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049A -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049A
KR20160008049A KR1020140087667A KR20140087667A KR20160008049A KR 20160008049 A KR20160008049 A KR 20160008049A KR 1020140087667 A KR1020140087667 A KR 1020140087667A KR 20140087667 A KR20140087667 A KR 20140087667A KR 20160008049 A KR20160008049 A KR 20160008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enser
hvac system
cooling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734B1 (ko
Inventor
박준규
김용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7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734B1/ko
Priority to US14/542,582 priority patent/US20160009161A1/en
Priority to DE102014117765.7A priority patent/DE102014117765A1/de
Priority to CN201410748624.1A priority patent/CN105270133B/zh
Publication of KR20160008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60H2001/00178Temperature regulation comprising an air passage from the HVAC box to the exterior of the cab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후방측으로는 HVAC 시스템까지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가 결합되며, 덕트에는 개폐가능한 내부도어가 형성된 응축기; HVAC 시스템 내부의 냉방유로에 형성되되, 상기 응축기에서 냉각된 냉매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고온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HVAC 시스템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 또는 차단하도록 형성된 흡입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HEAT PUMP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히트 펌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겨울철 난방에 따른 전기차 주행거리 감소를 개선하기 위한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에서는 엔진의 열을 이용하여 냉난방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엔진이 없기 때문에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한 냉난방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서는 별도로 구성된 히트 펌프 장치를 장착하여 겨울철 난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면을 통해 냉난방 시의 냉매의 흐름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냉방 시에는 내부응축기(4)를 지나 제2쓰리웨이밸브(6)를 지나 외부응축기(1)를 통해 방열을 한 후 온도가 낮아진 냉매가 제1쓰리웨이밸브(11)와 감온팽창밸브(7)를 지나 증발기(3)를 통해 흡열을 하여 실내에 낮은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장부품(5)의 냉각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즉, 증발기(3)를 통과해 뜨거워진 냉매는 어큐물레이터(8)와 압축기(2)를 지나 1차 방열을 한 후 다시 제2쓰리웨이밸브(6)을 지나 외부응축기(1)를 통해 2차 방열을 하여 실내에 낮은 온도의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난방 시에는 제1쓰리웨이밸브(11)를 지난 냉매가 냉각기(10)와 어큐물레이터(8)를 지난 후 압축기(2)를 지나면서 내부응축기(4)를 통해 방열을 하여 실내에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내부응축기(4)에서 방열을 한 냉매는 제2쓰리웨이밸브(6)을 지나 오리피스를 통해 외부응축기(1)에서 흡열을 하게 되는데, 외부응축기(1)가 기존 HVAC 시스템의 증발기 역할을 수행하여 흡열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는 냉방 시와 난방 시의 냉매의 순환경로가 바뀌어야하고, 구조 역시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밸브(6,7,11) 등을 많이 이용하게 되므로 고장 발생의 우려가 높고, 원가 상승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외기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히트 펌프 장치의 효율이 저하되고, 난방을 사용에 따른 주행거리 감소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3-0011304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히트 펌프 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난방을 사용하더라도 주행거리가 감소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는 차량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후방측으로는 HVAC 시스템까지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가 결합되며, 덕트에는 개폐가능한 내부도어가 형성된 응축기; HVAC 시스템 내부의 냉방유로에 형성되되, 상기 응축기에서 냉각된 냉매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고온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HVAC 시스템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 또는 차단하도록 형성된 흡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기의 전방측에는 개폐가능한 외부도어가 형성되어 외부도어를 통해 응축기의 후방 덕트로 외기가 유입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상기 HVAC 시스템에는 난방유로가 더 포함되고, 난방유로에는 히터가 마련되어 흡입구를 통해 난방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난방유로는 상기 냉방유로와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HVAC 시스템에는 흡입구의 후방측으로 템프도어가 마련되고,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템프도어에 의해 냉방유로 또는 난방유로 중 하나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흡열 또는 가열된 후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HVAC 