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676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676B1
KR102364676B1 KR1020150070291A KR20150070291A KR102364676B1 KR 102364676 B1 KR102364676 B1 KR 102364676B1 KR 1020150070291 A KR1020150070291 A KR 1020150070291A KR 20150070291 A KR20150070291 A KR 20150070291A KR 102364676 B1 KR102364676 B1 KR 10236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rtition wall
pump
dishwash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596A (ko
Inventor
이상수
박동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676B1/ko
Priority to US15/303,685 priority patent/US10506910B2/en
Priority to EP16796764.5A priority patent/EP3197332B1/en
Priority to PCT/KR2016/005232 priority patent/WO2016186437A1/en
Priority to CN201680001799.3A priority patent/CN106659356B/zh
Publication of KR2016013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닛;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에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펌프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캐비닛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히팅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에는 수용된 물이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 등의 전장품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뭍은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을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등의 전장품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장품에 물이 튀거나 유입되는 경우에는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363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내부에서 발생된 누수가 전장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서 발생된 누수를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닛;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에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펌프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캐비닛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히팅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에는 수용된 물이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격벽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의 둘레는 상기 히팅부의 외주면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팅부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어서, 물이 배수부의 바깥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의 둘레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주면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의 둘레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내주면과 같거나 큰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도록 바닥면이 기울어져서, 수용된 물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자중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기세척기 내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어도 히터 등으로 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발생된 누수를 식기세척기 외부로 배출해서, 누설된 물의 수위가 높아져 물이 전장품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섬프, 펌프 및 절연부의 분해도.
도 3은 섬프와 펌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
도 4는 도 3 하부를 도시한 것.
도 5는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11),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191, 193), 상기 랙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3, 5), 상기 터브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는 섬프(13), 상기 섬프(13)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3, 5)으로 공급하는 펌프(8)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의 하부에는 베이스(200)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캐비닛(1)의 하부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랙은 제1랙(191, 상부랙), 제1랙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랙(193, 하부랙)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터브(11)를 개폐시키는 도어(16)가 구비되며, 상부랙(191)과 하부랙(193)은 상기 도어(16)가 터브(11)를 개방한 때 캐비닛(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1)의 내주면에는 상기 랙(191, 193)들이 상기 도어(16)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레일(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랙들에는 상기 레일(미도시)에 지지되는 롤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13)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33),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11)와 저장부(133)를 구분하는 커버(15), 상기 저장부(133)를 상기 커버(15)에 연결하는 연결부(13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15)에는 커버(1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133)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회수홀(15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홀(151)은 커버(15)가 제공하는 영역 중 저장부(133)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커버(15)의 전 영역에 구비되어 터브(11) 내부의 세척수를 연결부(131)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31)는 상기 회수홀(151)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를 상기 저장부(133)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부(133)를 향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1)는 상기 커버(15)의 상부공간에 위치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분사암(3, 5)을 통해 터브에 분사된 세척수가 별도의 장치 없이도 회수홀(151) 및 연결부(131)를 통해 저장부(133)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커버(15)는 캐비닛(1)의 내부공간을 구분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131)는 상기 커버(15)의 하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1)는 상기 커버(15)의 하부공간을 모두 감싸도록 구비(커버의 평면적과 바디의 평면적이 동일)될 수도 있고, 회수홀(151)이 형성된 공간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33)는 상기 커버(15)가 캐비닛(1)의 바닥면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저장부(133)의 단면적은 상기 연결부(131)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저장부(13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133)의 단면적이 상기 연결부(131)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되면, 저장부(133)가 구비되지 않은 연결부(131)의 하부영역에 펌프(8)를 위치시킬 수 있어 식기세척기(100)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저장부(133)는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된 급수유로(135)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고, 저장부(133)에 저장된 세척수는 배수유로(137) 및 배수펌프(139)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분사암은 상기 터브(11)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랙(193)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하부암(5), 상부랙(191)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상부암(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암(5) 및 상부암(3)은 펌프(8) 및 공급유로(7)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게 되는데, 상기 공급유로(7)는 하부암(5)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71), 상부암(3)에 연결된 제2공급유로(73), 각 공급유로(71, 7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전환밸브(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암(5)이 상기 터브(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하부암(5)은 커버(15)에 구비된 홀더(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공급유로(71)는 상기 홀더(17)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암(3)이 상기 터브(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면, 상기 상부암(3)은 제2공급유로(7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펌프(8)는 임펠러(85)가 구비된 하우징(81), 상기 하우징(81)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84), 상기 하우징(181) 내부의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구(82), 상기 하우징(181)의 외부에 구비되어 임펠러(186)를 회전시키는 모터(8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84)는 유입구 연결관(97)을 통해 저장부(133)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82)는 배출구 연결관(99)을 통해 전환밸브(75)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87)에 전력이 공급되어 임펠러(85)가 회전하면, 섬프(13)에서 하우징(81)으로 유입된 물은 배출구(82)를 통해 전환밸브(75)로 이동하고, 전환밸브(75)에 공급된 물은 전환밸브(75)에 의해 개방되는 공급유로(71, 73)를 따라 상부암(3)이나 하부암(5)에 공급된다.
