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010A - Navicular structure and method for designing navicular structure - Google Patents

Navicular structure and method for designing navicula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010A
KR20160009010A KR1020157023798A KR20157023798A KR20160009010A KR 20160009010 A KR20160009010 A KR 20160009010A KR 1020157023798 A KR1020157023798 A KR 1020157023798A KR 20157023798 A KR20157023798 A KR 20157023798A KR 20160009010 A KR20160009010 A KR 20160009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s
tank
wing
cargo
cargo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69903B1 (en
Inventor
코이치 카야지마
마사키 이와사키
유키히사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0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9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B63B2701/1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과의 사이에서 공통의 탱크 구조를 갖는 선형 구조물 및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선폭방향에 좌우대칭으로, 중앙의 센터 카고탱크(11)에서 양쪽 현의 외측을 향해서 순서대로, 윙 카고탱크(12)와 선측 및 선저구획(13)을 설치, 슬롭탱크(14)를 제외하고 개수를 세어서, 윙 카고탱크(12)의 한쪽 현의 개수(Nw)를 센터 카고탱크(11)의 개수(Nc)보다도 많게 한다. 이것에 의해, 비용증가가 되는 탱크의 개수, 즉, 탱크를 나누는 수밀격벽의 면적을 가능한 한 늘리지 않고, 특히 선측 손상에 강한 구획배치를 설계하고, 탱커로서의 쓰기에 편리함과 비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 유용가능한 구획배치를 한다. 그래서, 설계비용의 감소나 리드타임의 단축을 꾀하고, 저렴한 가격에 또한 신속하게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을 공급한다.A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and a linear structure having a common tank structure between a tanker and a body-based water storag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cargo tank (11) The number Nw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 12 is calcul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he wing cargo tanks 12 and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13 except for the slop tanks 14, Is greater than the number Nc of the tanks (11). As a result, the number of tanks with an increased cost, that is, the area of the watertight bulkhead dividing the tanks is not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and a partition arrangement that is particularly resistant to damage on the side is designed. As is, make compartment arrangements that are useful for flotation offshore storage structures. Thus, the design cost is reduced, the lead time is shortened, and the floating body is rapidly supplied at a low price.

Figure P1020157023798
Figure P1020157023798

Description

선형 구조물 및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NAVICULAR STRUCTURE AND METHOD FOR DESIGNING NAVICULAR STRUCTU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and a linear structure,

본 발명은, 탱커(tanker)와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과의 사이에서 공통의 탱커 구조를 갖는 선형 구조물 및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structure and a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having a common tanker structure between a tanker and a body floating structure.

최근에는, FPSO 라고 불리는 부체식 해양석유·가스 생산저장 적출설비나, FSO 라고 불리는 부체식 해양석유·가스저장 적출설비가, 해저의 에너지 자원의 개발 및 이용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fuselage offshore oil and gas production and storage facility called FPSO and a fuselage offshore oil and gas storage facility called FSO have been used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energy resources on the seafloor.

이 FPSO 는, 해상에서 석유·가스를 생산하고, 생산물을 설비 내의 탱크에 저장해서, 직접수송 탱커로의 적출(積出)을 행하는 설비이고, FSO는, 석유·가스의 생산을 행하는 설비를 갖추지 않고, 해상에서의 저장 및 적출하기 위한 전용 설비로, 고정식의 생산설비, TLP(긴장계류식 플랫폼)와 같은 저장설비를 갖지 않는 부체식 생산설비, 혹은 육상의 생산설비 등에서 생산된 원유를 받아들여서 설비 내의 탱크에 저장하고, 수송 탱크로의 적출을 행하는 설비이다. 여기에서는, 이것들을 전부 합쳐서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 이라 한다.The FPSO is a facility that produces oil and gas at sea, stores the product in a tank in the facility, and directs it to a transport tanker. The FSO has facilities to produce oil and gas , It is the exclusive facility for storing and extracting in the sea, and it accepts the crude oil produced in the fixed production plant, the inverse production plant which does not have the storage facility such as TLP (tension mooring platform) or the land production facility It is a facility to store in a tank in a facility and to extract it into a transportation tank. Here, thes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flotation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내듯이, 이 해상에서 석유나 액화천연가스 등을 저장하는 부체식 해상저장구조물은, 그 저장용 구조는, 액체의 화물을 해상에 떠 있는 구조물에 저장한다는 점에서, 도 9 및 도 10에서 나타내는, 석유나 석유제품 등을 수송하는 탱커의 선체구조와 매우 잘 닮아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in a floating body type storage structure for storing petroleum or liquefied natural gas or the like in this sea, the storage structure thereof stores the liquid cargo in a floating structure 9 and Fig. 10, which is similar to the hull structure of a tanker carrying oil or petroleum products.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이라는 것은, FPSO와 FSO와 같이, 석유나 액화가스 등의 액화 화물을 저장하는 카고탱크를 갖지만, 탱커와 같은 자항(自航)하기 위한 추진장치를 갖지 않는 해상에 떠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The term " flotation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 as used herein means a cargo tank for storing liquefied cargo such as petroleum or liquefied gas, such as FPSO and FSO,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ropulsion device for self- Floating structure that does not exist.

그리고, 도 7에서 나타내듯이, 부체식 해상저장구조물(1X)에는, 거주구(居住區) 등의 상부구조물(30)에 더해서, 수반가스 연소장치(31)나, 유(油)처리설비, 가스 처리설비, 수(水)처리설비, 발전설비 등의 생산설비(프로세스, 톱사이드)(32)나, 크레인(33), 선단측에 앵커에 접속된 계류줄과 라이저관(자분선(自噴線), flowline)이 접속된 계류설비(터릿(turret))(34), 헬리포트(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도 9에서 나타내듯이, 탱커(1Y)에는, 선체(10)의 후방부에 기관실(20)과, 선교(船橋)와 주거구가 있는 상부 구조물(1Y)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항행을 위해서 프로펠러(41)와 방향키(42) 등을 설치하고 있다.7, in addition to the upper structure 30 such as a residence area, the subsidiary water storage structure 1X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gas combustion device 31, an oil treatment facility, (Process, top side) 32, a crane 33, a mooring line connected to an anchor, and a riser pipe (a self-jetting device (Turret) 34, a heliport (not shown), and the like, to which a flow line is connected, are provided in the tanker 1Y. However, as shown in FIG. 9, A propeller 41 and a directional key 42 are provided for navigation in addition to an engine room 20 and an upper structure 1Y having a bridge and a residence.

한편으로, 도 8 및 도 10에서 나타내듯이,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1X)과 탱커(1Y)는, 대형의 경우에는, 또한, 선체(10)에, 센터 카고탱크(11), 윙 카고탱크(12), 밸러스트 탱크 혹은 보이드 스페이스로서 사용되는 선측 및 선저구획(13), 슬롭탱크(14)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소형 탱커에서는, 센터 카고탱크(11)가 없는 구조가 되는 경우가 많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8 and 10, the floating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1X and the tanker 1Y are connected to the hull 10 in a large size by a center cargo tank 11, (12), a ballast tank or side and bottom sections (13) used as a void space, and a slop tank (14).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mall tanke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re is no center cargo tank 11.

이들 탱커나 부체식 해상 저장물 구조에서는, 각각이 오더 메이드 주문생산방식으로, 탱커에 대해서는 운항기능이나 하역기능을 중시하고,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에 대해서는 생산기능이나 저장기능을 하역기능을 중시해서, 각각의 용도에 맞춰서, 재화중량, 항해속도, 추진성능, 복원성능, 내항성능 등을 개별로 최적화한 구조의 탱커나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이 제공되고 있다.In these tanker and buoyant marine storage structures, each carries an order-made order production system. For tankers, importance is given to the navigation function and unloading function. For the floating marine storage structure, , A tanker or a buoyant water storage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optimized individually for the weight of goods, the speed of navigation, the propulsion performance, the restoration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seaworthy is provided for each use.

그리고, 이 해상에 계류되어서 항행을 주로 하지 않는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의 건조에 있어서는, 항행하는 탱커와는 다른 선급(船級)(NK, ABS등)규칙이 선체구조에 적용되고 있어서, 탱커에 적용되는 탱커용 규칙이 아니라,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 용의 규칙이 적용되고 있다.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ing water storage structure that is not moored to the sea at the sea, the rules of ship class (NK, ABS, etc.) different from the navigating tanker are applied to the hull structure The rules for tank type water storage structures are applied.

또한, 한편으로,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은, 같은 주문생산이지만, 상관습이 다른, 탱커가 수주에서 납기까지 2년에서 수년의 기간이 있는 것에 비해서,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서는 수주에서 납기까지가 1년에서 2년 미만으로 매우 짧은 납기로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while the tanker and flotation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are the same customized production, the tanker has a period of 2 years to several years from the order to the delivery time, Has a very short lead time of less than one year to two years.