시스템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냉방유로 또는 난방유로를 통해 흡열 또는 가열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에는 차단도어가 형성되고, 차단도어는 HVAC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기 또는 외기로 구분하여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 증발기, 압축기는 냉매라인으로 연결되어 폐회로가 형성되고, 냉매라인의 냉매는 일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의 후면에는 냉각팬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에 따르면 냉매가 지속적으로 한 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HVAC 시스템 내부에 냉방유로와 별도로 난방유로가 병렬로 형성됨으로써, 종래 대비 적은 에너지만으로도 냉방과 난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방 시에는 응축기 후방의 공기 대비 차가운 외기를 유입시켜 HVAC 시스템 내에 냉매순환에 이용되는 증발기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종래 대비 공기를 냉각시키는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빠르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공기를 차갑게 하여 차가운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난방 시에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따뜻해진 응축기 후면의 공기와 따뜻해진 내기를 HVAC 시스템의 난방유로로 유입시킴으로써 열원을 확보하여 종래 대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빠르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만들어 따뜻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매를 한 방향으로만 순환시킴으로써, 종래에 사용되었던 냉매 전환 밸브, 내부열교환기 및 배관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구조 및 제어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감소되며 차량 경량화의 효과가 있게 된다.
더불어, 외기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철에도 어느 정도 온도가 상승된 따뜻한 공기를 공기조화에 이용함으로써,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으며, 친환경 차량의 경우에는 난방 사용에 의한 주행거리 감소가 발생하지 않아 저비용 고효율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의 냉방 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난방 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의 냉방 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난방 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는 차량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후방측으로는 HVAC 시스템(200,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System)까지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110)가 결합되며, 덕트(110)에는 개폐가능한 내부도어(111)가 형성된 응축기(100); HVAC 시스템(200) 내부의 냉방유로(600)에 형성되되, 상기 응축기(100)에서 응축된 냉매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610); 상기 증발기(610)를 통과한 고온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00); 및 HVAC 시스템(200)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 또는 차단하도록 형성된 흡입구(400);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기(100)는 통상적으로 라디에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응축기(100)의 전방측에는 개폐가능한 외부도어(130)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HVAC 시스템(200)까지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110)가 결합된다. 상기 외부도어(130)의 개방 시에는 외기가 응축기(100)의 후방 덕트(110)에 유입될 수 있으며, 반대로 외부도어(130)의 부분 또는 전부 폐쇄 시에는 외기가 덕트(110)로 유입되는 것이 일부 또는 완전히 차단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100)의 후면에는 냉각팬(150)이 형성되어 응축기(100)의 냉매 냉각 시 보다 빠르게 냉매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기(100)의 덕트(110)에는 개폐가능한 내부도어(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도어(111)는 덕트(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도어(111)의 개방 시 응축기(110) 후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될 수 있으며, 폐쇄 시에는 공기가 덕트(110)를 통해 흡입구(400)를 지나 HVAC 시스템(200)으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400)에는 공기가 유입되되, HVAC 시스템(200)의 내기 혹은 외기모드에 따라 내기 혹은 외기를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차단도어(410)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도어(410)는 덕트(110)의 후방측 단부의 상측과 HVAC 시스템(200)의 흡입구(400)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개방 시에는 외기가 HVAC 시스템(200)측으로 유입되는 외기모드로 수행될 수 있으며, 폐쇄 시에는 외부로부터 HVAC 시스템(200)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실내 공기가 HVAC 시스템(200)으로 유입되는 내기모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610)는 HVAC 시스템(200) 내부의 냉방유로(600)에 형성되되, 상기 응축기(100)에서 냉각된 냉매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HVAC 시스템(200)에는 냉방유로(600)와는 별도로 히터(710)가 마련된 난방유로(700)가 형성되어 난방유로(700)로 유입된 공기가 히터(710)에 의해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난방유로(700)는 냉방유로(600)와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710)은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일 수 있다.
