브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베이스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펌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상기 펌프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디와 상기 펌프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쇠하는 연결부;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제1제한부 및 상기 베이스에 돌출되어 상기 제2연결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제2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결부에 거치 된 상기 펌프의 수직방향 이동과 상기 펌프의 수평방향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1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2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자유단은 상기 제1연결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의 자유단은 상기 제2연결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1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제한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제2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의 일단이 수용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지지바디에 지지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섬프에 연통하는 제1챔버;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에 연통하며, 상기 분사암에 연통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되며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열전달부;
    상기 열전달부에 고정되어 상기 열전달부를 가열하며, 상기 제1챔버의 외부에 위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지지바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쇄하는 제3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제1연결부가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연결부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연결부가 결합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가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에 고정된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제1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가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결합부에 고정된 제2연결바디; 및 상기 제2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부가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디 슬릿의 길이는 상기 제1체결부가 상기 제1연결바디 슬릿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바디 슬릿의 길이는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2연결바디 슬릿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가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관통홀;
    상기 제2연결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바디 관통홀의 길이는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제1연결바디 관통홀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바디 관통홀의 길이는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제2연결바디 관통홀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50102345A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KR10235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45A KR102352392B1 (ko)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EP16827995.8A EP3324814B1 (en) 2015-07-20 2016-07-14 Dishwasher
PCT/KR2016/007650 WO2017014491A1 (en) 2015-07-20 2016-07-14 Dishwasher
US15/742,669 US10820778B2 (en) 2015-07-20 2016-07-14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45A KR102352392B1 (ko)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64A KR20170010564A (ko) 2017-02-01
KR102352392B1 true KR102352392B1 (ko) 2022-01-18

Family

ID=5783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345A KR102352392B1 (ko) 2015-07-20 2015-07-2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20778B2 (ko)
EP (1) EP3324814B1 (ko)
KR (1) KR102352392B1 (ko)
WO (1) WO20170144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319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 어셈블리 및 가전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398B1 (ko) * 2018-11-28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US11071437B2 (en) * 2019-01-09 2021-07-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ing appliance and vibration-reducing mount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28488U (de) 1951-05-15 1951-09-20 Bischoff Werke K G Lagerung fuer die radsaetze von foerderwagen u. dgl. fahrzeugen.
DE1628488A1 (de) * 1966-09-24 1970-04-23 Bosch Hausgeraete Gmbh Geschirrspuelmaschine
US3425651A (en) * 1967-03-01 1969-02-04 Gen Electric Motor-pump support means and method of assembly
DE3917349A1 (de) 1988-06-03 1990-01-11 Hanning Elektro Werke Mit einer entleerungspumpe ausgestattete wasserfuehrende haushaltsmaschine
WO2000054392A1 (en) 1999-03-05 2000-09-14 Arçelik A.S. A mechanical damped connection assembly for electrical motors
US7985300B2 (en) * 2005-04-04 2011-07-26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ES2442345T3 (es) 2010-12-21 2014-02-1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ontaje de bomba en un electrodoméstico de conducción de agua
CN203400110U (zh) * 2013-07-11 2014-01-2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洗碗机及其洗涤泵的安装结构
CN203953591U (zh) * 2014-06-18 2014-11-26 芜湖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319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 어셈블리 및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64A (ko) 2017-02-01
US10820778B2 (en) 2020-11-03
EP3324814A1 (en) 2018-05-30
WO2017014491A1 (en) 2017-01-26
EP3324814B1 (en) 2020-09-02
US20180206698A1 (en) 2018-07-26
EP3324814A4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0375B2 (en) Two level conduit docking port mechanis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CN111278340B (zh) 洗碗机
EP3182873B1 (en) Pump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EP2949806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354183B1 (en) Dishwasher
KR102352392B1 (ko) 식기세척기
US10415170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recovery unit
EP315362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805662B1 (en) Dishwasher having a nozzle assembly
KR102366455B1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EP2974645B1 (en) Dishwasher
US20150245760A1 (en) Dishwasher appliance and vent for same
KR102570191B1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20090057711A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EP3329827B1 (en) Dishwasher
US9506182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team generator
KR20170010563A (ko) 식기세척기
EP3597095B1 (en) Dishwasher
US11950741B2 (en) Dishwasher
KR102364675B1 (ko) 식기세척기
EP3197333B1 (en) Dishwasher
KR102364676B1 (ko) 식기세척기
KR102390030B1 (ko) 식기세척기
KR20100052219A (ko) 식기세척기
KR20150000268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