이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 건조의 납기가 매우 짧기 때문에, 설계시간 단축을 위해서, 탱커용 구조설계를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 이용하거나, 반대로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용의 구조 설계를 탱커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미리,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의 구조를 공통화해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Due to the very short delivery time of this floating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use the structural design for the tanker for the floating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or the structure design for the floating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for the tanker in order to shorten the design time It is conceivable that the structure of the tanker and the body-type water storage structure are made common in advance.

그러나, 해상을 항행하지 않는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용의 구조설계를 탱커에 이용하려 하면, 수송효율이 가장 중요시되는 탱커의 구조와는 다르기 때문에,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탱커와는 달리,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 특히 생산을 행하는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서는, 정제설비(플랜트) 등의 대형 구조물을 상갑판에 탑재하기 때문에 중심이 상승해서, 복원성(선체가 경사졌을 때에, 전복되지 않고 계속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서, 원래의 자세로 돌아오는 성능)이 악화 되기 때문에, 선체복원시의 복원성 확보를 위해서 큰 폭의 설계변경이 필요하게 된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structural design for a floating water storage structure which does not navigate the sea,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a tanker in which transportation efficiency is most important. Particularly, unlike tankers, since a large-scale structure such as a refinery facility (plant) is mounted on an upper deck in a floating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particularly a floating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in which production is performed, its center is elevated, The performance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ture can be deteriorated because it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overturned). Therefore, a large-scale design change is required for securing stability at the time of hull restoration.

이 선체손상시의 복원성의 문제에 대해서는, 해상을 항행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는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서는, 하측에서의 선체의 손상 즉 선저부의 손상을 생각할 필요는 적고, 선측(船側)측에서의 손상이 중요시되고, 한편으로, 해상을 항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탱커에서는, 좌초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선측측에서의 손상에 더해서, 선저측에서의 손상도 중요시 되고 있다. With respect to the problem of the stability at the time of damage to the hull,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damage of the hull at the lower side, that is, the damage at the bottom of the ship, On the other hand, in tankers that are supposed to navigate the sea, there is a danger of stranding, so in addition to the damage on the side of the ship, the damage on the bottom side is also important.

그 때문에, 중고의 탱커를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 특히 생산설비를 구비한 FPSO로 개조하는 경우에는, 상갑판에 거대한 생산용 구조물이 탑재되기 때문에, 탱크용 구획을 증가해서, 적용되는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의 규칙을 만족시키는 등, 큰 개조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converting a used tanker to a floating water storage structure, especially a FPSO with production facilities, the upper part of the tank is equipped with a large production structure, so that the tank partition i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make a large modification such as satisfying the rules of the structure.

한편, 미리 해상을 항행하지 않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용의 구조설계와, 탱커용 구조설계를 별개의 것으로 해서, 설계 및 건조방법을 다르게 해두면, 유사한 선체구조에 대해서, 2개의 설계 및 건조방법을 준비하게 되어, 많은 수고와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tructural design for the non-marine floating body and the structural design for the tanker are different, and the design and the drying method are different, the two design and drying methods So that a lot of labor and cost are required.

이 탱커의 구획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출원 특개평 7-216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오일 탱커의 선체구조나, 예를 들면 일본 출원의 특개 2003-8117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오일 및 청수(淸水) 탱커의 선체구조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출원의 특개평 11-11587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듯이, 밸러스트 수의 자유표면의 영향에 의한 중심위치의 겉보기 상승을 억제해서, 선체의 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선체를 외각(外殼)부재와 내각부재로 이루어지는 이중각 구조로 하고, 화유(貨油)탱크의 외측에 U자형의 밸러스트 탱크를 구획 형성하고, 선수미(船首尾) 방향으로 늘어선 밸러스트 탱크를, 교대로 좌현측의 위치와 우현측의 위치에서 선수미 방향으로 뻗은 칸막이 부재에 의해 칸막이 하고, 선체가 기울었을 때에, 기울어진 쪽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분할 밸러스트 탱크부 내의 밸러스트 수의 이동을 칸막이 부재로 저지하는 유조선이 제안되고 있다.Examples of the tanker compartment include, for example, a hull structure of an oil tanker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2165, and a structure of an oil tank and a clean water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81177 (淸 水) There is a tanker hull structure. Also,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15875, for example, in order to suppress the apparent elevation of the center posi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ree surface of the ballast water an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hip, Shaped ballast tank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oil tank and the ballast tank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bow are connected to the port side And a partition member extending in the fore-and-aft direction at a position on the starboard side, and when the hull is inclined, the movement of the ballast water in the divided ballast tank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inclined side is blocked by the partition member Oil tankers are being proposed.

특허문헌 1: 일본출원의 특개평 7-216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2165

특허문헌 2: 일본출원의 특개 2003-8117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81177

특허문헌 3: 일본출원의 특개평 11-115875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15875

상기의 상황을 감안해서, 본 발명자들은, 이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 대해서 구조를 공통화한 선형구조물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선체의 화물용 탱크와 밸러스트 탱크,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등의 구획분할이 중요하고,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의 양쪽의 선급규칙을 만족시키면서, 상호간의 유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탱커의 구조보다도, 윙 카고 탱크의 한쪽 현의 개수를 센터 카고탱크의 개수보다 많게 해서 세분화 하고, 이 선형구조물로의 선박의 충돌 등의 만일의 사고에 의해 받는 손상이 미치기 쉬운 윙 카고탱크 중 한개당의 용량을 작게 하는 용량 감소화를 해서, 상정되는 손상범위의 구획의 용적을 최소화하도록 격벽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견을 얻었다.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situa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in order to prepare a linear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is common to the tanker and the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use a tank for the cargo and a compartment such as a ballast tank, void space,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number of one side of the wing cargo tank into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in order to make mutual use while satisfying the classification rules of both the tanker and the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The capacity of the wing cargo tank which is susceptible to damage caused by an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of the ship with the linear structure is reduced so that the capacity of the wing cargo tank is reduced. It is important to arrange the bulkhead to minimize the volume.

본 발명은, 이 지견을 기본으로 이루진 것으로, 그 목적은, 비용 증가가 되는 탱크의 개수, 즉, 탱크를 구획짓는 수밀격벽의 면적을 가능한 한 늘리지 않고, 특히 선측손상에 강한 구획배치를 설계하고, 탱커로서 쓰기에 편리함과 비용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 유용가능한 구획배치로 하고, 설계비용의 감소나 리드 타임(lead time)의 단축에 이어져서, 저렴하고 또한 신속하게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을 공급할 수 있는 선형 구조물 및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 a partition arrangement which is particularly resistant to the side damage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tanks whose cost is increased, that is, the area of the watertight bulkhead dividing the tank as much as possibl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sign cost and shorten the lead tim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the cost of the water storage structure, And to provide a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and a linear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a body-type water storag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형 구조물은, 탱크 구조를 갖는 선형구조물로, 선폭 방향에 관해서 좌우대칭으로, 센터 카고탱크와 그 양측에 윙 카고탱크를 구비하고, 그 윙 카고탱크의 외측에, 밸러스트 탱크 혹은 보이드 스페이스로서 사용되는 선측 및 선저구획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슬롭탱크를 제외한 탱크 또는 구획의 개수에서,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개수를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개수보다도 많게 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ear structure having a tank structure and includes a center cargo tank and wing cargo tanks on both sides thereof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ine width direction,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used as ballast tanks or void spaces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and the number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in the number of tanks or compartments excluding the slop tanks .

즉, 선박의 충돌 등의 만일의 사태로 손상을 받은 경우에도, 선형 구조물에 과도의 경사나 침하를 일으키지 않고, 충분한 손상시 복원성을 유지가능 하도록, 선측 및 선저 구획의 내측에 위치하는 윙 카고탱크를 세분화하여 작게 해서 손상을 받는 탱크의 종합용적을 작게 하는 것과 함께, 손상범위에 포함되기 어려운 센터 카고탱크를 가능한 한 대형화해서, 공정수나 비용의 증가에 연결되는 수밀격벽의 개수 또는 면적을 감소시킨다. That is, a wing cargo tank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so as not to cause excessive inclination or sinking in the linear structure and to maintain the stability in case of a sufficient damage even when the ship is damaged due to an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of a ship To reduce the total volume of the damaged tanks and reduce the number or area of the watertight bulkheads connect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cesses and costs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center cargo tank which is difficult to be included in the damage range .

또한, 슬롭탱크는, 카고탱크 내를 세정한 기름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해서 정치(靜置)하여, 기름과 물을 분리하기 위한 탱크로, 보통의 카고탱크로서 사용되지 않는 탱크이다. The slop tank is a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and cleaning oil wastewater that has been washed in a cargo tank to separate oil and water, and is not used as a normal cargo tank.