상기 HVAC 시스템(200)에는 흡입구(400)의 후방측으로 템프도어(430)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선택한 냉방 혹은 난방 모드에 따라 상기 흡입구(40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템프도어(430)에 의해 냉방유로(600) 또는 난방유로(700) 중 하나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유입되어 흡열 또는 가열된 후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HVAC 시스템(200)에는 배출구(210)가 형성되어 냉방유로(600) 또는 난방유로(700)를 통해 흡열 또는 가열된 공기가 하나의 배출구(21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HVAC 시스템(200)의 내부에 병렬로 냉방유로(600)와 난방유로(700)를 각각 형성하여 증발기(610)와 히터(710)를 병렬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냉방 혹은 난방모드의 선택에 따라 공기를 흡열 또는 가열된 공기를 하나의 배출구(21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냉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100), 증발기(610), 압축기(300)는 하나의 냉매라인(500)으로 연결되어 폐회로가 형성되고, 냉매라인(500)의 냉매는 일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의 냉방 시와 난방 시 공기와 냉매의 흐름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냉방 혹은 난방 시와 상관없이 냉매는 계속 동일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2와 도 3에서의 냉매라인(500) 내의 냉매의 순환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냉매라인(500)의 냉매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HVAC 시스템(200) 냉방유로(600)의 증발기(610)에서 공기와 열교환한 고온의 냉매는 온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냉매라인(500)을 따라 압축기(300)를 거쳐 응축기(100)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기(100)에서 응축되어 저온 상태인 냉매는 다시 HVAC 시스템(200)의 냉방유로(600)의 증발기로 유입되며, 냉매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계속해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100)에서는 냉매를 저온으로 만들기 위하여 외부도어(130)를 개방하여 실외의 공기를 유입시킨다. 외부도어(130)는 단계적으로 개폐상태가 조절되어 필요한 만큼 외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응축기(100) 후방의 냉각팬(150)을 구동하여 냉매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도 2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의 냉방 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냉방 시에는 실내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차량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높은 상태이다. 그러나, 냉매를 냉각한 후 응축기(100)의 후방 덕트(110) 내에 모인 공기는 외기보다 상대적으로 고온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덕트(110)의 내부도어(111)를 개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흡입구(400)의 차단도어(410)를 개방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기를 흡입구(400)를 통해 HVAC 시스템(200)으로 유입시킨다. 이 때, HVAC 시스템(200) 내의 템프도어(430)는 냉방유로(600) 측으로 개방되어 유입된 외기를 냉방유로(600)의 증발기(610)를 통해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냉각하여 배출구(210)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 때, 냉방유로(600)와 별도로 형성된 난방유로(700)의 히터(710)는 구동되지 않는다.
도 3은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의 난방 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난방 시에는 실내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차량의 외부의 공기가 낮은 상태이다. 또한, 응축기(100)의 후방 덕트(110)에 모인 공기는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온도가 높아진 상태이다. 그러므로, 덕트(110)의 내부도어(111)를 폐쇄하여 덕트(110)의 높은 온도의 공기를 HVAC 시스템(200)으로 유입시키고, 흡입구(400)의 차단도어(410)를 폐쇄하여 외기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내기를 흡입구(400)를 통해 HVAC 시스템(200)으로 유입시킨다. 이 때, HVAC 시스템(200) 내의 템프도어(430)는 난방유로(700) 측으로 개방되어 덕트(110)의 따뜻한 공기와 차단도어(410)를 통해 유입되는 따뜻한 온도의 내기를 난방유로(700)의 히터(710)를 통해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가열하여 배출구(210)를 통해 실내로 배출시키게 된다.