상기 펌프(8)는 절연부(91, 92, 93, 94, 95)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절연부는 펌프(8)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쇄하여 펌프(8)에 발생된 진동이 섬프(13) 및 캐비닛(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절연부는 상기 펌프(8)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을 소정거리 이격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펌프(8)의 외주면과 상기 섬프(13)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절연부는 상기 펌프(8)의 바닥면과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제1절연부(93) 및 제2절연부(95)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에 더해 상기 펌프(8)의 상부면과 상기 섬프(13)를 소정거리 이격시키는 제3절연부(9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8)의 상부면에는 하우징(81)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85)를 회전시키는 모터(87)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3절연부(91)는 모터(87)와 섬프(13)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이 된다.
또한, 상기 제1절연부(93) 및 제2절연부(95)는 펌프(8)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우징(81)의 바닥면이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수단이 된다.
상기 제3절연부(91)는 모터(87)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제3바디(911), 상기 제3바디(911)에서 돌출되어 상기 섬프의 연결부(131)나 상기 커버(15)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돌기(91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제3절연부(91)가 연결부(131)에 접촉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연결부(131)에는 펌프의 상부면이 수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38)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138)는 연결부(13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되 캐비닛(1)의 바닥면에 나란한 수용바디(1381), 상기 수용바디(1381)에서 캐비닛(1)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플랜지(1383) 및 제2플랜지(1385)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절연부(91)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138)에는 상기 돌기(913)가 지지되는 제3지지부(13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3지지부(132)는 상기 수용바디(1381)의 표면이 상기 커버(15)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형태 또는 상기 수용바디(1381)의 표면에서 캐비닛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돌기(913)가 수용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제3지지부(132)는 상기 수용부(138)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저장부(133)를 향해 구비되어 상기 펌프(8)를 조립할 때 상기 돌기(91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의 인장력에 의해 펌프가 이동할 때 펌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절연부(91)는 모터(87)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가 일례가 될 수 있다.
한편, 모터(87)의 진동이 섬프(13)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돌기(913)의 단면적은 상기 제3바디(911)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3바디(911)가 제3바디(9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홀 또는 상기 제3바디(91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홈(상기 돌기(913)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면 제3바디(911)의 진동감쇄 효과는 더 커질 것이다.
상기 제1절연부(93)는 일단은 상기 연결부(1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81)에 연결되는 제1바디(9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931) 역시 펌프(8)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재질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가 일례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131) 및 상기 하우징(81)에는 상기 제1바디(931)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134) 및 제1체결부(86)가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도 2는 제1바디(931)가 연결부(131)에 위치된 수용부(13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134)는 수용부(138)를 형성하는 제1플랜지(1383)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바디(931)가 제1지지부(134)나 제1체결부(86)에 결합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와 도 3은 제1지지부(134)는 수용부(138)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1체결부(86)는 하우징(81)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제1바디(931)에는 상기 제1지지부(134)가 삽입되는 제1지지부 체결홀(933) 및 상기 제1체결부(86)가 삽입되는 제1바디 슬릿(935)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바디 슬릿(935)은 상기 제1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바디(931)의 길이방향(캐비닛의 높이방향)의 폭이 상기 제1바디(931)의 너비방향(캐비닛의 너비방향) 폭보다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바디(931)와 제1체결부(86)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절연부(95)는 상기 제1절연부(93)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절연부(95) 역시 진동의 감쇄가 가능한 재질로 구비되는 제2바디(951), 제2바디(951)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 체결홀(953) 및 제2바디 슬릿(95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138)의 외주면(제2플랜지(1385))에는 상기 제2지지부 체결홀(953)에 삽입되는 제2지지부(136)가 구비되고, 상기 펌프(8)에는 상기 하우징(8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바디 슬릿(955)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88)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바디 슬릿(955)은 상기 제2바디(9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2바디(951)의 길이방향(캐비닛의 높이방향)의 폭이 상기 제2바디(951)의 너비방향(캐비닛의 너비방향) 폭보다 더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절연부(93), 제2절연부(95) 및 제3절연부(91)는 펌프(8)를 수용부(138)에 고정시키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절연부들은 펌프(8)를 상기 커버(15)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식기세척기(100)는 펌프(8)와 저장부(133)를 연결하는 유입구 연결관(97), 펌프(8)와 전환밸브(75)를 연결하는 배출구 연결관(99)을 통해 펌프(8)의 진동이 섬프(13)나 캐비닛(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 연결관(97)과 배출구 연결관(99)은 진동을 흡수 가능한 재질(탄성부재 등)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유입구 연결관(97)과 배출구 연결관(99)은 각각 제4절연부 및 제5절연부로써 기능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1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펌프(8)를 섬프(13)에 고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지지부 체결홀(933)을 제1지지부(134)에 삽입하여 제1절연부(93)를 수용부(138)에 고정하고, 제2지지부 체결홀(953)을 제2지지부(136)에 삽입하여 제2절연부(95)를 수용부(138)에 고정한다.