이 구성에 의하면, 만일 선박의 충돌 등에 의해, 선형구조물의 선측 및 선저구획이 2구획에 걸쳐 손상되고, 윙 카고탱크의 외측의 세로격벽이나 윙 카고탱크의 전후방향을 구분하는 윙 카고탱크용 가로격벽이 손상되어도, 윙 카고탱크의 개수가 증가되고, 윙 카고탱크 한개당 용량이 감소되어 있기 때문에, 선형구조물의 선측 손상시에서의 복원력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 또한 윙 카고탱크 내의 화물의 유출을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construction, if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of the linear structure are damaged over two compartments due to a collision of the ship or the like, the width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of the wing cargo tank and the width of the wing cargo tank Since the number of wing cargo tanks is increased and the capacity per one wing cargo tank is reduced even when the bulkhead is damag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at the time of damage to the linear structure by the side damage, It is possible to do.

또한, 센터 카고탱크의 갯수를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갯수보다도 작게 해서, 종래 기술의 탱커와 같은 갯수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나 선체 중량의 증가와 연결되는 센터 카고탱크를 전후방향으로 구분하는 센터 카고탱크용 가로격벽의 갯수, 즉, 수밀격벽의 갯수 및 면적이 증가하지 않아서, 탱커로서의 쓰기의 편리함을 유지하면서, 비용의 증가를 억제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and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is fixed to the same number as that of the conventional tanker, The number of the transverse bulkheads for the center cargo tanks to be separated, that is, the number and the area of the watertight bulkheads do not increase, and the increase in cost can be suppressed while maintaining the convenience of writing as a tanker.

즉, 선측 손상시에 손상범위가 되지 않는 센터 카고탱크의 개수를 가능한 한 적게하고, 또한, 윙 카고탱크의 개수를 늘리는 것으로, 비용증가가 되는 가로격벽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 선측의 손상에 강한 구획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탱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탱커로서 쓰기에 편리함, 비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FPSO나 FSO 등의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 유용가능한 구획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서, 설계비용이나 리드 타임의 감소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렴하게 또한 신속하게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을 공급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of the transverse bulkhead which increases the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which do not fall within the damage range at the time of the side damage an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wing cargo tanks. It is possible to arrange a strong compartment arrangemen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rtition arrangement which can be used as a tank-like storage structure such as FPSO or FSO while maintaining cost competitiveness while being convenient as a tanker when used as a tanker. , And furthermore, when used as a flotation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the flotation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can be supplied inexpensively and quickly.

이것에 의해,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의 양쪽의 요구가 만족되는 선형구조물 또는, 탱커에서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로 설계변경 또는 개조하기 쉬운 선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쉽게 가능하게 된다. 즉,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과의 사이에서 공통의 탱크 구조를 갖는 선형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makes it readily possible to provide a linear structure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both the tanker and the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or a linear structure that is easy to design change or modify into a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in the tanke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near structure having a common tank structure between the tanker and the flotation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상기의 선형 구조물에 있어서, 선장(船長)방향에 관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을 구분하는 사이드 구획용 가로격벽을, 상기 윙 카고탱크의 전후방향을 구분하는 윙 카고탱크용 가로격벽에 대해서, 미리 설정한 거리만 비키어 놓고 설치하여 구성한다. In the linear structur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ship, a side partition dividing wall for dividing the side and bottom division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ateral partition walls for the wing cargo tanks for divid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wing cargo tanks Install only by setting the distance.

이 구성에 의하면, 만일, 선박의 충돌 등에 의해, 선형 구조물의 선측 및 선저구획이 2구획에 걸쳐 손상되어도, 거기에 인접하는 윙 카고탱크의 손상이 1구획에 머무를 가능성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선형 구조물의 선측 손상시의 복원력을 크게할 수 있고, 또한, 윙 카고탱크 내의 화물의 유출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is construction, even if the ship's side and bottom sections of the linear structure are damaged over two compartments due to a collision of the ship or the lik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damages of the wing cargo tanks adjacent to the ship are left in one compart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at the time of damage to the side of the structure and to reduce the outflow of the cargo in the wing cargo tank.

이렇게 설정한 거리는, 선형 구조물의 건현(乾舷) 길이를 L이라 하면, 「L(⅔)/3」또는「14.5m」중 어느 쪽이든 작은 쪽의 길이(Ls) 이상으로, 또한, 2개의 윙 카고탱크용 가로격벽 사이의 거리의 반쪽 이하로 하면, 손상이 하나의 윙 카고탱크에 머무를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길이 LS 미만으로 하면, 손상부위가 길어진 경우에, 두개의 윙 카고탱크에 손상이 미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The distance set in this way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length Ls of the smaller one of "L (⅔) / 3" or "14.5 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cargo tank is less than half of the distanc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damage is likely to stay in one wing cargo tank. If the length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length LS, there is a greater possibility that damage to two wing cargo tanks is caused when the damaged area is long.

상기의 선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의 한쪽 현의 갯수를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갯수보다도 많게 하면, 이 구성에 의해, 만일 선박의 충돌 등에 의해, 선형 구조물의 선측 및 선저구획이 2구획에 걸쳐 손상되어도, 선측 및 선저구획의 갯수가 증가하고, 선측 및 선저구획 한개당 용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선형 구조물의 선측 손상시에서의 복원력을 크게 할 수 있다. In this linear structure, when the number of the one side strings of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sions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sions of the linear structure are divided into two section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at the time of the side damage of the linear structure because the number of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sions increases and the capacity per side of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sions decreases.

상기의 선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의 한쪽 현의 갯수를, 상기 슬롭탱크를 제외한 탱크 또는 구획의 갯수로,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갯수 이상으로 하면, 이 구성에 의해, 만일 선박의 충돌 등에 의해, 선형 구조물의 선측 및 선저 구획이 2구획에 걸쳐 손상되어도, 선측 및 선저구획의 개수가 증가하고, 선측 및 선저구획 1개당의 용량이 감소되어 있기 때문에, 선형 구조물의 선측 손상시에서의 복원력을 크게 할 수 있다. In the above-mentioned linear structure, if the number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number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 excluding the slop tank, by the number of tanks or compartments, Since the number of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sions increases and the capacity per one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de is decreased even if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sions of the linear structure are damaged over two divisions due to collision of the ship or the like, The restoring force in the city can be increased.

상기의 선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슬롭탱크를 제외한 탱크의 개수 또는 구획의 갯수에서,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개수를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개수의 1.5배 이상 또는 2배 이하로 하면, 종래 기술의 탱커와의 구조적인 차가 적고, 종래 기술의 탱커의 구조설계를 많이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변경이 적게 된다. In the above-mentioned linear structure, when the number of the singl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is 1.5 times or more or twice or less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in the number of tanks or the number of the divisions excluding the slop tanks, The structural difference from the tanker is small, and the structure design of the conventional tanker can be widely used, so that the design change is reduced.

상기의 선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센터 카고탱크와 상기 윙 카고탱크 사이의 세로격벽의 선폭방향의 위치를, 그 선장방향에서의 위치에서의 선폭을 Bs로 한 경우에, 선측 외판보다도 내측에 「20%Bs」보다도 크게, 또한, 선측 외판보다도 내측에 「30%Bs」이하의 범위 내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탱커로서 필요한 손상시의 복원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또한, 상갑판에 거대한 플랜트가 탑재되는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 있어서, 선측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윙 카고탱크의 용적을 작게 할수 있다. In the linear structure described above, when the line width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bulkhead between the center cargo tank and the wing cargo tank is defined as Bs at the position in the skid direction, % Bs ", and is set within a range of " 30% Bs "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shell plating.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ing cargo tank which is likely to be damaged on the side of a ship-like floating water storage structure in which a large plant is mounted on the upper deck, while sufficiently restoring the damage required for the tanker is secured.

또한, 이 센터 카고탱크와 윙 카고탱크와의 사이의 세로격벽의 위치를 「20%Bs」이하의 위치로 하면, 선박의 충돌 등의 만일의 사태에 의해, 이 세로격벽이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30%Bs」보다 크게 하면, 윙 카고탱크의 용량을 작게 해서 얻어지는 상기의 복원력의 감소억제효과와, 센터 카고탱크를 크게 하는 효과가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When the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bulkhead between the center cargo tank and the wing cargo tank is set to a position of " 20% Bs " or les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ongitudinal bulkhead is damaged , It is not preferable. If it is larger than "30% B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reduction of the restoring force obtained by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wing cargo tank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enter cargo tank are reduced, not.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센터 카고탱크와 윙 카고탱크 사이의 세로격벽의 위치는, 선폭방향에 관해서, 그 선폭(Bs)에 대해서 선측 및 선저구획의 폭(B1)을 제외한, 센터 카고탱크와 윙 카고탱크의 폭의 합(Bs-2×B1)을 대략 3등분한 위치「해당 세로격벽의 선측에서의 거리 Bt=(Bs-2×B1)/3+B1」=「(Bs+B1)/3」로 하고, 센터 카고탱크와 윙 카고탱크의 용량을 거의 같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종래 기술의 구성에 대해서, 상기의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윙 카고탱크의 용량을 작게해서, 손상시의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ior art, the positions of the longitudinal bulkheads between the center cargo tank and the wing cargo tank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enter cargo tanks, except for the line width Bs, (Bs + 2B1) / 3 + B1 " (Bs + B1) ", which is obtained by dividing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wing cargo tanks / 3 ", and the capacity of the center cargo tank and the capacity of the wing cargo tank are almost the same. With this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apacity of the wing cargo tank and to reduce the influence of damages upon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선형 구조물에 있어서, 선장방향에 관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을 구분하는 사이드 구획용 가로격벽에 인접하는 선측 및 선저구획의 한쪽을,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하측부분과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하측부분과 외측의 측면부분을 연통해서 감싸는 U자형 구획으로 형성되는 U자형 구획구조와, 다른 쪽을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하측부분과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하측부분과 외측의 측면부분을 연통해서 감싸는 것과 동시에 상기 센터 탱크의 하측에 선저 세로격벽을 갖는 J자형 구획의 2개가 짝이 되는 J자형 구획구조로 형성해서, 선장방향에 관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을, 상기 U자형 구획구조와 상기 J자형 구획구조를 교대로 배치해서 구성한다.In the linear structure, one of a side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adjacent to the side partition lateral barrier dividing the side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s divid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cargo tank and a lower portion of the wing cargo tank And a U-shaped partition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outer side portion of the wing cargo tank and the U-shaped partition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other side of the center cargo tank and the outer side portion of the wing cargo tank Shaped partition structure in which two J-shaped compartments each having a bottom longitudinal bulkhead are pair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tank, wherein the vessel side and the bottom compartment are divided into the U-shaped partition structure and the J- Structures are alternately arranged.