난방 시에는 응축기(100) 전방의 외부도어(130)가 일부 폐쇄된 상태가 되어 응축기(100)가 외부공기에 노출되는 것이 부분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덕트(110) 내에 형성된 따뜻한 공기의 온도가 외기로 인해 낮아지는 것이 차단되어 공기의 온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는 냉매가 지속적으로 한 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HVAC 시스템 내부에 냉방유로와 별도로 난방유로가 병렬로 형성됨으로써, 종래 대비 적은 에너지만으로도 냉방과 난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냉방 시에는 응축기 후방의 공기 대비 차가운 외기를 유입시켜 HVAC 시스템 내에 냉매순환에 이용되는 증발기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종래 대비 공기를 냉각시키는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빠르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공기를 차갑게 하여 차가운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난방 시에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따뜻해진 응축기 후면의 공기와 따뜻해진 내기를 HVAC 시스템의 난방유로로 유입시킴으로써 열원을 확보하여 종래 대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빠르고 간단하고 용이하게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만들어 따뜻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매를 한 방향으로만 순환시킴으로써, 종래에 사용되었던 냉매 전환 밸브, 내부열교환기 및 배관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구조 및 제어가 간단해지고, 비용이 감소되며 차량 경량화의 효과가 있게 된다.
더불어, 외기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철에도 어느 정도 온도가 상승된 따뜻한 공기를 공기조화에 이용함으로써,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으며, 친환경 차량의 경우에는 난방 사용에 의한 주행거리 감소가 발생하지 않아 저비용 고효율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응축기 110 : 덕트
111 : 내부도어 130 : 외부도어
150 : 냉각팬 200 : HVAC 시스템
210 : 배출구 300 : 압축기
400 : 흡입구 410 : 차단도어
430 : 템프도어 500 : 냉매라인
600 : 냉방유로 610 : 증발기
700 : 난방유로 710 : 히터

Claims (9)

  1. 차량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후방측으로는 HVAC 시스템까지 공기가 통과하는 덕트가 결합되며, 덕트에는 개폐가능한 내부도어가 형성된 응축기;
    HVAC 시스템 내부의 냉방유로에 형성되되, 상기 응축기에서 냉각된 냉매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고온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HVAC 시스템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 또는 차단하도록 형성된 흡입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전방측에는 개폐가능한 외부도어가 형성되어 외부도어를 통해 응축기의 후방 덕트로 외기가 유입 또는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HVAC 시스템에는 난방유로가 더 포함되고, 난방유로에는 히터가 마련되어 흡입구를 통해 난방유로로 유입된 공기가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난방유로는 상기 냉방유로와 병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HVAC 시스템에는 흡입구의 후방측으로 템프도어가 마련되고,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템프도어에 의해 냉방유로 또는 난방유로 중 하나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흡열 또는 가열된 후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HVAC 시스템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냉방유로 또는 난방유로를 통해 흡열 또는 가열된 공기가 배출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에는 차단도어가 형성되고, 차단도어는 HVAC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기 또는 외기로 구분하여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증발기, 압축기는 냉매라인으로 연결되어 폐회로가 형성되고, 냉매라인의 냉매는 일방향으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후면에는 냉각팬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KR1020140087667A 2014-07-11 2014-07-11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KR101592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67A KR101592734B1 (ko) 2014-07-11 2014-07-11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US14/542,582 US20160009161A1 (en) 2014-07-11 2014-11-15 Heat pump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4117765.7A DE102014117765A1 (de) 2014-07-11 2014-12-03 Wärmepumpenvorrichtung für Fahrzeug
CN201410748624.1A CN105270133B (zh) 2014-07-11 2014-12-09 用于车辆的热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67A KR101592734B1 (ko) 2014-07-11 2014-07-11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049A true KR20160008049A (ko) 2016-01-21
KR101592734B1 KR101592734B1 (ko) 2016-02-15

Family

ID=5486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667A KR101592734B1 (ko) 2014-07-11 2014-07-11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09161A1 (ko)
KR (1) KR101592734B1 (ko)
CN (1) CN105270133B (ko)
DE (1) DE102014117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S56955B1 (sr) * 2015-04-22 2018-05-31 Privredno Drustvo Za Pruzanje Usluga Iz Oblasti Automatike I Programiranja Synchrotek D O O Kgh sistem putničkog odeljka vozila sa promenom topologije vazdušnog toka
KR101667979B1 (ko) * 2015-06-19 2016-10-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습 및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와 이를 이용한 제습냉방 및 가습난방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304A (ko) 2011-07-21 2013-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0076A (en) * 1953-01-14 1957-02-05 Gen Motors Corp Automobile refrigerating apparatus
JPS58110317A (ja) * 1981-12-23 1983-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車輌用空調装置
US4688394A (en) * 1985-03-14 1987-08-25 Technology Un, Ltd. Automotive heater and air conditioner and process therefor
US5094083A (en) * 1990-08-14 1992-03-10 Horn Stuart B Stirling cycle air conditioning system
JPH05270253A (ja) * 1992-03-27 1993-10-19 Nippondenso Co Ltd 空気調和装置
FR2690111B1 (fr) * 1992-04-16 1995-08-18 Valeo Thermique Habitacle Procede et dispositif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electrique.