제1절연부(93)와 제2절연부(95)가 고무와 같은 진동감쇄 부재로 구비되므로 작업자는 제1바디(931) 및 제2바디(951)를 잡아당겨 제1바디 슬릿(935)과 제2바디 슬릿(955)이 하우징의 제1체결부(86)와 하우징 제2체결부(88) 각각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모터(87)의 상부면에 안착된 제3절연부(91)를 제3지지부(132)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제3지지부(132)는 제3절연부의 돌기(913)의 이동을 안내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돌기(913)를 제3지지부(132)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의 탄성(제1절연부와 제2절연부가 펌프를 섬프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 및 제3지지부(132)의 안내에 의해 펌프(8)는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도 3과 같이 섬프(13)에 고정될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부(93)와 제2절연부(95)가 펌프(8)에 제공하는 인장력의 크기는 펌프의 상부면이 수용부(138)의 표면과 소정거리(L) 이격되는 정도의 인장력이면 충분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펌프(8)의 진동이 섬프(13)나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식기세척기의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131)의 하부공간 중 저장부(133)가 구비되지 않은 공간에 펌프(8)가 위치되므로 식기세척기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펌프(8)의 하부에는 히터 등을 포함하는 히팅부(300)가 구비되어서, 상기 펌프(8)에 의해서 이동되는 세척수가 가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히팅부(300)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302)와 상기 히터(302)가 안착되는 히터 안착부(304)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302)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서,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히팅부(300)는 상기 히터(302)에 연결되어 열을 전달받고, 상기 히터(302)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302)에 전원을 인가하는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모듈은 상기 히터(302)와 연결되어 열을 전달받고, 전달된 열의 온도에 따라 전원을 단속하는 온도퓨즈와, 상기 온도퓨즈 및 히터(302)를 연결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부(300)는 다양한 전장품을 포함하기 때문에 물에 접촉하게 되면 감전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히팅부(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부(220)는 식기세척기가 조립이 완료되어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히팅부(300)가 위치한 부분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히팅부(30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배수부(220)도 상기 히팅부(300)의 외곽선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수부(220)에는 수용된 물이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홀(224)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224)은 상기 배수부(220)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서, 상기 배수부(220) 내에 고인 물이 상기 배수홀(224)을 통해서 상기 베이스(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서 누설되는 물은 상기 베이스(200)에 고이게 되는데, 상기 배수부(220)에 고인 물은 상기 배수홀(224)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수부(220)의 높아진 수위로 인해서 물이 상기 히팅부(300)에 접촉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물은 섬프의 실러(sealer)의 파손에 의하거나, 섬프의 수위가 높아지기 때문에 누설될 수 있다. 이외에도 물이 통과하는 관 등이나, 다양한 부품들의 접합 위치에서 물이 누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220)는 상기 배수홀(224)이 형성된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도록 바닥면이 기울어져서, 상기 배수부(220)에 고인 물이 낮은 위치인 상기 배수홀(224)로 안내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20)는 상기 베이스(200)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격벽(230)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230)은 상기 배수부(220)의 외곽선을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격벽(230)에 의해서 상기 배수부(220)가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230)은 상기 베이스(200)에 위치한 물이 상기 펌프(8) 등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히팅부(300)에 튀어오르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 상기 격벽(230)의 외부에 위치한 물이 상기 히팅부(300)의 하부, 즉 상기 배수부(220)로 이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격벽(230)은 상기 히팅부(300)에 접촉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는 돌출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격벽(230)의 둘레는 상기 히팅부(300)의 외주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격벽(230)의 둘레가 작기 때문에 상기 히팅부(300)의 상측에서 흘러 내려온 세척수 등의 물이 상기 배수부(220)내로 이동되지 않도록 해서, 상기 배수부(220)의 수위가 높아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부(300)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310)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돌기(310)는 상기 히터 안착부(304)의 외곽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어서, 상기 히팅부(300)의 평면이 커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히팅부(300)의 상측에서 누설되는 물이 상기 가이드 돌기(310)를 따라서 흘러서, 상기 히팅부(3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돌기(310)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져서, 상측에서 흘러내린 물이 수직하지 않고 측면 방향을 따라 기울어지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격벽(230)의 둘레는 상기 가이드 돌기(310)의 외주면보다 작은 것이 가능하다. 