이 U자형 구획구조에서는, 좌현측의 선측 및 선저구획과 우현측의 선측 및 선저구획이 선저부분에서 연통해 있기 때문에, 한쪽 현측의 손상으로, 선측 및 선저구획 내의 밸러스트 수가 유출되어도, 또한, 선측 및 선저구획 내에 해수가 유입되어도, 양쪽 현에 미친다. 그 때문에, 밸러스트 수의 유출 또는 해수의 유입에 의한 선체의 횡경사로의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U-shaped partition structure, even if the ballast water in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 is leaked due to damage to one side of the ship,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partitions on the port side and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 part on the starboard 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bottom part, And even if seawater flows into the bottom compartment, it extends to both prefectur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outflow of the ballast water or the inflow of seawater to the horizontal crossing of the hull.

한편, J자형 구획구조는, 좌현측의 선측 및 선저구획과 우현측의 선측 및 선저구획이 선저부분에서 구분되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 현측의 손상으로, 선측 및 선저구획 내의 밸러스트 수가 유출되어도, 또한, 선측 및 선저구획 내에 해수가 유입되어도, 한쪽 현에만 머무르기 때문에, 밸러스트 수의 유출 또는 해수의 유입에 의해 선체의 횡경사가 생기지만, 밸러스트 수의 유출량 및 해수의 유입량이 한쪽 현에만 머무르기 때문에, 선체의 침하량의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J-shaped partition structure, since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sions on the port side and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sions on the starboard sid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portion, even if the ballast water in the ship side and the bottom side divides, In addition, even if the seawater flows into the side and bottom divisions, the stagnation of the hull due to the outflow of ballast water or the influx of seawater occurs only in one side, but the outflow amount of the ballast water and the inflow amount of the seawater remain in only one 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hull.

그 때문에, U자형 구획구조와 J자형 구획구조를 교대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선박의 충돌 등에 의한 2구획 손상의 영향을, 손상구획에서의 침하량으로의 영향과 복원성의 향상효과와, 횡경사량으로의 영향 양쪽을 균형있게 분산할 수 있고, 종합적인 손상으로의 대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손상시에 있어서는, 좌우의 J자형 구획의 한쪽에만 밸러스트 수를 넣는 것에 의해, 횡경사(힐)의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U자형 구획만 있으면, 이 횡경사의 조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U-shaped partition structure and the J-shaped partition structure, the effect of the damage to the two compartments due to collision of the ship or the like can be improved by the effect of the settlement amount in the damaged compartment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influence of the impact to both sides in a balanced manner, and to improve the response to comprehensive damage. Further, at the time of non-los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orizontal inclination (heel) by putting the ballast water only in one of the right and left J-shaped compartments. However, if there is only the U-shaped compartment, adjustment of the crossing yarns becomes impossible.

상기의 선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에 있어서,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하측에서 상기 선저 세로격벽 사이에 선저 중앙구획을 설치, 탱커로서 사용할 때에는 상기 선저 중앙구획을 밸러스트 수를 넣는 구획으로 하고,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로서 사용할 때에는 상기 선저 중앙구획을 밸러스트 수를 넣지 않는 구획으로 한다. In the above-mentioned linear structure, in the above-mentioned linear and transverse compartments, a bottom central compartment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transverse bulkheads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cargo tank, and when used as a tanker, the bottom central compartment is divided into compartments , And when used as a floating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the bottom central compartment is to be a compartment not containing ballast water.

이 구성에 의하면,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로서 사용할 때는 밸러스트 수를 넣지 않는 선저 중앙구획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밸러스트 수를 넣는 경우에 비해서, 메인터넌스 프리에 가까운 상태로 가능하고, 메인터넌스를 현저하게 간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항행을 전제로 하지 않는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 있어서는, 항행을 전제로 하는 탱커와 다른 선저의 손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고, 이 부분도 카고탱크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조시에 이 선저 중앙구획을 센터 카고탱크와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매우 간단하게 카고탱크의 용량을 증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providing the bottom-bottom central compartment in which the ballast water is not used when used as a flotation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tate close to a maintenance free state and to remarkably simplify the maintenance It is possib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loating body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which does not require navigation,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damage of the tanker and other bottoms on the basis of navigation, and this portion can also be a cargo tank. By connecting the center section to the center cargo tank, the capacity of the cargo tank can be increased very simp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형구조물의 설계방법은, 탱크구조를 갖는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으로, 선폭방향에 관해서 좌우대칭에, 센터 카고탱크와 그 양측에 윙 카고 카고탱크를 설치하고, 또한 그 윙 카고탱크의 외측에, 밸러스트 탱크 혹은 보이드 스페이스로서 사용되는 선측 및 선저구획을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슬롭탱크를 제외한 탱크 또는 구획의 개수에서,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개수를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개수보다도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having a tank structure, wherein a center cargo tank and a wing cargo cargo tank ar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ine width direction And the wing cargo tank is provided with a side and a bottom section used as ballast tanks or void spaces and the number of one of the wing cargo tanks in the number of tanks or compartments excluding the slop tank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이 방법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선형구조물을 쉽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easily design a linear structure capable of achieving the above effect.

본 발명에 관한, 선형 구조물과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에 의하면, 비용증가가 되는 탱크의 개수, 즉, 탱크를 나누는 수밀격벽의 면적을 가능한한 늘리지 않고, 특히 선측손상에 강한 구획 배치를 계획하고, 탱커로서 쓰기에 편리함과 비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 유용가능한 구획배치로서, 설계 비용의 감소나 리드 타임의 단축에 연결되고, 저렴한 가격에 또한 신속하게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and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lan th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particularly resistant to the side damage,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tanks with an increased cost, that is, the area of the watertight bulkhead dividing the tanks, As a tanker, it is convenient to use and maintains cost competitiveness. It can be used as a compartmentalized water storage structure as it is. It is connected to reduction of design cost and lead time, Can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의 카고탱크의 구획나눔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의 카고탱크의 구획나눔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의 카고탱크의 구획나눔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의 U자형 구획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의 J자형 구획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의 3구획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의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의 카고탱크의 구획구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시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의 탱커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의 탱커의 카고탱크의 구획구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vision of a cargo tank of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vision of a cargo tank of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vision of a cargo tank of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U-shaped section structure of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shaped partition structure of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ree-compartment structure of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ior art floating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FIG.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ition of a cargo tank of a conventional floating body of water storage structure.
9 is a side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anker.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vision of a cargo tank of a conventional tanker.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 및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and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처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이 본 발명에 관한 제 1의 실시형태의 선형 구조물(1A)은,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과의 사이에서 공통의 탱크 구조를 갖는 선형 구조물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은, FPSO와 FSO와 같이, 석유나 액화가스 등의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카고탱크를 갖고 있지만, 탱커와 같은 자항하기 위한 추진장치를 갖지 않는 해상에 뜨는 구조물을 말한다.First,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linear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ear structure having a common tank structure between the tanker and the body floating storage structure. The term " flotation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 as used herein refers to a cargo tank that stores liquids such as petroleum and liquefied gas, such as FPSO and FSO. However, Floating structures.