FR2697209B1 (fr) * 1992-10-26 1994-12-09 Valeo Thermique Habitacle Dispositif et procédé de climatisation d'un véhicule, notamment d'un véhicule électrique.
EP0705725B1 (en) * 1994-10-07 1999-03-24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film door
US5704219A (en) * 1995-08-01 1998-01-06 Nippondenso Co.,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5881558A (en) * 1996-04-03 1999-03-1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s
JPH1076841A (ja) * 1996-09-06 1998-03-24 Calsonic Corp ヒートポンプ式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H10100662A (ja) * 1996-09-25 1998-04-21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EP0842799A3 (en) * 1996-11-15 2003-03-05 Calsonic Kansei Corporation Heat pump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3985384B2 (ja) * 1998-09-24 2007-10-03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US6077158A (en) * 1998-11-12 2000-06-2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ir handling controller for HVAC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JP4084911B2 (ja) * 1999-08-23 2008-04-3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010059789A (ko) * 1999-12-30 2001-07-06 이계안 차량용 냉난방장치
US6983793B2 (en) * 2002-11-19 2006-01-10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evaporat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6758054B2 (en) * 2002-11-19 2004-07-06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evaporat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9493054B2 (en) * 2006-11-29 2016-11-15 Mahle International Gmbh Vehicle HVAC control system
US7900462B2 (en) * 2007-11-20 2011-03-08 Thermo King Corporation External noise reduction of HVAC system for a vehicle
JP2009184493A (ja) * 2008-02-06 2009-08-2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5446524B2 (ja) * 2009-07-08 201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DE102009028522B4 (de) * 2009-08-13 2017-05-11 Hanon Systems Kompakte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CN102958724B (zh) * 2010-11-01 2015-06-24 三菱重工业株式会社 热泵式车辆用空调装置及其除霜方法
KR101241223B1 (ko) * 2011-03-23 2013-03-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233676A (ja) * 2011-04-21 2012-11-29 Denso Corp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
JP5821756B2 (ja) * 2011-04-21 2015-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339226B1 (ko) * 2011-06-20 2013-12-09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94164B1 (ko) * 2011-07-27 2013-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폐열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304A (ko) 2011-07-21 2013-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09161A1 (en) 2016-01-14
KR101592734B1 (ko) 2016-02-15
CN105270133A (zh) 2016-01-27
DE102014117765A1 (de) 2016-01-14
CN105270133B (zh)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01552B (zh) 用于车辆的热泵系统
JP4505510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US20120227431A1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20150087463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456826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318996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180112681A (ko)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의 냉각제 분배 장치
CN106965647B (zh) 用于车辆空调设备的具有热泵功能的制冷剂回路
KR102047749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70069318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CN106853756B (zh) 用于车辆的空调系统
US9499025B2 (en) Air-conditioning loop functioning as a pulse electro-thermal deicing heat pump
JP2011121430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592734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장치
JP2009192155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817729B1 (ko) 열전소자 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102576259B1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KR102651941B1 (ko)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KR2018000292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3676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200103497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950750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37794A (ko) 전기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755929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566318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