즉 도 6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310)에 의해서 형성된 원의 지름 l1은 상기 격벽(230)에 의해서 형성된 원의 지름 l2에 비해서 커서, 상기 가이드 돌기(31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 물은 상기 격벽(230)에 의해서 구획되는 상기 배수부(220)로 낙하하지 않고, 상기 배수부(220)의 바깥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230)에 의해서 형성된 원의 지름 l2는 상기 가이드 돌기(310)의 내주면에 의해서 형성된 원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큰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는 두 개의 지름이 동일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6과는 달리 상기 격벽(230)에 의한 지름 l2가 좀 더 커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격벽(230)은 상기 히팅부(300)에 물이 이동되는 것을 막기 때문에, 사기 히팅부(300)를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을 정도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격벽(230)은 상기 히팅부(300)의 전체 범위를 포괄하되, 상기 가이드 돌기(310)를 따라 낙하하는 물이 상기 격벽(230)의 내부로 이동되지 않을 정도의 범위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배수부(220)의 물의 수위가 높아져서 물이 상기 히팅부(300)에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캐비닛
3: 상부암 5: 하부암
7: 공급유로 8: 펌프
11: 터브 13: 섬프
200: 베이스 220: 배수부
224: 배수홀 230: 격벽
300: 히팅부 302: 히터
304: 히터 안착부 310: 가이드 돌기

Claims (9)

  1. 캐비닛;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에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상기 펌프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팅부; 및
    상기 캐비닛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히팅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에는 수용된 물이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격벽을 구비해서,
    상기 격벽의 외부에 위치한 물이 상기 히팅부의 하부인 상기 배수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둘레는 상기 히팅부의 외주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둘레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주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둘레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내주면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위치가 상대적으로 낮도록 바닥면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베이스에 위치한 물이 상기 펌프 등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히팅부에 튀어오르지 못하게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히팅부에 이격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까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50070291A 2015-05-20 2015-05-20 식기세척기 KR102364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91A KR102364676B1 (ko) 2015-05-20 2015-05-20 식기세척기
US15/303,685 US10506910B2 (en) 2015-05-20 2016-05-18 Dishwash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6796764.5A EP3197332B1 (en) 2015-05-20 2016-05-18 Dishwasher
PCT/KR2016/005232 WO2016186437A1 (en) 2015-05-20 2016-05-18 Dishwash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680001799.3A CN106659356B (zh) 2015-05-20 2016-05-18 洗碟机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291A KR102364676B1 (ko) 2015-05-20 2015-05-2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596A KR20160136596A (ko) 2016-11-30
KR102364676B1 true KR102364676B1 (ko) 2022-02-18

Family

ID=5770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291A KR102364676B1 (ko) 2015-05-20 2015-05-2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6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9013B2 (ja) * 1997-08-21 2002-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機のための漏水受け材
KR20070113639A (ko) * 2006-05-25 200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699975B1 (ko) * 2010-09-02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596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6157B2 (en) Drain hose and washer having the same
EP2710945B1 (en) Dishwashing machine
US9795273B2 (en) Dishwasher
EP2949806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140069152A1 (en) Steam spraying apparatus and clothing dry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EP2974645B1 (en) Dishwasher
US9782052B2 (en) Nozzle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EP3354183B1 (en) Dishwasher
ES2338376T3 (es) Protector de goteo para un lavaplatos de tipo cajon.
KR102366455B1 (ko) 펌프 및 상기 펌프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102352392B1 (ko) 식기세척기
KR102364675B1 (ko) 식기세척기
KR102364676B1 (ko) 식기세척기
KR20120079793A (ko)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EP3197332B1 (en) Dishwasher
US10420452B2 (en) Dish washing machine
KR20210102598A (ko) 식기 세척기
KR102376043B1 (ko) 식기세척기
KR20220030765A (ko)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0182147B1 (ko) 식기세척기
KR102046380B1 (ko) 식기세척기
KR20200137440A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