도 1에서 나타내듯이, 이 선형 구조물(1A)은, 선폭방향에 관해서 좌우대칭으로, 센터 카고탱크(11)와 그 양측에 윙 카고탱크(12)를 설치하고, 이 윙 카고탱크(12)의 외측에, 밸러스트 탱크 혹은 보이드 스페이스로서 사용되는 선측 및 선저구획(13)을 설치해서 구성된다. 그리고, 옆으로 줄지은 선측 및 선저구획(13), 윙 카고탱크(12), 센터 카고탱크(11), 윙 카고탱크(12), 선측 및 선저구획(13)의 열을 선장방향으로 배치한다. As shown in Fig. 1, the linear structure 1A is provided with a center cargo tank 11 and wing cargo tanks 12 on both sides thereof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ine width direction, And a side and a bottom compartment 13 used as a ballast tank or a void space are provided on the outside. The rows of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13, the wing cargo tanks 12, the center cargo tanks 11, the wing cargo tanks 12, and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13 are arranged in the skipper direction.

또한, 가장 뒤쪽부분의 윙 카고탱크(12)의 뒤쪽부분에 슬롭탱크용 횡격벽(14a)을 설치해서 구획하여, 슬롭탱크(14)(해칭으로 표시한 부분)를 설치한다. 이 슬롭탱크(14)는, 카고탱크(11), (12) 내를 세정한 기름 오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해서 정치하고, 기름물을 분리하기 위한 탱크이다.A slop tank 14 (hatched portion) is provided by partitioning the slop tank lateral partition 14a at the rear portion of the wing cargo tank 12 at the rear portion. The slop tank 14 is a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oil wastewater which has been cleaned in the cargo tanks 11 and 12 and for leaving the oil water separated.

이 슬롭탱크(14)에서는, 유수(油水)분리된 수분은 배수처리설치로, 유분은 기름회수 탱크로 각각 회송되고, 탱커에서는, 슬롭탱크(14)에 모아진 기름 오수를 분리한 후, 하층의 수분을 필요에 따라서 유분농도를 저하시키는 배수 처리한 후에 선외로 배출하고, 한편 기름과 물을 완전하게 분리 가능하지 않아서, 최종적으로 남은 기름과 물의 혼합물을 저장하여, 기항(寄港)시에 양륙하고 있다. In the slop tank 14,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oil water is returned to the oil recovery tank, and the oil is returned to the oil recovery tank. In the tanker, the oil sludge collected in the slop tank 14 is separated, The water is drained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he oil as need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hip.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il and the water can not be separated completely, a mixture of the remaining oil and water is stored and discharged at the port have.

또한, 이 선형 구조물(1A)에서는, 슬롭탱크(14)를 제외한 탱크 또한 구획의 개수에서, 윙 카고탱크(12)의 한쪽 현의 개수(도 1의 구성에서는 6)(Nw)를 센터 카고탱크(11)의 개수(도 1의 구성에서는 3)(Nc)보다도 많게 해서 구성된다. 즉, Nw/Nc이다.In the linear structure 1A, the number of one strings (six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Nw of the wing cargo tanks 12 in the number of tanks and compartments excluding the slop tanks 14, (3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Nc. That is, Nw / Nc.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측 및 선저구획(13)의 한쪽 현의 개수(Ns)를 센터 카고탱크(11)의 개수(Nc)보다 많게 한다. 즉, Ns≥Nc로 한다. 혹은, 선측 및 선저구획(13)의 한쪽 현의 개수(Ns)를, 슬롭탱크(14)를 제외한 탱크 또는 구획의 개수에서,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개수(Nw) 이상으로 한다. 즉, Ns≥Nw로 한다. 이들에 구성에 의해, 만일, 선박의 충돌 등에 의해, 선형 구조물(1A)의 선측 및 선저구획(13)이 2구획에 걸쳐 손상되도, 선측 및 선저구획(13)의 개수가 증가되고, 선측 및 선저구획(13) 한개당의 용량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선형 구조물(1A)의 선측손상시에서의 복원력을 크게 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number Ns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13 is made larger than the number Nc of the center cargo tanks 11. [ Namely, Ns > Nc. Alternatively, the number Ns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13 is 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Nw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 in the number of tanks or compartments excluding the slop tank 14. [ That is, Ns > = Nw. With these configurations, even if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of the linear structure 1A are damaged over two compartments due to a collision of the ship or the like, the number of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is increased, Since the capacity of each bottom section 13 is reduced, the restoring force at the time of side damage of the linear structure 1A can be increased.

이것에 의해, 선측 및 선저구획(13)과 그 내측에 위치하는 윙 카고탱크(12)를 세분화해서 작게 하여 선측에서 손상을 받은 탱크의 종합용적을 작게 하는 것과 함께, 손상범위에 포함되기 어려운 센터 카고탱크(11)를 가능한 한 대형화해서, 작업공정이나 비용의 증가에 연결되는 수밀격벽의 개수 및 면적을 감소시킨다.As a result, the wing cargo tanks 12 located on the side of the ship and the bottom of the ship 13 are subdivided to be smaller and the total volume of the tanks damaged on the side is reduced. In addition, The cargo tank 11 is made as large a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and area of watertight bulkheads connected to the work process and the cost increase.

또한, 슬롭탱크(14)를 제외한 탱크의 개수 또는 구획의 개수에서, 윙 카고탱크(12)의 한쪽 현의 개수(Nw)를, 센터 카고탱크(11)의 개수(Nc)의 1.5배 이상 또한 2배 이하로 한다(1.5×≤Nc≤Nw≤2×Nc). 이것에 의해, 종래 기술의 탱커와 구조적인 차가 적고, 종래기술의 탱커의 구조설계의 대부분을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설계변경이 적게 끝나게 된다.The number Nw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12 is set to 1.5 times or more the number Nc of the center cargo tanks 11 in the number of the tanks or the number of the tanks excluding the slop tanks 14 (1.5 x? Nc? Nw? 2 x Nc).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most of the structural designs of the conventional tanker with a small structural difference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tanker, so that the design change is reduced to a small extent.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본 발명에 관한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B)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A)과는, 선장방향에 관해서, 선측 및 선저구획(13)을 구분하는 사이드 구획용 가로격벽(13a)을 윙 카고탱크(12)의 전후방향을 구분하는 윙 카고탱크용 가로격벽(12a)에 대해서, 미리 설정한 거리(Lt1), (Lt2)만큼 비키어서 설치하여 구성하는 점이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같다. Next,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linear structure 1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linear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ide structure The lateral partition walls 13a for partition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predetermined distances Lt1 and Lt2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partition walls 12a for the wing cargo tanks for separat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ing cargo tanks 12 The points are different, but the others are the same.

이렇게 설정한 거리 Lt1, Lt2는, 선형 구조물의 건현길이를 L로 하면, 「L(⅔)/3」또는「14.5m」중 어느 쪽이든 작은 쪽의 길이(Ls) 이상으로, 또한, 2개의 윙 카고탱크용 가로격벽(12a) 사이의 거리(Lt)의 절반 이하로 하면, 선측에서의 손상이 하나의 윙 카고탱크(12)에 머무를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설정한 거리 Lt1, Lt2를 이 길이(Ls) 미만으로 하면, 손상부위가 길어진 경우에, 두개의 윙 카고탱크(12)에 손상이 미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The thus set distances Lt1 and Lt2 are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length Ls of the smaller one of "L (⅔) / 3" or "14.5 m" by the free standing length of the linear structure as L, Is less than half of the distance Lt between the transverse bulkheads 12a for the cargo tanks,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damage on the side is more likely to stay in one wing cargo tank 12. If the set distances Lt1 and Lt2 are less than the length Ls, there is a greater possibility that the two wing cargo tanks 12 are damaged when the damaged area is long.

이 구성에 의하면, 만일 선박의 충돌 등에 의해, 선형 구조물(1B)의 선측 및 선저구획(13)이 2구획에 걸쳐 손상되어도, 그것에 인접하는 윙 카고탱크(12)가 1구획의 침수에 머무를 가능성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선형 구조물(1B)의 선측손상시에서의 복원력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윙 카고탱크(12) 내의 화물의 유출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f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of the linear structure 1B are damaged over two compartments due to a collision of the ship or the like, the possibility that the wing cargo tanks 12 adjacent thereto will remain in the submerged flooding of one compart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at the time of damage to the linear structure 1B at the side of the ship and to reduce the outflow of the cargo in the wing cargo tank 12. [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본 발명에 관한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C)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A)과는, 다음에서 예로 드는 점에서 다를 뿐, 그 외의 구성은 같다. Next,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linear structure 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linear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it is exemplified in the following.

즉, 센터 카고탱크(11)와 윙 카고탱크(12)와의 사이의 세로격벽(11t)의 선폭방향의 위치를, 그 선장방향에서의 위치에서의 선폭을 Bs로 한 경우에, 선측 외판(10a)보다도 내측으로「20%Bs」보다도 크게, 또한, 선측외판(10a)보다도 내측으로「30%Bs」이하의 범위 내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탱커로서 필요한 손상시의 복원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또한, 상갑판에 거대한 플랜트가 탑재된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에 있어서, 선측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윙 카고탱크(12)의 용적을 작게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line width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partition 11t between the center cargo tank 11 and the wing cargo tank 12 is set to be the line width at the position in the skid direction, 20% Bs " in the inside of the outside sheathing 10a and 30% Bs or less inside the side sheathing 10a.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wing cargo tank 12, which is likely to be damaged in the side, in a floating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in which a large plant is mounted on the upper deck, Can be made small.

또한, 이 센터 카고탱크(11)와 윙 카고탱크(12) 사이의 세로격벽의 위치를 「20%Bs」이하의 위치로 하면, 선박의 충돌 등의 만일의 사태에 의해, 이 세로격벽(11t)이 손상을 받을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30%Bs」보다 크게 하면, 윙 카고탱크(12)의 용량을 작게 해서 얻을 수 있는, 손상시의 복원력의 감소억제효과와, 센터 카고탱크(11)를 크게 하는 효과가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When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between the center cargo tank 11 and the wing cargo tank 12 is set to a position of "20% Bs" or less, due to a situation such as collision of the ship, ) Is greater than 30% B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apacity of the wing cargo tank 12 to reduce the restoring force at the time of damage, The effect of enlarging the center cargo tank 11 becomes small, which is not preferable.

또한, 이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C)의 구성을,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B)에 적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the linear structure 1C of the third embodiment to the linear structure 1B of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 4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에 대해서, 도 1 및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본 발명에 관한 제 4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D)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A)과는, 다음에서 예로 드는 점에서 다를 뿐으로, 그 외의 구성은 같다. Next,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4, and 5. Fig. The linear structure 1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linear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exemplified as follows.

즉, 선장방향에 관해서, 선측 및 선저구획(13)을 구분하는 사이드 구획용 가로격벽(13a)에 인접하는 선측 및 선저구획(13)의 한쪽(예를 들면 전방)을, 센터 카고탱크(11)의 하측부분과 윙 카고탱크(12)의 하측부분과 외측의 측면부분을 연통해서 감싸는 U자형 구획(13A)으로 형성되는 U자형 구획구조로 구성한다. That i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skipper, one side (for example, front side) of the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adjacent to the side partitioning lateral partition 13a for separating the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is connected to the center cargo tank 11 And a U-shaped section 13A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wing cargo tank 12 and the side of the outer side.

또한, 이 사이드 구획용 가로격벽(13a)에 인접하는 선측 및 선저구획(13)의 다른 쪽(예를 들면 후방)을 센터 카고탱크(11)의 하측부분과 윙 카고탱크(12)의 하측부분과 외측의 측면부분을 연통해서 감싸는 것과 함께 센터 탱크(11)의 하측에 선저 세로격벽(13t)을 갖는 J자형 구획(13B)의 두개가 짝이 되는 J자형 구획구조로 형성한다.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rear side) of the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adjacent to the side partition partition walls 13a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cargo tank 11 and the lower part of the wing cargo tank 12 And a J-shaped section (13B) having a bottom longitudinal partition (13t)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tank (11).

이것에 의해, 선장방향에 관해서, 선측 및 선저구획(13)을, U자형 구획구조와 J자형 구획구조를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As a resul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skipper,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13 are configure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U-shaped and J-shaped section structures.

이 U자형 구획구조에서는, 좌현측의 선측 및 선저구획(13)과 우현측의 선측 및 선저구획(13)이 선저부분에서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 현측의 손상으로, 선측 및 선저구획(13) 내의 밸러스트 수가 유출되도, 또한, 선측 및 선저구획(13) 내에 해수가 유입되어도, 양쪽 현에 미친다. 그 때문에, 밸러스트수의 유출 또는 해수의 유입에 관한 선체의 횡경사로의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U-shaped partition structure, since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on the port side and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on the starboard 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ship, And even if seawater flows into the side and bottom compartments (13), it spreads to both string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outflow of the ballast water or the inflow of seawater to the diagonal crossing of the hull.

한편, J자형 구획구조는, 좌현측의 선측 및 선저구획(13)과 우현측의 선측 및 선저구획(13)이 선저부분에서 구분되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 현측의 손상으로, 선측 및 선저구획(13) 내의 밸러스트 수가 유출되어도, 또한, 선측 및 선저구획(13) 내에 해수가 유입되어도, 한쪽 현에만 머무른다. 그 때문에, 밸러스트 수의 유출 또는 해수의 유입에 의해 선체의 횡경사가 생기지만, 밸러스트 수의 유출량 및 해수의 유입량이 한쪽 현에만 머무르기 때문에, 선체의 침하량으로의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J-shaped partition structure, since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on the port side and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on the starboard sid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portion, Even if ballas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hip 13 and seawater flows into the ship side and bottom ship compartment 13, Because of this, the outflow of the ballast water or the inflow of seawater causes a diaphragm of the hull, but the influx of the amount of ballast water and the inflow amount of the seawater stays only in one of the hulls.

그 때문에, U자형 구획구조와 J자형 구획구조를 교대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선박의 충돌 등에 의한 2구획 손상의 영향을, 손상구획에서의 침하량으로의 영향과 복원성의 향상효과와, 횡경사량으로의 영향의 양쪽을 밸런스 있게 분산가능하고, 종합적인 손상으로의 대응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비손상시에 있어서는, 좌우의 J자형 구획(13B)의 한쪽에만 밸러스트 수를 넣는 것에 의해, 횡경사(힐)의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U자형 구획(13A)만 있으면, 이 횡경사의 조정을 할 수 없게 된다. Therefore,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U-shaped partition structure and the J-shaped partition structure, the effect of the damage to the two compartments due to collision of the ship or the like can be improved by the effect of the settlement amount in the damaged compartment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Can be balancedly dispersed, and the response to comprehensive damage can be improved. In the non-loss stat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heel) by putting the ballast water only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J-shaped sections 13B. However, if there is only the U-shaped section 13A, The adjustment can not be made.

또한, 이 제 4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D)의 구성을,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B), 및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C)에 적용해서도,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Even if the structure of the linear structure 1D of the fourth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linear structure 1B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linear structure 1C of the thir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제 5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에 대해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본 발명에 관한 제 5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E)은, 제 1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A)과는, 다음에 예로 드는 점에서 다를 뿐으로, 그 외의 구성은 같다. Next,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Fig. The linear structure 1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linear structur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llowing points, and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즉, 선측 및 선저구획(13)에 있어서, 센터 카고탱크(11)의 하측에서, 현측(舷側)측의 구획(13C)과 구분하는 선저 세로격벽(13te)을 설치, 이 양쪽 현의 선저 세로격벽(13te)의 사이에 선저 중앙구획(13D)(크로스 해칭 부분)을 설치, 이 선저 중앙구획(13D)을, 탱커로서 사용할 때는 밸러스트 수를 넣는 구획으로 하고,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로서 사용할 때 밸러스트 수를 넣지 않는 구획으로 한다. In other words, in the ship side and bottom partitions 13, a bottom transverse bulkhead 13te is provided below the center cargo tank 11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segment 13C on the side of the ship side, A bottom bottom central section 13D (cross hatching s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3te. When the bottom bottom central section 13D is used as a tanker, the compartments are provided with ballast water. It shall be a section that does not contain ballast water.

이 구성에 의하면,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로서 사용할 때는, 밸러스트 수를 넣지 않는 선저 중앙구획(13D)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밸러스트 수를 넣는 경우에 비해서, 메인터넌스 프리에 가까운 상태로 가능, 메인터넌스를 현저하게 간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항행을 전제로서 하지 않는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에 있어서는, 항행을 전제로 하는 탱커와 다른 선저의 손상을 고려하지 않아도 좋고, 이 부분도 카고탱크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조시에 이 선저 중앙구획(13D)을 센터 카고탱크(11)와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매우 간단하게 카고탱크의 용량을 증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used as a flotation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by providing the bottom bottom central section 13D in which the ballast water is not insert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ballast water is filled,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tate close to a maintenance free state, It is possible to simplif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loating body type water storage structure which does not assume the navigation as a premise,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damage of the tanker and other bottom on the assumption of navigation, and this portion can also be a cargo tank, By making the central section 13D communicate with the center cargo tank 11, the capacity of the cargo tank can be increased very simply.

또한, 이 제 5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E)의 구성을, 제 2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B), 및 제 3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C)에 적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Even if the configuration of the linear structure 1E of the fifth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linear structure 1B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linear structure 1C of the third embodiment, Effect can be obtained.

그래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은, 상기의 제 1~제 5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A), (1B), (1C), (1D), (1E)(이하, 1A~1E)의 설계에 있어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과의 사이에서 공통의 탱커구조를 갖는 선형 구조물의 설계시에, 선폭방향에 관해서 좌우대칭으로, 센터 카고탱크(11)와 그 양쪽에 윙 카고탱크(12)를 설치하고, 또한 그 윙 카고탱크(12)의 외측에, 밸러스트 탱크 혹은 보이드 스페이스로서 사용되는 선측 및 선저구획(13)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슬롭탱크(14)를 제외한 탱크 또는 구획의 개수에서, 윙 카고탱크(12)의 한쪽 현의 개수(Nw)를 센터 카고탱크(11)의 개수(Nc)보다도 많게 하는 방법이다.Therefore, the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structures 1A, 1B, 1C, 1D and 1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1A " to " 1E "), when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having a common tanker structure between a tanker and a floating body, The tank 11 and the wing cargo tanks 1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ank 11 and the wing cargo tanks 12 are provided with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13 used as ballast tanks or void spaces The number Nw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12 is made larger than the number Nc of the center cargo tanks 11 in the number of tanks or compartments excluding the slop tank 14. [

상기의 구성의 본 발명에 관한 제 1~제 5의 실시의 형태의 선형 구조물(1A)~(1E)과 본 발명에 관한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에 의하면, 만일, 선박의 충돌 등에 의해, 선형 구조물(1A)~(1E)의 선측 및 선저구획(13)이 2구획에 걸쳐 손상되고, 윙 카고탱크(12)와 선측 및 선저구획(13) 사이의 세로격벽(12t)이나 윙 카고탱크(12)의 전후방향을 구분하는 윙 카고탱크용 가로격벽(12a)이 손상되어도, 윙 카고탱크(12)의 개수가 증가하고, 윙 카고탱크(12) 한개당의 용량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선형 구조물(1A)~(1E)의 선측 손상시에서의 복원력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윙 카고탱크(12) 내의 화물의 유출을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linear structures (1A) to (1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nd the method of designing the line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f the linear structure The side walls 13 and the bottom walls 13 of the wing cargo tanks 12 and the side walls 13 and 14 of the wing cargo tanks 12A and 12B are damaged over the two sections and the longitudinal walls 12t between the wing cargo tanks 12 and the side walls 13, Because the number of wing cargo tanks 12 increases and the capacity per wing cargo tank 12 decreases, even if the transverse bulkheads 12a for the wing cargo tanks that divid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ing cargo tanks 12 are damaged, 1A to 1E can be increased and the outflow of the cargo in the wing cargo tank 12 can be reduced.

또한, 센터 카고탱크(11)의 개수(Nc)를 윙 카고탱크(12)의 한쪽 현의 개수(Nw)보다도 작게 해서, 종래 기술의 탱커와 같은 개수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이나 선체중량의 증가에 이어지는 센터 카고탱크(11)를 전후방향으로 구분하는 센터 카고탱크용 가로격벽(11a)의 개수, 즉, 수밀격벽의 개수 및 면적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탱커로서 사용하기 편리함을 유지하면서,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Since the number Nc of the center cargo tanks 11 is made smaller than the number Nw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12 to the same number as that of the conventional tanker, Since the number of the transverse bulkheads 11a for the center cargo tanks that divide the center cargo tank 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following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transverse bulkheads 11a, that is, the number and the area of the watertight bulkheads does not increase, An increase in cost can be suppressed.

즉, 선측 손상시에 손상범위가 되지않는 센터 카고탱크(11)의 개수(Nc)를 가능한 한 적게 하고, 또한, 윙 카고탱크(12)의 개수(2×Nw)를 늘리는 것으로, 비용증가가 되는 가로격벽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선측의 손상에 강한 구획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탱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탱커로서의 사용하기 편리함, 비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FPSO나 FSO 등의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에 유용가능한 구획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계비용이나 리드타임의 감소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렴한 가격에 또한 신속하게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을 공급할 수 있다. That is, by reducing the number Nc of the center cargo tanks 11 that do not fall within the damage range at the time of side damage and by increasing the number (2 x Nw) of the wing cargo tanks 12,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of the horizontal barriers and to make the partition arrangement resistant to damage on the side of the ship. Thus, when used as a tank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t arrangement as a tanker and a compartment arrangement that can be used for a floating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such as FPSO or FSO while maintaining cost competitiveness. Design cost and lead time It is possible to supply a floating body of water storage structure at an inexpensive price as well as in a case of using as a floating body water storage structure.

이것에 의해, 탱커와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의 양쪽의 요구를 만족하고 있는 선형 구조물(1A)~(1E), 또는 탱커에서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에 설계변경 또는 개조하기 쉬운 선형 구조물(1A)~(1E), 또는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에서 탱커로 설계변경 또는 개조하기 쉬운 선형 구조물(1A)~(1E)을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the linear structures 1A to 1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both the tanker and the buoyant water storage structure or the linear structures 1A to 1E that are easy to change or modify the buoyant water storage structure in the tanker, (1E), or linear structures (1A) to (1E) that are easy to design change or retrofit into a tanker from a torpedo-type water storage structure.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선형 구조물과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에 의하면, 비용 증가가 되는 탱크의 개수, 즉, 탱크를 나누는 수밀격벽의 면적을 가능한 한 늘리지 않고, 특히 선측 손상에 강한 구획배치를 설계하고, 탱커로서의 쓰기에 편리함과 비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에 유용 가능한 구획배치로 하고, 설계 비용의 감소나 리드 타임의 단축에 연결되어, 저렴한 가격에 또한 신속하게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개수의 탱커나 부체식 해상 저장 구조물의 선형 구조물 및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에 이용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designing a linear structure and a line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sign a partition arrangement that is particularly resistant to the side damage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tanks that increase the cost, that is, the area of the watertight bulkhead dividing the tank as much as possible, It is convenient to use and maintains cost competitiveness. It can be used as a compartmentalized arrangement for a floating-type water storage structure as it is, and it is connected to reduction of design cost and lead time, It can be used to design linear structures and linear structures of a large number of tankers or floating body structures.

1A, 1B, 1C, 1D, 1E 선형 구조물
10 선체
10a 선측외판
11 센터 카고탱크
11a 센터 카고탱크용 가로격벽
11t 센터 카고탱크와 윙 카고탱크의 사이의 세로격벽
12 윙 카고탱크
12a 윙 카고탱크용 가로격벽
12t 윙 카고탱크와 선측 및 선저구획사이의 세로격벽
13 선측 및 선저구획
13A U자형 구획
13B J자형 구획
13C 현측(舷側)측의 구획
13D 선저중앙구획
13a 사이드 구획용 가로격벽
13t, 13te 선저세로격벽
14 슬롭탱크
14a 슬롭탱크용 가로격벽
1A, 1B, 1C, 1D, 1E linear structures
10 Hull
10a side shell
11 Center Cargo Tank
11a Horizontal bulkheads for center cargo tanks
11t Vertical bulkhead between center cargo tank and wing cargo tank
12 Wing Cargo Tank
12a transverse bulkheads for wing cargo tanks
Vertical bulkhead between 12t wing cargo tank and side and bottom sections
13 Side and bottom compartment
13A U-shaped compartment
13B J-shaped compartment
13C Compartment on the side of the wing
13D Lower central compartment
13a Side barrier for side compartment
13t, 13te bottom bulkhead
14 slop tank
14a Horizontal bulkhead for slop tank

Claims (9)

탱크구조를 갖는 선형 구조물에 있어서,
선폭방향에 관해서 좌우대칭으로, 센터 카고탱크와 그 양측에 윙 카고탱크를 설치하고, 그 윙 카고탱크의 외측에, 밸러스트 탱크 혹은 보이드 스페이스로서 사용되는 선측 및 선저구획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슬롭탱크를 제외한 탱크 또는 구획의 개수에서,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개수를,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개수보다도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조물.
In a linear structure having a tank structure,
The center cargo tank and the wing cargo tank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cargo tank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ine width direction and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used as ballast tanks or void spaces are provided outside the wing cargo tank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is made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in the number of tanks or compartments excluding the slop tanks.
제 1항에 있어서,
선장방향에 관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을 구분하는 사이드 구획용 가로격벽을, 상기 윙 카고탱크의 전후방향을 구분하는 윙 카고탱크용 가로격벽에 대해서, 미리 설정한 거리만큼 옆으로 비키어 놓고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skipper, the lateral partition walls for dividing the side compartment and the bottom compartment are disposed side by s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bulkheads for the wing cargo tanks for separat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ing cargo tanks Wherein the linear structure is a linear structure.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의 한쪽 현의 개수를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개수보다도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조물.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number of one-side strings of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sections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제 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의 한쪽 현의 개수를, 상기 슬롭탱크를 제외한 탱크 또는 구획의 개수에서,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개수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조물.
4. The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number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number of on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in the number of tanks or compartments excluding the slop tanks.
제 1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롭탱크를 제외한 탱크의 개수 또는 구획의 개수에서,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개수를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개수의 1.5배 이상 또한 2배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조물.
5. The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number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is 1.5 times or more and 2 times or less of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in the number of tanks or the number of compartments excluding the slop tanks.
제 1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카고탱크와 상기 윙 카고탱크의 사이의 세로격벽의 선폭방향의 위치를, 그 선장방향에서의 위치에서 선폭을 Bs로 한 경우에, 선측외판보다도 내측으로「20%Bs」보다도 크게, 또는 선측외판보다도 내측으로「30%Bs」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조물.
5. The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20% Bs " to the inside of the side shell plating when the line width is Bs at the position in the shipboard direction, in the line width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bulkhead between the center cargo tank and the wing cargo tank, or Is set to be within the range of " 30% Bs " to the inside of the side shell plating.
제 1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장방향에 관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을 구분하는 사이드 구획용 가로격벽에 인접하는 선측 및 선저구획의 한쪽을, 상기 센터 카고 탱크의 하측부분과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하측부분과 외측의 외면부분을 연통해서 감싸는 U자형 구획으로 형성되는 U자형 구획구조와, 다른쪽을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하측부분과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하측부분과 외측의 측면부분을 연통해서 감싸는 것과 함께 상기 센터 탱크의 하측에 선저 세로격벽을 갖는 J자형 구획의 2개가 짝이 되는 J자형 구획구조로 형성하여,
선장방향에 관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을, 상기 U자형 구획구조와 상기 J자형 구획구조를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조물.
7. The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One side of a side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adjacent to the side partition lateral barrier dividing the ship side and the bottom portion is divid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cargo tank and a lower portion of the wing cargo tank and an outer portion of the outside of the wing cargo tank A U-shaped partition structure formed by a U-shaped section enclosing the wing cargo tank and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cargo tank and a lower side portion and an outer side portion of the wing cargo tank, A J-shaped section structure having two pairs of J-shaped sections each having a bottom longitudinal bulkhead,
Characterized in tha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skipper, the side and bottom divisions are configure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U-shaped divided structure and the J-shaped divided structure.
제 1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측 및 선저구획에 있어서,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하측에서 상기 선저 세로격벽의 사이에 선저 중앙구획을 설치, 탱커로서 사용할 때는 상기 선저 중앙구획을 밸러스트 수를 넣는 구획으로 하고, 부체식 해상 저장구조물로서 사용할 때에는 상기 선저 중앙구획을 밸러스트 수를 넣지 않는 구획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선형 구조물.
7. The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n the ship side and bottom side divisions, a bottom bottom central partition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vertical partition walls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cargo tank. When the bottom side central partition is used as a tanker, the bottom central compartment is used as a compartment for containing ballast water, Wherein the bottom section central section is a section not containing the ballast water.
탱크구조를 갖는 선형구조물의 설계방법으로,
선폭방향에 관해서 좌우대칭으로, 센터 카고탱크와 그 양측에 윙 카고탱크를 설치하고 또한, 그 윙 카고탱크의 외측에, 밸러스트 탱크 혹은 보이드 스페이스로서 사용되는 선측 및 선저구획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슬롭탱크를 제외한 탱크 또는 구획의 개수에서, 상기 윙 카고탱크의 한쪽 현의 개수를 상기 센터 카고탱크의 개수보다도 많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구조물의 설계방법.
As a design method of a linear structure having a tank structure,
The center cargo tank and the wing cargo tank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cargo tank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ine width direction and the side and bottom sections used as ballast tanks or void spaces are provided outside the wing cargo tanks,
Wherein the number of one of the strings of the wing cargo tank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center cargo tanks in the number of tanks or compartments excluding the slop tanks.
KR1020157023798A 2013-05-15 2014-04-28 Navicular structure KR1021699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2697 2013-05-15
JP2013102697A JP6169412B2 (en) 2013-05-15 2013-05-15 Hull form structure and design method of hull form structure
PCT/JP2014/061834 WO2014185259A1 (en) 2013-05-15 2014-04-28 Navicular structure and method for designing navicular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010A true KR20160009010A (en) 2016-01-25
KR102169903B1 KR102169903B1 (en) 2020-10-26

Family

ID=5189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798A KR102169903B1 (en) 2013-05-15 2014-04-28 Navicular structur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169412B2 (en)
KR (1) KR102169903B1 (en)
CN (1) CN105209334B (en)
BR (1) BR112015027056A2 (en)
SG (1) SG11201509326TA (en)
WO (1) WO2014185259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38B1 (en) * 2020-08-24 2021-12-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hip
KR20230041985A (en) * 2020-12-09 2023-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argo structure and very large crude oil carrier having the cargo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6051A (en) * 2016-05-25 2016-08-10 中国海洋石油总公司 Fold-line cabin wall suitable for floating production oil storage device
SE542010C2 (en) * 2016-10-06 2020-02-11 Bassoe Tech Ab Ship
JP6737431B2 (en) * 2016-10-11 2020-08-12 三井E&S造船株式会社 Liquefied gas carrier
KR101903103B1 (en) 2016-10-27 2018-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Offshore structure having cargo oil storage tank with hinge type block wall and damaged space reducing method
JP7088452B2 (en) * 2017-05-31 2022-06-21 三井E&S造船株式会社 Offshore floating structure
JP2019026083A (en) * 2017-07-31 2019-02-21 三井E&S造船株式会社 Ship-shaped structure
CN108945287B (en) * 2018-07-06 2021-02-12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Super-large crude oil tanker without swing bulkhead and cross brace
CN113697031B (en) * 2021-09-10 2022-07-01 肖昌美 Multipurpose shallow draft straight-through deck ship type
CN113895586A (en) * 2021-10-27 2022-01-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Segmentation division method for cargo hold area of film type LNG ship
CN114291201A (en) * 2021-12-01 2022-04-0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Cargo hold structure of no-swing bulkhead of ultra-large crude oil tanker
CN114348170A (en) * 2022-01-28 2022-04-15 广船国际有限公司 Protective bulkhead
WO2024037964A1 (en) * 2022-08-17 2024-02-22 Single Buoy Moorings Inc. Floating structure
US20240109625A1 (en) * 2022-09-29 2024-04-04 Puneet Sharma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 for production of hydrogen and ammoni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385A (en) * 1984-02-17 1985-09-07 Hitachi Zosen Corp Tanker
JPH072165A (en) * 1993-02-26 1995-01-06 Nkk Corp Ship hull structure for oil tanker
JPH11115875A (en) 1997-10-14 1999-04-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Oil tanker
KR20030019063A (en) * 2001-08-31 2003-03-06 조셉 웨이 륭 하 Ship body structure for oil and clean water
KR20030081177A (en) 2002-04-12 2003-10-17 에이에스엠 저펜 가부시기가이샤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wafer-processing type cv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560A (en) * 1998-11-13 2000-05-23 Nippon Marine Kk Ore/sulfuric acid carrier
US8671863B2 (en) * 2008-10-09 2014-03-18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entre Pte Ltd Hull conversion of existing vessels for tank integration
JP5715699B2 (en) * 2011-08-13 2015-05-13 信吉 森元 LNG shi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4385A (en) * 1984-02-17 1985-09-07 Hitachi Zosen Corp Tanker
JPH072165A (en) * 1993-02-26 1995-01-06 Nkk Corp Ship hull structure for oil tanker
JPH11115875A (en) 1997-10-14 1999-04-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Oil tanker
KR20030019063A (en) * 2001-08-31 2003-03-06 조셉 웨이 륭 하 Ship body structure for oil and clean water
KR20030081177A (en) 2002-04-12 2003-10-17 에이에스엠 저펜 가부시기가이샤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wafer-processing type cv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1: 일본출원의 특개평 7-2165호 공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38B1 (en) * 2020-08-24 2021-12-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hip
KR20230041985A (en) * 2020-12-09 2023-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argo structure and very large crude oil carrier having the cargo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69412B2 (en) 2017-07-26
JP2014223819A (en) 2014-12-04
BR112015027056A2 (en) 2017-07-25
SG11201509326TA (en) 2015-12-30
KR102169903B1 (en) 2020-10-26
CN105209334B (en) 2018-01-09
WO2014185259A1 (en) 2014-11-20
CN105209334A (en)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9010A (en) Navicular structure and method for designing navicular structure
CN201825218U (en) Ship cabin structure
KR20160096103A (en) Ship-shaped structure
JPS5852873B2 (en) liquid cargo carrier
CN104853982A (en) Method for constructing ship-shaped structure, method for designing ship-shaped structure, and divided structure body and mobile structure body used in these methods
CN108025801A (en) Marine float works
CN101027213B (en) Vessels
KR102509825B1 (en) ship
US20130287502A1 (en) Ballast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US10442507B2 (en) Buoyant offshore structure
House The Ship
JP2007112330A (en) Double hull structure of ship engine room
KR20150137353A (en) An addition buoyancy tank seperate structure of a Semi-submersible
CN108327847B (en) Method for transforming buoyancy tank of semi-submersible ship
JP2019014453A (en) Vessel-shaped structure
KR101263247B1 (en) Mobile harbor
CN215399177U (en) Liquefied gas carrier
KR20120044879A (en) Container loading structure for ship
KR102130307B1 (en) A vessel tank system
KR101751849B1 (en) Floating vessel
JP6701487B2 (en) Landing ship, construction method of landing ship
Rutkowski Safety of shipping when navigating on the PS class container vessel “Emma Maersk” while approaching DCT terminal in Gdańsk Port Północny
KR20100006354U (en) Non-ballast ship with double wedged bottom
JP2017052311A (en) Ship
KR19990017543A (en) Double hu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